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독도 광포전설의 존재양상과 그 지역적 정체성

        권도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08 선도문화 Vol.4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being aspects and regional identification of Dokdo Gwangpocheonseol. 1. Dokdo legend 「Hole-rock」 is the text that Korean ‘rolling rock legend’ is localized. The old man who makes the hole rock move, is the person, who the giant god is vulgarized. Generally giant god appears the divinity in the korean legend. Therefore this text is the example that the dominium of the Dokdo is realized literary. 2. The second part is dominium of the Dokdo is realized literary by comparing the Dockdo legend with the japanese legend. The old man, who appears in the japanese legend, corresponds with the old man in Dokdo legend 「Hole-rock」. Then this old man in the japanese legend is the exceptent giant god in the japanese originality. This giant god in the japanese legend is originated in korean legend. In result, this japanese Dokdo legend can make confirmed that the dominium of the Dokdo is in Korea. 본 연구는 독도전설의 존재양상과 특징이 한국전설의 일반적인 유형성 속에 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독도의 지역적 정체성을 문학 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 「구멍바위」에서 바위를 이동시키는 노인은 산이나 바위와 같 은 거대한 자연지물을 재조정하는 천지창조의 신에 기원을 둔 것으 로, 원래는 천지만물을 창조한 거인신이 속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 다. 노인이 독도의 바위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바, 거대 자연지물을 제어하는 압도적인 능력을 상실한 모습은 천지만물을 * 상지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객원연구원. 232 仙道文化 제 4 집 창조하고 재조정하는 거인신이 일상화․비속화 되는 파편화된 흔적 을 담고 있는 한국전설의 일반적인 보편성 속에 있다. 한국의 설화 체계 속에서 거인 창조신에 관한 신화는 온전한 모습으로 전하지 않으며, 희화화 된 모습으로 전설화 된 텍스트의 형태로 전한다. 전 설화 된 거인 창조신에 관한 신화는 대부분 지역 전설화 되어 한반 도 각 지역의 지명 전설화 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된다. 바위 이동 전설은 이러한 거인 창조신이 지역의 지명유래 전설화 된 예로 볼 수 있는 측면이 있는데, 독도의 바위 이동 전설인 「구멍바위」는 거 대 자연지물을 이동시키는 주체인 신격이 신성성을 상실하고 비속 화 된 양상을 형상화 하고 있다는 점에서 천지 창조신에 대한 신화 가 독도 지역에서 구멍바위라는 지명과 관련하여 지역화․특수화 된 경우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구멍바위」에서 확인되는 독도의 신격에 대한 신앙 관념 해체 양상은 한국의 전설 속에 나타 난 신격의 신성 관념 해체 양상과 동일한 맥락 속에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일본 독도 전설과의 비교를 통한 독도의 지역적 정체성 확인 이다. 잔타이헤이키(殘太平記) 의 권7에 전하는 「죄인원도유형평정 지사(罪人遠島流刑評定之事)」조에 전하는 이야기는 원칙적으로 일 본의 울릉도 전설에 해당하지만 고대의 독도와 울릉도에 존재하는 신앙 관념과 풍속․문화는 고대 한․일 해양 교역의 중간 기착지라 는 보편적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독도에 관한 지역적 정체성을 담고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전설자료로부터 독 도․울릉도 광역 도서권역에 관한 일본 전설 속의 신격이 일본신화 정체성 속에서는 드문 거인신으로, 「구멍바위」의 노인과 같은 한국 신화의 거인 창조신의 면모에 대응된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이 독 도․울릉도 광역 도서권역에 관한 일본 전설 자료는 일본의 설화 체계가 아닌 한국의 설화 체계 속에 그 원류를 두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독도․울릉도 광역 도서권역에 대한 설화는 역 독도 광포전설의 존재양상과 그 지역적 정체성․권도경 233 설적으로 한․일 고대 해양 교역사 속에서 중간 기착지로 존재한 독도․울릉도의 광역 도서권역의 지역적 정체성이 한국의 그것 속 에 위치해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장보고 구비 전승의 변동 단계와 그 현대적 맥락

        권도경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7 新羅文化 Vol.29 No.-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fluctuational phase and the present context in Jangbogolegend. The traditional aspects of Jangbogo legend shows the four fluctuational phase.The first fluctuational phase is the breakdown of the region and the extinction of the group in tradition. Jangbogo legend shows the aspects that the tradition was became extinct, as the group undertaking the tradition was removed intentionally after Jangbogo was assasinated.The second fluctuational phase is the separation from the historical coherence and the change as the legend that ranges abroad(廣布傳說). I think Jangbogo legend that separated from the political coherence being related to the historical character, Jangbogo, changed as two patern of the legend that ranges abroad(廣布傳說). The one is the change as the baby general legend. The other is the combination with the legend about the muscular man, Songjing(宋懲) in Goryeo(高麗).The third fluctuational phase is the amalgamation with the Songjing legend(宋懲 傳說) and the unconscious concealment of the recognitional coherence. I think that the consciousnes of the group undertaking the tradition that wanted to tell the prohibited story about Jangbogo, got to go under the inside story of the Songjing legend(宋懲 傳說). The fourth fluctuational phase is the separation from the Songjing legend (宋懲 傳說) and the recovery of the historical coherence. That moment is two. The one is the internal momentum and the other is the external momentum. The internal momentum is the conscious or unconscious tradition of the memory about Jangbogo. The external momentum is the effect of the studying result and the economicalpolitical demand.

      • KCI등재
      • 부산 지역 당제유래전설에 나타난 광포전설의 유형적 특징과 지역적 특수성에 관한 연구

        권도경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06 부산연구 Vol.- No.4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patternal peculiarity and regional distinctiveness of ‘Kwuangpochonseol(廣布傳說)’ appearing in ‘Dangjeuraechonseal(堂祭由來傳說)’ in Pusan. The lower type of ‘Kwuangpochonseol(廣布傳說)’ appearing in the ‘Dangjeuraechonseal(堂祭由來傳說)’ in Pusan is classified as three types of ‘Agijangsuchonseol’(아기장수전설), ‘Jangjamotchonseol’(장자못전설), ‘Hongsuchonseol’(홍수전설). The first is Agijangsuchonseol type appearing in ‘Dangjeuraechonseal(堂祭由來傳說)’ in Pusan. In this type, general have dual meaning. It isn’t only the centric god but also Agijangsu(아기장수). There isn’t the fundamental form in Agijangsuchonseol type of Dangjeuraechonseal. Agijangsuchonseol type of Dangjeuraechonseal in Pusan haven’t Yongma(龍馬) motive is reduced or omitted in all text of Dangjeuraechonseal that borrowed the patternal structure of Agijangsuchonseol. It means reversely that archetypical sacredness is disjointed of Agijangsu appearing in Dangjeuraechonseal in Pusan. It is the method of the death and the attitude about it what is paied attention in Agijangsuchonseol type of Dangjeuraechonseal in Pusan. There is inquired into the aspect that make combine the peculiar narrative-structure of Agijangsuchonsoel with that of Dangjeuraechonseal, by making unite the desire of Agijangsu attempting to compromie and to be admitted with the present world in the moment of the death with the typical narrative-structure.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e attitude of recognition to try to settle the grudge of Agijangsu, that got the tragic death by defeating in the battle with the actual world, in the mythological world-view of Dangje(堂祭), by making dead Agijangsu as the live existence in the transcendent view. The second is Jangjamotchonseol type appearing in ‘Dangjeuraechonseal(堂祭由來傳說)’ in Pusan. It is the type that accept the sacredness-conception in the sacrificial rites system of Dangje. This type doesn’t configures these sacredness-conception as the nature legend type about the natural object like rocks or fountain, but as the narrative-structure of Jangjamotchonseol. Jangjamotchonseol type of Dangjeuraechonseal in Pusan shows the possessionconsciousness that protects the negative effects of cutting off divination by onfiguration of the ground and guards the well-being of the community, by enshrining the rock, divination by onfiguration of the ground, as the god of the sanctuary, because the evil conduct by ueitachukgaek(依他逐客) and the ruin of taboo about divination by configuration of the ground dosen’t results as the bankruptcy of the rich and the sinking of the house, but recognizes as the dimension of the public peace. On the other hand, Peitang(廢湯) type of Jangjamotchonseol appears in Dangjeuraechonseal in Pusan. It have Paheilchukgaek(破穴逐客) motive that by ruining the affluent hot spring water, puts out a visitor. This type reflects the geograpical haracteristics in Pusan region. The third is Hongsuchonseol type appearing in Dangjeuraechonseal in Pusan. It's epresentative lower-type is Goribongchonseol(고리봉전설) type. Because it empasize the exsistence of the evidence for proving the actual being of the experience about the Flood that happened in the interior of region, it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legend type that explains the origin of the name of a place. This type reflects the geograpical characteristics in Pusan region where the damage of floodwaters happens frequently,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estuary of Nakdong-river(낙동강) and in the east side in the Korean Peninsula-topography that weat side is high but east side is low. 본 연구는 부산에 전승되는 ‘당제 유래 전설’의 존재 양상과 특징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1) 당제 유래 전설은 양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전국적 인 분포를 보이는 ‘광포전설’에 비해 지역적인 특수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지역전설’에 속하며, 지역전설의 여러 하위 유형 중에서도 풍속신앙 전설에 해당된다. 말 그대로 당제 유래 전설의 본질은 해당 전설의 텍스트가 전승되는 지역에서 거행되는 당제의 기원을 설명해주는 전설이다. 그런데 부산의 당제 유래 전설 중에는 단순히 민속 신앙의 기원을 설명하는 기능적인 측면과 지역적인 특수성과 밀착되어 있는 지역전설로서의 범주를 넘어서, 그 전설 텍스트 내부의 구체적인 내러티브의 전개 방식이 광포전설의 유형적인 서사구조와 동일한 양상을 보여주는 텍스트들이 확인된다. 예컨대 부산에 전승되는 지역전설의 하위 전설 유형으로서의 풍속신앙 전설인 당제 유래 전설 속에 장자못 전설, 아기장수 전설, 홍수 전설 등과 같이 광포전설을 구성하는 하위 전설 유형에 속하는 텍스트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부산의 당제 유래 전설 중에서 일부의 텍스트에서 확인되는 광포전설의 유형적인 서사구조는 한국 전설의 광포 전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인 것인 동시에, 부산에 전승되는 광포전설에서 확인되는 보편적인 유형성과 일정한 상동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부산의 당제 유래 전설 중에서 광포전설의 유형적인 서사구조에 따라 그 내러티브를 짜나가는 텍스트들은 한국의 광포전설이 지니고 있는 유형적 보편성 속에서 지역전설로서의 특수성을 아울러 지니게 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부산에 전승되는 지역전설에서 확인되는 부산 전설의 지역적인 정체성, 더 세부적으로는 부산의 풍속신앙 전설 유형에서 나타나는 지역적인 특수성과 일정한 상호관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본질적으로 본 연구가 대상으로 하는 텍스트는 한국 전설이라는 보다 상위의 범주가 지니는 보편성 속에 특정한 한 지역 전설로서의 특수성을 지니는 동시에, 부산 전설이라는 한 지역의 전설이 지니는 상대적인 일반성 속에 다시 특정한 하위 전설 유형으로서의 특수성을 지니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부산의 당제 유래 전설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다만 부산의 당제 유래 전설 자료들을 수집하여 하위 행정구역에 따라 분류·정리해 놓은 기초 연구 성과는 존재한다. 이러한 부산 당제 유래 전설에 관한 기존의 기초 연구는 부산 당제 유래 전설에 관한 본격적인 자료집으로서의 의의를 지니는 경우2)와 지명 유래 전설과 민속 유래 전설을 수집·정리하는 가운데 당제 유래 전설이 일부 포함된 경우3)로 나누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산 당제 유래 전설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자료집을 발간한 기존의 기초적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부산 당제 유래 전설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기로 한다. 연구의 범주는 부산의 당제 유래 전설 중에서도 광포전설의 유형적인 서사구조를 수용하여 구체적인 내러티브를 짜나가고 있는 텍스트들이며, 이러한 범주에 포함되는 텍스트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부산 당제 유래 전설에 나타난 광포전설의 유형적인 특징과 지역적인 특수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KCI등재

        「광한루기」연구의 쟁점과 나아갈 방향의 새로운 모색

        권도경 洌上古典硏究會 2003 열상고전연구 Vol.18 No.-

        지금까지 「광한루기」에 실려있는 있는 평비문에 연구자들의 시선이 일제히 쏠린 덕분에 「광한루기」 텍스트 자체는 상대적으로 그닥 논란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감이 없잖아 있다. 「광한루기」 연구는 크게 보아 「춘향전」계통도의 확립과 개별 텍스트 내적인 의미망 탐구라는 두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이 두 측면은 서로 뗄레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의미로 얽혀있기도 하다. 「춘향전」의 여타 이본들과의 관계망 속에서 「광한루기」의 독자적인 세계관과 미의식이 부각될 수 있는 한편 「광한루기」개별 텍스트의 창작의식 탐구가 거시적인 「춘향전」계통도 완성과 다시 연결되기 때문이다. 본고는 「광한루기」의 개별 텍스트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 글이다. 「광한루기」연구사에서 몇 가지 쟁점 거리를 정리해 봄으로써 거꾸로 「광한루기」연구가 앞으로 규명해 나가야할 과제를 찬찬히 점검해 보기로 한다. 아울러 이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밝히는 한편 연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전망을 간략히 제시해보고자 한다. This paper was attempted to grope for the direction that text of 「Gwanghanrugi」will go forward. Arranging several issues in the history of study for 「Gwanghanrugi」, on the contray will check subjects that the study for 「Gwanghanrugi」 will advance to examin.

      • KCI등재

        <洞仙記> 연구 : 17세기 애정류 전기소설에 나타난 異界의 성격변모와 그 의미

        권도경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2000 이화어문논집 Vol.18 No.-

        Dong sun ki is the wed: that the studr hasn't been accumlated was earilerinstnueA this study intented to makr a woik dear which Dong sun ki sureed to neoln ofIwe romanre in srwereenth cennuy, in the other sides, altered that. In odor to deimuue thispninL this paper aneined the alteution of the punnion and characrer in'another world’. As the results, this paper fined old that Dong am ki is fxused on thr trguHe .of social positiaL whidl is dianmt fiorn finmer wodB and magniscacicn f thr soong willed charaner in heroine because of dle heroine of the lower classes. In a wors, the change of'anether world functions as back ground in odor to charaneriae affectively the new charaner of hemine in Dang sun ki.

      • KCI등재후보

        「빙허자방화록(憑虛子訪花祿)」연구

        권도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民族文化硏究 Vol.36 No.-

        「빙허자방화록」은 사족남성이 중인여성의 정조를 의심하고 다른 여성을 따르는 배신에 의해서 파탄을 맞고 있다는 점에서 전대 전기소설의 애정 갈등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신분의 차이, 방해자형 인물, 전란 모티프등 전대 전기소설의 외적 장애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변함없이 출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빙허자방화록」에서 애정비극은 이러한 외적 요인이 아니라 애정 당사자인 남성의 배신에 의해 직접적으로 초래된다. 「빙허자방화록」의 애정비극은 남녀 주인공 간의 변치않는 절의가 운명적인 외부 장애에 의해서 초래되었던 전대 작품과는 달리 상대에 대한 신의를 준수하지 못하는 당사자의 변심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빙허자방화록」의 비극은 애정에 대한 남녀 주인공 간의 상이한 입장차이에 의해서 발생되며, 갈등이 본격화 되기 전부터 의사소통의 어긋남과 와해 양상을 통해 표명화 되고 있다. 「Bing-hu-ja-bang-wha-rok」 is different from the love motive of the former work as the gentry suspect the middle class woman and love the other woman. The tragedy of 「Bing-hu-ja-bang-wha-rok」 isn't bringed about these external cause but the man's betrayal althought the external obstacle appeares without change like the class struggle, disturing character and war motive. This tragedy of 「Bing-hu-ja-bang-wha-rok」 is resulted from the different position about love and appeares as the collapse of communication before love struggle is becomed serious. But the author's sight of 「Bing-hu-ja-bang-wha-rok」 is the male-centered as the meaning of the man's betrayal isn't reflected critically but ended in the rationalization. The gist on the change of mind in Love-Romances in the latter age of Chosun is different from the main idea on immortal love in the sense of value because love is not decided by deology.

      • KCI등재후보

        ‘내암의 남명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 전설에 나타난 인물 형상화의 체계와 부정적 서술시각의 역사적 맥락

        권도경 열상고전연구회 2007 열상고전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내암 전설의 ‘남명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에 나타난 인물형상화의 체계와 부정적 서술시각의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국면으로 전개되었다. 첫 번째는 내암 전설의 ‘남명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에 나타난 인물 형상화의 상징적 메타포의 체계이다. 남명학파의 위상과 관련된 학문적인 국면에서 내암의 인물 형상은 남명학파의 수제자란 긍정적인 캐릭터와 남명학파의 파괴자란 부정적인 캐릭터로 나타나며, 그 중간에 가치중립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한편, 내암 전설의 ‘남명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에 나타나는 인물 형상의 정치적인 국면은 내암이 십년 독재상으로서 보유하고 있었던 정치적인 권력, 폐모 논란과 관련된 반역자, 그리고 정치적인 희생양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존재한다. 두 번째는 내암 전설의 ‘남명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에 나타난 부정적인 서술시각과 향유의식의 역사적 맥락이다. 내암 전설의 ‘남명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에 나타난 부정적인 서술시각은 내암이라는 한 역사적인 인물을 형상화함에 있어서 일관되게 회퇴변척소 사건과 폐모 사건이라는 특정한 역사적인 지평과 관련한 내암 전설의 전승 담당층의 부정적인 인식과 관련되어 있다. A study on the system forming chracter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negative narrative-sight in the pattern killing Nammyung's loving snake

      • KCI등재후보

        서울 ‘광포전설’의 존재양상과 지역성

        권도경 서울역사편찬원 2009 서울과 역사 Vol.- No.73

        This paper was studied on 'Gwangpocheonseol' nationwidely distributed in Seoul legend. This study was attended to inquire into what discriminate Seoul lengend against another regions's and the way in which it is related to Seoul's identity. In Seoul 'Gwangpocheonseol‘ recorded to the present, exisit the lower types like 'baby-general legend'·'elder's pond legend'·'brother and sister's strength contest legend'·'moving mountain legend'. The identity and values, confirmed from these, can be indicated to three dementions. The first is the 'Centrality'. Seoul 'Gwangpocheonseol‘ make much more emphasis on contention for social hegemony and urban success-story in life. It seems that this shows Seoul's identity having been located as center of hegemony since Chosun(朝鮮) dynasty. This Seoul's 'Centrality' appears to relative distance to another resions or goods, natural object's moving to Seoul. The second is 'urbanism'. Seoul 'Gwangpocheonseol‘ is transformed to the way emboding the secularism. Giving much more empasis to the social, cultural strength than the mythical, physical's, it seems that Seoul 'Gwangpocheonseol‘ reflects urban values like social success. The third is 'metropolitan culturism including Gyeonggi-do(京畿道)'. Seoul is forming metropolitan culturism with Gyeonggi-do, because of giografical charicteristics being surrounded by it. This originality is confirmed by being condition of Seoul 'Gwangpocheonseol‘ that is possessed in the County of present Seoul with Seoul spaces, natural objects, mans, by Seoul citizen, but handed down in the County of Gyeonggi-do with Gyeonggi-do spaces, natural objects, mans, by Gyeonggi-do citizenin the past. 본 연구는 ‘서울 전설’ 중에서도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광포전설’을 대상으로 하여, 타 지역과 어떠한 차별성을 가지고 존재하는가, 그리고 이러한 차별성이 지니는 의미는 서울의 지역성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의 두 가지 문제를 고찰함으로써 서울 ‘광포전설’에 나타난 지역성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현재 채록된 서울 ‘광포전설’에는 한국 전역에 전승되는 ‘광포전설’의 하위유형 중에서 ‘아기장수 전설’, ‘장자못 전설’, ‘오뉘힘내기 전설’, ‘산이동 전설’이 존재하는데, 이들 서울 ‘광포전설’의 하위유형에서 확인되는 정체성과 가치관은 세 가지 국면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중심성’이다. 서울 ‘광포전설’은 자연물의 유래 자체 보다는 계층적인 헤게모니 다툼이나 일상적 인간의 도시적 출세담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는 조선시대부터 기득질서의 중심지로 확고하게 자리잡은 서울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서울의 ‘중심성’은 타 지역과의 상대적인 거리, 물자 , 재화, 자연물의 서울로의 이동 등으로 형상화되기도 한다. 두 번째는 ‘도시성’이다. 서울의 ‘광포전설’은 현실적 삶의 모습과 욕망을 반영한 도시적 ‘세속성’과 ‘일상성’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있다. ‘광포전설’의 기본형에서 확인되는 신화적, 물리적 힘의 크기 보다는 사실은 사회적, 문화적인 그것이 상대적으로 강조되어 있어서 사회적 성공이라는 도시적인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경기도와의 광역문화성’이다. 서울은 경기도에 둘러싸여 있다는 지리적 특수성 때문에 경기도와 광역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서울의 ‘경기도와의 광역문화성’은 현재의 서울 행정구역 내에서 서울의 공간과 자연물, 인간을 등장시켜 서울의 지역민에 의해 향유되지만, 과거에는 경기도의 행정구역 내에서 경기도의 공간과 자연물, 인간을 등장시켜 경기도의 지역민에 의해 전승되고 채록된 서울 ‘광포전설’ 일부 텍스트의 존재 기반에 의해 확인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