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 환자의 수액 치료

        허요,유재리 대한골절학회 2023 대한골절학회지 Vol.36 No.2

        Fluid therapy is one of the fundamental treatments for the management of trauma patients. Apart from supplementary hydration, fluid therapy is also applied for resuscitation. Especially in cases of hypovolemic shock due to bleeding, fluid therapy needs to be carefully adjusted to correct the shock. The importance of fluid therapy is increasing not only in resuscitation and treatment after hospitalization but also in pre-hospital care. Fluid therapy needs to be adjusted based depending each patient’s volume status. The various classifications of fluids include crystalloid solutions, glucose solutions, and colloid solutions. Although not included as a fluid therapy, blood transfusion is increasingly gaining more importance than fluid therapy in unstable trauma patients. Early appropriate fluid therapy is crucial in the treatment of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s such as multiple trauma and massive bleeding, whereas comprehensive fluid therapy should be appli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injuries such as fractures, vascular damage, and cerebral hemorrhage, as well as the age groups (children,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외상 환자에서 수액 치료를 통해 조직 관류와 산소 공급을 개선시킬 수 있다. 외상의 출혈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 상황에서 수액 치료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병원 전 단계의 수액 주입 또한 도움이 될 수 있다. 혈액검사, 초음파 등을 통해 환자의 체액 상태를 평가하고 진행하고 있는 수액 요법을 조절하여야 한다. 주로 사용되는 수액의 종류로는 결정질 용액, 포도당 용액 및 콜로이드 용액이 있으며, 혈역학적 상태, 손상 종류 및 환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적합한 종류의 수액을 선택하고 지속적인 조정 및 관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노동시 확장의 한 사례로서의 홈리스 글쓰기: 『거리에 핀 시 한 송이 글 한 포기』의 시에 대하여

        허요한(Heo, Yohan)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5

        본고는 홈리스의 글쓰기를 살펴봄으로써 노동과 노동자-글쓰기의 현재적 의미를 탐색하고자한다. 전태일이라는 현실로부터 출발한 노동자-글쓰기는 87년 노동자 대투쟁을 거쳐 90년대 초반까지 정치적 문화운동으로 발전했다. 노학연대는 노동운동의 정치세력화에 대한 시도임과 동시에 지적 평등을 향한 가능성을 탐구했던 하나의 사건이었다. 그러나 노동자 글쓰기는 또한 80년대 중화학공업 노동자들의 투쟁을 기반으로 확장된 노동문학의 한 전형이 되었다. 자본주의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 투쟁현장의 글쓰기, 노동자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글쓰기의 실험들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나, 그간의 노동시가 놓치고 있던 산업예비군, 불안정 노동에 대한 논의가 확충될 필요가 있다. 맑스가 이야기 했듯이, 생산력의 조건이 발전할수록 하락의 경향을 보이는 이윤율과 호황과 불황의 순환에 의해 자본은 산업예비군을 필요로 한다. 이 과잉인구의 한 부류는 상품생산 노동에 필수적인 구조적 요소였으며, 노동자 역시 언제든지 이 영역으로 풀려날(퇴출 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1997년은 바로 노동(자)의 범주에서 감추어졌던 부분들이 명확하게 드러난 해이기도 했다. 따라서 홈리스 글쓰기를 노동자-글쓰기로 읽는 것은 노동자-글쓰기의 확장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지식인-노동자-(노동할 수 없는)산업예비군의 계층적 정체성을 가로지르는 ‘노동자-글쓰기’의 평등적 성격을 드러내고자 한다. 또한 교환가치가 아닌 사용가치의 측면에서 글쓰기는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창조적 노동으로 인정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역설적으로 충분히 발전하고 있는 자본의 운동에 의해 지식인/노동자 경계가 무너지고 있는 현실의 상황으로 인해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ategory of labor concepts and the current meaning of working class writing by examining Homeless writing. Working class writing, which started with an event called "Jeon Tae-il," developed into a political and cultural movement until the early 1990s after Great Labor Struggle in 1987. "No-hak Yeondae" Activities was an attempt at the political power of the labor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an event tha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ntellectual equality. However, working class writing also became a model of expanded labor literature based on the struggles of Heavy-Chemistry Industrial workers in the 1980s. Experiments of criticism of capitalist ideology, writing at the scene of struggle, and writing based on worker identity still persist. However, discussions on industrial reserve army and precarious work that labor literature has missed so far need to be expanded. As Marx said, capital needs an industrial reserve army by the rate of profit that tends to decline as the conditions of productivity develop (TRPF, the law of the tendency of the rate of profit to fall). The relative overpopulation has been an essential structural factor in commodity production labor, and workers can also be released (evicted) to this area at any time. In that sense, 1997 was also a year when the hidden parts of the category of "labour" were clearly revealed. Therefore, reading homeless writing as working class writing means expanding working class writing.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qual nature of "working class writing" across the hierarchical identity of the intellectual-worker-industrial reserve army. And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writing can be recognized as creative labor necessary for human life in the category of value in use, not exchange value. This could be found due to the reality that the boundaries between intellectuals and workers are collapsing by sufficiently developing capitalism.

      • KCI등재

        서정주의 생명파 논의와 시간성의 의미 고찰

        허요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6 한국문학연구 Vol.0 No.52

        The discussion of ‘Saengmyungpa(生命派)’ by Seo Jeong-ju was a discourse in the process to constitute his position in literature at the time of Korean Independence. ‘Saengmyungpa’ was explained in the perspective of Greek corporality. With concern for the ancient time, modern youth's wandering, represented by Baudelaire has been flawlessly connected to the name of ‘Saengmyungpa’. However, the discussion of ‘Saengmyungpa’ seemed to fix ‘Shiinburak(詩人部落)’ as a trend in a specific time in the history of poetry. This article has a perspective that Seo Jung-ju’s Vitality is an important word to understand eternity, a critical concept in his poetics. Seo Jung-ju's Vitality seems to be affected by the Japanese ‘Taisho Life-ism(大正生命主義)’. It was possibl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Kim Dongri as well as his ability as an intellectual who could read Japanese books. However, while Kim Dongri's ‘vitality’ was a concept that the East against the Western modernity was extended to religious level, Seo Jeong-ju set a ‘poet’, aesthetical agent in its center. The space of Jilmaje created by Seo Jung-ju was not limited in the actual hometown but can be considered as an aesthetic location to reveal the poet's ‘inside’. Therefore, the signal of ‘Shiinburak’ explained as the concept of life by Seo Jeong-ju, points out the discovery of modern ‘person’, rising suddenly in the ‘Taisho democracy era’. The inside of the poet explained as ‘Pachok’, ‘Flower Shadow’, and ‘Shiinburak’, is extended with its concept through ‘Jilmajae’. However, ‘Jilmajae’ was a moment to limit extension of poem, separating ‘poetry’ and ‘life’. The separation of ‘poem’ and ‘life’ was a sense from priority of ‘life’ from Seo Jeong-ju's own experiences in Manchuria. Korea in the 1960's and the 1970’s was in the era to follow exactly problems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led by the government of the Country of Manchuria. In the ‘Jilmajae’ Narrative in the 1970's, an aesthetic space where communities co-exist in peace was a structure to hide extortion against each person. His aesthetic space losing black images was where power of pathos by despair disappeared. 서정주의 생명파 논의는 해방기에 자신의 문학사적 위치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나온 담론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생명’은 그의 시학의 중요한 개념인 ‘영원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개념이기도하다. 서정주 문학은 근대라는 공간 속에서 실존의 문제를 끊임없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바탕에는 시간의식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시인부락 당시 서정주의 ‘생명’은 시기적으로는 일본 다이쇼시기에 발생한 ‘다이쇼 생명주의’의 영향권 내에 있었다. 이후 해방기 김동리와의 관계를 통해서 ‘생명’의 시간성과 실존의식은 구체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김동리의 생명은 서구적인 모더니티에 대항한 동양을 종교적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킨 개념인 반면, 같은 시기 서정주는 그 중심에 미학적 주체인 ‘시인’를 설정했다. 서정주가 생명의 개념으로 설명한 「시인부락」이라는 기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 발흥한 근대적 ‘개인’에 대한 발견을 가리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940년대 이후 시인의 내면은 ‘질마재’를 통해 그 영원성을 드러낸다. 서정주가 만들어낸 ‘질마재’라는 공간은 실제 고향을 지칭하는데 그치지 않고, 시인의 ‘내면’을 드러낸 미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1970년대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작업에서 서정주의 시간의식은 영원성과 개인의 내면이라는 ‘시간-존재’를 드러내 보임으로써 근대적 시간의 극복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간관에는 미래가 부재한 것처럼 보인다. 영원의 시간은 ‘역사주의’의 부재보다도, 죽음이라는 절대적 타자를 적극적으로 대면하지 않은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받아들인 타자로서의 ‘타인’의 형상이 ‘질마재’의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사실은 서정주의 시간관의 문제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1960, 70년대의 한국은 만주국의 국가주도형 산업개발로 인한 문제들을 그대로 답습하는 시대였다. 1970년대의 「질마재 신화」에서 공동체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미적 공간은, 실제로는 각 개인에 대한 착취가 은폐되는 구조이기도 했다. 검은색의 이미지가 사라진 그의 미적 공간은 절망이 갖는 파토스적 힘이 사라진 공간이었다. 그리고 그 절망은 타자를 마주할 때 가능한 것이었다.

      • KCI등재

        1980년대 전위적 노동자 시인의 한 형상, 박노해

        허요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historicalize the "Park No-hae phenomenon" through the political nature of the "artistic avant-garde" conducted in the name of Park No-hae in the 1980s and its failure. To this end, I would like to look at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name could have emerged, and look a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ark No-hae phenomenon. The emergence of the name Park No-hae can be read as a trace of an anonymous incident that is not reduced to an individual Park Ki-pyeong. It is linked to the Commune shown in the Gwangju Minjung uprising, an example of the concept of equality, the elimination of hierarchical identity structures and the elimination of distinction between intellectuals and workers. But the avant-garde of the "Parknohae phenomenon" is over before radical labor movement forces can secure public popularity. The suppression of state agencies led to the arrest of a key Sanomang (Alliance of Socialistic Laborers in South Korea) official, and Park Ki-pyeong was also sentenced to death. Poems released in the name of Park No-hae by Park Ki-pyung in the process show loyalty to the socialist movement. But when its faithfulness is invoked to protect its identity, not the place of anonymous events, it is no longer possible to create a subject. Through the "politicization of art" of the name Park No-hae, "Poetry of Park No-hae" had an avant-garde personality in the Korean context of the 1980s. But the failure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party were also directly linked to the failure of the party, as the potential was based on a form of reenactment based on the reality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party to come." In the situation of decline, the agony of overcoming avant-garde's failure also appears in Gramsh. Gramshie's problem consciousness, which asks how the harmony between War of Movement and War of Position will be possible, still seems to be valid. Especially in art, avant-garde needs to be asked how it can be interpreted. From that point of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alism and avant-garde should be reasoned. The question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not as 'who writes' but 'who is that person writing?' Who was 'Park No-hae' who showed a model of labor poetry in the 1980s? And who is Park No-hae now? 이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 박노해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반(半)익명성의 실험의 정치성과 그 실패를 통해 ‘박노해 현상’을 역사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 이름이 출현할 수 있었던 사회적 맥락을 살펴보고 박노해 현상의 의의와 한계를 논하고자 한다. 박노해라는 이름의 출현은 박기평 개인으로 환원되지 않는 익명적 사건의 흔적으로 읽을 수 있다. 그것은 광주민중항쟁에서 드러난 코뮌과 연결되어있는 것으로서, 위계적 신분 구도의 철폐와 지식인/노동자 이분법의 철폐라는, 평등의 개념을 사유할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급진적 노동운동 세력이 대중성을 확보하기 전에 박노해 현상의 전위는 끝났다. 국가기관의 탄압으로 사노맹 주요 간부가 구속되고 박기평도 사형언도까지 받는 과정에서, 박기평이 박노해의 이름으로 발표한 시들은 사회주의 운동에 대한 충실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 충실성이 익명적 사건의 장소가 아닌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발현될 때, 더 이상 주체를 만들 수 없게 되었다. 박노해라는 이름이 갖는 ‘예술의 정치화’를 통해 1980년대의 남한 상황에서 ‘박노해 시’는 전위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 전위성은 사회주의국가와 ‘도래할 당’이라는 현실을 기반으로 한 재현의 형식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사회주의 국가의 붕괴와 당의 해체는 전위의 실패와도 직결되었다. 퇴조의 정세에서 전위의 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고민은 그람시에게서도 나타난다. 기동전과 진지전의 조화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를 질문하는 그람시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1980년대 노동시의 한 전형을 보여준 ‘박노해’의 시를 통해 노동자 계급의 재현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는 지점을 탐색함으로써 정치와 예술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것은 유기적 지식인도, 직업적 혁명가의 형상도 아닌, 사랑의 투사로서 나타난 박노해의 시를 탐색하는 것이다.

      • KCI등재

        『노동해방문학』의 성격과 ‘노동해방문학실’의 문예조직운동 (1) 보고문학

        허요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5

        This study focused on the magazine 『Nodonghaebangmunhak』 published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The magazine was created by ‘Sanomang’, a South Korean revolutionary movement-oriented organization, and its collaborators.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magazines. Reportage(documentary literature) was one of the important creative practices of the ‘Nodonghaebangmunhaksil’, a collective literary creation movement organization based on the ideology of labor liberation. Reportage, in ‘Nodonghaebangmunhaksil’ is a tactic of the socialist movement, and it is a literary practice that aims to lead literature (writers) to join the struggle, inform the content of the struggle, and even shape the direction of the struggle’s development and instigate it. In this article, I tried to summarize the concept and category of Lefortage in 『Nodonghaebangmunhak』. Based on this result, subsequent work analysis can be expected. 이 글은 1980년대 말 1990년대 초 발간된 잡지 『노동해방문학』을 다루었다. 『노동해방문학』은 한국의 혁명운동단체를 표방한 사노맹과 잡지 운동에 동참한 조력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본고에서는 잡지의 선전・선동적 성격을 분석하고, 보고문학 개념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추적했다. 보고문학은 노동해방의 이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집단적 문예창작운동 조직 ‘노동해방문학실’의 중요한 창작 실천 중의 하나였다. 보고문학은 사회주의 운동의 하나의 전술로서 문학(인)이 투쟁전선에 동참하여 투쟁의 내용을 선전하고, 투쟁과정에서 얻은 사상의 구체성과 과학성을 기반으로 투쟁의 발전방향까지 형상화하여 현장 지도에까지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문예실천이다. 이 글에서는 『노동해방문학』에서 나타난 보고문학의 개념과 범주를 정리하고자 했다. ‘노동해방문학실’이 실험하고자 했던 보고문학은, 작업 결과물로 한정한다면 1990년 2월 이후의 한정적 르포르타주와 기획단계의 메모들을 통해 그 성격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범위를 넓혀서 『노동해방문학』의 전체 기획, 즉 투쟁의 현장을 선전하고 선동할 수 있는 글쓰기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잡지의 창간호에서 종간까지 다수의 보고문학이 제작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작품분석을 통해 보고문학의 구체적 실천양상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정리하고, 이를 이론화하는 작업을 기대할 수 있다.

      • SAE J1939 프로토콜을 이용한 Flash-Programming 구현

        남철(Chul Nam),허요한(Yo-Han Heo),양승호(Seung-Ho Yang),이석우(Seag-Woo Lee),김인창(In-Chang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In a passenger car using the ISO-15765(Diagnostic on CAN) and ISO-144229(UDS) protocol for ECU Diagnostic and flash-programming but local commercial car still using ISO-14230(K-LINE) with different Standard but the ISO-14230 is not suitable for commercial vehicle. The SAE J1939 is a standard protocol for Commercial Vehicle. It is similar to CAN((Controller area network) protocol. J1939 have a same physical layer with high speed CAN and it using 29bit extended address area. Now it usually use in Trucks and Trailers and Construction Equipments and Bus. In this paper I will introduce the SAE J1939 protocol and implementation of the diagnostic communication and flash programming with TGS(Transmission Gear Shift-lever)module.

      • 무선 인터넷 기반의 작명 서비스 설계 및 구현

        김정환(Kim Jung-Hwan),허요한(Heo Yo-Han),최정아(Choi Jung-Ah),김도현(Kim Do-Hyeun),변상용(Byun Sang-Yong),안기중(Ahn Khi-Jung)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 No.2

        최근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많이 만들어지면서 PDA를 이용한 무선인터넷의 활용도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PDA를 이용한 무선인터넷의 인프라가 많이 구축되면서 사용자들은 점점 더 많은 서비스와 다양한 콘텐츠를 요구하게 되었고, 실제로 다양한 서비스가 PDA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휴대가 간편하고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기반의 PDA를 이용하여 작명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작명에 필요한 법칙을 알고리즘화하고 서비스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Recently, with the rise of wireless Internet, it is becoming popular to use PDA. Also, the more wireless Internet Infra increases, the more services and a variety of contents are needed. Actually, a number of services is being used for PDA. Accordingly,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naming service based on wireless Internet which is portable and easy for information. We develope the algorithm, design and implement the service for naming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