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말기 환자의 수액요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조현숙,조옥희,유양숙,Jo, Hyeon-Sook,Cho, Ok-Hee,Yoo, Yang-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3 No.4

        목적: 본 연구는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과 수액요법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의 암 병동 간호사 87명과 보건복지부의 호스피스 시범사업 지원기관으로 선정된 1개 호스피스기관의 간호사 113명, 총 200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8년 3월 10일부터 3월 31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수액요법에 대한 호스피스기관 간호사와 암 병동 간호사의 인식 차이는 $x^2test$와 ANCOVA로 알아보았다. 결과: 호스피스기관의 간호사가 암 병동 간호사에 비해 '말기 환자에게 수액을 주입하면 전신무력감이 호전되지 않는다', '수액을 주입하여도 섬망이나 안절부절함, 의식장애가 완화되지 않는다', '수액을 제한하면 폐부종이 감소되고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감소된다', '수액을 제한하면 복수가 최소화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한 심리사회적인 측면의 인식도는 암 병동 간호사가 호스피스기관 간호사보다 높아 긍정적이었다. 호스피스기관이 암병동보다 말기 환자에게 수액을 말초정맥 혈관이나 지속적 피하 점적주사로 주입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주입하는 하루 평균 수액양이 적었다. 말기 환자에게 수액 요법을 하는 이유로 호스피스 기관은 '환자나 가족이 원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환자 및 가족에게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므로'와 '수액요법이 기본적인 처방이므로' 순이었으나 종합병원의 암 병동은 '환자나 가족에게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므로', '환자나 가족이 원해서', '탈수를 교정하기 위해서' 순이었다. 결론: 종합병원의 암 병동 간호사들은 호스피스기관 간호사에 비하여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하여 긍정적이었으며, 두 기관 모두 환자나 가족이 원하여 말기 환자에게 수액요법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불필요한 수액요법을 시행하지 않도록 간호사는 물론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nurses who take care of terminal patients perceive fluid therapy and how this therapy is currently being used in hospitals. Methods: This survey included 200 nurses, 87 of whom were working in the oncology units of 3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and 113 were working in 18 hospice center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oftwa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towards fluid therapy between nurses working in oncology units and those working in hospice centers were examined using the $x^2$ 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Fluid therapy was perceived more negatively by the nurses from hospice centers than by those from oncology units. Continuous subcutaneous infusion was used in hospice centers, but not in oncology units. In addition, the average amount of fluid infused dail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oncology units and hospice centers.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towards fluid therapy between nurses in different clinical settings. Nurses caring for terminal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should not simply provide or withhold fluid therapy, but rather develop a wider range of views on fluid therapy, focusing on effective alternative interventions.

      • KCI등재

        고로쇠나무류 정제수액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권수덕,구소영,김정운,김창환,김종갑,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3 No.5

        본 연구는 고로쇠나무, 붉은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나무 수액을 대상으로 수액정제시스템을 활용하여 정제수액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세 수종의 고로쇠나무 수액 원액에는 Bacillus속 세균 1종과 효모 3-4종, 곰팡이 2종이 검출되었다. 수액의 pH는 수액원액이 6.5, 정제수액이 6.3-6.4, 당도는 원액이 1.67 -3.05, 정제수액이 1.64-3.02로 약간 줄어들었다. 당 성분은 모든 수액에서 sucrose만 검출되었다. 수액 속의 미네랄 성분도 원액에 비해 정제수액에 비해 조금 줄어들었다. 이들 결과는 고로쇠나무류 수액을 정제하면 장기간의 보관과 함께 음용도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o the applicability of refined saps of Acer mono, A. mono for. rubripes, A. okamotoanum through sap refining system. 1 species of Bacillus genus, 3-4 species of yeast and 2 species of fungi were detected in the origin sap of three Acer spp. The pH in the origin sap were 6.5, and decreased in refining sap as 6.3-6.4. Sucrose in sugar components was detected in the origin and refining sap of Acer spp., but glucose and fructose were not detected. Compared the origin and refining sap, mineral components decreased slightly in refining sa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fining sap of Acer spp. are drinkable with long-term storage

      • SCIESCOPUSKCI등재

        사과 ‘후지’/M.9의 생육기 수액 이동 양상

        박정관(Jeong-Gwan Park),김선규(Seon-Kyu Kim),이재영(Jae-Young Lee),김승희(Seong-Hee Kim),신용억(Yong-Uk Shin) 한국원예학회 2004 원예과학기술지 Vol.22 No.3

        ‘후지’/M.94년생 나무에서 수액이동과 수액이동 속도를 2001년 4월 4일부터 10월 20일까지 조사한 결과, 주당 수액이동은 566.5L/주, 평균 수액이동속도는 12.9㎝/hr/주 인 것으로 나타났다. 윌별 수액이동 양상은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과 8월에 최대치를 보였고 9월 이후 감소되어 4윌 수준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수액이동 양상은 5월 하순부터 VPD 값과 유사한 양상을 보임에 따라 기후적 요인이 수액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단계 및 시기별 일중 수액이동과 기후요소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생육 초기나 후기의 경우, 기후요소보다는 수체 생육의 발달정도에 따라 수액이동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생육성기인 6월부터 8월까지는 기후요소가 수액이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trial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mount and velocity of xylem sap during growing season in four-year-old ‘Fuji’/M.9 apple trees. The total amount and average velocity of xylem sap from April 4 to October 20 were 566.5 Lㆍtree⁻¹ and 12.9 ㎝ㆍhr⁻¹ - tree⁻¹, respectively. Xylem sap increased from April, peaked in May and again in August, then decreased to the same level as April. Weather conditions affected xylem sap transport because the transport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vapor pressure deficit (VPD) value from mid June to late September. As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xylem sap transport in a day and weather conditions according to growing stage or time, the xylem sap transport of early or later stage was more affected by the degree of tree growth than weather conditions. However, it could be thought that the transport from June to August was chiefly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 KCI등재후보

        신기능 저하 환자의 조영제 신독성 예방을 위한 N-acetylcysteine 복용과 수액요법의 비교

        서정숙 ( Jeong Sook Seo ),전혜정 ( Hae Jung Jun ),구호석 ( Ho Seok Koo ),이원동 ( Won Dong Lee ),강선우 ( Sun Woo Kang ),김영훈 ( Yeong Hoon Kim ),김양욱 ( Yang Wook Kim ),이정녀 ( Jeong Nyeo Lee ),박성한 ( Sung Han Park ),이준식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4

        목적: 조영제로 인한 신부전(contrast induced nephropathy, CIN)은 신기능 저하 환자에게 있어 급성신부전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CIN의 예방 방법으로서 N-acetylcysteine (NAC)와 수액 공급 병합요법이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독 수액요법 또한 예방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신기능저하 환자에게 있어 단독 경구 NAC 투여가 단독 수액요법과 비교하여 CIN의 예방에 유사한 효과가 있는지, 혈관 확장제인 nitric oxide의 요중 배설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함으로써 향후 충분한 수액요법을 하기 힘든 경우, 경구 NAC 투여만으로 CIN의 예방이 가능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비이온성, 저삼투성 조영제를 이용한 방사선학적 검사(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또는 관상동맥 조영술)가 필요한 27명의 신기능 저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IN의 정의는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특별한 원인 없이 조영제 사용 전에 비교하여 사용 후 48시간 내에 혈청크레아티닌이 0.5 mg/dL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 환자들 중 11명은 NAC 600 mg을 하루 두 번 복용시켰고, 16명은 0.45% saline을 1 mL/kg/Hr의 비율로 조영제를 투여하기 전 12시간 동안과 조영제 사용 후 12시간 동안 투여하였다.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영제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 후의 혈청 크레아티닌, FENa,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NAC 투여한 5명과 수액 군의 10명을 대상으로 조영제 사용 전과 사용 48시간 후의 요중 nitrite를 측정하였다. 결과: 사용한 조영제의 평균 양(100.9±54.8 vs 114.7±38 mL; p=0.43) 및 기본 혈청 크레아티닌의 수치는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2.31±1.59 vs 2.18±1.4 mg/dL; p=0.98). CIN의 발생 빈도는 NAC군과 수액요법군에서 18.2%와 12.5%로 두 군 간의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었다(p=1.0). 또한 조영제 사용 전 혈청 크레아티닌이 CIN발생에 가장 중요한 위험 요소였다. 뇨 nitrite/크레아티닌 비(μmol/mg)는 NAC군에서는 투여 전, 후 각각 1.26±0.57, 1.43±0.64였고, 수액요법군에서는 0.80±0.40, 1.18±0.60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영제 노출 후 수액용법군에 비해 NAC군에서 FENa는 증가하였다(p=0.04). 결론: 단독 경구 NAC 투여 역시 CIN의 예방에 효과적이었다. 이에 따라 수액투여가 금기시 되는 신기능 저하 환자에 있어 CIN의 예방에 NAC 단독요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Contrast induced nephropathy (CIN) is an important cause of acute renal failure in patients with renal dysfunction. We investigated whether oral NAC alone was sufficient to prevent CIN to the same extent as hydration in patients with renal dysfunction, and whether these treatments resulted in diffierences in the urinary excretion of nitric oxide, a vasodilator. Methods: A total of 27 patients with renal dysfunction, who underwent radiographic examination with nonionic and low osmolar contrast,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NAC (600 mg orally twice daily; N=11) or 0.45% saline hydration (1 mL/kg/Hr; N=16) 12 hours prior to and 12 hours after the contrast procedure. We measured serum creatinine (sCr), fractional excretion of sodium (FENa), creatinine clearance (CCr), and urinary nitrite before and after contrast administration. Results: The mean volume of contrast used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100.9±54.8 mL vs 114.7±38 mL; p=0.43), as was baseline sCr in the two groups (2.31±1.59 mg/dL vs 2.18±1.41 mg/dL; p=0.98).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cidence of CIN, with 18.2% and 12.5% in the NAC group and hydration group, respectively (p=1.0). The urinary nitrite/creatinine ratio (μmol/mg) was 1.26±0.57 and 1.43±0.64 at baseline and 48 hours after contrast exposure in the NAC group, respectively, and 0.80±0.40 and 1.18±0.60 in the hydration group,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ENa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ontrast exposure in the NAC group compared with hydration group (p=0.04) Conclusions: NAC alone may prevent CIN. When bolus hydration is contraindicated in patients with renal dysfunction, administration of NAC alone may be sufficient.(Korean J Med 73:361-367, 2007)

      • KCI등재후보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효율적인 수액 모니터링 단말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효승,오재철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4

        Fluid is normally used so that certain drug can be administered to patients for certain period of time. There are many incidents in which patients or guardians need to call upon medical staff after estimating the time of fluid injection termination. In case fluid injection is terminated during certain period such as sleeping time or others, it may cause more fatigue for either patients or guardians. Also, it may lead to ineffective work as medical staff needs to monitor the quantity of fluid several times in order to check the time of fluid injection termin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LBS system combined of minimum equipment and active RFID to monitor the level of fluid in order to solve abovementioned problems. Also, 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with service in which real-time monitoring of fluid quantity and patient location is conducted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either patients, guardians, or medical staff(nurse) so that medical staff can locate and see patients at the time of fluid injection termination. 수액은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특정 주사를 일정 시간동안 주입하기위해 사용되어진다. 환자나 보호자는 수액의 투입종료 시점을 예상하여 의료진을 호출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고, 취침시간 등 특정 시간에 수액투여가 종료될 경우 환자나 보호자에게 더 많은 피로를 줄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수액의 투입종료시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몇 번이고 현장에 찾아가 수액의 양을 모니터링 해야 하는 수고로움으로 업무의 비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액의 수위를 감시하는 최소한의 장비와 능동형 RFID를 결합한 형태의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하고, 환자별 수액의 양과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하여 환자나 보호자 또는 의료인(간호사)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수액 투여가 마무리될 시점에 의료진이 환자의 위치로 찾아가는 서비스로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ISM 소출력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액세트 감시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조영석(Young-Seok Ch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ISM 밴드 소출력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액세트 감시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복지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각종 의료장비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병원의 응급실이나 중환자실과 같이 수액공급시 수액의 주입여부, 종료여부를 감시하는 수액세트 자동 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수액세트 감시장치는 센서부와 수신부로 구성되며, 센서부는 수액 백으로부터 수액이 공급중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처리한 후 447MHz ISM 밴드의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중앙통제실로 전송한다. 센서부는 동전형 리튬전지를 이용하여 3개월 사용하도록 설계 구현하였고 실내에서최대 65m까지 전송이 가능하였다. 수신부는 센서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 KCI등재

        로드셀과 자이로센서를 융합한 수액 감지 시스템 설계 및 오차 검증

        김선칠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은 원격으로 환자에게 투입된 수액량과 투여의 종료시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수액 투입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액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정량을 무게로 혹은 유량 을 측정센서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되는 장치의 기준은 정확성, 경계성이다. 또한 소형으로 환자에게 수액 설치 시 사용에 용이해야 한다. 의료기관에서는 측정값의 정확도가 높아야 하며, 경제적으로 저가의 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소형 무게 중심 로드셀 센서를 적용하였으며, 측정값의 정확도를 위해 자이로센서와 융합하여 외부 움직임에 의한 아트펙트를 줄이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측정의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수액 모니터링 측정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The intravenous injection monitoring system used by medical institutions was developed to remotely provide patients with the amount of intravenous injected and the termination point of the injection. In o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intravenous injection input, the weight or flow rate of the level going out from the inside to outside of the intravenous injection can be observed with a measuring sensor. The criteria for devices that apply herein are accuracy and vigilance. In addition, it is compact and should be easy to use when installing intravenous injection on patients. In medical institutions, the accuracy of the measured values must be high, and economically inexpensive devices are required. In this study, low-cost small-weight-centered load cell sensors were applied, and algorithms were applied to reduce the artefact by external movement by converging with gyro sensors for accuracy of measurement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error of measurement,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intravenous injection monitoring measurement value.

      • KCI등재

        휴리스틱을 이용한 의료 수액 낙하 속도 측정 시스템 개발

        김정숙(Jung-Sook Kim),정준호(Junho Jeo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4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과 휴리스틱 방법을 이용하여 수액 낙하 속도를 측정하고, 수액 투여 시 종료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의료 IT융합 시스템을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개발하였다. 먼저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수액이 낙하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임계값을 이용하여 이진영상으로 변환한 후 n-1번째 프레임의 차영상을 계산하였다. 이 때 휴리스틱을 사용해서 수액 낙하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위한 이진화 변환시에 최적의 임계값을 구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리고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화면의 진행 상태바를 보면서 정확하게 의사 처방에 맞는 수액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으로 실험한 결과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일반 환자들에게 충분히 적용할 수 있도록 수액 낙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medical and IT convergence system using a smart phone and a heuristic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the dripping speed of the liquid in a drip chamber, which can estimate the remaining time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difference image from video frame information based on Android technology. The video frames were first made using a smartphone camera and we calculated the difference image between the n image and the (n-1) image and then changed into binary images using the threshold value. At this point,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an optimal threshold value using heuristic method to recognize the dripping of the liquids. In addition, the user can adjust the dripping speed according to the doctor`s prescription, exactly like watching the progress bar of a mobile application.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using video processing technique accurately measure the dripping speed for a wide range of speeds that are sufficient for ordinary practice.

      • KCI등재

        외상 환자의 수액 치료

        허요,유재리 대한골절학회 2023 대한골절학회지 Vol.36 No.2

        Fluid therapy is one of the fundamental treatments for the management of trauma patients. Apart from supplementary hydration, fluid therapy is also applied for resuscitation. Especially in cases of hypovolemic shock due to bleeding, fluid therapy needs to be carefully adjusted to correct the shock. The importance of fluid therapy is increasing not only in resuscitation and treatment after hospitalization but also in pre-hospital care. Fluid therapy needs to be adjusted based depending each patient’s volume status. The various classifications of fluids include crystalloid solutions, glucose solutions, and colloid solutions. Although not included as a fluid therapy, blood transfusion is increasingly gaining more importance than fluid therapy in unstable trauma patients. Early appropriate fluid therapy is crucial in the treatment of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s such as multiple trauma and massive bleeding, whereas comprehensive fluid therapy should be appli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injuries such as fractures, vascular damage, and cerebral hemorrhage, as well as the age groups (children,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외상 환자에서 수액 치료를 통해 조직 관류와 산소 공급을 개선시킬 수 있다. 외상의 출혈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 상황에서 수액 치료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병원 전 단계의 수액 주입 또한 도움이 될 수 있다. 혈액검사, 초음파 등을 통해 환자의 체액 상태를 평가하고 진행하고 있는 수액 요법을 조절하여야 한다. 주로 사용되는 수액의 종류로는 결정질 용액, 포도당 용액 및 콜로이드 용액이 있으며, 혈역학적 상태, 손상 종류 및 환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적합한 종류의 수액을 선택하고 지속적인 조정 및 관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