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

        김광순 慶北大學敎 退溪硏究所 200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7 No.-

        오늘 본교 퇴계연구소와 국제퇴계학회대구경북지부가 공동 주최하는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라는 큰 주제로 학술발표대회를 개최함에 있어 기조강연을 맡은 김광순입니다.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본래 과제 명제는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임을 양지 하시고 연구진은 본인이 연구책임교수이고, 박영호, 이문기, 강민구 교수가 공동연구원, 5명의 전임연구원, 박사과정 7명, 석사과정8명으로 구성되었다.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라는 원래의 과제 명칭에서 오늘 논문발표대회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의 전 단계이므로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라고 편의상 붙인 것이다. 그래서, 오늘 개최하는 학술 발표대회의 내용을 말하기 전에, 2002년도 8월 1일에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인문사회분야 기초학문 육성사업단으로 선정된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라는 과제 수행의 연구계획과 목적, 그리고 연구 방법과 내용,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 및 실적 등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한 후에, 오늘 학술발표대회에서 발표한 5편의 주제에 대한 기본 연구 방향을 언급함으로써 기조강연을 대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기조강연을 마치면 임종진교수의 사회로서 발표자는 이군선박사의 <매헌 금보의 도산기 고증과 정존재 잠고증에 대하여>, 김인철박사의 <퇴계학맥 문집소재잠명류에 대한고찰>, 이정화박사의 <퇴계문인의 학퇴계정신이 누정제영에 반영된 계승양상>: 서신혜박사의 <선산지방 서원의 훼철과 오유거사전>, 유영옥박사의 <학봉 김성일의 제례의식과 행례>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하게 될 것이다. 오늘 다섯 분의 주제발표를 마치면 곧 이어서 이문기 교수를 좌장으로 하여 김종철 교수, 오용원 교수, 우인수 교수, 이수환 교수, 정우락 교수의 종합토론이 진행되고, 또한 방청석의 질문을 함께 받아 논문완성에 참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늘 발표를 맡아 주실 다섯 분의 전임 연구원과 종합토론에 참가해 주실 교수님의 노고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It's my honor to make a keynote speech in Spring Conference of The Toegyehak(退溪學) in Yongnam(嶺南) area and its specific culture held by Toegye Studies Institute in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Daegu and Kyungbuk branch of the Society of International Toegye Studies. The conference included in prior step on The construction of data base for the Toegyehak in Yongnam are and its specific culture was named as such for convenience. The research team is composed of 3 professors as coworkers-Park Youngho. Lee Moongi. Kang Mingu and 5 full-time researchers. 7 Ph.D course students. 8 master's course students, and me as principal researcher. The subject of The construction of data base for the Toegyehak in Yongnam area and its specific culture was elected as one of the national policy subject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term of basis learning supporting program in August 1. 2002. Prior to the presentation of papers, it will be announced that the purpose and plan of the subject. research way and results up to now. And the basic research directions of today's papers being announced are as bellows. At first, professor Lee Kunsun will announce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Dasangi of Maeheon Geumbo. And next we will have the presentation about Self-cultivation Characteristics displayed in Exhortation and Inscription Works in Anthology of Toegye School Scholars by professor Kim Incheol. Professor Lee Jeonghwa will announce The aspects of succession of Nujeong Jeyoung in respect for the spirit of Toegye of Toegye's scholastic lineage then. And the next presentation by professor Seo Shinhye will be A Study on the removal of lecture-hall in Seonsan and Oyugeosajeon. With the presentation by professor Yu Youngog in the name of Hakbong Kim, Sung-il's thoughts and performance of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the presentation session will be ended. After presentation by 5 people, open debate will be held with professor Lee Mungi as chairperson, professor Oh Yongwon, professor U Insu and professor Jung Ulak. And also there will be session of receiving hearer's question. I think it will be great helpful to accomplish this project's purpose. Lastly. I'd like to show my special thank you for their great efforts to prepar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ession. Thank you again.

      • 退溪의『大學』解釋과 그 意味

        최석기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이 논문은 퇴계 이황의 『대학』 해석에 대해 구체적으로 그 내용과 특징을 살핀 글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퇴계의 釋義類 經書解釋과 『대학』에 대한 인식을 먼저 살펴보고, 그의 『대학』 해석을 『대학석의』의 해석과 기타 자료에 산견되는 문인들과 문답한 해석으로 크게 나누어 고찰하였다. 퇴계의 석의류 경서해석은, 15-6세기 학자들이 大全本을 텍스트로 사서삼경을 정밀히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종류의 釋義를 모아 정리하고 비평한 것으로, 후대 校正廳本 諺解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런 점에서 퇴계의 석의류 경서해석은 우리나라 경학사상 釋義時代에 생산된 釋義類의 集大成이라 하겠다. 퇴계는 『대학』을 大廈에 비유하고, 여타 경서는 그 대하를 수식하거나 장식하는 부속물로 보았다. 이것이 바로 『대학』을 경학의 根幹으로 보는 그의 經學觀이다. 또한 그는 『대학』을 修己治人之道를 담은 政治書로 보지 않고, 存心出治之本에 해당 하는 修身書로 보았다. 『대학석의』의 내용과 해석성향을 분석해 본 결과, 가장 큰 특징은 총 101항목 중 98항목이 字句의 諺解을 정리한 것이므로 註보다 本文 字句의 정확한 언해에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퇴계는 이를 위해, 첫째 語助辭 하나에도 신중을 기하였으며, 둘째 언해로 판가름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한문으로 그 의미를 정밀히 논변했으며, 셋째 字義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虛辭 등을 분변하였다. 이 가운데 한문 해석이 곁들여진 대목이 그의 『대학』 해석에 있어 주요한 설들이다. 기타 편지글 등에 수록된 『대학』 해석에 관한 자료를 살펴본 결과, 퇴계 『대학』 해석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퇴계는 '知止而后有定' 이하를 格物致知傳으로 보는 설에 대해 반대하였다. 둘째, 格物·物格의 해석에 있어 一身의 주재자인 마음이 대상에 있는 이치를 認知하는 것에 대해 정밀하게 논하였다. 셋째, 知止·定·靜·安·慮·得의 해석에 있어, 예컨대 誠意의 경우 誠意가 그칠 바를 알아 意誠을 얻는데 定·靜·安은 그 중간에 있는 것이라고 하여, 주자의 설보다 진전된 해석을 하였다. 넷째, 팔조목 중 誠意·正心·修身에 대한 해석에 있어 성의는 靜時의 存養工夫로 정심과 수신은 動時의 省察工夫로 보아, 意誠한 뒤에도 四有의 偏私處를 없애는 正心을 해야 하고 五僻의 偏私處를 없애는 修身을 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다섯째, 正心章의 兼體用說에 대해서는 주자의 설에 따라 心之用만을 말한 것으로 보고, '心不在焉'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는 心在軀殼說·心在視聽說 등을 모두 부정하고 主內應外說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is a detailed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Toi-gye(退溪), Yi Hwang(李滉)'s interpretation of [Dae-hak]. In this paper, I inquired into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and his cognition about it at first, and I studied classifying into the interpretation of [Dae-hak-seok-eui(大學釋義)] and several scattered datum like Q&A exchange letters with his pupils.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is a study way of arranging and commenting several kinds of Seok-eui(釋義) while minutely interpret the books of '四書三經' in 15~16th century, and he influenced very greatly in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校正廳本' of next gener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Toi-gye's classics interpretation of Seok-eui-ryu(釋義類) is a compilation of Seok-eui-ryu which produced in Seok-eui-rye period of Korea. Toi-gye regarded that many other classics are decorations or ornaments if [Dae-hak] is a mansion. This is his very viewpoint of the classics that of [Dae-hak] is the root and the trunk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he thought that [Dae-hak] is the moral culture textbook of '存心出治之本' not to the political theory of '修己治人之道'.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ments,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is that he concentrated to the accurate Korean literal text interpretation of [Dae-hak] judging from that the 98 items of his book is consisted of Korean interpretation arrangements. Regard for this, Toi-gye paid attention to the choice of each character, and detailed commented with Chinese character on the difficult point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classified the expletive concerning about the exact meaning of each character. The additional Chinese interpretation among this are his major theories of [Dae-hak] interpretation. The result of several datum inspection like other private letters, the major features of the Toi-gye's interpretation of [Dae-hak]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i-gye opposed the theory that regard [格物致知傳] below the text of '知止而后有定'. Second, he discussed minutely the principle that the mentality is aware of its object while interpreting of '格物' and '物格' Third, while interpreting '知止·定·靜·安·慮·得'. he suggested a progressed theory than Chu-tzu(朱熹)'s one, for example. '定·靜·安' exist in the middle place when achieve '意誠' in case of '誠意'. Forth, in interpretation of '誠意·正心·修身' among '八條目', he regarded '誠意' as '靜時 存養工夫', and '正心' and '修身' as '動時 省察工夫', more over he insisted that it needs not only '正心' which exclude '四有 偏私處' but also after achieve ‘修身’ which exclude '五僻 偏私處' after achieve '意誠'. Fifth, he followed the Chu-tzu's theory that mentioned about '心之用' for '兼體用說' of the chapter of '正心', however, he insisted '主內應外說' denying '心在軀殼說' and '心在視聽說' for the interpretation of '心不在焉'.

      • 竹川 朴光前의 人品과 性理思想

        劉明鍾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2

        竹川 朴光前은 어려서부터 효행이 두터웠으며, 공부에 있어서 『小學』위주의 실천도학을 중시 하였다. 그는 41세에 退溪의 門에 執贄하여 퇴계로부터 『朱子書節要』를 선사받아서, 문목으로 질의하여 답을 구하였다. 퇴계는 학문 방법에 있어서 편중됨을 경계하였고, 知·行이 竝進하고 互進한다고 하였다는데 죽천은 이를 받아들였다. 竹川은 43세에 진사시에 합격한 후, 慶基殿 參奉으로 제수 되었다. 그 후 王子師傅, 監察, 咸悅縣監, 회덕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성품이 유화하지만 시비의 판단에서는 매우 엄정하고 분명하였다. 그는 문인 안방준, 문위세와 아들 근효와 함께 壬辰, 丁酉再亂 극복에 의군으로 활동해 국난극복에 성심을 다하였다. 竹川은 退溪에게서 받은 『朱子書節要』를 학문의 기본으로 삼아, 위기학(爲己學)에 노력하여 程朱의 진리를 밝히며 理氣先後와 四端七情說을 절충하였다. 그는 성리학자로서 孝悌, 謹愼하며 和氣한 기상과 학문에 自得함이 있었다. 그는 健順, 五常의 天理가 인간에게 함께 구비되어 있고, 天理와 人心의 理는 틈이 없이 上下가 一體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즉 '天과 聖人은 일치하는 것'으로 '하늘이 곧 理(天卽理)'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 심학에 있어서 竹川은 退溪의 心學을 계승하였는데, 退溪는 『心經』에서 心學을 주목하고 居敬으로 마음 수양의 공부로 통일하였다. 성리학에서 인간수양은 窮理하는 天理와 居敬하는 心의 두 기둥이 있다. 여기에서 '卽物窮格' 즉 '窮理'는 객관적인 理를 내 마음의 사고방식에 반영하여 합리적인 사고를 유도하여 자기의 심신을 格律하게 한다. 이것은 객관적이 수양 방법이고 내면적인 마음의 공부는 主敬에 있다. '窮理'라는 외적 수양과 '主敬'이라는 내적 수양공부가 서로 성숙해서 비로소 내외일치의 수양공부가 성취된다. 持敬은 愼獨공부에서 출발한다. 私慾을 버리고 正理를 自守하는데 있다. 持敬과 正理는 서로 보충하고 서로 녹아 하나가 되어야 한다. 홀로 조심하는 愼獨이 持敬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즉 主敬공부를 통해서 자기에게 내재해 있는 선천적인 도덕원리로 발전시키는 수양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죽천의 정치사상은 군주로서의 마음가짐과 국가 방어에 관한 방침으로 대별할 수 있다. 죽천은 인군을 하늘을 대신하여 인애하는 마음을 내리는 자로서 災殃도 祥瑞로 바꿀 수 있는 존재이다. 즉 인군의 덕성이 하늘과 같이 체용을 함께 할 때 君이 곧 하늘이요, 하늘이 곧 君으로 顯徵에 틈이 없어진다. 이렇게 인군의 마음가짐을 소상하게 말하는 가운데 덕정 곧 왕도정치론을 전개하였다. 왕도정치는 인군이 하늘의 인애하는 마음으로써 내 마음으로 삼고, 백성을 인애하는 것이다. 죽천은 壬辰倭亂과 丁酉再亂에서 의장으로 추대되었으나, 높은 연령과 병환으로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모집하였고, 왕세자에게 상서를 올려 민심을 수습하는데 힘썼으며, 「田賦」를 지어 군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의 활동을 통하여, 君國의 수치심을 씻어 인간의 도리를 다하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죽천의 人品은 道學과 義理의 영원한 사표이다. Juk-Cheon Park Kwang-Jeon(竹川 朴光前) was dutiful to his parent since childhood and taking a series view of practical DoHak(道學) based on SoHak(小學). He became a disciple of Lee Hwang(李滉) at 41 years of his age and then got the book "Chuja's Condensed Edition(朱子書節要)", and searched answers by asking of letter ToeGye(退溪) guarded against bias in studying method and he said that knowledge(知) and conduct(行) is advance side by side. Juk-Cheon accepted ToeGye(退溪)'s theory. Juk-Cheon succeeded in the 'Jin Sa examination(進士試)', then became an officer, Chang-bong in Kyeng Gee Jeon(慶基殿). Since then he became Ham Yel Hyun-Gam(咸悅縣監), H대 Duk Hyen-Gam(懷德縣監). He had a mild nature. But he was very strict and obvious in discrimination of right and wrong. He made every endeavor together with An Bang Joon(안방준), Moon Wyi Se(문위세), and Geun Hyo(근효), his son, to overcome Janapanese military invaded by becoming a member of loyal troop. Juk-Cheon established a foundation of learning by "Chuja's Condensed Edition(朱子書節要)". And he demonstrated a truth of Jeong Joo(程朱) with making efforts in Wi gie hak(爲己學) and compromise between Yie gi sun hoo(理氣先後) and Sa dan chil jeong theory(四端七情). He had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孝悌), good behavior(勤愼), and a harmonious disposition. He also had self-understanding in learning as a scolor of Chuja's confucian. He is understanding that high and low is the one because reason of Chun Li(天理) and In Sim(人心) has no gap and human has a nature law of Gun Soon(健順) and O Sang(五常). That's to say, he adhere strictly to standpoint of Chun Juk Li(天卽理), in accordance with that heaven and a saint is the one. Also a view of Sim Hak(心學), Juk-Cheon inherited Sim Hak(心學) from Toe Gye. In Chuja's confucian, training one's mind has two pillars. That are Goong Li(窮理) and Geo Gyung(居敬). Goong Li(窮理) or Juk Mool Goong Gyuk(卽物窮格). In here, trains one's body and mind by reflecting Li(理) to frame of mind and leading thought of rational. This is an objective method for training. Internal mind studying is in Joo Gyung(主敬). Training study of unity of interior and exterior is not accomplished until both external training and internal training are growth. Ji Gyung(持敬) starts from study of Sin Dok(愼獨). It exists that throw a selfish desire away and Ja Soo(自守) the Jeong Li(正理). Ji Gyung(持敬) and Jeong Li(正理) is must be the one by mutually supplementing and melting. Self precaution, Sin Dok(愼獨), is foundation toward the JiGyung(持敬). Through the study of Joo Gyung(主敬), So to speak, training which improving ethical principle that is inherent one's mind is progressing. Juk Cheon's political thought can be class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mental attitude, and the other is plan for the protect of a country. Juk-Cheon consider moralistic sovereign as the man who give humane affection to a person, and he can change a diaster to a lucky omen. When Che Yong(體用) is together with moral nature of benevolent sovereign and heaven, that is to say, heaven is sovereign practically and vice versa. Thus he evolved the theory of politics by moralistic sovereign by saying benevolent sovereign's mental attitude detailedly. Politics by moralistic sovereign is that benevolent sovereign has humane affection mind and thing which humane affecting. Although Juk-Cheon was elected as head of loyal troop, but can't participate in battle directly. Because that is from too many years of age and illness. But he collects loyal troops by sending manifesto, through emphasizes importance of military preparations. And he makes efforts in order to satisfying with human's reason by removing monarchy's dishonor. Through the following, Juk-Cheon's personality is a paragon in moral philosophy(道學 and righteousness(義理) forever.

      • 기획논문 : 한(韓) 중(中) 유학(儒學)의 전통(傳統)과 변화(變化) ; 퇴계철학에 있어서 理의 능동성 이론과 그 연원

        장윤수 ( Yun Su J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1 No.-

        이 논문은 퇴계철학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理의 능동성 이론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우선 理의 字典的의미와 주자철학에 있어서 ``理``論을 살펴보고, 그러고 나 서 퇴계의 ``理``論과 대단히 흡사한 모습을 지닌 明代초기 주자학자들의 ``理``論을 고 찰하였다. 퇴계철학에 있어서 理의 능동성 이론을 직접 언급한 부분에서는, 우선 氣에 대한 理의 우월성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理動과 理發의 개념을 한 묶음으로 하 여 그 이론적 구조를 천착해 보았고, 理到는 인식주체와 객체의 대립이라는 관점 에서 생성된 개념으로 논의를 풀어나갔다. 그리고 퇴계가 주자의 理無爲說을 충분 히 인식하면서도 어떻게 理活物說을 주장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理의 體用論을 고찰하였으며, 마지막 부분에서는 퇴계철학에 있어서 理의 능동성 이론이 지향하는 바와 그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퇴계가 주자학 을 계승하면서도 어떻게 ``창의적``으로 발전시켜나갔는지를 확인하고, 그가 궁극적 으로 무엇을 지향하였는지에 대해 음미해보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ory about active of RI(理) that became controversy most in Toegye(退溪) philosophy. I examined dictionary meaning of RI and theory of Juja(朱子)`s in this paper. Then, investigated theory of RI in the early Ming dynasty Juja-scholars that become origin of theory about Toegye`s. Contents that refer active of RI in Toegye philosophy concerned greatly four subject. First, studied theory of RIDONG (理動) and RIBAL(理發) that assert superiority of RI than GI(氣). Second, studied theory of RIDO that emphasize RI of object in subject and object of cognition. Third, handled CHE(體)-YONG(用) of RI. Studied how Toegye was coexisted that doctrine of RI acts and RI does not act. Fourth, studied about aim and significance of activity theory of RI in Toegye philosophy. I tried to clear through this paper how Toegye prospered out of box Juja`s philosophy.

      • 퇴계와 다산의 심성론 비교

        유권종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본 연구는 퇴계학이 기호지역에 전개되면서 학문적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하는 사실을 퇴계와 다산의 학문 사이의 유사성과 연관성을 통해서 설명한 것이다. 특히 심성수양과 관련된 분야에서 퇴계에 대한 다산의 학문적 태도를 중심으로 점검하면서, 다산에 의해서 계승된 퇴계학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여 고찰된 까닭에 이 연구는 다산의 실학과 퇴계의 성리학 사이에는 차별성이나 단절성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똑같은 유학으로서 상호 연관성이나 연속성이 존재한다는 것도 아울러 추론하였다. 그 동안 성리학과 실학을 서구의 철학적 관점에 의하여 조명한 결과는 철학적 사고 차원의 차이를 선명하게 구별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두 학자의 학문적 관계를 철학보다는 유학이라는 관점에서 비교하면 차별성 못지 않게 동질성도 매우 강하게 관찰된다. 그것을 본 연구에서는 다산이 퇴계의 학문으로부터 유교의 도를 계승하고자 하는 태도가 분명하다는 점으로 설명하였다. 그 태도는 그의「西巖講學記」, 「陶山私淑錄」, 「理發氣發辨」 및 각종 경전의 주석에서 고찰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egyes Neo-Confucianism and Dasans Practical Learning. Especially in the sphere of moral self-cultivation the relationship keeps so much similarity. Dasans works as like Seo-am-gang-hak-gi, Do-san-sa-suk-lok, I-bal-ki-bal-byeon1,2 etc., succeeded to Toegyes viewpoint. Ever though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Neo-Confucianism used by Toegye were not accepted by Dasan, but Dasan recognized Toegyes idea of two ways to start ones feelings or emotions, that is I-bal and ki-bal. and accepted as his useful method to explain the appearances of ones mind. And Dasan admired Toegye and copied after him in his true heart. These facts told us that even though philosophically Dasans thoughts were different from Toegyes, but in the Confucian Way, Do(道), it is certain that Dasan succeeded to Toegye. From this inference, Toegyes learnig kept an important portion in Dasans Practical Learning, specially in the ideas of moral self cultivation. Now we can insist on a continuity of Confucian learning between Toegye and Dasan.

      • KCI등재

        퇴계와 율곡에 대한 재해석 : 율곡의 퇴계 비판을 중심으로

        金璟鎬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1 No.-

        본 논문은 퇴계철학의 영향 하에서 성립한 율곡철학의 차이점을 조명한 것이다. 율곡철학은 퇴계철학에 관한 근본적인 성찰을 전제하기 때문에 명확히 이해하기에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른다. 퇴계와 율곡의 철학은 리기심성에 대한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성립되었다. 리기 심성에 대한 논의는 그것이 이미 인간의 행위를 포함하는 한에 있어서 사변적인 이론의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것은 도덕과 윤리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행위실천을 지시하는 마음의 수양공부까지 함축한다. 그러므로 퇴계와 율곡과 같은 성리학자들에게 있어서 리기심성과 같은 사변적 논의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선한 본성을 일상적 삶의 세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보존하면서 확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의 모색이라고 할 수 있다. 성리학에서 리기심성론을 지속적으로 거론하는 이유도 이것이 인간의 도덕법칙과 윤리적 행위를 담보하는 심성의 문제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이기 때문이다. 퇴계와 율곡의 철학체계에서 리기심성론은 경험적인 우주 자연의 변화 · 운동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제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중요한 점은 인간의 심리현상 에 대하여 보다 논리적이고 정합적인 설명을 위한 준거틀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성립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율곡은 우주와 존재의 근원을 탐구하는 리기에 대하여 적확한 식견을 갖지 못한다면 다양한 인간의 심리현상을 다루는 심성의 문제에 대해서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율곡철학에서 존재에 대한 근본적 이해라고 할 수 있는 리기심성론은 퇴계철학의 연장선에 있다. 즉 퇴계의 리기심성론에 대한 수용과 비판이라는 재해석을 통하여 율곡 리기섬성론의 체계가 마련된다. 이러한 점에서 논자는 리기호발 · 주리주기의 문제를 포함한 퇴계철학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재해석을 통해서 율곡의 철학적 입장을 구 명하고자 한다. 이는 결국 퇴계의 철학에 대한 해명을 통해서 율곡철학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This paper is to explicate the modes of differentiation of Yulgok's philosophy based on the differential process of Toegye's philosoph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Yulgok's philosophy for it presupposes the radical reflection on the essence of Toegye's philosophy. Toegye and Yulgok's philosophies was constitut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argument on the theory of Liqixinxing. As far as the discourse of the Liqixinxing, it is not limited to the part of the speculative theory. It implies propriety practice that refers the concrete practice for realization of moral and ethics and mind study. Therefore, As for Neo-Confucians such as Toegye and Yulgok, all speculative remarks are like methodological search that how can human beings realize it in the real world without destroying the nature of morality endowed from the heaven. In Neo-Confucianism, theory of Liqixinxing is mentioned repeatedly for it is the methodology for explaining the human nature and mind. In Toegye and Yulgok's philosophical system, the theory of Liqixinxing was raised as a methodological theory for the elucidation of the change and movement of the experiential universe and nature. More importantly, the theory was also organized in the course of groping the criterion for a better theoretical and appropriate explanation about human psychological phenomenon. Especially, Yulgok points out that if human beings do not possess an accurate view on the theory of Liqi that search for the source of the universe and existence, they can not gain right comprehension on the matter of human nature(Xinxing) that deals with various psychological phenomenon of human beings as well. The theory of Liqixinxing, fundamental understanding on existence from the point of Yulgok's philosophy, lies on the extensional line about Toegye. In other words, such reinterpretation as acceptance and criticism on Toegye's theory of Liquxinxing provides Yulgok's theory of Liqixinxing ststem. Accordingly I endeavors to manifest Yulgok's philosophical standpoint by means of critical analysis and reinterpretation on Toegye's theory(including Liqihyfa, Zhulizhuqi). In its effect, this effort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understand Yulgok from the Toegye's philosophy.

      • 기획논문 : 퇴계사상(退溪思想)의 유학사적(儒學史的) 좌표(座標) ; 퇴계(退溪)의 "경(敬)의 심학(心學)"과 양명(陽明)의 "량지(良知) 심학(心學)" -『퇴계선생언행록(退溪先生言行錄)과 『전습록(傳習錄)의 "언행(言行)" 비교를 겸해서-

        최재목 ( Jae Mok Choi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7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1 No.-

        이 논문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이하 퇴계)과 양명(陽明) 왕수인(王守仁)(이하 양명)의 사상을, 특히 ?퇴계선생언행록(退溪先生言行錄)?과 ?전습록(傳習錄)? 비교를 통해 살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내용은 <퇴계의 ‘敬의 心學’과 양명의 ‘良知 心學’>을 정리하고 나서, 이어서 <?퇴계선생언행록?과 ?전습록?의 비교를 통해서 본 사상적 차이의 예>를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에 사용할 기본 자료는 퇴계의 언행을 그 제자들이 기록한 ?퇴계선생언행록?과 양명의 언행을 그의 제자들이 기록한 내용 등을 담고 있는?전습록?의 주요 부분이 될 것이다. 退溪學과 韓國文化 第41號 퇴계는 경(敬)을 중시했다, 그러나 양명은 ?성의(誠意)를 주로 하면 경(敬)이라는 글자를 덧붙일 필요가 없으며, 만약 덧붙인다면 그것은 사족(蛇足)과 같은 것?이라고 하며 양지(良知)를 중시하였다. 퇴계의 ‘경의 심학’과 양명의 ‘양지 심학’에서 전자는 심성의 수양을 통한 경건한 마음을 확립하는 것을, 후자는 자아의 완전한 발견을 통한 충분한 자유로운 실현을 꿈꾸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퇴계의 마음은 ‘거울을 단 고요한 마음’이었으며, 양명의 마음은 ‘태양 같은 활발한 마음’이었다. 그것은 ‘경’과 ‘양지’에 상징적으로 나타나 있다. 인간이 인간답게 산다는 것을 외부 지식의 양적 축적이 아니라, 사물과 인간을 진지하게 관찰하고 신중하게 응대하는 ‘태도’(=敬)를 견지함(持, 居)에서 찾던 퇴계, 그리고 자기 마음(=내면)의 온전함(=良知)을 신뢰하고 그것을 적극 실현함(=致)에서 찾던 양명은, 어느 쪽이나 동양의 사유에서 돋보이는 ‘마음’의 발견자였고 경영자였다. 그들은 지역을 달리 했지만, 인간의 삶에서 어쩔래야 어쩔 수 없이 생겨나는 트라우마를 치유하고자 했던 ‘삶의 유능한 멘토’였다. 나아가서 그들의 마음에 대한 오래된 사상적 아젠다는, 그 방식이 좀 다르다고는 할지라도, 지금의 우리에게서도 여전히 ‘첨단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해야 하겠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Toegye Ihwang(1501~1570) and Yang ming Wang shuren(1472~1528)’s mind philosophy through the two ana- lects Toegyesonsengonhenglok and Chuanxilu. Toegyesonsengonhenglok is written by Toegye’s excellent disciples, and Chuanxilu is written by Yangming’ excellent disciples too. And we can find out a many point of differences through the examples of the two analects, such as instruc- tional method, a point of view on human being, a woman, nature and death and so on. Particularly, Toegye lay weight on awe and respect (Jing, Gyong, 敬) against human and nature such as Chuzhi schools did in generally. Yangming, the other side, lay weight on the nature of human mind(Liangzhi, Yangji, 良知) and sincerity(Cheng, Seong, 誠), so he lay emphasis on Liangzhi only, and denied Jing. But, I think basi- cally, Toegye and Yangming has hardly same point of view on humanity and nature. The two thinkers, although some scholar who have studied on two are against the idea, did not want to accumulate a store of knowledge quantitatively. They, In short, has same uptodately agenda for human and nature.

      •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리주기자설(理主氣資說)과 그 사상사적(思想史的) 의미(意味)

        전성건 ( Sung Kun Jeo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퇴계의 四端七情에 대한 후대의 평가는 互發說의 타당성을 위주로 이루어졌다. 渾淪說과 分開說 가운데, 퇴계학파는 분개설에, 율곡학파는 혼륜설에 무게중심을 두고 비판과 재비판의 과정이 되풀이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비판과 재비판은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학문적 입장차이 뿐만 아니라, 정치적 입장차이로까지 진행되었다. 正學의 수호라는 명목 아래 互發說과 氣發理乘一途說의 학문적 대립이 學派와 黨派의 정치적 대립물이 되고 만 것이다. 정치적 권력에서 소외된 영남남인의 차선책은 학문적 권위를 빌어 정치적 소생의 기회를 찾는 일이었다. 17세기 퇴계학파는 葛菴을 필두로 하여 ``율곡의 호발설 비판``에 대한 재비판을 통해 영남남인을 규합하여 정치적 활로를 찾으려 하였지만, 영남남인의 정계진출은 더욱 어려워지고 말았다. 게다가 18세기에는 노론 중심의 정국이 견고해지고 영남남인을 회유하려 그들의 근거지까지 노론세력이 침투하는 상황이 본격화되었다. 이때 등장한 인물이 大山이다. 그는 퇴계학파의 적통으로서 퇴계학의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는데, 특히 그가 주장한 理主氣資說은 영남남인은 물론 근기남인의 학문에도 사상사적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18세기 퇴계학파의 적통인 대산의 理主氣資說의 논리구조와 그것이 갖는 사상사적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산의 理主氣資說 형성에 직간접적인 연관성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론되는 사상을 考究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산의 학설이 영남남인과 근기남인에게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간략하게 다룰 것이다. 葛菴과 密菴을 계승하여 18세기 퇴계학파의 큰 스승으로 자리한 대산이 그들과는 구별되게 퇴계의 사단칠정론을 해석하였다는 점은, 학문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정치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국면에 대응해야 했던 한 지식인의 고뇌가 있었을 것이라 판단된다. Daesan`s position on the four-seven debate between T`oegye and Yulgok school is not only built on the T`oegye`s but also reflect Yulgok`s to some degree. In this regard, his theory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so-called liju-kija is has uniqueness in the history of thought in 17∼18th century. The key point is how to interpret T`oegye`s mutual issuance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The main stream was attached to the aspect of dissociating the two emotion which are moral sense and physiological sense like theory of Cheongdae. By the way, Daesan made an effort to synthesize each other`s differences, and both Woodam and Seongho have a little different and analogous role. Most important is that Daesan tried to negotiate T`oegye and Yulgok school in the history of thought. And his trial is to bind T`oegye school when T`oegye school was going to be cajoled by Yulgok school, and to expand T`oegye school to the Sungho school in the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 鶴峯의 樓亭詩 硏究

        이정화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4

        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본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 퇴계와 같은 도학적 시인임을 입증하는 것이 되며, 이것이 학본의 누정시와 퇴계의 그것에서 보여지는 공통된 특징이라 하겠다. 특히, 학봉은 스승 퇴계가 시를 남겼던 누정에 올랐을 때의 감회를 읊은 次韻詩를 제작하였다. 또한, 학봉의 누정시에서는 公人意識과 치열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亂世를 잘 극복해보려는 지식인의 鬪志를 담아내기도 하는 등 독자적인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의 公平無私한 삶의 片鱗은 宦路에서 제작된 누정시에서 찾아지는데, 「矗石樓一絶」을 제작하는 순간에 公人意識이 가장 절정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42세 때에 함경도 巡撫御史로 있으며 제작한 「登惠山鎭掛弓亭」, 「鎭戎樓」에서, 학봉의 정신은 지난날 이 지역에서 호령하였던 尹瓘, 金宗瑞 장군의 기개를 닮고 있다. 시 속에 투영된 그의 義血은 愛民意識과 관련된 것이다. 왜나하면, 그가 수자리하는 병사들의 지친 모습을 놓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定平府次軒韻」에서는 국가를 위해 한 목숨을 기꺼이 바친다는 一念이 邊方의 오랑캐를 향한 殺伐한 기상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로써 보면, 학봉은 퇴계의 누정시에서 확인된 도학적 서정시의 경계를 창조적으로 계승하였다고 하겠다. 그의 시에는 스승을 닮으려는 溫柔敦厚한 資稟과 칼을 찬 선비의 굳센 기상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ak-bong poetry considering a scholar-official poet of 16C in Joseon. Generally he was a accomplished scholar as study of human nature(性理學).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strate the poetic spirit of Hak-bong.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starts from the view of life. We can find the fact that his personality is based 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Toegye. The arbor poetry of Toegye reveals a remark full of meaning. having no concern with poetical title. Hak-bong were inclined to approach him from the Cha Woon of Toegye poetry. The arbor poetry of Hak-bong embody the truth of life and exhibit the sympathy of the poor His poetry expresses his poetical words suggest that he reveals the recognition of reality.

      • KCI등재

        晩求 李種杞의 성리학적 입장에 대한 검토 -寒洲學派와의 논변을 중심으로-

        임종진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본 논문은 19세기말 영남의 성리학자인 李種杞의 성리학적 입장을 살펴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性理學에 대한 이종기의 입장은 그의 문집 속에 들어 있는 소논문들, 李震相과 그의 제자 및 다른 성리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러한 글 속에서 이종기는 여러 성리학적 주제들과 관련된 자신의 입장을 피력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해 보면, 이종기는 크게 두 측면에서 자신의 성리학적 입장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첫 번째 측면은 기호학파의 대표적인 인물인 李珥의 성리학적 입장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退溪學派로서의 자신의 사상적 좌표를 명확하게 설정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측면은 퇴계학파 내에서의 성리학적 입장과 관련되어 있다. 이 점과 관련해서는 이종기와 이진상을 비롯한 寒洲學派(許愈, 尹胄夏, 郭鍾錫)와의 논변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주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 부분이다. 理氣論과 心性論을 중심으로 해서 이 부분에 대한 이종기와 한주학파의 성리학적 차이점을 드러내 보이면, 자연스럽게 당시 퇴계학파 내에서 이종기의 성리학적 입장이 가지는 의미와 평가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理氣論과 관련해서 살펴보면, 양측 모두는 기본적으로 朱熹와 이황에서 비롯된 主理論의 입장을 표방하고 있다. 그러나 한 걸음 더 나아가면 여러 가지 주제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요컨대 한주학파는 보다 주리적인 측면을 부각시켜 리와 기의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입장이라면, 이종기는 리와 기의 조화와 공존의 측면을 보다 강조하려는 입장이다. 心性論과 관련해서도 한주학파는 心卽理說을 주창함으로써 이황의 心合理氣說을 고수한 이종기와 대립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양측의 입장 차이는 쉽게 해소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첫째는 朱熹와 같은 성리학자들의 이론 자체에서 발견되는 부정합성의 문제 때문이고, 둘째는 한 성리학자의 이론에 내재된 다면적인 함의 중에서 어떤 측면을 중요하게 보는가하는 문제가 계속 남기 때문이다. 이제 이종기의 성리학적 입장과 관련해서 약간의 평가를 덧붙이고자 한다. 이종기는 기본적으로 李滉의 理氣互發說과 심합리기설의 입장을 성리학 이해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나치게 理發ㆍ氣發만을 강조하는 성리학적 입장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이러한 입장은 물론 기호학파의 主氣論에 대한 비판이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한편으로는 퇴계학파의 주리론이 후대로 내려오면서 점차 리 위주로 모든 것을 해석하려는 경향에 대한 퇴계학파 내부의 자기반성적 태도와도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이진상을 중심으로 하는 한주학파가 理優位論을 근간으로 하는 觀念(idea) 위주의 理想主義的 입장에서 퇴계학을 계승했다면, 이종기는 상대적으로 氣의 존재론적 위상에 좀 더 주목하여 종래 퇴계학파의 性理思想을 보다 현실적인 입장으로 이동시켜 사상적 균형성을 회복하려는 태도를 견지한 ‘退溪學의 現實主義的 繼承者’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look over the Neo-Confucian position of Lee Jong-Gi, a Confucian scholar of Youngnam a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is position on Neo-Confucianism can be figured out through some small articles in his collection of works and his correspondences with Lee Jin-Sang and his disciples and other scholars. In these works, we can see that Lee Jong-Gi had revealed his position to the various Neo-Confucian issues in two large aspects. The first aspect is that by way of taking critical stance on the Neo-Confucian position of Lee I,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school of Giho, he, as a scholar of the school of Toegye, established clearly his stance of thought. The second aspect is related to his position within the school of Toegye. In regard to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is argument with the school of Hanju represented by Lee Jin-Sang. This article mostly deals with this part, and thereupon meaning and evaluation about Lee Jong-Gi's Neo-Confucian position can be drawn naturally. First of all, if we look into the theory of li[principle]-ki[material force], both sides basically took the position of the theory of Juli[主理論] which was originated by Chu Hsi and Lee Hwang. However, if we take one step further, we can see that they revealed some differences in many issues. For example, while the school of Hanju(Lee Jin-Sang and his disciples like Heo Yu, Yun Ju-Ha, Kwak Jong-Seok) tried to emphasize the distinction between li and ki by way of revealing more the aspect of Juli, Lee Jong-Gi tried to emphasize the harmony and coexistence of li and ki. In regard to the theory of human mind and nature, the school of Hanju, by advocating the theory that human mind is li[心卽理說], took different stance against Lee Jong-Gi who held fast to Lee Hwang's theory of human mind as the integration of li-ki[心合理氣說]. Yet, the difference of both positions is at the same time a kind of structural problem that cannot be dissolved easily. It is due, first, to the disparity discovered from the theory itself of Neo-Confucian scholars such as Chu Hsi, second, to the fact that there still remains a problem that among various immanent implications of a scholar which aspect is to be considered most importantly. At this point, we need to add some evaluation in regard to Lee Jong-Gi's Neo-Confucian position. Basically he got his root of Neo-Confucian understanding from Lee Hwang's theory of co-arousal of li-ki[理氣互發說] and theory of human mind as the integration of li-ki. Therefore, he was skeptical to the Neo-Confucian position that had excessive emphasis on the arousal of li[理發] and the arousal of ki. This kind of position as well as the critique of the theory of Juki[主氣論] of the school of Giho has a much greater deal of weight, but in the meanwhile it is related to self-reflective attitude within the school of Toegye against the tendency to interpret everything mostly with regard to li. This tendency had been developed as the theory of Juli of the school of Toegye had been handed down to later generations. From this aspect, we can see that while the school of Hanju led by Lee Jin-Sang had taken over Toegye Studies form the idealistic position centered on idea based on the theory that li is superior, Lee Jong-Gi can be called 'a realistic successor of Toegye Studies' who adhered to the position to recover the equilibrium of thought by way of moving the school of Toegye's traditional Neo-Confucian thought into more realistic position after paying more attention relatively to the ontological location of k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