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 그 고대성, 광범한 사용, 그리고 방언들. 그 성격과 가치. 유럽인들이 중국어에 보낸 주목. 그리고 현재 중국어 연구시(時)의 참고서와 유인(誘因)」 역주(譯註)

        崔正燮(Jung-Sup Choi)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7

        『중국총보』는 초기 서구 개신교 선교사들이 1832년부터 1851년까지 20년간 중국에서 발행한 최초의 영문 월간지이다. 여기에는 『중국총보』 제작자들의 필요에 의해 중국어론들이 연재되었는데, 당시까지의 서양의 중국어연구성과들을 계승한 위에서, 중국어성서번역 및 사전 편찬의 실제적 과정들과 결합하여, 19세기 서양의 중국인식 가운데 중국 언어에 대한 인식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게 해 주는 글들이다. 여기서는 그중 브리지먼이 쓴 총론적 글을 역주하였다. 브리지먼은 먼저 중국어가 매우 고대에 생긴 언어이면서도 처음 생겨나던 당시의 모습을 변함없이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한자의 특징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그 다음에는 예수회 선교사들의 업적을 중심으로 중국어에 대한 서양의 연구를 소개한다. 그리고 브리지먼과 동시대의 저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중국어 문법서 및 사전 편찬의 작업들을 이야기한 후, 왜 서양인들이 중국어를 연구하여야 하는지를 국민 국가체계 속에서 중국의 위치설정과 서양과의 무역 및 기독교 선교의 유용성이라는 입장에서 역설한다. The Chinese Repository is the first monthly magazine published by early Western christian missionaries in English, from 1832 to 1851. In this magazine, about 30 articles on the Chinese language were published serially. Through these articles, we can find out what ideas the editors and publishers of that magazine have on the character of the Chinese Language. The fact that they are also the translators of the Bible into Chinese, and the writers of many important Chinese dictionaries is the reason why I translate and annotate Bridgman’s first article on the Chinese language here. First, Bridgman says that the Chinese Language is an ancient language, but originality is a striking characteristic of that language. Second, he explains the Chinese characters. Third, he introduces the various works of the Jesuit missionaries, for example, their grammars and dictionaries. Lastly, he emphasizes that Westerners have to study Chinese, and explains the reason why they learn Chinese.

      • KCI등재

        통사적 분석성과 매개변인 이론에 대해 (2)

        Huang, C. -T. James,朴赫在(번역자),南良祐(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3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3

        중국어가 고립어 혹은 분석적 언어라는 사실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중국어가 통사적으로 분석성(analyticity, 分析性)을 가짐을 논증한다. 또한 중국어의 분석성 현상과 이에 대한 최소주의 생성문법의 설명이 비단 현대 중국어뿐 아니라 고대 중국어, 중국어 방언 및 통시적 변천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론의 5장에서 저자는 현대 중국어 명사 및 동사의 논항구조가 갖는 분석성을 제시한다. 현대 중국어 특유의 형용사의 어휘-하부 수식, 결과 구문의 직접 목적어 요구(DOR) 위반, 비능격 동사의 비대격 용법, 주어/목적어의 비선택제약성은 논항구조가 갖는 분석성의 산물이다. 6장에서 저자는 고대 중국어 통사부가 현대 중국어와는 대조되는 종합성을 갖고 있음을 보인다. 경동사가 필요 없는 명사파생 동사, 진정한 포합, 단순 사동문을 통한 완수의미 실현, 수량 분류사가 필요 없는 가산명사, 방위사가 필요 없는 처소자격 명사는 어휘 층위에서 발견되는 종합성이다. 그리고 의문사 목적어 전치, 관계대명사 所+동사의 목적어 선행, 为/唯초점구 전치, 대조화제 전치, 부정 영역 내 대명사 목적어 접어화, 동사 후속 절 부가어, 표준 공백현상은 절 층위에서 발견되는 종합성이다. 저자는 중국어의 어휘범주핵 및 기능 범주핵(F0)이 이동의 촉발성 자질([+강] 혹은 [+EPP])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고대 중국어의 종합성을 설명한다. 이로 볼 때, 중국어의 통사부는 거시적으로 ‘종합성(B.C.500-A.D.200)→분석성(-A.D.1000)→온건한 종합성’의 변천을 겪어왔다. 현대 중국어의 다양한 방언들에서 공시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는 온건한 종합성의 정도 차이이다. 7장에서 저자는 현대의 표준중국어, 광둥어, 타이완 민남어를 대조하며 이를 분석성의 차이로 설명한다. 이들 방언들은 원형 분류사구의 분포, 동사-목적어 어순, 到-처소-去와 去-처소 중의 선택, 사동 포합, 상 접미사의 분포에서 차이를 보인다. 타이완 민남어, 표준중국어, 광둥어 순으로 분석성이 강하다고 할 때, 이와 같은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세 방언의 분석성의 차이는 또한 이들 방언의 영(null) 수사, 동사핵, 사동 경동사, 상 접미사가 이동 혹은 일치에서 촉발 혹은 비촉발 자질을 갖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8장에서는 중국어의 분석성에 대한 본론의 논의를 요약한다. 그리고 중국어의 유형론적 특징을 분석적―종합적과 같은 대형 매개변인보다 이동, 일치의 촉발―비촉발과 같은 소형 매개변인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 타당함을 주장한다. 소형 매개변인으로부터 대형 매개변인을 도출하는 기제를 다루는 최근의 연구를 소개하며 논의를 마무리한다. This paper shows that Chinese has syntactic analyticity in language typology perspective. The syntactic analyticity is observed in Old Chinese, Modern Chinese Dialect as well as Modern Mandarin Chinese, and also can be explained by the minimalistic analysis of Generative Grammar. In Chapter 5, I present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gument structures of nouns and verbs in Modern Chinese(MnC). The sub-lexical modification of adjectives, Direct Object Requirement violation of the resultative constructions, obvious unaccusative use of unergative verbs, and unselectiveness of both subject and object are products of the analyticity of argument structures in MnC. In Chapter 6, I show that the Old Chinese(OC) syntax has synthesis that contrasts with MnC. Denominal verbs that do not require light verbs, true incoporation, realization of achievement meaning through simplex causatives, countable nouns that do not require numeral classifiers and nouns qua locations that do not require localizers reveal synthesis at the lexical level. And wh-object fronting, relative pronoun Suo+verb preposition, Wei/Wei focus phrase preposition, contrastive topic preposition, pronominal object cliticization in the domain of negation, postverval clausal adjuncts and canonical gapping reveal synthesis at the clausal level. I explain the synthesis of OC as the lexical category head and functional category head(F⁰) of OC have the triggering qualities of movement ([+strong] or [+EPP]). From this point of view, Chinese syntax has undergone a macroscopic change in “synthesis(B.C.500-A.D.200) → analyticity(-A.D.1000) → mild synthesis.” The synchronic variation in the various dialects of modern Chinese may be characterize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oderate synthesis. In Chapter 7, I contrast Modern Mandarin Chinese, Cantonese and Taiwanese Southern Min(TSM) and explains them as differences in relative analyticity. These dialects differ in the distribution of bare classifier phrases, verb-object word order, choice between Dao-locative-Qu and Qu-locative, causative incopor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aspectual suffixes. Given that it is highly analytic in the order of “Catnonese > Modern Mandarin > TSM”, this difference can be explained. Furthermor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null numeral, verbal head, causative light verb and aspectual suffix differ in triggering features([}strong]) in movement and agreement among the dialects. Chapter 8 summarizes the bodys discussion on the analyticity in Chinese. In addition, I argues that it is reasonable to explai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micro-parameters such as triggering of movement/agreement rather than macro-parameters such as analyticitysynthesis. I finish my discussion by introducing a recent study dealing with the mechanism of deriving macro-parameters from micro-parameters.

      • KCI등재

        통사적 분석성과 매개변인 이론에 대해(1)

        박혁재,남양우 중국어문논역학회 2023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2

        본 연구는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중국어가 통사적으로 분석성(analyticity, 分析性)을 가짐을 논증한다. 나아가 생성문법 최소주의 관점에서, 중국어의 분석성을 핵 이동의 비촉발이라는 미시 매개변인으로 설명한다. 또한 중국어의 분석성 현상과 이에 대한 최소주의적 설명이 비단 현대중국어뿐 아니라 고대중국어, 중국어방언 및 통시적 변천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분석성이라는 개념은 Sapir(1921)가 언어를 분석적 언어와 종합⋅포합적 언어로 분류한 데에서 시작되었다. Greenberg(1963) 이후 언어학자들은 언어간 다양한 차이가 밀접한 연관관계를 보이는 점에 주목해왔다. 생성문법의 경우, 언어 간의 차이를 언어습득 과정에서 설정되는 매개변인의 차이로 본다. 핵 선행/후행, PRO 탈락, 포합, Wh-이동 등이 거시적 매개변인이라면, 최소주의 단계에서 핵의 자질 및 이에 따른 이동 촉발성은 미시적 매개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론의 2장에서 저자는 현대중국어 통사부의 분석성 현상을 다룬다. 경동사 구문, 유사 명사 포합, 합성이나 구 구성을 통한 성취의미 실현, 비종결성, 동사 강제의 부재는 동사성 영역에서 발견되는 분석성이다. 그리고 가산 명사-수 분류사, 처소 명사-방위사, 불연속적인 전치사, 외현적인 긍정 정도 표지는 명사성 영역에서 발견되는 분석성이다. 3장에서는 중국어의 분석성을 최소주의에 따라 체계적으로 포착할 방안을 제시한다. 분석성 매개변인은 동사, 명사 등 어휘범주의 핵이 이동을 촉발하지 않으므로 나온 것이다. 4장에서는 중국어 기능 범주핵인 T⋅C 또한 이동의 비촉발성 자질을 갖는다고 보고 중국어에서 나타나는 의문사구 제자리, 불연속적인 wh-the-hell 구문, 부정 양화사의 부재, 상호 대명사의 부재, 이중 명사류 each의 부재, 탁월한 Kayne식 어순(역순 V2), 정규 공백 현상의 부재 현상을 설명한다.

      • KCI등재

        중국어의 비(非)화제 주어 (1)

        劉丹?(Dan-Qing Liu),吳有晶(역) 중국어문논역학회 2017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1

        Li & Thompson(1976)에 따라 많은 학자들이 중국어를 화제 부각형 언어로 분류한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여전히 중국어의 주어를 화용적 화제로 이해하고, 심지어 중국어에는 통사적 주어는 없고, 오직 화용적 화제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통사, 정보구조, 운율적 특징 및 범언어적 비교를 통해 최소한 1) 주어가 대조 초점인 경우 2) 주어가 정보초점인 경우 3) 주어가 문장 초점문에 사용된 경우 4) 주어가 초점 운용자의 결속을 받는 경우 5) 비한정 주어문일 경우 6) 신정보 주어문일 경우 7) 최소 양화 주어문일 경우에는 주절의 주어가 화제가 아니며, 특히 종속절에서는 그러한 경우가 더욱 많음을 주장한다. 중국어의 주어와 화제는 많은 공통점을 가지지만 엄연히 독립적인 통사 성분인 것이다. 나아가 범언어적 관점에서 주어와 화제의 관계를 살피고, 이를 통해 주어의 원형은 행위자라는 관점을 지지한다. 주어는 행위자 원형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미역으로 확대될 수 있으나, 그 원근 거리는 언어마다 차이를 보일 수 있다. 화제 부각형 언어의 주어는 다른 유형의 주어보다 화제적 특성이 뚜렷하지만, 그렇다고 비화제적 행위자 성분이 주어가 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Many Chinese linguists agree to various degrees that Chinese is a topic-prominent language, as is proposed by Li & Thompson (1976). It is presupposed in Li and Thompson’s theory that subject and topic are not identical. Many grammarians, however, still hold the viewpoint initially claimed by Yuen-Ren Chao and Charles Hockett that all subjects in Chinese clauses are topics pragmatically. Since in Chinese there is no overt morphosyntactic marking specified on subjects and the subjects do often function as pragmatic topics, it is rather difficult, if not impossible, to distinguish the two overlapping notions. This paper aims to set a cluster of criteria under which one can specify situations where subjects are definitely not topics. The criteria are based on syntax, information structure, prosody and cross-linguistic comparison. By the application of these criteria to Mandarin Chinese, the paper identifies seven situations in which subjects are not topics, i.e. 1) subject is a contrastive focus; 2) subject is an information focus; 3) the whole sentence is in focus; 4) subject is indefinite; 5) subject is bound by a focus-sensitive operator; 6) subject is determined by a minimal quantifier, and, 7) subject is new information. In many cases, non-topic subject occurs in a thetic judgement rather than a categorical judgement. Finally, the paper revisits the issue concerning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 and topic in general. The author agrees with M. Shibatani that cross-linguistically the prototypical subject is the agent semantically. Languages vary in how far a subject can deviate from the role of agent. In many languages, some non-agent elements with topicality are not allowed to serve as subjects while any agent element, even being in focus, can freely occur as subject. In topic-prominent languages like Chinese, subjects bear topicality more often than in other languages; yet, subjects without topicality, i.e. non-topic subjects are still allowed in a considerable number of cases, as is shown in this paper.

      • KCI등재

        《支那語集成》의 중국어 한글 표기법 연구 ― 성모를 중심으로

        유재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Learning Chinese starts from understanding and reading Hanyu Pinyin(Chinese Phonetic System). Although Hanyu Pinyin has assured its position as a Chinese Phonetic System around the world, it also has undeniable limitations in some areas. Using Korean Alphabet in chinese education represents this reality. This study has planned to make a suggestion inspired by Korean Alphabet for improving some issues that Pinyin has. To achieve this plan, research on Consonant notation system of 《Zhinayu Jicheng(支那語集成)》 published in 1921 has been undertaken and it found some ways to make use of Korean Alphabet as an application for Chinese education. 중국어 교육은 중국어의 음성을 표기하는 부호 체계 즉, 한어병음방안에 대한 이해와 한어병음자모를 읽는 방법에서 시작한다. 한어병음방안은 중국어 음성 표기 체계로서의 확고한 위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이미 널리 쓰이고 있지만 교육적 한계 또한 부정할 수 없다. 국내 여러 대학의 중국어 교재에 한글 자모가 사용되고 있음은 한어병음방안의 이러한 한계를 대변한다 하겠다. 본 연구는 한어병음방안이 지닌 교육적 취약점 극복의 차원에서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어 발음 교육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1921년에 발행된 중국어 교재 《支那語集成》의 중국어 성모 표기법을 재구성해 내고, 이를 현대의 몇 가지 중국어 한글 표기법과 비교하면서 중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한글 자모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또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지 그 활용 방안을 찾아보고자 했다.

      • KCI등재

        중국어 담화의 기본 단위 및 흐름문(流水句)의 생성 요인에 관하여

        王洪君(Wang, Hongjun),李榕(Li, Rong),金賢姬(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0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7

        본고는 다음의 내용에 대하여 논의한다. 1. 중국어 담화 기본 단위의 필요성. 2. 해당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 연구. 3. 본고에서 제시하는 중국어 담화 기본 단위에 대한 정의: 담화는 언어 소통이 이루어지는 시간 및 발화자의 의도/역할/어기/양태 등 화용 통사 범주의 최소 및 차소(次小) 단위를 싣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고는 최소 단위를 “독(逗)”(원래는 ‘讀’으로 적음), 차소(次小) 단위를 “구단(句斷)”이라 명명한다.1)2) 4. 독(逗), 구단(句斷)의 음률상의 경계는 운모의 성조가 유지되는 연장의 형태 vs 마지막 운모가 하강 수렴되는 축소형에 묵음 휴지가 이어지는 형태,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5. 서면 상에서의 문장부호와 대응시켜볼 때, 쉼표 및 이에 준하는 문장 부호(이하 쉼표 유형3))는 모두 독(逗)과 대응된다. 반면 마침표 및 이에 준하는 문장 부호는(이하 마침표 유형) 준(准) 마침표, 진(眞) 마침표 두 가지로 나뉘는데(杜 1998), 준 마침표는 쉼표 유형과 동일하게 독(逗)으로 실현되고, 진마침표는 구단(句斷)으로 실현된다. 이 둘은 화제 전환에 있어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 6. 어법 구성 관계로 볼 때, 독(逗)은 구(短語)로 구성되고, 구단(句斷)은 영어의 문단에 상응하는 구성을 보인다. 7. 중국어, 영어, 한국어와 비교해 볼 때, 중국어 흐름문의 생성 요인은, 첫째, 중국어에는 주-술 관계를 필수 요건으로 하여 구성되는 절(小句)의 층위에 해당되는 통사 단위가 없다. 둘째, 중국어의 화제와 평언은 통사적으로 볼 때 (독립적으로 독(逗)을 구성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동사 혹은 명사와 같은 품사의 속성에 대한 제한이 없다. 또한 이보다 상위의 관점인 인지 구조에서 볼 때, 중국어에서 명사와 동사 사이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특징은 중국어 화자들이 끊임없이 변하는 광활한 세계를 변동이 없거나, 변환되는 현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비사건의 연속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following: 1. Necessity of Chinese Discourse Basic Unit. 2. Variou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problem. 3. Definition of basic Chinese discourse unit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discourse contains the minimum or subordinate units of pragmatic and syntactic categories, such as the time during which language communication takes place and the intent, role, language, and aspect of the speaker. In this paper, we designate the minimum unit as “Dou (逗)” (originally written as “讀”) and the subunit as “Juduan(句断)”. The boundary between Dou and Judua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extension of the Yunmu(韵母) to maintain the tone, and the reduction of the last Yunmu (韵母), followed by the silence. The outward appearance in Dou and Juduans written punctuation is: Commas and their punctuation marks (hereafter comma types) all correspond to Dou. On the other hand, periods and their punctuation marks (hereinafter, period type) are divided into semi-periods and true periods (杜 1998). Semi-periods are realized as Dou, the same as comma types, and true periods as Juduan. The two also differ in terms of topical change. 6. In grammatical relations, Dou is composed of phrases, and Juduan has a composition corresponding to a group of sentences in English. 7. Based on the contrast between Chinese, English, and Korean, the factors that produce Chinese Liushuiju (流水句) are as follows. First, in Chinese, there is no grammatical unit that corresponds to the level of clauses which is made up of subject-predicate relations. Seco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yntactic behavior of verbs and nouns in Chinese topics and statements (whether or not they can independently compose Dou). From a higher level of cognitive structure, the ambiguity between Chinese nouns and verbs is blurring because Chinese speakers recognize the vast and ever-changing world as a series of non-events, a combination of unchanged or transformed phenomena.

      • KCI등재

        模因论视野下汉语会话课教学的思考与探索

        Piao ZhenYan,정진강 중국어문논역학회 2017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0

        Conversational ability in Chinese is the weak point of Korean students, Students do not want to speak, the expression is often biased.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he teaching of Chinese conversation for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concept of memetics, this paper explores the causes of these errors. From the teaching practice,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existing in Korean conversation teaching for Korean students, and believes that teachers should follow the rule of memetic copy propagation, Optimize teaching methods. Teachers not only explain the knowledge points, but also should guide students to learn efficiently, to make the correct model first copy, to avoid detours, that is, to stifle the wrong “meme” in the bud. In order to make the right model of the preconceived, from the beginning of language learning, we should attach importance to the input, to be able to carry out decent conversation as the goal of learning. 한국 학생들에게 있어서 중국어회화 능력은 읽기, 쓰기, 듣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이다. 한국 학생들은 심지어 정규수업시간에도 중국어 회화표현을 꺼려한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구두회화 표현상에 오류가 자주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한국의 대학중국어 교육현장에 이 같은 현상을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용론에서 사용되는 memetics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 학생들의 회화에서의 오류의 근본원인을 탐구하고, 중국어 회화교육현장에서 memetics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 학생들이 중국어 회화수업의 실제상황을 체크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수업의 진행방식과 적절한 교수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교사는 단순한 중국어 지식의 전달자가 아니라 제한된 시간 내에 보다 효율적인 교수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중국어 회화능력의 제고에 일조해야 한다.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memetics이론을 활용한 교수법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KCI등재

        模因论视野下汉语会话课教学的思考与探索

        朴?瑛(Hong-Ying Piao),???(Chin-Kang Chong) 중국어문논역학회 2017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0

        한국 학생들에게 있어서 중국어회화 능력은 읽기, 쓰기, 듣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이다. 한국 학생들은 심지어 정규수업시간에도 중국어 회화표현을 꺼려한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구두회화 표현상에 오류가 자주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한국의 대학중국어 교육현장에 이 같은 현상을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용론에서 사용되는 memetics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 학생들의 회화에서의 오류의 근본원인을 탐구하고, 중국어 회화교육현장에서 memetics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 학생들이 중국어 회화수업의 실제상황을 체크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수업의 진행방식과 적절한 교수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교사는 단순한 중국어 지식의 전달자가 아니라 제한된 시간 내에 보다 효율적인 교수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중국어 회화능력의 제고에 일조해야 한다.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memetics이론을 활용한 교수법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Conversational ability in Chinese is the weak point of Korean students, Students do not want to speak, the expression is often biased.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he teaching of Chinese conversation for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concept of memetics, this paper explores the causes of these errors. From the teaching practice,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existing in Korean conversation teaching for Korean students, and believes that teachers should follow the rule of memetic copy propagation, Optimize teaching methods. Teachers not only explain the knowledge points, but also should guide students to learn efficiently, to make the correct model first copy, to avoid detours, that is, to stifle the wrong “meme” in the bud. In order to make the right model of the preconceived, from the beginning of language learning, we should attach importance to the input, to be able to carry out decent conversation as the goal of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支那語集成》의 중국어 한글 표기법 연구

        柳在元(Jae-Won Yoo)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중국어 교육은 중국어의 음성을 표기하는 부호 체계 즉, 한어병음방안에 대한 이해와 한어병음자모를 읽는 방법에서 시작한다. 한어병음방안은 중국어 음성 표기 체계로서의 확고한 위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이미 널리 쓰이고 있지만 교육적 한계 또한 부정할 수 없다. 국내 여러 대학의 중국어 교재에 한글 자모가 사용되고 있음은 한어병음방안의 이러한 한계를 대변한다 하겠다. 본 연구는 한어병음방안이 지닌 교육적 취약점 극복의 차원에서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어 발음 교육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1921년에 발행된 중국어 교재《支那語集成》의 중국어 성모 표기법을 재구성해 내고, 이를 현대의 몇 가지 중국어 한글 표기법과 비교하면서 중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한글 자모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또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지 그 활용 방안을 찾아보고자 했다. Learning Chinese starts from understanding and reading Hanyu Pinyin(Chinese Phonetic System). Although Hanyu Pinyin has assured its position as a Chinese Phonetic System around the world, it also has undeniable limitations in some areas. Using Korean Alphabet in chinese education represents this reality. This study has planned to make a suggestion inspired by Korean Alphabet for improving some issues that Pinyin has. To achieve this plan, research on Consonant notation system of 《Zhinayu Jicheng (支那語集成)》 published in 1921 has been undertaken and it found some ways to make use of Korean Alphabet as an application for Chines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