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별 건강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윤경 ( Lee¸ Yoonkyoung ),임유나 ( Lim¸ Youna ),최요한 ( Choi¸ Yohan ),이태진 ( Lee¸ Tae-j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4

        한국의 노동시장은 두 차례에 걸친 경제위기로 인하여 고용불안 심화 및 일자리의 질적인 하락을 경험하였다. 이로 인해 근로자는 단순한 고용 여부를 넘어서 개인이 어떠한 고용형태를 가지며 어떤 일자리를 경험하는지가 주요 요소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경험하는 고용형태에 따라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의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한국노동패널에서 조사하는 9가지 요인별 직무만족도 변수를 매개변수로 하여 살펴봄으로써 이들 간 인과적 구조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건강은 일용직의 경우 남/녀 모두 정규직에 비해 좋지 못하였으며, 장기계약직의 경우남성에게서만 정규직과의 유의한 건강차이를 나타냈다. 매개효과의 경우, 여러 직무만족도가 고용형태에 따른 주관적 건강차이를 줄여주었으나 취업의 안정성, 일의 내용, 개인의 발전 가능성 순으로 성별/고용형태와 무관하게 큰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장/단기계약직, 일용직이 서로 다른 매개변수를 통해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를 통해 비록 포괄적인 의미에서 이들이 계약직이라는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그들 간 특성이 점차 다원화되고 있는 만큼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간과 고용특성에 따른 차별화 된 정책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정규직과 및 계약직간 주관적 건강차이를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를 직무만족도를 통해 일부 해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wo major economic crises in Korea worsened both job security and quality in the labor market. Thus i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ypes of employment and the individual’s job experiences on the self-rated health, rather than simply considering whether he or she is hired. This is a causality study between types of employment and self-rated health (i.e. differences in self-rated health depending on the type of employment), using the nine job satisfaction levels surveyed by the Korean Labor Panel as a parameter. We found that for short-term employment, the self-rated health of daily-employed workers are worse than that of permanent workers, while for long-term employment, the discrepancy is significant only for men. As a mediated effect, several job satisfaction levels reduce discrepancies in self-rated health caused by differences in types of employment; job security, job description, and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show particularly strong mediated effect in descending order, regardless of gender or employment patterns. By analyzing how differences in types of employment impact self-rated health through various parameters discussed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ies should be carefully calibrated depending on the employment types,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the short-term workers are often classified together as “contract worker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gap in self-rated health between permanent and contract workers, and identifies the possibility of reducing such gap through improving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상호작용 맥락이 영아의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책읽기와 놀이를 중심으로

        이다예(Da Ye Lee),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책읽기와 놀이 상황에 따라 영아들의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는 12-18개월, 19-24개월, 25-30개월의 세 연령집단의 영아가 각각 10명씩, 총 30명이 참가하였다. 각 영아를 대상으로 책 보기와 놀이 조건에서 상호작용 행동을 10분씩 분석하였다. Lee와 Lee (2016)의 기준과 정의를 따라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빈도와 기능별 빈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빈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상호작용 조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의사소통기능 빈도는 연령 및 조건과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즉, 책읽기에서는 동시주의 기능이, 놀이에서는 행동통제 기능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경향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두드러졌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영아의 의사소통행동이 상호작용 맥락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의사소통행동 평가 및 중재 시 상호작용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al context on the intentional communication acts of toddlers. Methods: A total of 30 toddlers aged 12-30 month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ge groups: 12-18 months, 19-24 months, and 25-30 months. The behavior samples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in both free play and book reading contexts; and the total frequency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acts was measured, as well as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act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ve functions. Results: The total frequency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act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ith the interactional context.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act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ve function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ge and interactional context. The frequency of behavior regul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free play than book reading. On the other hand, joint atten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during book reading than in the context of free pla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the interactional context increased depending on ag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us to understand that the intentional communication acts of toddlers have been affected by interactional contexts. Interactional contexts have to be considered for assessing the communicative acts of the toddlers.

      • KCI등재

        2-3세 아동의 자발화에서의 조사사용 발달

        이윤경(YoonKyoung Lee),이소정(So J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2

        배경 및 목적: 조사는 초기 아동기의 문법 발달을 보여주는 주요 요소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의미를 정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초기 아동기에 자발화에서 조사사용 발달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2;6-3;11개월의 아동 5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은 6개월 간격으로 2세 후반, 3세 전반, 3세 후반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아동과 연구 참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발화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50발화를 분석하였다. 조사사용빈도(NTJ), 조사유형수(NDJ), 조사 하위범주별 사용빈도(NTJ)와 유형수(NDJ)를 측정하였으며, 분산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통계분석하였다. 결과: 조사사용빈도(NTJ)와 조사유형수(NDJ)는 2세 후반 집단이 각각 3세 전반과 3세 후반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 하위범주에서 조사사용빈도(NTJ)는 주격조사, 부사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에서 조사유형수(NDJ)는 부사격과 접속조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 발달을 전체 조사사용빈도(NTJ)가 36.6%를 하위범주 중에서는 부사격조사가 39.2%로 가장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2, 3세 아동의 자발화에서의 조사사용 발달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 아동기의 조사사용 발달을 이해하고, 나아가 아동의 언어 평가 및 중재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Objectives: The Josa, which is a Korean grammatical morpheme that indicates a relationship to the clause or conveys a more specific meaning, is an important indicator in the grammar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Josa use in the spontaneous language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Methods: Fifty young children aged 2;6-3;11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ge groups of 6- month interval; late 2-year, early 3-year, and late 3-year groups. Spontaneous language samples comprised of 50 utterances were collected during conversations between the examiner and the participants with books and pictures. The number of total Josa (NTJ), number of different Josa (NDJ), and NTJ and NDJ by subcategory of Josa were measured in the 50 utterances. An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late 2-year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less NTJ and NDJ compared to the early 3-year and late 3- year group respectively. Among NTJ and NDJ by subcategory of Jos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dverbial, conjunctive, and auxiliary Josa and NDJ of adverbial and conjunctive Jos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NTJ of adverbial (39.2%), auxiliary (8.6%), and conjunctive (8%) Josa explained the month of age.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Josa use in the spontaneous language of the young children aged 2 and 3. The results of the study help u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Josa use in young children and have implications for languag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 KCI등재
      • KCI등재

        학령기 아동언어장애 진단 및 평가에 관한 질적연구 : 진단 및 평가 모형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1

        본 연구는 언어치료현장에서 언어치료전문가 및 특수교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진단 및 평가방법과 내용을 조사하여 한국 언어치료교육 현장에 적합한 학령기 아동언어장애 진단 및 평가모델 정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학령기 아동언어장애 평가 및 치료 경험이 많은 언어치료전문가 5명과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4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들에게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자료를 전사한 후 질적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학령기 의사소통 능력을 고려한 언어평가, (2) 학교환경을 고려한 언어평가, (3) 협력적 팀 접근을 통한 평가. 본문에서 언어치료전문가 및 특수교사들의 구체적인 면담내용을 제시하였고, 현재 평가과정에서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 제시와 장애아동을 위한 바람직한 평가방법 및 내용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assessment model for the school-age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Interviews with 5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4 special educator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by using a qualitative constant-comparative design.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a communication -based assessment, (2) a school environment-based assessment, and (3) an integrated and collaborative team approach. In addition, 9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3 main themes. From the first main theme, four subthemes were obtained: the establishment of definition of language disorders of school-age; the development of the norm and criteria of language for school-age children; the development of formal and informal language tests; and a language assessment considering accompanied disorders. The second main theme included three subthemes, that is, curriculum-based assessment, assessment of language use in school, and assessment of language for learning. And finally, two subthemes obtained from the third main theme were a training of specialists and a systematic team approach.

      • KCI등재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

        이윤경(YoonKyoung Lee),이효주(HyoJoo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미숙아 출생은 영유아기 언어발달지연의 주된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 집단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을 만삭아 집단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초기 언어습득기에 해당하는 12-30개월 사이의 미숙아 86명과 만삭아 79명, 총 165명의 영유아였다. 두 영유아 집단은 월령에 따라 12-18개월, 19-24개월, 25-30개월의 세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언어능력은 SELSI와 K M-B CDI로 측정하였다. 두 집단의 언어검사 수행 결과를 t-test와 two-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언어발달지체 및 언어발달지체 위험 출현빈도를 χ2을 통해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미숙아 출생 집단은 전체와 세 연령집단 모두에서 SELSI의 통합언어연령,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과 K M-B CDI의 표현어휘 수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영유아집단과 연령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K M-B CDI에서만 관찰되었다. 미숙아 출생 영유아 집단이 언어발달지체와 언어발달지체 위험군 출현율이 높았으며, χ2을 통한 출현빈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지연을 예방하기 위한 대한 조기 언어중재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Being born preterm is one of the factors which affects language development of toddl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anguage performance and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LD) among toddlers who were born in preterm condition compared to full-term toddlers. Methods: A total of 165 toddlers, 86 preterm and 79 full-ter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wo groups of toddl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ge groups: 12-18 months, 19-24 months, and 25-30 months. Languag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and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on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The results of two toddler groups on language tes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two independent t-test, 2-way ANOVA, and χ2 test. Results: The prematu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ceptive language age, expressive language age, and combined language age measured by SELSI and significantly lower frequency of expressive vocabulary measured by K M-B CDI than the chronological age-matched full-term toddler group. The prevalence of DLD and at risk D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term than the full-term group.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early language intervention in preterm toddlers for preventing language delay.

      • KCI등재

        표현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특성

        이윤경(Yoonkyoung Lee),이효주(Hyojoo L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대화차례 주고받기는 대화를 위한 기본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표현언어 발달지체 영유아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8-30개월의 표현언어발달지체 영유아 1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 10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 10명, 총 30명의 영유아였다. 각 영유아의 대화 행동을 수집하기 위하여 양육자와의 놀이 활동을 약 30분정도 녹화하였으며, 이 중 10분의 자료를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로 전체 대화차례 주고받기 빈도, 영유아 대화차례 비율과 구어 및 비구어 비율, 영유아의 대화 개시 및 유지(적절, 부적절) 비율, 대화차례 중단(중첩, 무반응) 비율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1) 표현언어발달지체 집단과 언어연령 일치 집단은 대화차례에서 생활연령 일치 집단에 비해서만 유의하게 높은 비구어 비율을 그리고 유의하게 낮은 구어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대화차례 주고받기 비율과 영유아 대화차례 비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표현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생활연령 일치 집단에 비해서만 유의하게 높은 부적절 유지 비율을 보였다. 대화차례 개시와 유지 전체, 적절 유지 비율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표현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생활연령 일치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중첩으로 인한 중단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중단 전체 비율과 무반응으로 인한 중단 비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대화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urn-taking is the one of basic skills for convers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versational turn-taking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LD group). The participants were 10 toddlers with DLD aged from 18 to 30 months, 10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matched for chronological age with DLD toddlers (CA group), and 10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matched for language age with DLD toddlers (LA group). Conversation samples of the toddlers were recorded using a digital camcorder during free play around 30 minutes with mother and 10 minute samples extracted from the recorded samples were analysed. Frequency of turn-taking, rate of toddler’s conversational turn (verbal and nonverbal), initiation, and maintenance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and rate of conversational breakdown (overlap and no response)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following: (1) The DLD and the LA group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nonverbal and lower rate of verbal conversational turns than the CA group,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urn-taking and the rate of toddler’s conversational turn. (2) The D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inappropriate maintenance than the CA group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rate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appropriate maintenance. (3) The D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ovelap than the CA group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 response. We discussed conversational characteristics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A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SBS DP Behavior Sample in Korean Toddlers

        YoonKyoung Lee(이윤경),Hyojoo Lee(이효주),Jieun Choi(최지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Objectives: Communication development during the toddler period provide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earlier identification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 Developmental Profile (CSBS DP) has been known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assessing communication skills in early perio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f the CSBS DP behavior sample is valid and reliable tool for Korean toddlers as well. Methods: Two hundred ninety typical developing toddlers 12-24 months of age participated and were assessed on the CSBS DP behavior sample and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SELSI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CSBS DP.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CSBS DP were assessed. Results: The CSBS DP demonstrated high concurrent validity with SELSI and high construct validity measur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ies measured by internal consistency and inter-rater consistency showed that the CSBS DP was a highly reliable tes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SBS DP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assessing the early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Korean toddlers. 배경 및 목적: 영아기의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은 발달지체 아동을 더 이른 시기에 확인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영아기의 의사소통발달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 발달척도(CSBS DP)는 영아기의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을 평가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CSBS DP 행동샘플평가가 우리나라 영아들의 사회적 의사소통 평가에도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도구일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전형적 발달을 보이는 12-24개월 사이 영아 26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가 영아에게 CSBS DP 행동샘플평가와 공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내적일관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방법으로 신뢰도를, 공인타당도와 확인적 요인분석, 연령에 따른 발달적 타당도를 통해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결과: CSBS DP 행동샘플평가는 SELSI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여 높은 공인타당도가 측정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결과도 높은 모형 적합도를 보여 높은 구인타당도를 보였다. 또한 연령집단에 따른 일원분산분석 결과도 유의한 발달적 타당도를 나타내 전반적으로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Cronbach α로 측정한 문항내적일관도도 높거나 적합한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관찰자 간 일치도도 높아서 대체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CSBS DP 행동샘플평가는 우리나라 영아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평가하는 데에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검사도구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을 비교하고, 이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그리고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초기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33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 33명, 총 66명의 영유아였다. 모든 영유아들에게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와 「한국판 MacArthnr-Bates 의사소통발달검사(MB CDI-K)」를 이용하여 언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척도(CSBS)' 절차를 이용하여 의사소통행동을 측정하였다. 또한 「한국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Ⅱ(K-BSID-Ⅱ)」의 동작척도 및 인지척도를 사용하여 운동 및 인지기능을 측정하였으며, 「영유아선별.교육진단검사(DEP)」의 사회.정서 척도를 이용하여 사회.정서 발달을 측정하였다. 두 집단 아동들의 언어, 의사소통, 인지, 운동 및 사회.정서적 측정치는 대응표본 t-검정과 x2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각 집단별로 측정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1)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언어 및 의사소통에서는 물론 운동, 인지, 그리고 사회.정서적 발달에서 일반 영유아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베일리 검사의 운동발달연령과 DEP의 사회.정서 측정치가 언어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일반 영유아는 K-BSID-Ⅱ의 인지 및 운동발달연령이 언어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의사소통능력에서는 일반 영유아만 행동통제 기능과 '제스처', '제스처+발성' 수단이 K-BSID-Ⅱ의 인지 또는 운동발달연령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행동 특성은 물론 인지, 운동기능, 사회성 발달 특성을 일반 영유아와 비교하여 설명하고, 이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행동을 인지, 운동기능, 사회성 발달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of toddlers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anguage, communicative 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motor, and social skills in these children. Methods: Sixty-six children (aged 19 to 34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33 toddlers with language delays (LD) and 33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TD). The toddlers in the two groups were individually age-matched (±2 months). SELSI and MB CDI-K were used to measure language abilities, and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CSBS procedure. The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s were measured using K-BSID-II, and the subtest of DEP was used to measure socio-emotional development. Total score and subtests scores of the SELSI, MB CDI-K, K-BSID-II and the DEP percentile were measured. Communicative behavior sampled using the CSBS procedure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ies of communicative behaviors, communicative functions (behavioral regulation, social interaction, joint attention), and mean uses (gesture, vocalization, vocalization with gesture, word with gesture, word). Results: (1) The LD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poor performances in motor,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for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2)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and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in both groups, and a correlation with development of socio-emotion was observed only in the LD group.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LD were experienced delayed development of cognition, motor, and socio-emotion skills, as well as languag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Their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se different developments, especially socio-emotion.

      • KCI등재

        언어치료사의 언어표본(자발화) 분석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

        이윤경(YoonKyoung Lee),최지은(Jieun Choi),오소정(So Jung Oh),윤지혜(Ji Hye Yoon),김유섭(Yu-Seop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3

        배경 및 목적: 언어표본분석은 언어표현 능력을 평가하는 필수적인 방법 중 하나로 언어장애 평가에 사용되도록 권장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연구를 통해 언어치료사들의 언어표본분석 사용 실태와 요구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표본분석의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1,351명의 언어치료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기본정보, 평가 실제, 언어표본분석 사용, 언어표본분석을 위한 컴퓨터 활용, 그리고 언어표본분석 훈련 및 교육에 대한 요구 등을 주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 설문조사 형식으로 제작하여 이메일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χ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언어표본분석 실시 현황에서 응답자의 절반만이 언어표본분석을 실시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실시한다고 응답한 경우에도 분석표본 수가 연간 10개 미만이라고 보고했다. 소지 자격증에 따라서는 1급언어재활사 자격 소지자가 2급 언어치료사 자격증 소지자에 비해 유의하게 언어표본분석을 더 많이 수행하였다. 언어표본분석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로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이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설문 응답자의 대다수는 언어표본분석을 위한 심화된 교육이나 훈련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기회가 된다면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언어치료사들이 언어표본분석을 하지 않으며, 시간적 제약이 언어분석을 실시하지 않는 주된 이유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언어표본분석을 활성화 하고 발전시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Language sample analysis is one of most the useful methods of assessing spoken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is recommended that SLPs use it for evaluation of language disorde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use of and needs for language sample analysis (LSA) by Korea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K-SLP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language analysis as an assessment of persons with language disorders based on the results. Method: 1,351 K-SLP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 information, assessment practices, use of language analysis, and need for using computer-based language analysis and advanced education on language analysis; and then the questionnaire was sent to the participants through an online survey format.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χ2. Results: Only half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ey conducted LSA for assessing language. Participants who had a 1st degree K-SLP certification were more likely to conduct LSA than those with a 2nd degree K-SLP certification. Most of the participants who responded that they conducted LSA reported that they analyzed less than 10 samples over the last year. The main reason for not conducting LSA was that it was too time-consuming.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no experience using computer assistance for LSA; however, they said they would use it if possible and hoped to participate in advanced LSA education and training.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st SLPs did not conduct LSA, and the main reason for not conducting it was that it is too time-consum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conducting L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