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와 학생 인식

        김환남,이영주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7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미래의 과학자로서 성공적 인 삶을 영위하고, 높은 성취를 달성하기 위해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에 대해 과학영재 학생들과 교원들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학교에서 요구되는 16가지 핵심역량 항목을 도출하고 각 항목에 대해 중요도와 학생의 현재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적 요구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핵심역량 수준에 대해 교사는 사고력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지만 학생들은 연구 및 탐구 능력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교사는 협동능력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지만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을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사고력, 교과에 대한 흥미, 학습동기가 과학영재 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지각하였으며, 자기조절능력, 협동정신,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대한 교육적 요구 수준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끝으로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기반교육에 대 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e competencies of science-gifted students based o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16 core competencies of science-gifted students were draw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trol, self-directed learning, knowledge in one's academic area, research, English, writing, leadership, communication skill, cooperation, and spirit of servi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eachers perceived self-directed learning, thinking skills, interests in one's academic area, motivation as the most important core competencies among the 16. Also, teachers perceived the educational program to raise self-control, cooper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Further discussion was review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무모형 개발 및직무수행 실태분석

        김환남 한국보육학회 2016 한국보육학회지 Vol.16 No.3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structure and detai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establish the job identity and provide specific materials for pre-service educations and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by conducting job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a three-step job analysis was conducted: Development of a draft job model, modification and supplement of the model, and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In the stage of developing a draft job model,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and collected to draw and systemize required capacities for the job, duty, task and task elem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stage of modification and supplement of the job model, in-depth interviews and a job analysis workshop was carried out for teachers to change terms on the draft job model, adjust or add task items, and integrate and separate job categories. Lastly, in the stage of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the job model developed through the expert conference and questionnaires was verified for the application and validity. The ultimate job mod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sts of 4 jobs(education, caring, administration and capacity building), 14 duties, 42 tasks and 132 task elements under the job categories. The job analysis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various kinds of tasks as well as tasks outside the education. This turned out to cause burdens and difficulties in building identity and educational professionalism as teachers. Therefore, various measures are required to establish the job identity and improve job professionalism through a range of studies and discussions on the roles and task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이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가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도출 및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직무의 구조와 내용을 체계화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직무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된 직무모형을 기반으로 직무수행에 대한 현직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유아교사 직무의 특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모형의 초안개발, 수정 및 보완, 타당성 검증의 세 단계에 걸쳐 직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문헌연구와 전문가협의회, 직무분석워크숍 등을 개발된 유아교사의 직무모형은 교육, 보호, 행정, 역량계발의 4개 직무(job)와 그 하위에 14개 책무(duty), 42개 과업(task), 132개 과업수행요소(task elements)로 구성되었다. 또한 개발된 직무모형을 기반으로 직무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들은 교육과 보호 영역의 과업들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정과 역량계발 영역의 과업들에 대한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유형별로 살펴보면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의 교육과 관련된 과업, 어린이집 교사들은 유아의 보호관련 과업들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업의 수행빈도를 살펴보면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의 지도와 평가, 학부모 상담 등의 과업 수행빈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어린이집 교사들은 안전관리와 학대예방, 인권보호 등 유아의 보호와 관련된 과업들의 수행 빈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학습유형별 선과제 수행이 정신모형 정교화 및 인지적 노력에 미치는 영향

        김환남,김혜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ceptual deficiency's perception by the execution of pre-task's execution types on the complexity of students' mental mode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93 university students were distributed in two groups of individual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task's execution type.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e-task was finished, the learning text on the understanding on the stock investment was presented to both groups,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reading of the text was measured. Results derived from statistical verification ar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complexity of mental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individual learning group's(t=2.75, p<.01). Second, the text reading time was statistically longer than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s(t=2.06, p<.05). 본 연구는 학습유형별 선과제 수행이 정신모형 정교화와 인지적 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과제 수행을 위한 개별학습과 협력학습 집단에 93명의 대학생을 무선으로 배치하고, 사전검사로 대학생의 선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개념도 작성을 실시하였다. 이후 개별학습과 협력학습 집단에 선과제를 제시하고 각각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의 수행을 유도한 후 학습 텍스트를 독해하도록 하였다. 실험처치와 텍스트 독해가 종료된 후 피험자들이 작성한 개념도를 분석하여 정신모형을 추출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협력학습 집단은 개별학습 집단 보다 정신모형 정교성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75, p<.01). 또한 협력학습 집단은 개별학습 집단보다 텍스트 독해에 통계적으로 더 많은 학습시간을 투입하는 인지적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t=2.06, p<.05).

      • KCI등재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의 발달 및 어린이집 부적응행동 비교 분석

        김환남,이선애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3

        이 연구는 다문화 아동의 발달수준 및 어린이집 부적응행동 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 김포시와 안산시에 소재한 34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의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 203명을 대상으로 WSS 발달적 체크리스트와 유아교육기관 생활적응행동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하여 인성 및 사회성, 언어 및 읽고 쓰기 영역에서 발달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리적 사고와 과학적 사고 발달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세에서는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 간 발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세와 5세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린이집 부적응행동 수준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위영역별로 어린이집 적응 수준을 살펴보면 다문화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하여 또래협력 항목에서는 적응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나 개인사회기술과 환경적응, 활동적응 영역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발달과 어린이집 부적응행동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발달 수준이 낮을수록 어린이집에 부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달 영역 중 ‘인성 및 사회성’영역의 발달이 아동의 어린이집 부적응행동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스마트미디어 노출 환경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김환남,이선애,이은경,천재현,김성희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mart media exposure environment to the smart media addiction of young children, so implemented the survey targeting 437 fosterers of infants above age 1 who attends 23 infant institutes located in Gyeongi-do. As a result of the study, it appeared that the fosterers who have higher academic abilities are higher and younger in age showed higher smart-phone addition index than others and young children were exposed to the smart-media quicker when fosterers’academic abilities are higher and younger in age. The smart-media exposure period and smart-media addiction index of young children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coefficient correlation, and the group who uses smart-pads and uses smart-media to watch videos had higher smart-media addiction index than other young children groups. For the parental factors, the smart-media addiction index of young children showed high when the arbitration level of fosterer is low while infants using smart media, and the allowance level in the use of the smart media is high. Moreover, the smart-phone addiction of fosterers and the smart media addiction of young children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coefficient correlation. Consequently, the study figured that the smart-media exposure environment ha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smart-media addiction, and the strict restriction to the exposure environment is necessary to prevent smart-media addiction of young children. 이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23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1세 이상 유아의 주 양육자 4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미디어 노출의 일반환경 요인으로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노출 시기와 스마트미디어 중독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패드를 사용하는 집단과 주로 동영상 감상 목적으로 스마트미디어를 사용하는 집단의 유아들이 스마트미디어 중독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 양육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대가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지수가 높고, 자녀를 더 빨리 스마트미디어에 노출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환경 요인으로 주 양육자가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대한 허용 수준이 높고, 중재 수준이 낮을수록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 양육자의 스마트폰 중독과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마트미디어 노출 환경은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부모의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노출 환경을 엄격하게 통제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척도(KMCI)를 활용한 보육교사와 예비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분석

        김환남,이선애,이은경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2

        이 연구는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척도(KMCI)를 활용하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와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의 다문화수용성지수(KMAI)를 조사·분석하여 보육교사와 예비교사 대상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김포시와 안산시에 소재한 34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500명과 동일 지역에 소재한 3개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 및 아동보육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와 예비교사의 KMAI, 수용성 차원 및 하위 구성요소별 수용성이 일반 국민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현직 보육교사가 예비교사에 비하여 KMAI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다문화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KMAI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 toward the multi-culture shown by the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a child care center and the pre-service teachers who are at college using the KMCI, and aims at providing the analysis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child car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n an effort to fulfill such a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500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34 child care centers located at Gimpo city and Ansan city in Gyeonggi-do, and 500 pre-service teachers who are taking a cour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related studies at 3 junior colleges in the same region as abov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KMAI of child-car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stayed at a higher level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public, and day care teachers were higher than pre-service teachers in KMAI. In addition, the day care teachers who received the multi-culture-related teacher training session were found to be higher in KMAI than the teachers who didn’t, and even in case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e group that completed the multi-culture-related education was found to be also higher in KMAI than the group that didn’t.

      • KCI등재

        정신모형이론의 교육적 함의(含意)

        김환남(Kim, Hwan Na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0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 No.3

        지식 표상으로서 정신모형의 본질과 정신모형의 구성과정에 대한 문제는 중요한 교육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정신모형은 새로운 과제가 주어지거나 새로운 환경 혹은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이를 해석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기기억에 저장된 지식과 과제로부터 이끌어낸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사람들의 정신 내에 형성되는 대상에 대한 역동적이고 구조화된 표상이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학습은 학습내용을 자신의 인지구조 내에 수용하여 정신모형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조작, 평가, 수정을 통하여 모형을 보다 정교화하고 확장시켜가는 순환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이며, 교수는 초보자인 학습자의 정신모형이 전문가의 정신모형으로 발달하도록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학습의 과정을 촉진하고 격려하는 활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정신모형이론은 사람들이 단편적 사실이나 개별화된 지식이 아니라 정신모형을 통해 학습하고 사고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타의 이론들에 비하여 영역 특성적 지식의 획득과 과제 수행의 인지적 프로세스, 해당 영역에서의 전문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이론적인 요소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정신모형이론과 모형중심 교수-학습에 대한 소개와 전반적인 연구경향에 대한 리뷰를 통하여 정신모형이론의 교육적 함의를 밝혀내고자하였다. The mental model as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mental model building have an important significance for education. The mental model is a dynamic and structured representation formed in the working memory by combining information stored in long-term memory with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task to analyze the situation and solve problems when a new task is given or a new environment or situation is faced: learning is a series of cognitive processes based on building a new mental model by adapting what is learned to the cognitive structure. The theory of the mental model is useful and important in education, in that a person doesn't learn fragmented or particular knowledge; rather he or she acquires knowledge and perceives it through a mental model. The mental model also provides theories that explain more specifically than those of psychology about the acquisition of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the cognitive process of task performance. The mental model affects the way people perceive objects and behave, and it is directly related to learning and problem-solving. Mental model theories focus on an integrated and organized knowledge structure and the mental mode as its representation, whereas the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is oriented to individual or de-structured knowledge acquisition and correct knowledge retrieval. Learning is an extension of the mental model and is a successive, revolving process of mental model building, operation, assessment, and modification. Teaching is an activity that provides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ates the learning process on order for learners to develop from an elementary mental model to an expert mental model. Thus, teaching needs to be reorganized to guide students towards forming more sophisticated and extended mental models through the process of mental model building, operation, assessment, and modification.

      • KCI등재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와 학생 인식

        김환남 ( Hwan Nam Kim ),이영주 ( Young 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8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미래의 과학자로서 성공적 인 삶을 영위하고, 높은 성취를 달성하기 위해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에 대해 과학영재 학생들과 교원들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학교에서 요구되는 16가지 핵심역량 항목을 도출하고 각 항목에 대해 중요도와 학생의 현재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적 요구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핵심역량 수준에 대해 교사는 사고력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지만 학생들은 연구 및 탐구 능력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교사는 협동능력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지만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을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사고력, 교과에 대한 흥미, 학습동기가 과학영재 들에게 길러주어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지각하였으며, 자기조절능력, 협동정신,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대한 교육적 요구 수준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끝으로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기반교육에 대 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e competencies of science-gifted students based o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16 core competencies of science-gifted students were draw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trol, self-directed learning, knowledge in one`s academic area, research, English, writing, leadership, communication skill, cooperation, and spirit of servi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eachers perceived self-directed learning, thinking skills, interests in one`s academic area, motivation as the most important core competencies among the 16. Also, teachers perceived the educational program to raise self-control, cooper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Further discussion was reviewed.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아동의 어린이집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족과 일반가족아동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선애,김환남,천 재 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3 다문화교육연구 Vol.6 No.3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children's adjustment at daycare centers and to provide the basic resources for multi-cultural children's adjustment by analysing Korea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cale and Preschool Maladjustment Test in our concerns for the multi-cultural children's adjustment. Participants were 73 teachers who cared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223 children aged 3-5 years old in Ansan city and Kimpo city. Analysing the data, we obtained following results. The older and more experienced the teachers were, the higher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General children adjusted better than multi-cultural children and with girls adapting better than boys. The higher the class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the better the class' children adjusted, especiall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아동의 사회적응이 이슈화되는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어린이집 적응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척도(KMCI)와 유아교육기관 부적응진단검사(PBQ)로 분석하여 다문화아동의 적응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와 김포시의 위치한 34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중 다문화가정아동을 담당하는 담임교사 73명과 재원중인 만 3-5세 아동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은 연령이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어린이집적응 차이는 일반가정아동이 다문화가정아동보다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성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미혼과 낮은 연령일수록 아동이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임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교사의 아동일수록 어린이집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교사와의 관계성차원에서 더욱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외국 영재교육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통해 고찰한 한국 영재학급 업무 담당자의 역할과 대안

        류지영,정현철,채유정,김환남,이영주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시·도교육청 영재학급의 운영을 맡고 있는 업무담당자들의 역할과, 외국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업무를 담당하는 코디네이터들의 역할과 자격이 어떠한지를 고찰하여 한국 영재학급 업무담당자의 책임과 역할, 자격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시·도교육청 영재학급의 영재업무 담당자의 업무와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고, 미국과 영국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자격과 역할 등과 비교하여 보았다. 미국과 영국의 영재프로그램 코디네이터들은 영재교육에 대한 이해와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고, 영재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기획과 운영, 학생 및 학부모 상담, 학생과 교사의 선발과 평가 등 영재교육 전반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영재업무는 학교의 여러 업무들 중 하나로 인식되어, 영재교육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에 관한 어떠한 규정도 정해져 있지 않았다. 영재교육을 실시하는 원래의 목적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서 영재업무 담당자의 전문성은 확보되어야 하며, 그에 적절한 대우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ole and responsibilities of coordinators for gifted classes in Korean schools, by examining the role and responsibilities, and qualifications of coordinators' at gifted classes in America and England. To do this, first, we examine the tasks and role of Korean gifted class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n we look into the coordinators of gifted programs of public schools and university programs in America and England. The coordinators of America and England are experts in gifted programs who hav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n gifted education, and they work for everything regarding gifted programs, such as designing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dealing documents regarding gifted programs, and assisting school personnel in the identification, development, teaching and evaluation of gifted students. The coordinators are the most important and core person in gifted programs. However, in Korean school, the role of coordinators is one of the school tasks of which any teacher has to take charge and there is no regulation on the qualification of coordinators. Therefore we suggest to set up the regulations of qualification, role and responsibilities of gifted programs' coordinators, by understanding that the role of coordinators is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