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언어 문화 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 활용방안: 비대면 온라인 융합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세령(Kim Ser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팬데믹(Pandemic) 상황이 끝없이 지속되면서,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일반적이었던 한국어교재 중심의 대면 교육을 온라인 기반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융합 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 언어 문화 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의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뉴노멀 시대, 한국어 교육에서도 코로나 이전의 교육을 넘어 새로운 기준을 모색하는 교육의혁신이 필요하다. 이에 H대 한국언어문화학과 ‘인공지능 시대의 스마트러닝’ 수업 사례를 통해한국 언어 문화 교육과 스마트러닝, 인공지능을 연계한 융합 교육내용과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학생들과 교수자의 연결과 소통을 높일 수 있었던 원격 수업의 다양한 형태를 모색해 보았다. 한편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 속에서 SMART 기반 교육을 통해 21세기 학습자에게 필요한역량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PBL(프로젝트 기반 학습, 문제 중심 학습)을 통해자기주도성, 연결과 소통,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컴퓨팅 사고 기반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수 있었다. 수업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모든 문항에서 수업 전보다수업 이후에 평균값이 상승하였고, 대부분의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범위에서 수강생들의관련 인식과 역량이 상승하였다. 한 학기 수업이 주요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 대학의 사례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수준이나 목적, 교육환경이 다른 모든 대학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따르지만, 한국 언어 문화 교육과 스마트러닝, 인공지능의 융합 교육이 뉴노멀시대에 어떻게 실천될 수 있을지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유사한 고민을 가지고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기준을 탐색하는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코로나이후 급속한 교육환경 변화 속에 실습 중심의 융합 교육이 비대면으로 갑자기 운영되다 보니교육 인프라 면에서 여러 제약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As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continues, face-to-face education center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s been comm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facing difficulties in transitioning to online-based contactless education. This study thus aimed to present an effective application plan of smart learning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a case analysis of contactless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In this era of new norm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novate education to seek new standards beyond education before the COVID-19 period. Using the case of “Smart Learning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t H University, the content of convergence education link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mart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examined, and various forms of distance classes that could enhance the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in contactless online classes were explored. Through SMART-based education in the contactless online class environment, this class improved the overall competencies required for twenty-first-century learners. In addition, project-based learning or problem-based learning helped to develop self-direction,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ollabor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To verify the class effectiveness,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In all the questions, the average value increased after each clas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In most of the questions, students perceptions and competences increased with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ange. It was confirmed that one semester’s learning was effective in achieving the main learning goal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focuses on a specific university; thus, it may not be generalized to all universities with different levels, purpos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Nevertheless, the study may offer practical help to researchers who seek new standard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similar concerns where in-depth research on how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mart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can be practiced in the era of new normal is insufficient. In addition, due to the rapid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COVID-19, practice-oriented convergence education was suddenly conducted remotely; therefore, there were several limitations in terms of education infrastruct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 KCI등재후보

        문화융합을 위한 지방학의 가능성-포항의 경우

        김윤규(Kim, Yun-k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이 연구는 문화융합을 위한 다양한 준거 가운데 지역적 특성의 융합이 어떤 방식으로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문화가 생산된 지역적 배경은 그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동일한 소재에 대한 지역적 변화 역시 문화 연구에 불가결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한국문화는 비교적 좁은 국토에서 민족적으로 큰 차이 없이 생산되었지만, 지역을 나누는 산과 강으로 인해 비교적 특수성이 살아 있는 상태로 향유되고 있다. 지난 역사에서는 지방의 면적과 인구분포가 균등하게 이루어져 있었고, 각 지방마다 우수한 지식인들이 자리잡고 있어서 지방 문화가 전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산업화시대로 접어들면서 인구의 편중이 심해지고, 현대에 들어와서는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따라 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문화의 편중도 심해지고 있다. 이렇게 편중된 문화는 한국문화 전체를 빈곤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다양성과 생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현상은, 국토의 균형 발전과 원활한 소통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방학은 한국문화를 풍성하게 하는 유용한 통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이미 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민족 전체를 아우르는 문화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전래의 지방학과 함께 세계적 한국학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방학의 한 사례로서의 포항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 포항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외래 지식인과 이주 산업인력의 교감을 연구하고 이로 인한 사회변동과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은, 포항이라는 한 지방의 사례를 넘어 한국사회 전체를 조망하는 창구가 될 수 있다. 포항은 전통적인 농어업 사회에서 철강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공업 사회로 이행해가는 과정에서 급속한 인구팽창을 경험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 철강 산업이 퇴조하면서 향후 포항사회의 재편성이 요청되는 상황을 맞았다. 이러한 포항을 세밀히 들여다보는 것이 한국사회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전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문화를 서울 중심으로 일원화하고 한두 가지 성격으로 특화하는 것은 한국문화를 잘 이해하는 방법이 아니다. 각 지방이 각 특성에 따른 문화적 발전을 이루고 그것을 기술하고 특화하여 다양한 문화현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 한국문화를 진정으로 발전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nvergence of local characteristics, among various criteria of culture convergence, is possible. Regional background of a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that culture, and regional change of the same matter is also an essential factor in culture studies. Although Korean culture was created without much diversity in relatively small territory, because of mountains and rivers that divide regions, Korean culture passed down with comparative regional specificity. In the past, area and population of all the regions were even and each region evenly had excellent intellects, so local culture of provinces played important role in national culture. However, as industrialization beg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tensified, and today, concentration of culture is also intensifying as population crowded around the capital city, following political and economic profits. Such intensely concentrated culture might impoverish the whole Korean culture. Cultural phenomena that bases on diversity and vitality can only be gained through balanced development of territory and harmonious communication. In that aspect, local studies can be a valuable method to make Korean culture more abundant. Moreover, to converge Korean culture to embrace all the Korean people who are already spread out in the world,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should be done along with traditional local studies. Study of Pohang, as a case of local studies, is still in beginning stage. Based on Pohang s identity, studying development potential and social changes caused by communion with foreign intellects and immigrant industrial manpower can further be a window to view the whole Korean society, beyond mere province. Pohang experienced drastic population increase in the process of society change from traditional farming and fishing society to industrial society centered by steel industry. However, as steel industry is declining nowadays, Pohang is facing demand to reorganize its society. Carefully looking into this situation Pohang is at will help understand and prospect the whole Korean society thoroughly. Unifying or classifying Korean culture into one or two characteristics with Seoul being the core is not a great wa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well. A true way to develop Korean culture is to maintain various cultural phenomena by developing, recording and specializing each region s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뉴미디어 시대의 융합 인문학 교육방안 : 고전(古典)기반의 인문교육기획

        최진아(Choi Jina)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상호성, 수평성을 기반으로 하는 21세기 뉴미디어 환경 속에서 인문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또한 매체의 변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문학의 의미를 정립하고 인문학 교육방안을 재구성해야하는 임무가 요구되는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 위에서 본 논문은 동아시아 古典에 기반한 ‘한국형 인문학 교육’의 패러다임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뉴미디어 시대의 융합 인문학 교육방안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부분으로 고찰할 것이다. 첫째, 인간과 고전에 근간한 인문학을 즐기고 현재에 사는 ‘나’의 인문학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다. 이 방안은 시민강좌로 대표되는 대중인문학 뿐 아니라 대학의 교육과정으로도 활용가능하며 총 12주로 편성되어 구체적으로 교안이 제시된다. 교육과정의 텍스트는 동아시아의 고전작품이다. 그리고 현재의 ‘나’의 입장에서 새롭게 분석되는 고전의 의미. 현실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고전의 힘을 학습하는 것이 첫 번째 방안의 주된 목적이다. 둘째, 고전 기반으로 공학, 경영학 등과의 융합과 활용을 시행하는 캡스톤디자인 교육방법 및 그 실례 분석을 통해 인문학 교육방안을 제시한다. 두 번째 방안은 뉴미디어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인문융합의 교육방법이다. 이는 고전이 지닌 현실의 자산창출 능력을 예증해 주는 교육방안이기도 하다. 게다가 캡스톤디자인 교육방법은 한국대학의 동아시아 국가 유학생들을 위한 교육에도 유용하다. 왜냐하면 이는 동아시아의 공유문화와 고전에 근간한 교육이기 때문에 대학의 소외집단인 외국인 유학생들을 포괄시키는 모두를 위한 인문학 교육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을 통해 인간과 고전을 기반으로 한 문화의 이해와 창출은 국가, 민족 간 경계를 넘어선다는 사실 및 인문과 과학기술 간의 연구와 협업의 측면에서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유효하다는 사실에 도달하였다. In the 21st century, a new media environment has emerged based on mutuality and horizontality, and the humanities are facing a new phase of existence. In addition, because of changes in media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eaning of humanities and reorganize the relevant teaching method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impact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21st-century New Media era by establishing the paradigm of “Korean-style humanities education” based on East Asian Classics. The humanities education measures to be implemented in this study will be discussed in two parts: First, the plan is to appreciate the humanities based on human beings and the classics, and to use these topics in the humanities as the “I” who lives in the present. This plan can be used not only with regard to popular humanities but also in university curricula that are represented by citizen lectures. The detailed plan will be presented in a period of 12 weeks. The text of the curriculum is an East Asian classic piece of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the classics has been newly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urrent “I”. Learning to use the power of classics to solve the problems of reality is the main purpose of the first section. Second, through an analysis of the teaching methods for capstone designs and their examples, which implement convergence and utilization with engineering, business administration, and so forth based on classical studies, humanities teaching methods are presented. The second section is a method of education for the integration of humanities through the active use of new media. It is also an educational method that exemplifies the real-life asset-generating abilities of the classics. In addition, the capstone design education method, which is used in the second section, is effective in liberal arts education for East Asian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because it uses the common denominator of East Asian culture, called East Asian classics. It is a “for all” humanities education that embraces foreign students, who are often treated as minorities and underprivileged in college societies. In summary, through this study, the understanding and creation of culture based on human and classical texts not only goes beyond national and ethnic boundaries but also reaches the conclusion that it is effective in achieving its intended purpose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llaboratio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기술과 건축의 융합에 대한 연구

        이태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8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기술과 건축의 융합에 대해 살펴보고, 주요 기술들과 건축의융합 사례를 통해 건축은 융합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 고찰을통해 4차 산업혁명의 발전 과정, 주요 기술과 건축 그리고 융합의 패러다임에 대해 조사하여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중 건축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것들은 인공지능, 로봇공학, 3D 프린팅,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빅 데이터, 사물인터넷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기술과 건축의 융합측면은 설계적 측면, 시공적 측면, 공간경험적 측면, 지속가능성 측면의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융합 특성은 창의성, 문제해결, 상호보완성, 다양성, 연결성의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기술과 건축의 융합은 그동안 존재하였던 건축의 한계를 뛰어넘고 영역 간 경계를 허물고 있다. 융합은 건축가들이 상상하던 것들을 현실로 가능하게 하고, 건축을 확장된 방식으로 창조할수 있게 한다. 건축가는 보다 능동적으로 기술을 다루며, 기술을 건축의 여러 요소와 통합하여 사고하여야 한다. 새로운 기술과 건축의 융합은 미학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진보한 건축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본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단군신화>의 교육 방향

        이은자(Lee, Eun-Ja)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4

        본 논문은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단군신화>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단군신화>의 한국어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단군신화>는 한국의 시원을 설명하는 건국신화로서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이야기이다. 한국어 교재에도 문학텍스트 수용 비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는 텍스트이다. 이는 <단군신화>가 한국인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 신화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언어와 문화교육을 함께 할 수 있는 구비문학텍스트라는 점에서 유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재의 상당수가 <단군신화>가 가진 구비문학의 한국어교육적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역사와 신화의 경계에서 <단군신화>를 해석하는 일정한 교육적 관점을 가지지 못한 채, 삼국유사에 기록된 문어적 요약 서사방식 그대로를 텍스트로 삼고 있고 때문이다. <단군신화>는 구비문학텍스트의 장점을 활용해야 언어와 문화 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어교재의 <단군신화> 텍스트가 현대인의 구연성에 맞게 재화되어야 한다. 이 때 언어교육의 측면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할 수 있는 입체적인 텍스트로 구성하여 의사소통 중심의 학습활동을 가능케 해야 하고, 문화교육의 측면에서는 문화교수 항목을 단계별로 배치하여 체계적인 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텍스트가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단군신화>는 역사가 아니라 이야기의 문학적 독자성을 확보함으로써 심미적 체험과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문학텍스트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The Myth of Dangun is a founding myth of Korea, which is very well known to Korean people. It is numbered as the most frequently printed literary text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is not only because Dangun Myth is a very significant myth for Korean people, but also because it is considered as a practical oral literary text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But in reality, a majority of textbooks have failed to activate the myth’s potential strength as an oral literature. The reason of the failure comes from the absence of clear educational perspectives to the Dangun text, which seems to be overshadowed by its historical or mythical perspectives. Since many Korean textbooks simply borrow a descriptive literary form of Dangun Myth written in Samgukyusa and purely display it, the beneficial features of the text as an oral literature, such as dynamic exchange of communication skills or active transmitting of cultural knowledge, rarely occur in the language classrooms. In order to use the Myth of Dangun efficiently i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e myth in the Korean textbooks needs to be first retelling in contemporary colloquial Korean language. For the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the new text should be formulated for the language learners to practice dynamic communication-centered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method. For the purpose of culture education, cultural elements should be systematically arranged and inserted step by step within the text. Rather than approving the Myth of Dangun only as a historical text, we need to acknowledge its role as an oral literary text and retelling it so as to help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esthetic experience and their imagination.

      • KCI등재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産俗) 문화 비교 연구

        투라예바 딜푸자(Turaeva Dilfuza),이수진(Lee Su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이 논문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지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같은 아시아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 중국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문화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 산속은 오래전부터 각 민족의 삶의 방식과 믿음을 통해서 조상들로부터 전해 내려온 습속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은 사회적으로 남아를 선호하는 가부장제 가족 제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연구를 통해서 양국의 민족성이나 사회성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산속이 전해져 내려오는 문화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유교주의 영향을 받아 특히 16세기 남아를 선호하는 사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실크로드 교차지점에 위치하여 오랜 시간 다양한 문화와 교류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략으로 고난과 역경의 시간을 보내며 남아 선호 사상이 강해졌다. 양국 모두 전통적으로 가부장제 가족제도를 형성해 왔으며 남아선호사상을 중시하였고, 이러한 사회적 구조 안에서 남아의 잉태를 기원하는 산속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양국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나누어 비교 고찰해 보았다. 양국 모두 아이를 갖고자 희망하는 여인들은 일정한 대상물을 향해 기도 기자속이 있는데, 그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잉태를 위하여 수목, 산신, 부처, 암석 등에 기도를 하며, 아들을 이미 출산한 집안의 삼신상이나 속옷, 금줄에 끼인 고추 등을 훔쳐 잉태를 기원하는 습속이 있는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다산한 임산부의 다리 밑을 지나가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믿었다. 방식에 차이는 있으나, 이미 출산한 부녀자에게 의지하여 아이 낳기를 기원하는 행위는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기자속의 형태로 볼 수 있다. 산전속에서도 한국은 오리고기ㆍ닭고기ㆍ자라고기ㆍ토끼고기ㆍ생강ㆍ마늘ㆍ문어 등의 섭취를 금지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낙타고기ㆍ토끼고기 등을 금기시 하여 금기 음식의 종류에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산모가 보고 듣고 먹고 느끼는 것이 태아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여 그에 따른 음식이나 행위에 금기를 가했다는 점은 동일하다. 산후속도 한국이나 우즈베키스탄 모두 출산 직후 산모를 외부의 침입이나 악의 기운으로부터 차단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한국에서는 고추나 청솔가지, 숯 등을 달아 외부와 차단하는 금줄을 달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대문 앞에 칼을 매단 금줄을 달아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를 비교하여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전통문화를 점검해 보았다. 향후 양국의 문화이해 및 교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ildbirth customs in traditional Korean and Uzbekistan culture. Even though Korea and Uzbekistan are geographically far apart, they remain a part of Asian civilization. Having been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these two distinct cultures retain some cultural similarities, such as in childbirth. Childbirth customs are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via learned lifestyles and beliefs. Childbirth customs in Korea and Uzbekistan favor patriarchal family systems, displaying a typical preference for sons over daughters. By comparing the childbirth customs between Korea and Uzbekistan, we can appreciate the na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s from which the childbirth customs of these two countries have emerged. In Korean culture, where Confucianism was highly influential, a preference for boys emerged conspicuously in the 16th century. Uzbekistan as well, because of its unique location at the crossroads of an ancient trade route, the Silk Road, coupled with an extensive history of invasion from foreign forces, developed a cultural preference for boys. Thus, both countries have formed patriarchal family structures with boy preference customs. Given this social structure, both societies have formed various traditions that emphasize a desire to bear 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