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소통학회 20주년 기념 : 한국소통학보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이명선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소통학회의 20주년을 기념하는 4분야의 특별 프로젝트 중의 하나인 한국소통학보 논문 동향 분석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소통학회의 학술지인 한국소 통학보의 20년의 발자취를 뒤돌아보고,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학보 20년의 거시적 시간 속에서의 논문 형태의 동향들과 게재된 논문들의 각각 의 미시적인 연구 동향 유목화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예를 들어 논문형식 자체 변화는 20년 학술지의 변화 (권 과 호), 논문 양 (한국어, 영어, 논문증가량)의 변화, 논문 투고 자 (소속대학, 개인 또는 공동 연구, 대학 외 연구기관, 외국연구기관)의 동향, 방법론 (양적 또는 질적) 동향에 관한 분석이다. 그리고 20년 362개 논문 주제들의 동향을 연 구주제어로 구분해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또는 양적 방법으로 분석 을 하였다. 분석의 이론적 접근으로서는 진행형 사회학의 개념을 사용했다. 그 결과로 서, 한국소통학보 20년 역사에서 학보는 학보 자체로서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주면서 다 양한 연구 특히 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연관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 그리고 국제적 소통 관련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을 의미 있는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소통학보는 다양한 게재논 문을 통해 사회와 사람들에게 ‘확장’과 ‘다양성’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해주고 있다고 보인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JSMCR), which is part of a special project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 Speech, Media & Communication Association. The study reflects on 20 years of recognizing the present and looking forward. Researchers analyzed 364 papers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based on changes to the journal, the journal registration process,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topics. The concept of progressive sociology was used as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analysis. During the 20-year history of JSMCR, the journal showed continuous development and published meaningful research on current affairs. In particular, it delivered 'expansion' and 'diversity' related to communication in society and among people through research and papers.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들의 스마트폰, 소통, 그리고 한국어 실력

        문성준,우분,신민재,서탁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3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이용도가 그들의 한국 적 응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서베이를 실시하여 분석했다. 과연 중국인 유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한국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이 한국인들과의 소통에 도움이 되고, 결국 한국어 실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스마트폰을 통해 중 국 미디어를 이용할수록, 중국인들과의 소통을 유지하여 결국 한국어 실력 향상을 저해 하는지 분석했다.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직접 효과 및 간접 효과를 확인하여 중국인 유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한국 미디어를 이용할수록, 한국인들과의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한국어 실력이 향상되는 점을 발견했다. 동시에 중국 미디어를 이용할수록, 국내에 거주하는 중국인들과의 소통이 활발해지는 것이 발견되었으나, 그 들의 한국어 실력 하락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In order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to test how the usage of the smart phone affects on their adaptation in Korea and their Korean skills,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targeti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how the Korean mass media usage through a smart phone influenced on thei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ith Koreans, and finally affected on their Korean skills. Simultaneously, the usage of Chinese media through a smart phone urge for them to keep touching Chinese people in China and finally disturb their Korean skill developmen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irect effects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s among latent variables were tested.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Chinese students use Korean media through smart phone, the more they tend to keep touching Koreans. It causes them to speak Korean fluently.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Chinese students use Chinese media, the more they get along Chinese people which cause them to disturb the development of Korean skills.

      •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본 조선족 여성의 재현

        신정아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6

        미디어재현은 텍스트에 담긴 이미지와 스토리를 분석하는 관점이다. 미디어를 통해 재현된 인물과 사건이 갖는 의미를 생산과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양방향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콘텐츠 수용 방식의 변화는 더 이상 텍스트 연구만으로는 콘텐츠가 갖는 의미와 효과, 실천적 맥락 등을 통찰하기 어려운 시점에 와 있다. 미디어소통은 이러한 재현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콘텐츠 연구방법이다. TV 프로그램 연구에서 시작된 미디어소통 프로그램을 완결된 텍스트로 바라보지 않고, 프로그램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 수용자의 상황, 재현된 미디어의 특성과 유통 생태계, 프로 그램의 포맷과 장르 등을 가로지르며 새로운 관계맺기를 시도하는 역동적인 소통의 장으로 파악한다. 이는 미디어를 통해 재현되는 이야기들이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수용되면서 누구에게, 어떤 공감대를 형성했는지를 파악하고, 그 의미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과거 시청자들이 수동적 소비자로 머물 러있을 때에는 텍스트의 내용과 의미, 수용상황과 맥락을 분석하는 것만으로 프로그램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1인 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다양한 플랫폼을 횡단하는 콘텐츠의 시대에 텍스트는 더 이상 일회성 생산물에 머무르지 않고,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필요에 의해 자유로운 변형과 복제를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달라진 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의 생애주기는 생산자 가 아닌 역동적 수용자의 해석과 변형, 유통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콘텐츠는 미디어를 통한 양방향 소통의 산물로 인식되어야 하며, 콘텐츠가 갖는 의미와 효과 역시 생산과 전달이라는 일방향이 아닌 다양한 관계맺기를 통한 소통하기로 접근해야 한다. 미디어소통은 이기상의 ‘사이놓기 이성’, 플루서 의 ‘기술적 상상’ 등의 개념에 담긴 새로운 기술 시대의 주체와 세계 간의 관계맺기 방식에서 출발한 다. 미디어소통은 생산자와 수용자, 수신자와 발신자의 관계를 정보전달과 복제라는 수동적·일방향적 구조가 아닌 상호이해와 공존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문화적 가치가 발현되는 소통과 공감의 장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국내 미디어의 조선족 재현의 추이를 살펴보고, 최근 개봉한 영화 <우상>(이수진 감독, 2019)의 여성 조선족 재현이 갖는 의미를 분석한다. 한-중 수교를 전후로 하여 한국 미디어에 등장하기 시작한 조선족 캐릭터는 TV와 영화, 뉴스보도 등을 통해 다양하게 재현되어 왔다. 2010년 영화 <황해>(나홍진 감독)를 기점으로 조선족 남성 캐릭터의 폭력적 재현이 장르화되면서 이후 한국영화 속 조선족은 범죄자라는 인식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클리셰는 TV 드라마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OCN과 SBS 등에서 조선족 남성을 잔혹한 범죄자로 반복 생산해오고 있다. 여성 조선족의 재현은 수교 초기에는 결혼이주여성으로 그려지면서 한국 사회에서 순응하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이후 식당도우미, 돌봄 노동자, 불법체류자 등의 이미지로 확대 재현되면서 비록 신분은 불안정하고 낮은 계층이지만 자기 주도적으로 운명을 개척해나가는 당찬 여성이미지가 새롭게 형성되기도 했다. 여성 캐릭터의 범죄 재현은 2016년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이언희 감독)를 시작으로 본격화되었다. 2017 년 영화 <악녀>(정병길 감독), 2018년 드라마 <미스트리스>, 2019년 영화 <우상> 등을 통해 모성과 범죄를 결합시켜 추방과 배제의 서사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남성 조선족 재현이 잔혹한 범죄의 원형으 로 한국 수용자들에게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면, 여성 조선족의 재현은 모성의 실천이라는 궁극적인 윤리의 측면에서도 한국인 여성과의 대비 또는 한국인 남성에 대한 원한 등을 통해 폭력을 정당화시키는 잔혹한 캐릭터로 묘사된다. 미디어소통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 미디어의 조선족 재현은 공포와 두려움, 혐오를 양산하는 장이 되어 왔다. 한국에 거주하는 85만의 조선족 동포들의 수용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왜곡되고 과장된 이미지를 반복 재생산하면서 혐오의 일상화를 부추겨왔고, 이는 2017년 영화 <청년경찰>(김주환 감독) 을 기점으로 조선족 사회의 집단적 분노를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감독과 제작사를 상대로 한 명예훼 손 소송과 국가인권위원회 제소를 통해 드러난 재한 조선족 동포단체의 목소리는 한국 미디어의 부정적 재현에 대한 깊은 문제제기이자 새로운 소통의 장을 요구하는 공존의 몸부림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 어소통의 관점에서 조선족 재현의 문제를 성찰하고, 다문화 혹은 상호문화의 시대를 맞이한 한국 사회 에 필요한 인식과 실천의 방법을 모색해본다.

      • KCI등재후보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박혜인,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1 한국소통학보 Vol.15 No.-

        연구는 한국인에게 독특하게 나타나는 소통 스타일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소통 스타일 측정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면과 예로 대표되는 한국 의 소통 문화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격식성과 대인 간 조화 차원을 소통 스 타 일의 하부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이 두 차원을 다시 세분하여 각각 자아체면 낮춤 격식성과 타자체면 높임 격식성 및 경청적 대인 간 조화와 갈등 회피적 대인 간 조화로 나누었으며, 각 각의 세부 차원을 측정할 수 있는 총 20개의 소통 행위 문항을 개발하였다. 탐색적 인자 분 석 을 통해 자아체면 낮춤 격식성, 갈등 회피적 대인 간 조화 및 경청적 대인 간 조화 차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세 차원이 체면지향성, 체면지향행동, 논쟁성향 및 자기침묵 변인과 갖 는 부분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동반타당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을 제시함으로써 미국에서 개발된 기존의 소 통 스타일 척도를 그대로 번역하여 국내 연구에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문화적 타당성 문제를 극 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을 논의하고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and develop a new measure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reflecting unique Korean communicative culture. First, we examined the construct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Second, we identified two major factors, formality and interpersonal harmony. The first dimension had two sub-dimensions, lowering self-face and heightening other-face. The second dimension had also two sub-dimensions, avoiding-conflict and listening. Third, we validated thes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by relating them with other criterion variables such as sensitivity, face-oriented action, argumentativeness, self-silence, and need for cognition. We proposed one research question and six hypotheses to examine construct,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First, we created a total of 20 statements to measure the four dimensions. After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found only three dimensions. They were the lowering self-face formality, interpersonal harmony of avoiding- conflict, and interpersonal harmony of listening.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ing self-fa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of the face sensitivity and the face-oriented action. Also, the interpersonal harmony of listen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of the self-silence and argumentativeness. The interpersonal harmony of avoiding-conflic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sil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rgumentativeness. The need for cognition hadn’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of the three dimen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se 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have substantial validity although these dimensions had low explanatory power in a total variance of the factor analysis. In summary, we sought to overcome some cultur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style measures mostly developed in Western culture. Finally, we discussed some of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

      • 한국형 소통 스타일 차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박혜인,허경호 한국소통학회 2011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소통 스타일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반영한 하부 차원을 제시하여, 이 개념을 측정하는 문항의 타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한국형 소통 스타일을 구성하는 하부 차원으로 격식성과 대인간 조화를 제시하고 이를 측정하는 20문항을 개발하여 구성타당도를 가지는 지 살펴보았다. 51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탐색적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체면낮춤 격식성, 경청적 대인간 조화, 갈등회피적 대인간 조화의 세 개 인자가 떠 올랐으며 인자 적재치 기준을 만족하지않는 다섯 개의 문항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열다섯 개의 문항으로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측정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후 각 차원과 관련이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체면민감성, 체면지향행동, 논쟁성향, 자기침묵, 인지욕구 변인과의 부분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동반타당도와 차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형 소통 스타일을 세가지 차원으로 구성하는 것이 어느 정도 타당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주의적 저맥락적 문화권인 미국에서 개발된 소통 스타일을 그대로 번역하여 국내 연구에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문화적 타당성 문제 를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나아가 한국의 의사소통 문화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한국적 커뮤니케이션 이론화 작업에 보탬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부부간 소통과 관계 변화: 관계 난기류 이론(Relational Turbulence Theory)을 적용한 설문조사 연구

        심민선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보 Vol.21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결혼생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부부간 소통과 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관계 난기류 이론(relational turbulence theory) 을 이론적 틀로 사용해서 코로나19가 초래한 관계 과도기에 부부 관계의 불확실성(자 기·배우자·관계 불확실성) 및 배우자의 영향(방해·도움)이 부부간 소통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부부간 소통이 관계 난기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 다. 전국의 기혼 성인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자기 불 확실성은 관계 불확실성에 정적 영향을, 부부간 소통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배우자 불확실성 역시 관계 불확실성에 정적 효과를 미쳤다. 배우자의 영향 중 도움은 부부간 소통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나 방해의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부부간 소통은 관 계 난기류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 불확실성과 배우자의 도움이 관계 난기류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와 부부간 소통에 의해 매개되는 간접효과 모두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계 난기류 이론을 코로나19 기간 국내 부부 관계에 적용하여 검증한 이론적 의의와 함께, 장기간 지속된 감염병 위기에 대응할 소통 중심의 실천적 방안을 도출하는 함의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al turbulence from the COVID-19 pandemic in marit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relational turbulence theory,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relational uncertainty (consisting of self, partner, and relationship uncertainty) and partner influence (including interference and facilitation) on communication with a spouse, which in turn leads to relational turbulenc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nationwide sample of 1,007 married adults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self uncertain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uncertaint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rital communication. Partner uncertainty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uncertainty. Facilitation from a spouse was likely to increase marital communication, whereas the effect of interference from a spouse was not significant. Marital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relational turbulence; on relational turbulence, self uncertainty and facilitation from a spouse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mediated through martial communica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의 뇌성마비 자녀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한 AAC 부모교육 효과

        고희선,최진희,박은경,박은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2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10 No.2

        배경 및 목적: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해 AAC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며, 그들의 의사소통 주 상대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한 AAC 부모교육은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 촉진을 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AAC 부모교육을 실행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의 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AAC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자녀의 어머니를대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였고, 교육 전후에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AAC 부모교육 후, 어머니와 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의 사후검사 결과가 사전검사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첫째, AAC 부모교육은 어머니의의사소통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고, 장애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자신감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 기술의 향상은 AAC 사용자인 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을 촉진하였다. 셋째, 다양하게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내용은 어머니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였고, 교육 만족도를 높였다.

      • 스마트폰 메신저 앱 이용에 따른 소통방식과 인식 연구

        이상호,김성진,강수진 한국소통학회 2011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에 관한 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로 사용자와 통신산업 모두에게 카카오톡을 비롯하여 다음의 마이피플 부담을 줄이면서 무료로 소통하는 시키는 불편한 서비스로 평가받고 포괄적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맥락(high-context)의 이해관계자 어조가 생략된 대화로 인해 정황적 말실수와 자살 등)으로 사회적 폐해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이해할 수도 있다. 한편 최근 Closed 메신저(카카오톡 등)는 젊은 주고 있다. 이러한 확산은 사적인 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형태론적으로 은유, 파생, 외래어 등의 변형된 경험한 현재의 Closed 메신저 용의 욕구를 메신저를 통해 해소하고 전술한 Open 메신저와 Closed 를 설명할 수도 있다. 이는 공적인 의 발전이 있었다는 연구와 같이 SNS서비스의 이용에 있어 자발적인 실성을 추구하는 이용자의 불확실성 따른 소통방식과 인식 연구 이상호/ 경성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김성진, 강수진 이용하는 메신저 앱으로 인해 야기되는 소통방식의 . 메신저 앱은 무료 문자 및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많은 변화를 주고 있는 서비스이다. 가입자 천만명의 마이피플, NHN의 네이버톡 등의 서비스는 사용자에게는 대표적인 선호앱으로, 통신사업자에게는 통신망에 있다. 볼 때 비언어적인 문자발화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 이해관계자, 즉 가까운 지인과의 대화에 적합한 양상을 보인다 고맥락을 이해하지 못해 발생하는 사건(공중의 문제화 되고 있는 Open 메신저(트위터, 페이스북 있다. 이는 문자발화 메시지와 화자의 관계변화로 모바일환경에서 일대일, 혹은 일대다의 대화가 사용층을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다양한 사회적 대화 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구술과 문자언어의 생략과 회피, 늘이기, 음운 추가 등의 방법과 언어융합이 진행되는 것이다. 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사용자들의 주류는 대학생들이다. 이들은 그들만의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메신저는 공유영역(shared)과 사적영역(private) 영역과 사적인영역의 구분, 직장과 가정의 공유와 사적사용의 구분을 통해 사용자들이 행태변화가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불확실성, 불예측성의 회피로 인해 더욱 원활하고 디지털콘텐츠학부 교수 강수진/ Smart&Lab 연구원 소통방식의 변화와 인식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 천만명의 1위 서비스 사용자에게는 통신비의 통신망에 부하를 가중 커뮤니케이션에 비해 고 보인다. 언어의 억양, 공중의 오해, 공인의 페이스북, 싸이월드)에서 관계변화로 인한 현상으로 대화가 완전히 보호받는 사회적, 산업적 영향을 문자언어의 융합을 가속화 방법과, 의미론적으로 거치면서 언어융합을 그들만의 소통과 언어사 (private)으로 개념적 차이 구분을 통해 근대화 사용자들이 스마트미디어와 또한, 개념적 분리는 확 원활하고 잦은 사적인 소통 7 도구를 활용하게 된 것이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상기와 같은 이론적 배경하에 기존의 이동전화와 메신저에 관한 연구는 성별차이에 대한 연구, 대학생의 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연구자는 스마트폰의 도입이후 급속히 확산되는 무료전화, 무료문자 앱에 관한 대학생들의 이용행태와 인식의 변화를 소통의 관점에서 심도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자는 이들 무료 메신저 앱의 확산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의 이동전화 이용 패턴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정성적으로 확인하고, 과다한 소통과 인식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연구자는 연구의 주된 주제로 첫째, 소통의 본질적 방법이 변화하였는지 확인하고, 둘째, 소통의 방법이 변 화한 이후 내용적 측면의 품질변화가 전개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셋째 소통방식 변화의 영향으로 주변사람과의 관계에 변화가 진행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스마트폰 사용자중에서 메신저 앱의 이용이 활발 한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메신저 앱의 사용자들은 기존의 전화나 문자 사용량에 대한 증감을 경험하고 있는지, 무료 소통기능을 사용하 면서 중요한 의사소통의 도구가 아닌 즐기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지, 결국 그래서 대화의 내용이 불필요하게 장황해지고 질적인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메신저 앱의 사용으로 인해 원하지 않는 사람과의 자동 연결 혹은 추천이 진행되고, 인맥이 확장되는 점에 대 해 만족 혹은 불편함을 인식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상기와 같은 주제의 탐색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명제를 도출하고,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스마트폰 메신저 앱은 새로운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이동통신 서비스의 이용패턴 변화 에 중요한 구심점이 되고 있다. 또한 산업의 변화를 주도 하고 있는데 통신사업자 중심의 기존 전화 서비스의 이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원인는 소수의 집중 사용자뿐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들이 중요한 무료 전화 및 문자 의 도구로 활용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의 이용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서비스이기 때문이 다. 둘째, 메신저 앱 이용자들의 대화는 필요가 아닌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 앱을 이용한다. 이용 자들은 기존 유료로 이용하는 전화와 문자에 비해 비용에 대한 부담 없이 소통의 수단을 넘어 불 필요하거나 잣은 문자 전송 등의 행태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과도한 커뮤니케이션으로 대화의 양적 증가는 늘어났으나 내용 자체는 유료서비스에 비해 다소 가벼워졌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이 용자들은 프라이버시 침해를 인식하고 있으며, 메신저 앱이 제공하는 자동 추천기능으로 인한 과 도한 인맥의 확장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민감하고도 구체적인 견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화의 내용이 공유되는 Open 메신저(개방 형SNS; 트위터, 페이스북) 보다 대화의 내용이 보호되는 Closed 메신저 앱의 장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연구자는 샘플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상기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스마트폰 메신저 앱 사용에 대한 인식과 사용에 대한 정량적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는 스마트폰의 주요 서비스인 무료 메신저 앱 사용자들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스마트 폰 이용패턴의 변화를 정성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이 있다는 판단이다. 연구자는 후속 연구를 통해 메신저 앱 사용 인식에 대한 모형과 가설을 검정하는 등의 정량적 연 구를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언어행위론에 관한 일고찰 : 소통학과 권력론을 중심으로

        이효성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5 No.-

        본고는 개인간 소통에 초점을 맞춘 소통학과 권력을 수단으로 보는 도구적 권력론의 입장 에서 언어행위론을 고찰하였다. 그 목적은 언어행위론의 소통학 및 권력론과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모색하기 위해서였다. 이를 위해, 첫째 언어행위론의 가장 큰 기여라고 할 수 있는 언 어적 소통의 의미 규정의 문제를 소통학의 입장에서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둘째 언어행위론 이 말하는 소통의 규정과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 논의하고, 셋째 언어행위론에 의한 소통과 권 력의 관계를 규명하면서 그와 관련된 언어행위론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언어행위 론과 권력론의 의도성의 문제에 비추어 소통학의 의도성의 문제, 특히 소통의 효과에서 의도 성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로 언어행위론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언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규명함으로써 소통과 의미의 이해를 심화시켰고, 권력과 소통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소통학이나 권력론의 관점에서 언어행위론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이들이 서로 보완적 관계에 있음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f speech act theory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studies which focus on interpersonal verbal communication, and theory of power which sees power as an instrument, that is, someone's means to a purpose. The aim was to search for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speech act theory on the one hand and communication studies and power theory on the other. For the aim,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ly, the problem of establishing meaning, one of the greatest contribution by speech act theory, from the communication studies perspective; secondly, the way that linguistic communication is defined by speech act theory and its problems; thirdly, the relationship mediated by speech acts between power and communication and problems of speech act theory in terms of power theory; and lastly, the problem of intention in communication, especially in its effects, as entailed by speech act theory. As a result of this inquiry, speech act theory, through examining how ordinary language is used,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and meaning, and mediat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communication. However,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power theory, speech act theory also has some drawbacks, which shows that speech act theory, communication studies, and theory of power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s to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