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 동아시아 연안항로와 영산강 · 낙동강유역의 동향 : 4세기 이전을 중심으로

        강봉룡(Kang Bongyo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島嶼文化 Vol.0 No.36

        고조선 멸망 후 낙랑구는 B.C.2세기 말부터 약 400년 동안 연안항로를 통해서 동아시아 해상교역을 주도하였다. 3세기 초에는 대방군이 추가 설치되면서 동아시아 해상교역은 낙랑군과 대방군이 분점하는 체제로 유지되었다. 영상강유역과 낙동강유역세력은 낙랑 · 대방군이 주도하는 해상교역의 충실한 파트너로서 번영을 구가했다. 영산강유역의 여러 나라들을 ‘신미제국’(신미의 여러 나라)이라 통칭하고, 낙동강유역의 여러 나라들을 ‘가야제국’(가야의 여러 나라)이라 통칭했던 것은, 당시 해상교역 체계에서 ‘신미’와 ‘구야(→가야)’의 위상이 상당했음을 의미한다. 4세기 초에 낙랑 · 대방군이 축출되자 동아시아 해상교역은 크게 위축을 면치 못했다. 낙랑 · 대방군 주도의 해상교역을 통해서 번영을 누리던 영산강유역 군곡리 세력은 특히 타격이 컸던 것으로 보이며, 낙동강유역은 좀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서 · 남해 연안항로가 위축되자 이에 위기를 느낀 구야국은, 동해안로를 통해 북방계문물을 유입하여 강성해진 신라와 제휴하여 문을 확보에 나섰다. 그리고 그 서쪽에 있던 8개의 포구도시국가가 이에 반발하여 구야국을 공격하는 사건이 일어났던 것이다. 이른바 ‘포상팔국의 난’이 그것이다. 신라와 구야국은 반발하는 포상팔국을 제압하고 새로운 교역체계의 파트너로 자리잡았다. 그렇지만 곧이어 4세기 후반에 백제가 서 · 남해 연안항로를 주도하는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면서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4세기 후반에 백제는 낙랑 · 대방군을 대신하여 새로운 서 · 남해 연안항로의 주도세력으로 부상하여 이에 저항하는 해남지역의 신미 세력을 공격하여 도륙하고, 친백제의 대안 세력을 인근의 고현리 일대에 세우고 백포만 일대의 새로운 거점포구로 활용하였다. 이와 함께 백제는 가야지역에 친백제 세력을 확산시키고 이들을 통해 왜와의 교역을 주도하게 된다. 이에 위협을 느끼게 된 신라가 저항하기도 했지만, 중국의 선진문물을 앞세워 물량공세를 펴는 백제의 적수가 되지 못하였다. After Gojoseon (ancient Korean kingdom) collapsed, Naklang dominated sea-based trade, along the coastal line, in East Asia, for about 400 years from the end of the 2nd century B.C.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Dae-bang region in the early 3rd century B.C., sea-based trade in East Asia was dominated both by Naklang and Dae-bang.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forces in the Yeongsan and Nakdong river basin enjoyed great prosperity as a close trading partner in the sea-based trade led by Naklang and Dae-bang. The countries located in the Yeongsan river basin were collectively called the “The countries of Shin-mi” whilst those in the Nakdong river basin the “The countries of Gaya” at the time. This indicates the high stature and power of Shin-mi and Gaya with regards to sea-based trade. However, with the fall of Naklang and Dae-bang in the early 4thcentury, sea-based trade in East Asia shrank dramatically. I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Goongokri forces located in the Yeongsan river basin, which had been benefiting from the prosperity achieved by the Naklang and Dae-bang led sea trade. This led to confusion in the area around the Nakdong River. Gaya, which faced dramatically decreased trade along the west and south coastal lines, began developing a partnership with Shilla, which was emerging as a strong country, by adopting the culture of the northern races through the East Sea route. It was at this time that eight countries located in the western harbors attacked Gaya in opposition of its new approach. This was known as “the uprising of eight harbor countries.” Shilla and Gaya successfully suppressed this uprising and formed a strong partnership for the new era of trade relations. However, the emergence of Baekje in late 4th century, along the south and west coastal lines, signaled the beginning of their decline. In the late 4th century, Baekje emerged as the strong country along the south and west coastal lines, thus replacing Naklang and Dae-bang. It attacked and quashed the resistant Shin-mi forc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while placing pro-Baekje forces in “Gohyunri” to use it as a new foothold harbor in the region. Along with this, Baekje also expanded the pro-Baekje forces in the Gaya region through which it led trade with Japan. Although Shilla felt threatened and showed some resistance to Baekje’s maneuvers, it was no match for Baekje and was overwhelmed with Baekje’s superior Chinese cultural knowledge and products.

      • KCI등재

        ‘섬의 인문학’ 담론

        강봉룡(Kang, Bongyo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4 島嶼文化 Vol.0 No.44

        일반적으로 섬의 개념은 공간의 규모나 법률의 목적성에 의해 규정되곤 하지만, 본고는 소통성과 고립성이라는 섬의 양면적 속성에 중점을 두면서 인문학적 섬 개념을 제기한다. 섬은 바다에 의해 규정되곤 한다. 바다를 교류의 길로 인식하면 섬은 바닷길을 매개해 주는 소통의 징검다리로 간주된다. 바다를 장애물로 인식하면 섬은 그 바다에 의해 단절되는 고립공간으로 간주된다. 여기에 섬과 바다의 일체성과 양면성이 찾아진다. 섬과 바다가 하나의 유기체로 작동하니 일체성인 것이고, 섬과 바다의 유기체가 소통성과 고립성이라는 양면의 속성을 내포하니 양면성이다. 섬과 바다의 양면성은 우리 역사에서 극명하게 나타난다. 고려시대까지는 소통성이 두드러졌던 반면, 조선시대에는 고립성이 두드러졌다. 결과적으로 전자는 ‘문명’의 흔적을 섬에 남겼고, 후자는 ‘민족문화의 원형’을 섬에 남겼다. ‘섬의 인문학’은 섬과 바다의 이러한 양면적 속성을 모두 포괄할 필요가 있다. 바다의 배타성과 공유성은 ‘섬의 인문학’이 유념해야 할 또 다른 섬의 양면성을 내포한다. 섬을 통해 바다를 쟁취하려는 ‘섬 분쟁’의 분출은 바다에 대한 배타적 소유욕에서 나온다. 바다를 인류 공유재산으로 인식한 ‘파르도(Pardo)주의’는 섬에 대한 관심을 공유의 세계로 이끈다. 이렇듯 바다의 배타성과 공유성이 섬과 연동된다는 것은, 섬과 바다의 일체성을 다시 한번 확인해 준다. 결국 섬과 바다의 일체성과 양면성은, 섬이 경계와 탈경계의 변곡점에 위치함을 시사한다. In general, an island is described according to the scale of land area or the dictates of law, but in humanities, an island tends to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duality of its nature, communication and isolation. The nature of an island also tends to be determined by the sea surrounding it. If the sea is perceived as a passage of exchange, the island could easily be regarded as a bridge for communication through sea routes. If the sea is perceived as an obstacle, the island could be regarded as an isolated space, cut off from the outside world by the sea. In this context, we can discuss the ‘unity’ and ‘d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land and the sea. The term ‘unity’ refers to how the island and the sea coexist as a single organic being, while ‘duality’ implies that this single organic being embodies two opposing concepts: communication and isolation. The d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land and the sea is dramatically evident in Korean history. Before the Goryeo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land and the sea was characterized by communication, while in the Choseon period, isolation was more prominent. This difference explains why Goryeo left traces of its civilization on the islands, whereas Choseon left only archetypes of Korean culture. ‘Island humanities’ contains the d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land and the sea. The exclusivity and co-ownership of the sea is related to another aspect of the island that ‘island humanities’ must recognize. The increasing number of conflicts over the ownership of islands is the result of the desire to claim exclusive ownership of the sea through the ownership of islands. Arvid Pardo’s belief that the sea belongs to all of humanity should guide our interest in islands to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a world of co-ownership. The fact that the sea’s duality of communication and isolation is interlocked with its islands serves to confirm the unity of the island and the sea. In conclusion, the unity of the island and the sea and the du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mply that the island is located at an inflection point between boundary and trans-boundary.

      • KCI등재

        완도 법화사지의 성격에 대한 신고찰-고려 후기의 항몽(抗蒙)과 백련결사(白蓮結社), 그리고 송징(宋徵)과 관련하여-

        강봉룡 ( Kang Bongyong )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5 No.-

        본 논문은 완도의 장보고 중심 역사인식에 대한 반성의 차원에서 고려 후기 완도 법화사지의 역사적 현황을 고고 자료, 문헌 자료, 설화 자료의 검토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법화사지에서 출토된 명문 기와는 완도 법화사가 12세기 초에 재건되었고, 1243년에 완도를 ‘거점 섬’으로 지정하고 법화사에 전략시설을 조성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1243년 당시 고려의 최이정권은 진도의 용장성에 도성에 버금가는 전략시설을 구축하고, 이를 중심으로 완도와 압해도 등의 주요 섬을 연결하는 서남해지역 ‘거점 섬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문헌 자료에 의하면 1247년에 백련결사의 2대 사주였던 천인과 그의 도반인천책 등이 몽골의 침략을 피해 ‘거점 섬’ 완도의 전략시설이 조성된 법화사로 들어왔다. 그리고 그 즈음에 고려의 官人 이영이 유배형을 당하여 완도로 왔고, 이영의 작은아버지 승려 혜일도 완도에 들어왔다. 이는 ‘거점 섬’으로 지정되고 법화사에 전략시설이 조성된 직후의 일로서, 당시 완도 법화사가 항몽의 공동체이자 법화신앙의 공동체로 기능했음을 보여준다. 완도의 설화적 인물 송징은 완도에서 명멸해간 민중영웅들을 다면적으로 대변하는 복합적 캐릭터이다. 따라서 역사화 과정에서 송징이 때로는 장보고로 치환되기도 하고, 때로는 삼별초의 장수로 치환되기도 하는 것은 나름 정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근래에 법화사지 발굴에서 12~13세기 유물이 집중적으로 출토됨에 따라 송징을 삼별초의 장수로 치환하려는 시도가 일어나고 있는 것도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ical status of Wando Beophwasa Temple Site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rough a review of archaeological data, literature data, and narrative data in order to reflect on Wando’s perception of Jang Bogo-centered history. The letter inscribed tile excavated from Beophwasa Temple Site shows the possibility that Wando Beophwasa Temple was rebuilt in the early 12th century, and Wando was designated as a “hub island” in 1243 and strategic facilities were built in Beophwasa Temple. In 1243, the Choi Yi regime of Goryeo established a strategic facility comparable to that of the capital city in Yongjang-castle, Jindo, and built a “hub island network” in the southwest sea region that connects major islands such as Wando and Abhaedo. According to the literature data, in 1247, Cheonin, the second boss of the Baeknyeongyeolsa, and his religious friend, Cheonchaek, entered Beophwasa Temple, where strategic facilities of Wando, a “hub island,” were built to avoid Mongolian invasion. And around that time, Lee Young, a Goryeo official, was exiled and came to Wando, and Lee Young’s uncle, Monk Hyeil, also entered Wando. It was immediately after it was designated as a “hub island” and a strategic facility was established in Beophwasa Temple. At that time, it shows that Wando Beophwasa Temple functioned as a community of anti-Mogolia and a community of Beophwa faith. Song Jing, a folktale character in Wando, is a complex character that represents the folk heroes who have been wiped out in Wando in multiple way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historicaliza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reasonable that Songjing is sometimes replaced by Jang Bogo, or sometimes replaced by Sambyulcho’s commander. In that context, it can be understood that as relics from the 12th to 13th centuries have been intensively excavated from the excavation of the Beophwasa Temple Site, several attempts to replace Songjing with a commander of Sambyeolcho are taking pla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