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 시기의 미디어 기기 노출이 이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코호트 연구

        이윤경(YoonKyoung Lee),신윤미(Yun-Mi Shin),최지은(Jieun Choi),유희정(Hee Jeong Yoo),박은진(Eun Jin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스마트폰 노출 경과와 위험 요인에 관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의 일환으로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미디어 노출의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3-5세 유아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미디어 노출에 대한 설문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을 6-12개월 후 추적하여 REVT와 PRES를 통해 언어능력을 평가하였다. 연령과 미디어 매체 유형에 따른 미디어 노출 시간을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미디어 매체 노출 시간의 영향은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전체 미디어 노출 시간은 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미디어 노출 시간은 미디어 매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V노출 시간이 가장 길었고 스마트폰이 그 뒤를 이었다. 둘째, 총 미디어 노출 시간은 유아의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5세 집단보다 3, 4세 집단에서 더 컸다. 미디어 매체 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 스마트폰 노출 시간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 TV가 뒤를 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언어 발달, 특히 어린 유아의 경우 미디어 노출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마트폰이 다른 미디어 매체들보다 부정적인 영향이 더 컸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미디어 노출의 영향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유아기의 미디어 노출에 대한 정책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dia exposure to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s a part of a cohort study on the progressive influences and risk factors of smartphone exposure to young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8 children aged 3 to 5 who participated in the prospective cohort study.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 survey on media exposure were followed up 6-12 months later and their language 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and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The media exposure times according to age and media types were analyzed through a repeated two-way ANOVA. The influences of the media exposure time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were analyzed through a simple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otal media exposure ti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but the media exposure ti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edia devices. Television exposure time was the longest, followed by smartphone. Second, total media exposure time negatively influence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influence of the 3 and 4 years group was larger than the 5 years group. According to media device, the smartphone exposure time negatively influenced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followed by televis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edia exposure negatively influence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especially younger children and the negative influence was larger with smartphones than other media de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edia exposure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ha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olicies against media exposure in childhood.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 자아노출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간의 차이

        류춘렬 한국소통학회 2007 한국소통학보 Vol.7 No.-

        소년들은 기존세대보다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더 활발하게 사용한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자아노출 개념과 미디어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먼저 요인분석을 통하여 청소년 자아노출의 주요 변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청소년들이 자아노출을 행하는 세 가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네 가지 미디어 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청소년들의 자아노출 요인분석은 ‘노출의 의도’, ‘노출의 양’, ‘노출의 긍정/부정의 속성’ ‘노출의 정확성’ ‘노출 깊이의 통제’ 등이 추출되었다. 자아노출에 대한 네 가지 미디어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 시도는 대체적으로 응답자들이 문자 미디어가 음성 미디어에 비하여 자아노출에 더 적절한 미디어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자 미디어가 실시간으로 직접 대화하는 것이 아닌 ‘일방적인’ 전달이므로 어색함이 덜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문자메시지의 우위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서 기능할 때에 유효하다. 친구 관계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의 미디어는 역시 면대면 대화가 문자메시지를 포함한 다른 모든 미디어보다 우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 uses of communication media on self-disclosure in adolescence. First, five dimensions of self-disclosure were distracted with factor analysis; intent to disclose, the amount of disclosure, the positive/negative nature of disclosure, the accuracy of disclosure, general depth/control of disclosure. The dimension ‘amount of disclosure’ wa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was related to two other dimensions. The others were similar with previous studies.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adolescents’ uses of four communication media (face-to-face, telephone, text messaging, and instant messaging) under three self-disclosure situations (when I talk secrets on myself, when I express my favorable feeling to friends, when I express complaints to my friends). The text media appeared as more favorable media for self-disclosure than the voice media. But the face- to-face communicat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efficient tool for developing relationship with friends.

      • KCI등재

        스폰서 기업명(CI), 제품명(BI) 미디어노출률 및 미디어수용자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A보드, LED보드 중심으로-

        김종훈 ( Jong Hoon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보드유형에 따른 스폰서 기업명(CI), 제품명(BI) 미디어노출률을 계량적으로 파악하고, 미디어수용자의 스폰서 인 지도를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브랜드인지도 향상과 이미지 제고에 대응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실현시킬 수 있는 실증적 기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처리 분석은 SPSS Ver.1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A보드 스 폰서 기업명(CI), 제품명(BI) 미디어노출률이 LED보드 미디어노출률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A보드 스폰서 기업명(CI), 제품 명(BI) 미디어노출률에 따른 미디어수용자 인지도를 살펴보면 미디어노출률에 따른 미디어수용자의 인지도가 부분적으로 비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LED보드 스폰서 기업명(CI), 제품명(BI) 미디어노출률에 따른 미디어수용자 인지도를 살펴 보면 미디어노출률에 따른 미디어수용자의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 관여 집단의 경우 LED 보드 관여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저 관여집단의 경우 A보드 관여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edia exposure rate of corporate identity and brand identity and recognition of media audience in order to provide empirical foundational data to improve marketing strategies, company’s brand awareness and the image. For data analysis SPSS WIN Ver. 12.0 was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media exposure rate of the A board’s sponsor corporate Identity and brand Ident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ED board. Second, with regard to the recognition of the media receiver according to the media exposure rate of the A board sponsor corporate identity and brand identity, according to the media exposure rate, the recognition of the media receivers were partially proportion. Third, with regard to the recognition of the media receivers according to the media exposure rate of the LED board sponsor corporate identity and brand identity, it was shown that according to the media exposure rate increase, the recognition of the media receivers was relatively proportion . Fourth, the average of LED involvement board came out relatively high in involvement group and the average of A board involvement came out relatively high in low involvement group.

      • KCI등재

        미디어 콘텐츠 노출과 평가가 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방송심의 사례를 활용한 실험 연구

        이미나,고흥석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4 사회과학연구 Vol.63 No.1

        온라인 콘텐츠의 범람과 미디어 이용에서의 선택성 강화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있으며 이용자의 미디어 콘텐츠 평가 역량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콘텐츠 평가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 스스로 미디어 콘텐츠 소비와 활용에서 리터러시 역량을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미디어 콘텐츠 노출과 콘텐츠에 대한 평가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 연구를 통해 분석했다. 미디어 콘텐츠 노출은 장르별로 구분했으며 미디어 콘텐츠 평가 과제는 기존의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 사례를 활용해 이용자가 스스로콘텐츠를 평가하는 과제로 진행됐다. 연구는 남녀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실험 연구 방법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장르별 미디어 노출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별 요인 간의 다양한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특히 뉴스 시청시간과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시청시간의 효과가 나타났다. 심의 사례를 활용한 콘텐츠 평가 과제는유의미한 주효과가 없었으며 다만 공공성 요인에서 뉴스 시청 시간과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는 방송심의 사례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과의 관련에서 살펴봄으로써 콘텐츠 내용 규제에 관한 새로운 접근방안을 모색하는 토대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The proliferation of online content and the reinforcement of selectivity in media consumption are revitalizing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skills, making users' abilities to evaluate media content even more crucial. In this study, we aimed to observe the effects of media content evaluation on media literacy skills and thereby highlight the need for users to demonstrate literacy skills in consuming and utilizing media content on their own. To achieve this, we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analyzing the effects of media content exposure and evaluation on media literacy skills among a group of college students. Media content exposure was categorized by genre, and the task of media content evaluation utilized cases from the deliberations of the existing Broadcasting Review Committee. The experiemnt was conducted online with 24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e analysis revealed various correlations between genre-specific media exposure and media literacy, particularly noting the effects of news viewing time and entertainment program viewing time. The content evaluation tasks showed no significant main effects, bu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news viewing time and publicness factor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exploring new approaches to content regulation by examining broadcasting deliberation cases in relation to media literacy skills.

      • KCI등재

        스마트미디어 노출 환경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김환남,이선애,이은경,천재현,김성희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mart media exposure environment to the smart media addiction of young children, so implemented the survey targeting 437 fosterers of infants above age 1 who attends 23 infant institutes located in Gyeongi-do. As a result of the study, it appeared that the fosterers who have higher academic abilities are higher and younger in age showed higher smart-phone addition index than others and young children were exposed to the smart-media quicker when fosterers’academic abilities are higher and younger in age. The smart-media exposure period and smart-media addiction index of young children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coefficient correlation, and the group who uses smart-pads and uses smart-media to watch videos had higher smart-media addiction index than other young children groups. For the parental factors, the smart-media addiction index of young children showed high when the arbitration level of fosterer is low while infants using smart media, and the allowance level in the use of the smart media is high. Moreover, the smart-phone addiction of fosterers and the smart media addiction of young children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coefficient correlation. Consequently, the study figured that the smart-media exposure environment ha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smart-media addiction, and the strict restriction to the exposure environment is necessary to prevent smart-media addiction of young children. 이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23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1세 이상 유아의 주 양육자 4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미디어 노출의 일반환경 요인으로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노출 시기와 스마트미디어 중독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패드를 사용하는 집단과 주로 동영상 감상 목적으로 스마트미디어를 사용하는 집단의 유아들이 스마트미디어 중독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 양육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대가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지수가 높고, 자녀를 더 빨리 스마트미디어에 노출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환경 요인으로 주 양육자가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대한 허용 수준이 높고, 중재 수준이 낮을수록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 양육자의 스마트폰 중독과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마트미디어 노출 환경은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부모의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노출 환경을 엄격하게 통제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디어 노출, 미디어 신체이상 내면화 및 신체 불만족의 관계: 한·중 여대생 비교연구

        王豔威,양명환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xposure, internalization of media body ideal, and body dissatisfaction targeting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exposure and body dissatisfaction could be significantly mediated by internalization of thin body shape and athletic body shap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5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1549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on media exposure, internalization of media body ideal, and body dissatisfaction, both print media and broadcast media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in the case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nalization of the thin body ideal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prin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However, exposure to print media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nalization of athlete body shape and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prin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In the case of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between broadcas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the internalization of the thin body ideal. In addition, the internalization of athlete body shap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between broadcas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print media and broadcast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of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was partially mediated by internalization of athlete body shape, but in the case of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is was interpreted as a result reflecting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미디어 노출, 신체이상 내면화(마른체형, 운동선수체형) 및 신체 불만족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노출과 신체 불만족의 관계가 마른체형이상 내면화와 운동선수체형 내면화에 의해서유의하게 매개될 수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 여자대학생 275명과 중국 여자대학생 1549명을 유목적표집법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미디어 노출, 신체이상 내면화 및 신체 불만족 척도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한국여대생의경우 인쇄매체와 방송매체는 모두 신체 불만족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른체형 이상 내면화는 인쇄매체 노출과신체불만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그러나 인쇄매체 노출은 운동선수체형 내면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인쇄매체노출과 신체 불만족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지 못하였다. 중국 여대생의 경우에는 인쇄매체와 신체 불만족, 방송매체와 신체 불만족의 관계가 마른체형 이상 내면화에 의해서 완전매개되었다. 또한 운동선수체형 내면화는 인쇄매체와 신체 불만족의 관계, 방송매체와 신체 불만족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특히, 중국 여대생들의 인쇄 및 방송매체 노출과 신체 불만족의 관계는 운동선수체형 내면화에 의해서 부분매개되었으나, 한국여대생의 인쇄매체 노출과 신체 불만족의 관계는 운동선수체형 내면화에 의해서 유의하게 매개되지 않았다. 이것은 두 나라 간의 문화적 차이를 반영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 KCI등재

        전통적 미디어와 뉴미디어의 정치적 영향력 비교분석 -선택적 노출과 지지후보 양극화 현상

        이종군,이세희(교신저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전통적 미디어와 뉴미디어의 이용 정도에 따라 미디어 사용자들이 정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전통적 미디어와 뉴미디어의 이용 정도에 선택적 노출과 양극화와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의 경우 뉴미디어보다 전통적 미디어인 신문에서 선택적 노출을 행하였고,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의 경우 전통적 미디어인 텔레비전과 뉴미디어인 인터넷과 SNS에서 선택적 노출이 강하게 나타났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뉴미디어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후보자들에 대한 유권자 태도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써 전통적 미디어보다 뉴미디어에서 미디어 사용자들의 선택적 노출과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전통적 미디어에 비해 선별적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뉴미디어의 특성이 선택적 노출과 양극화 현상을 강하게 만든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미디어의 사용은 유권자들의 이념적 성향과 같은 기존 성향에 의해 선별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미디어는 개인의 정치적 태도의 변화를 일으키기보다 기존 성향을 강화시키는 기존의 강화이론과 같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지배성향과 미디어 노출이 청소년의 제노포비아에 미치는 영향 : 이방인에 대한 공감의 매개효과

        황미애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media exposure on adolescents’ xenophobia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towards strangers in these relationships. Participants consisted of 41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three analysis steps approach by Baron and Kenny (1986) were adopted together with bootstrapp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xenophobia. Second, positive portrayal of strangers from media exposure mitigated xenophobia while negative media exposure exacerbated i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xenophobia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empathy towards strangers. The positive media exposure and xenophobia demonstrated a complete mediation, whereas the negative media exposure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empathy towards strangers.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value education on encouraging conscience and justice in order to overcome xenophobia from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With regards to negative media exposure, incorpor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edia literacy course is suggested. It is important not only to emphasize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media exposure, but also to heighten the level of empathy towards strangers. This study indicates that multicultural empathy education should take into account not only the issue of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strangers but also the issue of distortion and exaggeration of empathy. 본 연구는 사회지배성향과 미디어 노출이 청소년의 제노포비아(이방인 혐오)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 사회지배성향ㆍ미디어 노출과 제노포비아 간 관계에서 이방인에 대한 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ㆍ경기도의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41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바론과 케니(Baron & Kenny, 1986)의 3단계 검증 절차 및 PROCESS Macro 3.3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지배성향은 청소년의 제노포비아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이방인 관련 긍정적 미디어 노출은 제노포비아를 완화한 반면, 부정적 미디어 노출은 제노포비아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지배성향이 제노포비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방인에 대한 공감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방인 관련 긍정적 미디어 노출과 제노포비아 간 관계에서 이방인에 대한 공감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된 반면, 부정적 미디어 노출과 제노포비아 간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지배성향 극복을 위한 가치교육의 확대와 부정적 미디어 노출로 인한 제노포비아 해소를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강화를 제안한다. 또한 긍정적 미디어 노출의 효과성을 강조하면서도 이방인에 대한 공감 교육을 확대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는 앞으로의 다문화 공감 교육이 이방인을 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감의 한계에 대한 문제까지 폭넓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매체별 광고노출의 임팩트 차이를 반영한지상파TV, 케이블TV, 온라인 3-Screen 크로스미디어 통합노출효과 및 중복노출 추정 연구

        박현수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18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2 No.1

        본 연구는 지상파TV와 케이블TV 그리고 온라인 매체에 집행된 실제 68개의 광고 캠페인에 대한 싱글소스 패널의 노출 데이터를 사용하여 통합 노출빈도분포를 추정하였다. 싱글소스 패널은 각 캠페인에 대한 매체별 노출의 중복과 통합적 노출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실제 68 개의 캠페인을 다루고 있는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사례가 드문 연구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각각의 매체별 노출의 임팩트 가중치가 이전에 실시된 연구들로부터 추론되었고, 이러한 질적노출의 임팩트 차이를 반영하여 통합 노출빈도분포를 추정하는 모델이 제시되었다. 또한 이렇게 매체별 노출효과의 임팩트 가중치를 반영하는 결과는 가중치를 반영하지 않는 결과와 비교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매체별 노출의 임팩트 가중치를 반영하는 모델의 경우 도달률(Reach 1+) 추정에서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Reach 3+와 Reach 5+ 에서도 좋아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노출 임팩트 가중치를 사용할 때, 모델의 예측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인다는것이다. 이러한 학술적 연구결과 이외에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도 활용 가치를 가지며, 예를 들어, 특정광고주가 같은 예산으로 도달률(Reach 1+)을 극대화 하고 싶을 때는 3-Screen 각각의 매체에어느 정도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또는 희망하는 도달률 달성을 위해(예: Reach 1+ > 65%) 어느 정도의 예산이 필요하고 각각의 매체별 미디어 믹스는 어떻게 하는 것이 최적인가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dia model which estimates the integrated exposure frequency distributions using single source panel advertising exposure data on network TV, Cable TV, and Online in South Korea. Real 68 advertising campaigns are used to estimate integrated exposure effects. The qualitative impact weights of each media advertising exposure, suggested from previous studies, are applied to produce a model for estimating the integrated exposure frequency distribu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del that reflects the impact weights of advertising exposure by media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ach(Reach 1+) estimation, and shows good results in Reach 3+ and Reach 5+ as well. In addition to these academic research results, this study has practical value. For example, when an advertiser wants to maximize the Reach 1+ with the same budget or to achieve the desired level of Reach % (Eg, Reach 1+ > 65%), study results provides a simulation model which offers ideal media mix. The models suggested in this study also can estimate appropriate advertising budget for each media for desired exposure goals.

      • KCI등재

        자살 관련 미디어 노출 빈도에 따른 유아의 죽음 불안의 차이 연구

        박언하 ( Eon Ha Park ),최종욱 ( Jong Wook Choi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자살에 대한 미디어 노출의 유형별 빈도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유아의 죽음 불안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와 양산시에 거주하는 만 5세 유아 79명(남아:42명, 여아:37명)으로 노출된 미디어의 유형과 빈도는 부모 체크리스트를 통해 기록하였다. 유아의 죽음불안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FDFDS(Fear of Death and Fear of Dying Scale)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살과 관련한 미디어 노출은 TV 방송을 통한 노출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인터넷, 신문, 잡지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죽음 불안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자살과 관련한 미디어 노출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유아가 죽음불안과 하위요인(자신죽음불안, 자신임종불안, 타인죽음불안, 타인임종불안)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연구에서는 여아가 모든 요인에서 남아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불안 수치를 보여 여아가 남아보다 자살과 관련한 미디어 노출에 상대적으로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자살과 관련한 미디어 노출이 유아로 하여금 죽음에 대한 정서적인 불안을 초래한다는 사실을 확인함은 물론 미디어 매체의 선정적이고 무분별한 보도 방식의 개선과 성장기 유아의 정신 건강을 고려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미디어 정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hildren`s fear of death by the frequency of mass media exposure of suicida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9 five-year-old children(boys were 42 and girls were 37) who lived in Pusan and Yangsa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7 weeks as of the third week of September, 2008. For the experiment, parents of the children recorded the checklist of various types and frequency of unintended mass media exposure. For the test of the fear of death, FDFDS (Fear of Death and Fear of Dying Scale)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elevision was the highest frequency mass media followed by Internet, newspaper and magazine. The average frequency of the mass media per one child was 3.02 number of times a day. below 3 times were 39 children, above 3 times were 40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was conducted test of the children`s fear of death.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 average frequency of the mass media of below 3 times of 39 children and the average frequency of the mass media of over 3 times of 40 children, the high mass media exposure of suicidal showed relatively higher fear of death. As far as the difference of the children`s gender, girls were more sensitive to the mass media than bo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