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송징 전설의 형성 과정과 계열 분화에 관한 연구 -장도 당제 계열과 고려 삼별초 장군 계열에 나타난 송장군 전설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권도경 ( Do Kyung Kwo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0 No.-

        본 연구는 송장군 전설과의 다층적인 관계에 대한 면밀한 고려를 바탕으로 송징 전설의 형성 및 분화, 전승 과정의 다기한 맥락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호국신사?사현 계열에 관한 기존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본고에서는 강한 구비 전승력과 풍부한 서사성을 보여주는 장좌리 장도 당제 계열과 고려 삼별초 장군 계열을 중심으로 송징 전설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계열분화의 역사적 배경, 서사 구조적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송징 전설의 장좌리 장도 계열은 송징이 그 부하 엄장군이 배신하여 침입해 들어오자 까투리로 변신하여 까투리섬으로 도망갔는데, 엄장군이 쏜 화살에 맞아서 죽었다는 이야기, 장도를 중심으로 한 토착 해양세력이 인근의 내륙 혹은 도서 지역에 존재한 다른 해양세력과 대결을 벌이다 한 쪽이 패망한다는 서사구조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호국신사?사현 계열의 그것과 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장도 계열의 송징의 신화적 능력이 호국신사?사현 계열의 선사자(善射者) 상징이 아니라 변신술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두 계열의 송징 전설이 각기 다른 특수한 역사적?서사적 맥락 하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신 장도 계열에서 선사자는 엄목으로, 그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이야기의 서사구조는 송징의 그것과 유사하다. 엄목 전설은 가용리의 엄나무 수목신앙이 완도 일대 장수 전설과 결합되면서 의인화 된 것으로, 송징 전설의 장도 계열은 바로 이 엄목 전설을 수용하여 재맥락화 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엄목 전설의 수용은 송장군 전설이 장도 당제 전설로 구체화 하면서 송징 전설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송징 전설의 고려 삼별초 장군 계열은 완도 일대의 송장군 전설이 완도에 입도한 고려조 삼별초 송장군 전설과 결합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정도리와 달도리를 제외한 완도군 대부분의 송징 당제가 모두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와 달리 장좌리는 송장군 당제가 고려장사 송징 당제로 일차 변이한 후에 고려조 삼별초 송장군의 완도 입도라는 사건과 함께 고려장사 송징 당제가 다시 삼별초 송징 장군 당제로 이차 변이하는 복합적인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임억령이 15세기에 창작한 ?송대장군가?와 ?송장군?은 고려 말 삼별초 송징 장군, 고려 장사 송징, 호국신사의 주신 송징, 사현 유래담의 주인공인 완도 토착민 송징, 장좌리 장도?중도리?화개리?대구미?부흥리?대신리?대야리?고마리?사후리?군내리 당제의 주신인 송징 등을 포함하여 완도군의 해양세력인 송장군, 고려말 삼별초 송장군, 정도리 당제의 주신인 송대장군, 달도리 당제의 주신인 송대할머니, 송대장골?송대목?송대여 등의 지명 유래담의 주인공인 송대장군 전설을 모두 취합한 종합 판으로, 송장군이란 명칭이 항상 고려 말 삼별초 송징 장군으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고려말 삼별초 송징 장군 전설 속에서 그 주인공은 항상 송장군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적어도 고려만 삼별초 송징 장군 전설 내에서 만큼은 송장군과 송징 장군이 유연하게 오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course that the Songjing legend is formed and differentiated into the lower fac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show the various intricacies of the fomational or differentiational, traditional course in Songjing legend, on the basis of consideration for the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Songjanggun(宋將軍) legend. This study classified Songjing lengen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Hoguksinsa(護國神祠) and 사현(射峴) legend fraction. The second type is the Jangdo(將島) sacrifice fraction in Jangjwari(將坐里). The third type is the Goryeo(高麗) Sambyolcho(三別抄) general fraction. Among these, beforehand make clear that the analysis about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oguksinsa(護國神祠) and 사현(射峴) legend fraction on the basis of the preexistent study of the author. The Jangdo(將島) sacrifice fraction in Jangjwari(將坐里) of the Songjing lege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Hoguksinsa(護國神祠) and 사현(射峴) legend fraction showing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one is defeated against the other, after the native ocean forces in Jangdo stands face to face with the other ocean forces in the neiborhood. But we can know that these two fractions of Songjing lengend is formed in the different intricacies historicaly or narratively. I guess that the Goryeo(高麗) Sambyolcho(三別抄) general fraction of the Songjing legend is formed, as Songjanggun legend in the neighborhood of Wando(莞島) combines with the legend about Sambyolcho(三別抄) general who walks in Wando in Goryeo dynasty. This study brings to a conclusion that in Jangjwari, the course of transition of Songjing legend is exsist complexly. I guess that after firstly Songjanggun legend in Jangjwari changes into the Goryeo muscular man, Songjing legend, secondly the Goryeo muscular man, Songjing legend chages again into Sambyolcho(三別抄) Songjing general legend as Sambyolcho(三別抄) general who walks in Wando in Goryeo dynasty.

      • KCI등재

        17세기에 의례화된 송대장군

        최종성(Choi, Jong Seo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4

        송징, 송장군, 송대장군 등의 담론과 실천은 전남 완도에 집중되고 있으며, 자료상 탈-완도의 가능성도 높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인조 7년(1629) 소위 이충경 옥사를 기록하고 있는 의금부의 재판기록인 ??역적이충경문서(逆賊李忠慶文書)??(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자료)를 통해,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등 한반도 중북부에서 의례화되었던 송대장군을 만나게 된다. 이충경을 비롯한 해서 및 관서 지역 출신의 하층민들은 상경거사(上京擧事)를 실행에 옮기기 전에 최영 및 남이와 더불어 송대를 모시는 장군제를 비밀리에 거행하였다. 『역적이충경문서』에 자주 등장하는 최영, 남이, 송대 등 3장군의 의례야말로 그간 송징 자료의 공백기로 남아 있는 17세기의 틈을 메워줄 뿐만 아니라 완도 중심의 편중성을 덜어주는 좋은 소재가 아닐 수 없다. 15세기 『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서 송징은 호국신사의 신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16세기 『석천집』에서는 지역의 민중영웅으로서 송대장군이 유자들의 비웃음 속에서 소박한 무당굿을 흠향하는 신령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고 17세기 『역적이충경문서』에서는 상경거사를 획책하는 사회적 약자들 속에서 반왕조를 원조하는 장군신으로서 송대장군이 의례화되었다. 3세기에 걸친 편린들 속에서 괴력과 비극을 겸비한 송대장군의 종교적 힘과 그 발산을 확인할 수 있다. 민중들의 종교적 상상력과 감수성은 적장(敵將)도 역장(逆將)도 그리고 또 다른 적장(賊將)마저도 호국신사(護國神祠)의 주인으로, 때론 위민(爲民)의 영웅신으로, 급기야는 반왕조의 희망을 지지하는 신령으로도 전략화할 수 있을 만큼 풍부하였음을 실감하게 된다. It is reported that the folktales and rituals related to Song Jing(宋徵), Song Janggun(宋將軍, General Song), and Song Daejanggun(宋大將軍, Great General Song or General Song Dae) are only in the neighborhood of Wando Island. This paper deals with the 17<SUP>th</SUP> century ritual to general Song Dae in central and northern inland of Korean Peninsula from the State Tribunal Report on Rebel Yi Chung-gyeong’s Cabal (逆賊李忠慶文書). Yi Chung-gyeong and his followers sacrificed a horse to God, hanging three portraits of generals Choe Yeong, Nam Yi, and Song Dae(Song Jing) in Anbyeon, Hamgeong Province. The naratives of Song Dae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first two. It is believed that they accomplished the heroic merits while alive, but got a wrongful death from their political opponents. This contradiction between good deed and false charge is used efficiently to maximize their own religious power. Yi Chung-gyeong’s cabal recognized three generals as the powerful deities, and also ritualized general deities for their rebellious dreams.

      • KCI등재

        완도 법화사지의 성격에 대한 신고찰-고려 후기의 항몽(抗蒙)과 백련결사(白蓮結社), 그리고 송징(宋徵)과 관련하여-

        강봉룡 ( Kang Bongyong )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5 No.-

        본 논문은 완도의 장보고 중심 역사인식에 대한 반성의 차원에서 고려 후기 완도 법화사지의 역사적 현황을 고고 자료, 문헌 자료, 설화 자료의 검토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법화사지에서 출토된 명문 기와는 완도 법화사가 12세기 초에 재건되었고, 1243년에 완도를 ‘거점 섬’으로 지정하고 법화사에 전략시설을 조성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1243년 당시 고려의 최이정권은 진도의 용장성에 도성에 버금가는 전략시설을 구축하고, 이를 중심으로 완도와 압해도 등의 주요 섬을 연결하는 서남해지역 ‘거점 섬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문헌 자료에 의하면 1247년에 백련결사의 2대 사주였던 천인과 그의 도반인천책 등이 몽골의 침략을 피해 ‘거점 섬’ 완도의 전략시설이 조성된 법화사로 들어왔다. 그리고 그 즈음에 고려의 官人 이영이 유배형을 당하여 완도로 왔고, 이영의 작은아버지 승려 혜일도 완도에 들어왔다. 이는 ‘거점 섬’으로 지정되고 법화사에 전략시설이 조성된 직후의 일로서, 당시 완도 법화사가 항몽의 공동체이자 법화신앙의 공동체로 기능했음을 보여준다. 완도의 설화적 인물 송징은 완도에서 명멸해간 민중영웅들을 다면적으로 대변하는 복합적 캐릭터이다. 따라서 역사화 과정에서 송징이 때로는 장보고로 치환되기도 하고, 때로는 삼별초의 장수로 치환되기도 하는 것은 나름 정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근래에 법화사지 발굴에서 12~13세기 유물이 집중적으로 출토됨에 따라 송징을 삼별초의 장수로 치환하려는 시도가 일어나고 있는 것도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ical status of Wando Beophwasa Temple Site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rough a review of archaeological data, literature data, and narrative data in order to reflect on Wando’s perception of Jang Bogo-centered history. The letter inscribed tile excavated from Beophwasa Temple Site shows the possibility that Wando Beophwasa Temple was rebuilt in the early 12th century, and Wando was designated as a “hub island” in 1243 and strategic facilities were built in Beophwasa Temple. In 1243, the Choi Yi regime of Goryeo established a strategic facility comparable to that of the capital city in Yongjang-castle, Jindo, and built a “hub island network” in the southwest sea region that connects major islands such as Wando and Abhaedo. According to the literature data, in 1247, Cheonin, the second boss of the Baeknyeongyeolsa, and his religious friend, Cheonchaek, entered Beophwasa Temple, where strategic facilities of Wando, a “hub island,” were built to avoid Mongolian invasion. And around that time, Lee Young, a Goryeo official, was exiled and came to Wando, and Lee Young’s uncle, Monk Hyeil, also entered Wando. It was immediately after it was designated as a “hub island” and a strategic facility was established in Beophwasa Temple. At that time, it shows that Wando Beophwasa Temple functioned as a community of anti-Mogolia and a community of Beophwa faith. Song Jing, a folktale character in Wando, is a complex character that represents the folk heroes who have been wiped out in Wando in multiple way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historicaliza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reasonable that Songjing is sometimes replaced by Jang Bogo, or sometimes replaced by Sambyulcho’s commander. In that context, it can be understood that as relics from the 12th to 13th centuries have been intensively excavated from the excavation of the Beophwasa Temple Site, several attempts to replace Songjing with a commander of Sambyeolcho are taking place.

      • 장도 청해진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의도 한국성곽학회 2022 한국성곽학보 Vol.27 No.-

        장도유적은 통일신라 장보고의 해상유적으로 알려져 있고 장기간에 걸친 발굴조사를 거 쳐 당시에 축조된 토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조사 결과를 검토한 결과 828년 청해진 설치 에 따라 축조되었다고 보고된 장도토성(청해진성)의 기단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대부분 10~12세기경으로 편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도토성의 축조 시기는 당연히 출토유물이 폐기되고 난 다음 시기인 12세기 이후로 판단되고 9세기 전반에 폐지되는 청해진유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즉 장도토성은 토성 기단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축조시기가 12세기 이전으로 소급 될 수 없고 2~3차에 걸친 수측흔과 상감청자도 출토되고 있는 고고학적 상황도 장보고 관 련 유적이 될 수 없다. 또한 장도토성은 내외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4기의 방형 치(雉)가 부 가되어 있는 점, 섬 앞으로 원목렬을 설치하고 우물을 보호하는 시설을 설치한 것은 항몽시 기 항파두성의 구조와도 상당히 부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항몽 시기에 송징장군이 완도를 거점으로 활동하였으며 해방 이전까지는 마을마다 송징장군의 제사를 지냈는데 장군을 주벽에 모신 사당이 장도에 남아 있었던 것, 장도 인근 에 위치한 법화사에 사역을 두르는 담장이 축조된 배경과 장도토성의 축조시기와 구조 등을 감안하면 고려의 항몽유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장도토성 내부에는 장도토성 축조 이전에 이미 건물지와 수혈, 매납유구 등이 조성 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도기를 주종으로 하는 다양한 제사유물이 출토되었고 그 시기 는 9세기 후반 이후가 중심시기가 된다. 이것은 장도가 삼국사기 제사조에 기록된 중사 처 중의 하나로 기록된 조음도일 가능성이 높고 고려 전기까지 계속하여 제사가 이루어진 것으 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도는 통일신라시대의 중사처였다가 고려의 대몽항쟁기에는 섬 을 둘러 토성이 축조된 것으로 장도에는 성격을 달리하는 두 시기의 유적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ruins of Jangdo are known as the maritime ruins of the Unified Silla Jangbogo and after a long period of excavation, the earthen ramparts, which were constructed at the time, was reported. However, after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most of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contraction process or base of the Cheonghaejinseong, which were reported to have been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eonghaejin installation in 828, are mostly dated to around the 10th and 12th centuries. Therefore, the period of construction of Jangdo Eathern Ramparts, also known as Cheonghaejinseong, is of course judged to be from the 12th century, the period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excavated artifacts. In other words, since Jang Do-Eathern Ramparts are an excavated relic from eathern rampart's base, the construction period cannot be retroactively traced back to before the 12th century, nor can it be a relics related to the Jangbogo that the water scars and inlaid celadons over the 2nd and 3rd periods are also excavated. In addition, unlike Cheonghaejinseong that had little reason to defend against the invasion of external enemies, Jangdo eathern ramparts are composed of internal and external castles, and 4 square dimensions were added, and the installation of a wooden line in front of the island and a facility to protect the wells are thought to be quite consistent with the structure of the castle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the Hangpaduseong Fortress[缸波頭城] during the anti-Yuan relic. And given the period of the construction of Jangdo Earthern Ramparts and the post-12th century, it is difficult to say for sure whether Jangdo Earthern Ramparts are related to General Song Jing, which is still in the records. However, the fact that General Song Jing was based in Wando during the Anti-Yuan period, and that before the liberation, each village held a sacrifice of General Song Jing, and that the shrine housed the general on the main wall still in Jiangdao, etc., is thought to be quite possible that Jangdo Eathern Ramparts will be seen as an anti-Yuan relic. On the other hand, it appears that the interior of Jangdo Eathern Ramparts had already been construct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Jangdo Eathern Ramparts, where building land, blood transfusions, and burial mounds were already constructed, and various ceramics as the main species of pottery were excavated, and the period is the central period after the late 9th century. It is judged that this is likely to be an articulation diagram in which Jiangdo is included as one of the middle national rites of Unified Shilla.

      • KCI등재

        명말청초 운간(雲間) 지역 송씨(宋氏) 일가 사(詞) 고찰 ― 송징벽(宋徵璧)·송징여(宋徵輿)의 비애 의식 표현을 중심으로

        김하늬 한국중문학회 2021 中國文學硏究 Vol.- No.84

        본 연구는 청대 詞 발전의 흐름을 통해 청대 江南 지식인의 의식 세계 변화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청대 사 부흥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명청 교체기 雲間詞派, 그 중에서도 松江 지역 宋氏 일가 주요 사인의 사를 왕조 말 지식인의 비애의 암시와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은 동일한 주제의 사 작품을 창작하여 서로 작품을 주고받았는데, 경계적 시간과 힘없이 부유하는 사물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애정을 노래하면서 그것을 통해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아가는 사대부의 자기 연민의 감정을 암시적으로 드러내었다. 이들의 사는 주로 ‘규방의 정’을 다루어 주제가 협소하다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이후 청대 강남의 詞壇이 시대적 비애를 사로써 격렬하게 토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며 이전의 협소한 주제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은 이미 이전에 송씨 등의 운간 사인들이 왕조 교체기 지식인으로서의 비애를 사로 표현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열어주었기 때문이다. This research is set out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conscious world of intellectuals in the Jiangnan area during the Qing Dynasty by analyzing the developmental flow of Ci poetry. It focuses on Yunjian cipai which is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the revival of Ci poetry during the Qing. Among Ci poetry of Yunjian cipai, I examine the Song family’s works in terms of implying and expressing woes of the intellectuals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They created Ci works on the same topics and exchanged them with one another in the way of “play.” In their Ci works, they depicted women’s love with the seasonal images of spring and autumn and the images of feeble floating objects to reveal the nobility’s “self-pity” in suggestive ways during the confusing times. In fact, the Song family including Song Zhengbi and Song Zhengyu had huge impacts through their singing in chorus on the development of Yunjian Cipai, but they have not received generous evaluations for their works. It is because they led a stable life without resisting the Qing Dynasty and holding public office, did not express their sorrowful indignation for the change of dynasties passionately in their Ci works, and showed their limitations with narrow topics by mainly dealing with women’s life. Later, the Citan of Jiangnan moved in a direction of expressing the sorrow of the times intensely in their Ci works during Qing, thus being able to grow out of the old narrow topics. It is all thanks to Yunjian Ciren including the Song family that opened possibilities for it by expressing their sorrow around "self-pity" in their Ci works.

      • KCI등재

        雲間三子와 《幽蘭草》에 수록된 詞 연구

        黃永姬(Yeong-Hi Hwang)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詞는 明대의 ‘中衰’ 시기를 힘겹게 거쳐 명말이 되어 비로소 부활의 기미를 보인다. 사의 부활은 명말 당시 유행하였던 結社活動과 크게 관련이 있다. 명말 雲間지역 문인들은 詩와 詞를 서로 주고받으며 창화하고, 이론의 형성과 습작에 주력하는 풍조를 이루며 雲??派를 결성한 바 있는데, 《幽蘭草》는 바로 그들의 창작 결과물이다. 《幽蘭草》는 崇禎6년에서 숭정10년 사이에 雲間三子인 陳子龍, 李雯, 宋徵輿세 사람이 서로 창화한 詞를 모은 사집이다. 宋徵輿가 이들의 창화사를 수집하여 그것을《草堂詩餘》의 체재에 맞추어 편집하였는데, 3권으로 이뤄진 이 사집엔 모두 145首의 사가 실려 있는데, 卷上은 李雯의 사 42수, 卷中은 陳子龍사 55수, 卷下에는 宋徵輿의 사 48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렇게 편집된 《幽蘭草》는 明末淸初의 詞壇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사 부흥을 일으키는 중요한 작품집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幽蘭草》를 만들어낸 雲間詞派와 《幽蘭草》의 형식적 구성의 특징과 《幽蘭草》에 수록된 詞를 심미적으로 분석했다. After the hard period of ‘the Middle Decline(中衰)’, Ci poetry (詞) begins to show a sign that it will revive for the first time at the end of Ming Dynasty. The revival of Ci Poetry is directly related to the association organizing activity(結社活動) which boomed at the Late Ming Dynasty. Making a trend of devoting themselves to the practice and theory of a creative writing, the Yunjian(雲間) writers at the end of Ming Dynasty sung poems commutatively to organize the ‘Ci poetic group of Yunjian(雲??派)’. 《Youlancao(幽蘭草)》is the result of their creative activities. 《Youlancao》is a Ci poetry anthology which is composed of the Ci poetry sung by the three literary persons of Yunjian, Chen Zilong(陳子龍)、Li Wen(李雯)、and Song Zhengyu(宋徵輿). Gathering these Ci poems, Song Zhengyu compiled them into a Ci anthology of three books up to the structure of 《Caotang Shiyu(草堂詩餘)》. This anthology contains one hundred and forty five Ci poems at all, among which Li Wen’s forty two poems are at the first book, Chen Zilong’s fifty five poems at the second book, and Song Zhengyu’s forty eight poems at the last book. This anthology of 《Youlancao》is estimated to have exercised a great influence on the Ci poetry world, and to have taken an important role to revive Ci poetry at the Late Ming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 This research is investigating the feature of ‘Yunjian Ci poetry group(雲??派)’, the formal struture of 《Youlancao》and Ci poetry itself aesthetically.

      • KCI등재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3) - 李敏敍, 徐宗泰, 宋徵殷을 중심으로 -

        김희영(金熙永),김민재(金珉在),김용재(金容載)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6

        본 연구의 목적은 17-18세기 초반에 활동했던 서하 이민서, 만정당 서종태, 약헌 송징은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세 사람은 유사한 시기를 살았고, 서인계이면서, 관료로서도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많다. 또한 그들의 문집에서 모두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언급이 발견된다는 점 역시 유사하다. 먼저 이민서는 ‘치양지’와 ‘만물일체’로 양명학을 이해하였고, ‘자사(自私)’와 ‘호리(好異)’라는 부정적인 프레임으로 양명학을 바라보았으며, 양명학은 공부를 부정하는 까닭에 성인의 학문을 완성할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이어서 서종태는 양명학의 근간을 부정하는 방식을 취하기보다는, 오롯이 주자학의 입장에서 양명학을 비판하는 형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송징은은 왕수인의 ‘격물치지’와 ‘지행합일’에 대해 전적으로 주자학적 입장에서 비판하였으며, 이런 주장의 기저에는 ‘양지’와 ‘이치[理]’ 개념을 이해하는 두 사람의 좁힐 수 없는 견해 차이가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로 17-18세기 초반의 조선 학계에서 이루어진 양명학 비판의 경향을 완전히 규명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한 이 시기에는 주왕(朱王) 간의 경전 이해 방식의 차이나 치양지·지행합일·만물일체 등과 같은 양명학의 주요한 개념들이 어느 정도 학계에 공유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명학을 수용하거나 하나의 사상으로서 인정하지는 않았지만, 이민서와 같이 왕수인의 학문적 지향과 재주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바라본 인물도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ritical perception of Yang-Ming studies of Lee, Min-Seo(李敏敍), Seo, Jong-Tae(徐宗泰) and Song, Jing-Eun(宋徵殷) which was active in the 17th century and early 18th century. The three scholars are common in that they lived in similar periods, all belonging to seoin(西人), and had considerable success as career bureaucrats. It is also common that critical references to Yang-Ming studies are found in their anthology. By studying the three scholar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at least in this period, we can see that the differences in the way of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 scriptures between Zhu Xi(朱熹) and Wang Shouren(王守仁), and the main concepts of Yang-Ming studies were somewhat shared in the academic circles. We can also confirm that there were some people who did not accept Yang-Ming studies but looked on positively for Wang Shouren’s academic purposes and talents, such as Lee, Min-Seo.

      • KCI등재

        유여시(柳如是)의 삶과 그의 시세계

        황영희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6 No.-

        中國傳統社會一向是以男尊女卑思想爲主,在這樣的社會中女流作家的出現是極其罕見的現象。不過歷來也有一些極有文采的女流作家出現, 像漢代蔡文姬, 東晋謝道?, 唐代薛濤, 宋代李淸照, 朱淑眞, 淸代顧大淸等。?們旣不遜於同時代文學界的男性作家且能在獨占文字文化的男性文人圈中獨樹一幟。柳如是是明淸易代之際的著名歌妓才女,?嫁給了曾出仕淸廷的明朝遺臣錢謙益。錢謙益于明朝被目爲叛逆, 于淸朝被列爲貳臣, 加上被淸乾隆帝指斥爲“反復小人”, 進而淸廷下令將錢氏文集劈版毁禁, 連而柳如是的詩文也遭受連累, 被深封嚴錮, 難見天日。由於這些緣故?所留下的作品?少被世人硏究, 就連頗有文采的詩稿也得不到好的評價。 有關柳如是正確的記載是從陳寅恪(1890~1969)≪柳如是別傳≫一書出版後方爲大衆所知。陳寅恪晩年在盲目?足之艱難情況下, 經過十年(1954年~1964年)的硏究, 終於完成了一部多達80餘萬字的巨作。這本巨作揭示了柳如是不被人知的生平事迹, 幷解除了衆人對?的誤解。陳寅恪爲完成此書, 尋訪了許多明末淸初的有名人士, 幷搜集了不少有關資料, 如: 詩文集、正史、雜史、野史等。他所精硏的文史資料多達一百多種。讀過≪柳如是別傳≫的人, 無不驚歎?的精密, 從而對他的硏究精神倍加敬佩。目前有關柳如是的生平及其作品年代等方面的考證, 皆以陳寅恪的≪柳如是別傳≫作爲依據。 本文就以旣有之硏究資料作爲基礎加以詳解柳如是之生平及其詩文集。且以“觸景傷感”, “托物寓意”, “惜別抒情”三個主題意識來探討?的詩。 明亡時柳如是勸錢謙益以死全節, 錢謙益却答應淸廷入宮, 一心圖謀前程。柳如是悲極自盡未成。後與錢謙益二人積極參加反淸復明的活動。從這些行踪中我們可知?强烈的愛國精神。這種慷慨悲憤之氣在?的詩中也充分有所表現。陳子龍曾評其作品爲“大都備沈雄之致”就是指這些愛國詩而言。本文起初意將`感時憂國`也列爲一節, 與`觸景傷感`、`托物寓意`、`惜別抒情`幷列爲4節來進行探討, 除此之外幷將詩中典故利用之藝術技巧, 亦加以分析。只因書面有限, 故不得不將有關`感時憂國`之題及詩中所表現的藝術之技巧等課題留作後日硏究。

      • KCI등재

        송징 전설의 범주 규정 및 계열 분류와 당제 유래전설의 서사원형 고찰

        권도경(Kwon do-ky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7 No.-

          본 연구에서는 서남해안 도서 지역의 대표적인 인물 전설인 송징 전설을 대상으로 유형 범주 규정 및 계열 분류, 서사의 원형적인 내러티브 분석과 재구성을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와 차별화되는 본 연구의 주안점은 송징 전설이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남해안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지역 전설인 송장군 전설과의 : 관련양상 속에서 존재하며, 이 송징 전설은 특정한 지리적역사적ㆍ신앙적ㆍ특수성과 관련하여 구체화된 한 하위 유형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즉 송징 전설은 송장군 전설과의 상호 작용속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이며, 송징 전설 속에는 이러한 송장군 전설과의 관계도 속에서 다기한 세부 계열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 하에서 송징 전설의 범주를 규정하고 그 하위 범주를 세분화 하는 동시에, 송징 전설 내부에 존재하는 하위 계열의 존재양상과 특징을 드러내는 계열도를 구체화 할 수 있었다.<BR>  우선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및 관련 자료 속에서 송징 전설로 거론되어 온 텍스트를 수집ㆍ정리한 후에 각각의 범주를 규정하였다. 이러한 범주 규정 과정에는 송징 전설과 송씨 성을 가진 인물 전설 사이의 관계 및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였다. 다음으로 송징 전설의 범주화와 작업을 바탕으로 하여 송징 전설 내부에 존재하는 하위 계열을 분류하였다. 이 계열 분류는 송정 전설의 형성 및 전승 과정상에 나타나는 유형적 보편성과 역사적ㆍ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한 바탕 위에서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사적인 층차를 보여주는 송징 전설 속에 나타나는 원형적인 서사구조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송징 전설의 형성 및 전승 과정 속에서 반복되는 내러티브의 원형을 추출하고 재구성해보았다.   This study provided the category and classified the patterns, analyzed and reconstructed archetype-narrative structure in Song-jing legend, representative individual-legend among island regions in west-south seasides. The point of this study being discriminated against the preexistent studies is what not solitary exeist is Song-jing legend isn"t solitary exeist, but is exeist in relation to Song-jang-gun lendgend, regional legend that is transmitted widespreadly in west-south seasides and this Song-jing legend is exist as type in a lower rank that is concretizd in relation to distinctive facts geographicaly, historicaly, religiously. That is what Song-jing legend was built up in interactions with Song-jang-gun legend and it is constituted with the particular parts that is making relation as various aspects.<BR>  Being based on these sense of sights,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category of Song-jing lendgend and classify the lower patterns, besides could concretize the network-map appearing existent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part in Song-jing legend.<BR>  Firstly, this study classified each patterns after gathered and arranged all texts that have mentioned as Song-jing legend in the preexistent studies and the related datum. In these course of providind category, this study considered positively the rel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Song-jing legend and legend of chracters having the surname calling "Song".<BR>  Secondly, this study classified the lower patterns in Song-jing legend based on the work categorizing Song-jing legend. This study proceeded the work of classification of the lower patterns on the basis that considered the resionalㆍhistorical distinctiveness and typical universality appearing in the course of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Song-jing legend.<BR>  Finally, this syudy examined the chracteristics of the archetype-structure appearing as different aspects in Song-jing legend. This study drew out and reconstructed the archetype of narrative-structure being repeated in the course of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Song-jing legend.

      • KCI등재

        장보고 구비 전승의 변동 단계와 그 현대적 맥락

        권도경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7 新羅文化 Vol.29 No.-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fluctuational phase and the present context in Jangbogolegend. The traditional aspects of Jangbogo legend shows the four fluctuational phase.The first fluctuational phase is the breakdown of the region and the extinction of the group in tradition. Jangbogo legend shows the aspects that the tradition was became extinct, as the group undertaking the tradition was removed intentionally after Jangbogo was assasinated.The second fluctuational phase is the separation from the historical coherence and the change as the legend that ranges abroad(廣布傳說). I think Jangbogo legend that separated from the political coherence being related to the historical character, Jangbogo, changed as two patern of the legend that ranges abroad(廣布傳說). The one is the change as the baby general legend. The other is the combination with the legend about the muscular man, Songjing(宋懲) in Goryeo(高麗).The third fluctuational phase is the amalgamation with the Songjing legend(宋懲 傳說) and the unconscious concealment of the recognitional coherence. I think that the consciousnes of the group undertaking the tradition that wanted to tell the prohibited story about Jangbogo, got to go under the inside story of the Songjing legend(宋懲 傳說). The fourth fluctuational phase is the separation from the Songjing legend (宋懲 傳說) and the recovery of the historical coherence. That moment is two. The one is the internal momentum and the other is the external momentum. The internal momentum is the conscious or unconscious tradition of the memory about Jangbogo. The external momentum is the effect of the studying result and the economicalpolitical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