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녕지역 고대 성곽에 대한 연구 : 낙동강 연안에 축성된 성곽을 중심으로

        안성현,배한,윤용술 한국성곽학회 2011 한국성곽학보 Vol.19 No.-

        Since the fortress construction reflects the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idea (Political situations and relations between countries) of the period, all fortresses constructed in the same period might possibly have been constructed in a similar shape with a similar construction method, and this aspect might also be shown equally in Changnyeong area. Fortresses constructed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material obtained from the surface investigation on the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among the fortresses in Changnyeong area,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fortresses located in the east side of Nakdong River had been constructed between 5th century and the early 6th century, and these were constructed by the influential force. For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the fortresses constructed at the point where Nakdong River and branches of the river meet in a small size less than 200m. Seongsan mountain fortress and Unggok-Ri mountain fortress located where are advantageous to enter the Changnyeong area or Gujin mountain fortress located where can see the midstream of Nakdong River at a glance are in relatively large size between 400m to 600m, but still these fortresses are similar to or smaller than mountain fortresses constructed during the Silla period which are confirmed in Gyeongnam area. Therefore, By considering the size of fortresses located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we can assume that the state couldn't actively control Nakdong River. Second,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are divided into the earthen fortification and the masonry fortification, and more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are earthen fortifications. It is difficult to find an exact construction method of earthen fortresses but these fortresses seem to be constructed by only piling earth. Random walling was used for masonry fortresses but the ramparts were not constructed on the outcrop parts to reduce efforts. These aspects show clear distinction with typical fortresses in the Silla perio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bove, we can see that the fortresses constructed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except the one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Nakdong River are clearly in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ortresses constructed in the Silla period at the areas with regard to the territorial expansion at the period, so no evidence showing that these fortresses were constructed by the Silla Dynasty can be f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opinion that most of fortresse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Nakdong River were constructed by the Silla Dynasty. 성곽의 축조는 당대의 토목기술과 관념(정치상황과 국가간의 관계)을 반영하므로 동일한 시기에 축조된 성곽들은 유사한 축조수법과 형태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양상은 창녕지역에도 동일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고에서는 창녕지역 성곽 중 낙동강 연안에 축성된 성곽에 대한 지표조사를 바탕으로 확인한 속성들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 동안에 위치하는 성곽들은 5세기에서 6세기 초반경 재지세력에 의해서 축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낙동강 연안의 성곽들의 특징 및 성격은 첫째, 낙동강과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에 축조된 성곽들은 200m 이하의 소형인데 반해, 창녕지역으로 진출하기 유리한 지점의 성산산성과 웅곡리산성, 그리고 낙동강 중류역이 한눈에 조망되는 지점의 구진산성은 대체로 400~600m로 대형에 속하지만 경남지역에서 확인되는 신라산성 중 규모가 소형인 산성과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소형에 해당된다. 따라서 낙동강 연안에 위치하는 성곽의 규모로 보아 낙동강을 적극적으로 통제하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낙동강 연안 성곽의 축조수법은 토성과 석성으로 나누어지며, 토성의 비율이 높다. 토성의 정확한 축조수법을 파악하기 힘들지만 이 시기에 축조된 다른 토성들의 축조 수법을 감안할 때 순수판축 토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석성의 경우 허튼층쌓기에 가깝게 축조하였으며, 자연암괴가 노두된 부분은 성벽을 쌓지 않음으로써 공력을 줄였다. 이러한 양상은 전형적인 신라성곽과는 차이를 보인다. 상기의 내용으로 보아 낙동강 연안에 축조된 성곽들은 낙동강 동안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 시기 신라의 영토 확장과 관련된 지역에 축성된 신라성곽의 특징과 부합하지 않으며, 신라에 의해서 축조되었다는 근거 역시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따라서 낙동강 동안에 위치하는 대부분의 성곽들이 신라에 의해서 축조되었다는 견해는 수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강원지방 중세성곽에 대한 연구

        김진형 한국성곽학회 2013 한국성곽학보 Vol.23 No.-

        강원지방에 분포한 중세성곽의 현황과 현재까지 고고학적 조사가 진행된 성곽을 중심으로 문헌기록과 연결하여 강원지방 성곽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이 글의 목적이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성곽들은 중세에 신축되거나 수·개축된 성곽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정밀지표조사보고서나 발굴조사가 진행되어 보고서 등이 발간된 성곽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강원지방은 태백산맥이라는 자연적 경계로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으로 나눠 볼 수 있다. 단순비교이나 면적상으로 영동지역이 영서지역보다 작은 편이다. 그러나 성곽의 분포수에 있어서는 거의 비등하다. 다시 말해 이는 고려시대 동계로 편입되었던 영동지역은 군사적 목적이 강하고 그에 따라 성곽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영동지역은 현재까지 진행된 발굴조사나『高麗史』등과 같은 기록으로 볼 때 고려시대 초기부터 해안으로부터의 이민족 침입이 자주 일어났다. 그에 따라 해안성들이 축조되고, 해안성이나 주변 성곽을 통제할 수 있는 거점의 역할을 수행하는 읍성들이 축조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육지를 통해 몽고의 침입이 있었고, 해안을 통해 왜의 침입이 증가함에 따라 험악한 산중에 입보용산성이 축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전쟁양상과도 관련이 있으며, 점령이 아닌 약탈의 의미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영서지역은 문헌이나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아직까지 읍성이나 평지성, 평산성이 조사된 사례가 없다. 현재까지 조사된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 운영되던 테뫼식산성을 수축하여 사용하고 몽고의 침입과 더불어 영동지역과 마찬가지로 주변에 대규모의 포곡식산성을 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에서 중세 강원지방 성곽의 시기적 변천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성곽의 정확한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 발굴조사가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발굴조사가 이뤄진 성곽은 많지 않다. 또한 정밀지표조사가 실시되어 70여개소에 달하는 중세성곽에 대한 정확한 현황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더 많은 자료가 축적되고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된다면 본고는 수정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features of fortress in Gangwon Province in relation with the document records of fortress where archaeological survey was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status of medieval fortress in Gangwondo. Fortresses in this study are those constructed or renovated in the medieval period and fortresses with refined surface inspection report and excavation survey. Gangwondo is divided into Yeongdong area and Yeongseo area with the Taebaek Mountains as its natural border. Although it is simple comparison, Yeongdong area is smaller than Yeongseo area. However, the number of fortress is almost same. In other words, Yeongdong area which was incorporated during the Koryo period had strong military purposes and therefore, it had high density of fortress. Yeongdong area suffered from the foreign invasion from the ocean from early Koryo described in the excavation survey and records like『高麗史』. Accordingly, seaside fortresses were established and town fortresses were constructed for the role of hub to control surrounding fortresses. In the late Koryo, the Mongolian invasion through the land was carried out, and the protective fortresses were constructed in a rough mountainside in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Japanese pirates from the sea. This is related with the feature of war, and looks higher meaning of plunder than conquest. In Yeongseo area, there was no case of survey on flat ground fortress and flat mountain fortress in the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survey. Considering the survey so far, it is conjectured that they established Peak-banding style fortress(테뫼식산성) which was us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Valley-surrounding style fortress(포곡식산성) was established in a large size like Yeongdong area in along with the invasion of Mongolia. The periodic transformation of medieval fortress in Gangwondo was briefly examined. Excavation is required to figure out actual characteristics of the fortress, but not many excavation surveys were carried. And it is necessary to take refined surface examination of 70 medieval fortresses in order to figure out accurate status. Accordingly, it is recommended to collect more resources and to take researches in order to implement this study.

      • 새로이 찾은 충주지역의 성곽

        노병식 한국성곽학회 2010 한국성곽학보 Vol.17 No.-

        韓半島의 중심부에 위치한 忠州지역에는 지금까지 忠州邑城·忠州山城·薔薇山城·大林山城·寶蓮山城·龍觀洞山城·文周里山城·見鶴里土城·彈琴臺土城·하늘재 山城(寒喧嶺山城)·마즈막재嶺阨(忠州嶺阨)·麻骨岾山城·烽峴城址 등 모두 13개소 城郭이 알려져 있었는데, 2009년도에 새로이 虎岩洞土城과 將台山城 2개소가 찾아졌다. 虎岩洞土城은 충주시 虎岩洞 560번지 일원에서 일부 잔존하는 土壘가 확인돠었는데, 『三國史記』에 新羅 文武王 13년(673) 9월에 쌓은 國原城(옛 薍長城)터가 高麗 高宗代 蒙古侵入期에 改築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그러나, 그 실체는 土城으로서 세월의 흐름 속에 점차 황폐화되면서 高麗末期~朝鮮前期에 축조된 石築의 邑城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명무실해 진 것으로 보이며,『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 (1942)에 보이는 烽峴城과 관련있어 보인다. 將台山城은 충주시 금가면 금가면 하담리 산 9-3임 일원에 위치하고 있는데, 관련 文獻의 기록은 없으며, 統一新羅時代의 瓦積層 위에서 확인되는 U字形의 壕유구 및 凹字形의 도랑유구 등 성벽의 축조와 관련한 새로운 구조가 확인되어 주목된다. 虎岩洞土城 주위로 山城이 배치되어 있음은 新羅의 王京이었던 慶州地域, 新羅 西原京의 治所였던 淸州地域의 城郭配置가 중심부에 邑城을 두고 外廓에 山城을 배치하고 있는 사실과도 비교되어 이와 비슷한 羅城體系를 형성하고 있어 주목된다. 忠州地域에서 다양한 구조의 城郭이 확인되고 있음은 南漢江유역에 위치한 넓은 平野를 갖고 있는 지역으로서 남북으로 이어지는 陸上 交通路 및 東西로 이어지는 水路가 발달하여 있어 地理的 要衝地이면서 戰略的 重要性이 강조되고, 지역의 政治的 位相이 높았던 결과로 보인다. 충주에서 새로이 발견된 虎岩洞土城과 將台山城은 古代 中原京을 중심으로 한 城郭의 配置 및 築城史 硏究에 새로운 자료로 여겨지며, 韓國 城郭史 硏究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Chungju region has been known to have 13 fortresss - Chungju Eupseong fortress, Chungju Sanseong fortress, Jangmi Sanseong fortress, Daerim Sanseong fortress, Boryon Sanseong fortress, Yonggwandong Sanseong fortress, Munjuri Sanseong fortress, Gyunhakri Toseong earthen fortress, Tangumdae Toseong earthen fortress, Hanhwonlyeong Sanseong fortress, Mazmakjze Yeongaek barrier, Magoljeom Sanseong fortress, Bonghyeon Seong fortress site - , but in 2009year new found Hoamdong earthen fortress and Jangtae Sanseong fortress are added to the list. Hoamdong earthen fortress was found in the area of 560 Hoamdong, Chungju as a scattered earth work.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fortress was re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Kojong, Koryo dynasty after the Mongolian invasion on the site of Kukwon Seong fortress(Old name is Wanjang Seong fortress. According to "Samkuk Sagi", it was first established in September of 13th year of King Munmu in the Silla dynasty(673). However, this fortress was earth work that had been devastated as time passed by and gained less attention compared to the stone work established during the lat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And it looks to be related to Bonghyun Seong fortress shown in the record of "Chosun Bomul Kojuk Josa Jaryo" (1942). Jangtae Sanseong fortress is located in San 9-3 Hadam-ri, Geumga-myun, Chungju-si. There is no document left on the fortress, and it draws attention that a new fortress constructing structures are found such as 'U'tpye moats and '凹' type trench which have been seen on Wajeokcheung(瓦積層)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at the mountain fortress is displayed surrounding Hoamdong earthen fortress draws attention as the similar formations are found in Kyungju, the Silla's capital region and Cheongju region and the reigning place of Seowon Kyung, Silla. The reason why the Chungju region has diverse structural fortresses is that it has a vast open field in the valley of Namhangang river tha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geographical and strategical center linking south to north land routes and linking east and west water routes and the region had a high political reputation as well. New found Hoamdong earthen fortress and Jangtae Sansung fortress in Chungju are an important remains in the study of the display and construction of fortress in the ancient Jungwon Kyung. And this study expects to contribute to the history of fortress in Korea.

      • 한국 남해안 왜성 축성술 연구

        이형재 한국성곽학회 2010 한국성곽학보 Vol.17 No.-

        왜성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에 한국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 평양에 이르는 지역에 倭가 개입하여 축조한 성을 말하며, 그 축조 배경에는 일본군의 남해안 거점 확보가 주목적이었고 부수적으로는 행좌소와 보급기지 역할이 병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남해안 왜성은 1592년에 가덕, 웅천, 영등성을 시작으로 1593년에는 서생포, 기장, 자성대, 안골포, 거제도 등지에도 축조되었다. 이러한 왜성은 현재 남해안 일대에서 이미 확인된 것만 해도 30여 개소에 달하며, 내륙 곳곳에서도 유구는 자세하지 않으나 왜성의 기울기와 축조수법을 가진 것들이 확인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이후에 김해, 울산, 구포, 순천, 사천 등지에서 간헐적인 고고학적 조사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최근 한일 양국에서 왜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조사 예가 늘고 있다. 왜성이 토목이나 건축사적 입장에서 우리나라와 일본 성곽사에 차지하는 비중이 결코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방면 연구는 주로 일본인에 의하여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실에서 왜성에 대한 전기한 기존의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본인이 직접 현지답사에서 얻은 자료를 집성,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축조기술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일본성곽요소와 우리나라 성곽요소가 혼합된 국제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석성의 발전과정은 사원계 석원의 성립→安土城→舊 大坂城→ 남해안 倭城→肥前 名護屋城→근세 석성→江戶期 개수성 등의 순서인데 그 중간에 왜성이 위치하고 있다. 둘째, 왜성 입지는 강이나 바다의 돌출한 곶에 위치하고 본곽, 2곽, 3곽으로 둘러져있고 그 형태는 연곽식, 별곽식, 제곽식으로 나눌 수 있다. 셋째, 왜성에 사용된 성석은 자연석, 절단면석, 다듬돌, 장식석 등으로 구분되며, 그 변천과정은 자연석→절단면석→다듬돌→화장석이라고 할 수 있다. 말기에 보수된 성에서는 이들 3단계가 혼용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 근세성에서도 장식석까지 혼용되고 있다. 성석 가운데는 성문 입구에 게시용으로 배치한 방문석을 일본 근세성에서는 立石, 裝飾石, 記念石, 鏡石 등으로 명칭하고 있으나 그 시작은 왜성에서부터 이며 조선읍성의 방문석이 그 시원이었다. 넷째, 초기 왜성은 축조 기법상으로 우각부는 축성집단에 따라 기울기를 63º, 60º를 기준으로 하는 곳과 50º이상을 전후한 기울기를 기준으로 하는 곳이 있었다. 그러나 정유재란기에는 70º, 80º에 가깝게 급한 기울기를 갖는가 하면 성고를 높이기 위해 협축 성벽을 구사하면서 전기한 2가지 기울기를 겸용한 분절형 성벽이 나타나며 전쟁 말기에는 곡선 성벽도 나타난다. 이것은 모두 왜성에서부터 시작되었음을 잘 알수가 있다. 다섯째, 성곽의 구조적 측면으로 보면 왜성에서 시작된 치성, 적대, 등성로, 해자, 고식 고려문 등이 일본 근세 석성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 남해안에 위치하는 왜성은 기본적으로 일본적인 요소와 조선적인 축성기술 요소가 혼합되어 발생기에는 일본적인 요소가 농후하다가, 수축기에는 점차 한국적인 요소가 증대되고 발전기에는 왜성 축조기술이 일본으로 전파되어 일본 근세 석성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기울기의 변천, 경석의 배치, 성석의 채택, 천공에 의한 절단방법, 성곽석과 채움석 쌓기수법, 협축과 분절형 성벽, 치와 적대, 해자, 고려문 설치 등은 우리나라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통적으로 축조된 산성, 읍성, 진보루 등 관방성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기술 중 일부임을 감안할 때 일본 근세성은 물론 우리나라 석성 연구에 있어서도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되는 것이다. Waeseong refers to the castles constructed by the Japanese invaders during Imjinwaeran or Jeongyujaeran(a war following Imjinwaeran) from Seoul to Pyeongyang, mainly on the south coastal(Namhaean) area of Korea, and their main purpose was to procure a military foothold at the south coastal area, and their secondary purpose was to make such castles to be the camp for the commanders and military, and at the same time, the station of war supplies. The Namhaean Waeseongs of Korea were constructed at Gadeok, Ungcheon and Yeongdeung-seong('seong' means a castle in Korean) in 1592 and at Seosaengpo, Gijang, Jaseong-dae, Angolpo, Geoje Island in 1593. About 30 of these Waeseongs exist on the Namhaean area only, and, in some inland areas, some structures that show the angle feature and fortification technique of Waeseong are found though entire and specific remains haven't been excavated yet. I collected and analyzed existing archaeological research results regarding Waeseong and the data obtained my own field trip to Waeseo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aeseong had the intern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represent both the traditional Japanese and Korean features of castles in respect of fortification technology. Also,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 these characteristics had contributed themselves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Japanese castles for great part. Their specific contributions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ly,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Japanese stone statue is as follows; firstly, establishment of stone temples, secondly, figure paintings, thirdly, old Daepan-seong('seong' means a castle in Korean), fourthly, the Namhaean Waeseong, fifthly, Bijeon Myeonghwakok-seong, sixthly, the modern stone statue, and lastly, Gangho-gi re-make seong. In the middle of this process, Waeseong is situated. Secondly, the Korean Waeseong is situated on a salient hill adjacent to a river or sea, and the second or third castle walls were surrounding the first or main castle walls which were located at the center of an entire castle. Thirdly, Castle stones can be classified into some categories including natural stones, severed-side stones, trimmed stones and ornament stones, and the order of their development process is firstly, natural stones, secondly, severed-side stones, thirdly, trimmed stones, and lastly, decoration stones. Especially, among the castles repaired during the later part of the Waeseong period,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three stages were used in turn, or, mixed stones including ornament stones were used for the modern Japanese castles. Fourthly, In respect of fortification technique of Waeseong, the corner of Waeseong had a different angle according to each different construction group or people; some had a 63º to 60º angle, and the other had an angle about 50º or above. However, at the end of Jeongyuwaeran, some had a bigger angle like 70º or 80º, and some had separate-style castle walls in which aforementioned two kinds of bigger coner angles were utilized all together as the layered castle walls were made to elevate the castle hills. At the end of the war time, there appeared some castles which had parabola castle walls. One can figure out that all these are originated from Waeseong. Fifthly, In respect of the structure of the castles, the unique features of Waeseong can be found from the modern Japanese stone statues, including Chiseong(low fence set up on the castles), Jeokdae(a part constructed at the two wings of a castle door to protect it from the enemy), Deungseongro(a road to climb a castle), Haeja(a pond or lake surrounding a castle) and Gosik Goryeo-mun('mun' mean a door in Korean). As above, Waeseongs on the Namhaean area of Korea are unique castles which have the international features mixing the Japanese-style fortification technique as its basic construction style and the fortification style of the Joseon Dynasty. At its primary time, Waeseong showed the strong influence by the Japanese-style, but, at after its prosperity, it showed much greater influence by the Korean fortification style than that of the Japanese style. Meanwhile, the Waeseong fortification technique was conveyed to the mainland Japan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Japanese stone statues.

      • 파주 덕진산성의 축조양상과 변천과정

        박현준,서승완 한국성곽학회 2023 한국성곽학보 Vol.29 No.-

        파주 덕진산성은 임진강 북안에 위치하는 산성이다. 현재까지 6차례에 걸쳐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성벽 및 시설의 축조양상을 파악하여 경관의 변화과 정에 대해 살펴보고, 수축에 대한 특징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덕진1기는 고구려가 처음 덕진산성을 점유한 시기로 북상하는 신라군을 방어하기 위해 임진강유역의 성곽들과 함께 축조하였다. 덕진2기는 고구려 멸망 신라가 덕진산성을 확보 하고, 나·당전쟁 중 전쟁에 이용하기 위해 성벽과 부대시설 등에 대한 대대적인 개·보수 를 실시하였다. 덕진3기는 신라가 북쪽의 방어선을 강화하고, 지방행정을 정비하면서 덕진 산성을 지방행정에도 이용하기 위해 성벽과 시설물을 정비하였다. 덕진4기는 조선시대에 다시 고쳐 쌓아 이용하였다. 덕진산성은 고구려-신라-조선시대까지 지속적으로 성곽이 이용되는 과정이 명확하게 확인되고 있어, 다른 성곽과 비교를 통해 성곽의 축성법과 운영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 한 자료이다. 분석 결과, 수축을 통해 확인된 특징점들은 ①성벽을 덧대어 그대로 이용하였 다. ②좁은 성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고 한 노력들이 확인된다. ③성의 운영목적에 따른 구조적 변화가 확인되었다. 시기별로 목적에 따른 변화가 확인되고, 조선시대에는 외 성의 축조를 통해 삼국시대와는 다른 공간활용이 주목되었다. 덕진산성의 시간변화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덕진산성이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 지 지속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성곽의 운영에 대한 기초자료가 확보되어 다른 성곽과의 비교·검토에 앞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新羅 國原城 推定址에 대한 考察

        노병식 한국성곽학회 2012 한국성곽학보 Vol.21 No.-

        『三國史記』에의하면신라文武王13년(673) 9월에 둘레 2,592보의 국원성(國原城)을 쌓았다고 하였다. 국원성 추정지는 지금의 충주 중심부 외곽 사직산∼만리산∼충주 성심학교를 연하는 구릉성 능선과 평지를 에워쌓은 외성(外城)이 말각정방형(抹角正方形)으로 둘레가 약 6km 의 흔적을 남기고 있고, 그 안쪽의 내성(內城)은 조선후기까지 경영된 충주읍성터가 위치하고 있어 이중복곽(二重複郭)의 나성구조(羅城構造)이다. 외성의 한 변의 폭은 대략 1.6km 정도로서 남북 중심축이 약 48º 정도 서향하고 있는데, 이는 주변의 자연지형을 활용하여 계획적인 구상을 하여 축조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성터의 입지는 성곽의 규모가 크면서 북쪽의 남한강(南漢江)과 서쪽의 달천(達川) 사이에 위치하고, 전면에 하천을 끼고 뒤에 산을 배경으로 하여 축조되고, 낮은 구릉을 배경으로 축조되어 있음은 한국의 다른 읍성(邑城)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 성터는 당초 신라가 이 지역을 장악하면서 국원성이라는 큰 성을 쌓아 중원경(中原京)의 치소(治所)로서 기능하였다고 여겨지며, 이 성터는 고려시대(高麗時代) 충주성(忠州城)으로서 기능(機能)하여 고려후기 몽고침입기(蒙古侵入期)를 즈음하여 대대적인 개축(改築)이 이루어졌으며, 조선시대에 이르러 방치되고 내성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개축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 성터는 충주의 사직산 서쪽 사면 구간과 만리산 동쪽 구간 능선 외연(外緣)에 잔존하는 성벽 구조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만리산 구간 토루 주변에서 발견되는 유물들은 대략 6세기 중엽에서 7세기 때의 신라계 산성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기와편으로서 인접한 충주산성에서 출토된 것들과 같은 유형의 유물이며 내성에서도 출토되고 있어 국원성의 축조(築造)와 관련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신라의 국원지역 대한 성곽 경영(經營)은 진흥왕 때에 먼저 남쪽의 충주산성(忠州山城) 및 평지에 작은 읍성(邑城)을 먼저 축조하고, 이후에 외곽에 대규모 평지성을 축조한 것이다. 이 성터의 구조가 평지에 대규모 방형(方形)의 이중복곽구조 성곽(二重複郭構造城郭)을 이루고 있으면서 배후(背後)에 산성을 두고 있음은 같은 시기의 다른 지역 도시성곽과 차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다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n『Samguksagi』, there is a record that Gukwon fortress with 2,592 Bo(feet girth) was built in the 13th year of King Munmu's reign (673). The assumed place was through Mt. Sajik and Mt. Manri to Chungju Seongsim school outside Chungju on the hillside and plain with external fortress trace of 6km girth with square(抹角正方形). The inner fortress has Chungju fortress site operated until later Joseon. Thus, it is double retrenchment outer wall structure(二重複郭羅城構造). The width of outer wall in a side is about 1.6㎞, which directs about 48º in its south-north axis, which seems to be constructed in intentional design using natural landscape. The location is noticeable as it is placed between Namhan River of the north and Dalcheon of the west with large castle size. In the front, it has stream with mountain and low hill behind, which is conventional to other fortress in Korea. This fortress site was thought to be possible as a ruling place of Jungwongyeong when Silla occupied this area and build a large fortress named Gukwonseong fortress. This fortress site was functioned as Chungju fortress in Goryeo period, and rebuilt at a large scale during the Mongolian invasion period at later Goryeo. It was abandoned in Joseon, and there seemed to have a continual rebuilding based on the inner castle. The fortress site has different structure to remaining fortress structure located between slop area western of Mt. Sajik in Chungju, and eastern hill of Mt. Manri. The relics found around earthen watchtower in Mt. Manri are the same types of roof tile fragments excavated in Mt. Chungju which were normally found in mid 6th to 7th centuries. It is also found in the fortress in late Joseon that consists of inner fortress. Therefore, it is conjectured to b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Gukwon castle. As to the castle operation at Gukwon area in Silla,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small castles were built first at Chungju mountain fortress and plain in the south, which were followed by the large scale plain castle in the outside. While the structure of this site forms double retrenchment structure and it has mountain fortress in the rear, it has square form of fortress with mountain fortress in the rear, which is a large difference and an advanced form.

      • 百濟王都 漢城의 구조와 防衛體系

        김기섭 한국성곽학회 2014 한국성곽학보 Vol.26 No.-

        백제는 한강유역에서 건국하고 금강유역에서 멸망했다. 왕이 살던 곳을 기준으로 구분하면, 한강유역에서는 慰禮城과 漢城, 금강유역에서는 熊津城과 泗沘都城으로 나뉜다. 흔히 위례성을 백제 전기의 왕성, 한성을 백제 전기의 도성․왕도라고 부른다. 기록에 따르면 한성은 北城과 南城 2개의 성으로 이루어졌는데, 북성은 기존의 위례성을 재편한 것이며 남성은 새로 쌓은 산성으로서 유사시를 대비한 군사적 목적의 왕성이다. 남성은 한산 자락에 쌓았으므로 漢山城으로도 불렸다. 북성은 지금의 풍납토성, 남성은 지금의 몽촌토성에 비정된다. 백제 왕도의 방위체계에 대해서는 한강유역의 고대 성곽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흔히 사용하지만, 유적 편년을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상태에서 지도상으로만 상정한 것이어서 한계가 있다. 백제 한성도읍기의 방위체계는 왕성 부근에 촘촘한 그물망 형태로 산성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변경 쪽에 치중했다. 왕도는 한강을 통제하면서 유사시에 옹성할 수 있는 군사적 목적의 배후산성을 대비해놓는 정도였으며, 군사요새는 한강보다 임진강․예성강 등 고구려와 전투를 자주 벌인 북방지역에 훨씬 더 많이 축조하였다. 고대의 방위체계 연구에는 유적의 정확한 편년에 기초하여 역사적 배경을 귀납적이며 거시적으로 통찰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Baekje was founded around Hangang river and was collapsed around Geumgang river. Classified by where the king lived, Hangang river period was divided into Wiryeseong and Hanseong and Geumgang river period was divided into Woongjinseong and Sabiseong. Commonly Wiryeseong is the fortress of the early Baekje, Hanseong is the capital fortress of the later Baekje.According to the record, Hanseong formed the North Fortress and the South Fortress. Wiryeseong was reorganized into the North Fortress, the South Fortress was a new fortress to defense. Because of the location on Hansan, the South Fortress was called to Hansanseong. The North Fortress would be the Pungnaptoseong Fortress and the South Fortress would be the Mongchontoseong Fortress.About the defense system of Baekje, we use as a way to organically connect the ancient fortress of the Hangang river. But it is limited only by assuming the maps not fully considering chronology. The defense system of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was focused on the frontier, not around the capital. The capital prepared the military fortress for the purpose of defense controlling the Hangang river, many Fortresses were located on northern region that did battled with Goguryeo at Imjingang river and Yeseonggang river. About the study of the ancient defense system, we have to gain the insight to study historical background more inductively and macroscopically based on chronology.

      • 조선전기 기장읍성의 축조기법에 대한 소고 : 기장읍성 체성부 축조수법을 중심으로

        이일갑 한국성곽학회 2011 한국성곽학보 Vol.19 No.-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40호로 지정되어 있는 기장읍성은 조선시대의 읍성축조수법이 정형화된 형식으로 정리되기 이전에 축조되어 고려시대 성곽 축조수법과 조선의 읍성축조수법이 혼합되어 성곽축성사에 있어 읍성축조수법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기장읍성에서 확인되는 사직선기단의 축조는 과거 고려시대말까지 계속 축조된 판축토성(版築土城)의 기단부 축조방식을 읍성축조에 적용한 결과로 고려 판축토성에서 조선시대 석축성인 연해읍성의 축조로 이어지는 흐름의 연결고리라고 할 수 있다. 기장읍성 동벽 체성부에서 확인되는 세장방형 외벽면석 축조수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선시대 읍성의 장대석 입수적 축조수법과는 차별성을 지닌다. 기장읍성 남벽과 동벽 체성부 기저부 축조수법은 김해읍성, 웅천읍성, 동래읍성, 고성읍성 등에서 확인되는 지대석 설치 이전에 바닥에 판석을 이용하여 바닥면의 수평을 맞추어 정리된 구조물은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축조수법이 사용되기 이전 시기에 축조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장읍성은 사직선기단축조수법, 체성부 세장방형 외벽면석의 사용과 더불어 고려시대의 성곽축조수법과 조선시대 연해읍성 축조수법이 혼용된 과도기적 읍성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Gijang-eup fortress, Busan metropolitan city monument No.40, has a value in that because this fortress was constructed before using the technique of constructing Eup fortress in Chosun dynasty arranged in typical form, change of Eup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 can be known with the mixed technique of Goryeo and Chosun dynasty. Construction of platform in slide line identified in Gijang- eup fortress is a result of applying construction technique of platform part for rammed earth fortress. This technique shown in Gijang- eup fortress can be a link between rammed earth fortress in Goryo and Eup seong near sea which was a stone fortress in Chosun.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outer wall stone in narrow rectangle shape identified in wall body part of eastern wall in Gijang- eup fortress is distinguished from construction technique with foundation stone in generally known Eup fortress in Chosun dynasty.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lower base of wall body part of southern and eastern walls in Gijang- eup fortress does not show structures arranged making even level using stone slab before constructing foundation stones identified in Gomhae-eup fortress, Woongcheon-eup fortress, Dongnae-eup fortress, Goseong-eup fortress etc. Accordingly, Gijang- eup fortress is the form constructed before using above construction techniques. Through this, it is known that Gijang- eup fortress is the interim Eup fortress with mixed construction techniques of Goryeo and Eup seong in Chosun along with construction technique of platform in slide line, outer wall stone in narrow rectangle shape identified in wall body part of Eup fortress.

      • 여수 석보(석창성) 발굴의 성과와 특징

        최인선 한국성곽학회 2012 한국성곽학보 Vol.22 No.-

        여수석보는 1457년(세조 3) 『세조실록』에 처음 등장하며, 전라도에서 최초로 연해안에 설치된 석보이다. 고려말 이래로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 이루워지던 축성 사업은, 조선 태종대에 入保를 위한 대형 산성의 수축과 함께 연해안의 주요 관방처 축성으로 이어졌다. 세종 27년(1445)에 조정에서는 병조판서를 보내 경상도와 전라도의 연해안 여러 고을의 책보(柵堡)를 둘러보게 하였고, 그 해 8월에 두 도의 요해처에 각각 하나씩의 석보를 축조하도록 결정하였다. 하지만 흉년이란 재해 때문에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만다. 그 후 여러 논의를 거쳐 마침내 여수 석보는 세조 3년(1457) 이전에 완성되고, 경상도 울산의 유포(柳浦)석보는 세조 4년에 축조되기 시작하여 그 이듬해에 완성을 보았다. 여수 석보는 2회의 발굴조사 결과 성격이 어느 정도 밝혀 졌다. 이 성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평지성으로, 외벽은 할석을 이용하여 아주 정연하게 쌓고 내벽은 흙을 이용하여 축성한 편축식 성곽이다. 성의 네모서리는 각을 이룬 형식 아니라 호형으로 처리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성벽의 기초부 너비 5.7~6m 정도를 15~30cm 크기의 판석재 할석을 전체적으로 깔고 있다. 이러한 기초 부분의 형식도 여수 석보의 한 특징이다. 성벽은 지대석 끝에서 안쪽으로 20~30cm 정도 들여서 1단을 올려 놓아 조선시대 다른 석축성과 같은 기법을 적용하였다. 전 구간에서 조사된 해자는 너비 5m 규모이며, 양쪽에 석축을 하여 토사방지를 하였다. 건물지는 석보의 중심부와 서쪽에서 각 3동과 5동 조사되었다. 서쪽에서 조사된 건물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15~18세기 경으로 편년되고 있다. 따라서 이 건물지를 이용하였던 주체는 석보에 주둔하였던 군인들에 의해 처음 조영되었으며, 그들이 1522년 돌산진으로 이동한 후 언제부터 석보창 관련 시설물이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중심부에서 조사된 건물지는 대부분 17세기 중후반에서 18세기대에 해당하는 유물들이 주를 이루워 석보창 관련 시설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麗水石堡は1457年(世祖3年)「世祖実録」にはじめに登場して、全羅道に最初で沿海岸に設置され石堡 である。高麗末以来倭冦の侵入に備えて作られる築城事業は朝鮮太宗時代に入保のため大形山城の修築とともに沿海岸の主要關防(国境の防備)處につながった。世宗27年(1445)に朝廷(君主が国の政治を行所)には兵曹判書を送って慶尚道と全羅道の沿海岸の多くの村の柵堡見回すようにした。同年8月に両刀の要害處に各一つずつの石堡を築造するように決定した。しかし、凶年という災害のため実行できなくなった。その後多くの論議経てとうとう麗水石堡は世組3年(1457)以前に完成して、慶尚道の蔚山の柳浦石堡は世組4年に築造され始めてその翌年に完成された。麗水石堡は2回の発掘調査結果の性格がどれほど明かされた。この城は方形に近い平地城で、外壁は割石を利用してとても整然としているように積んでに内壁は土を利用して築城する片築式城郭である。城の四角は角を成した形式ではなく弧形で処理した特徴を見せてくれている。城壁の基礎部の直径5.7~6m程度を15~30cmの大きさの板石材の滑石を全体的に敷いている。このような基礎部分の形式も麗水石堡の一つの特徴である。城壁は地臺石の終りで中方へ20~30cm程度らのため1段を乗せて朝鮮時代に他の石築城のような技法を適用した。全區間で調査された垓字は直径5m規模であり、両方に石築をして土砂防止をした。建物址は石堡の中心部を西から各3棟と5棟で調査された。西から調査された建物址で出土された遺物は15~18世紀頃で編年されていた。したがって、この建物址を利用された主体は石堡に駐屯した軍人たちによって初めて造営されたし、それらが1522年突山鎭で移動した後いつから石堡倉の関連施設物だったことで見られる。中心部から調査された建物址はほとんど17世紀中後半から18世紀時代に該当する遺物が主に成り立って石堡倉の関連施設物で使われたことで推正することができ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