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딥러닝 기반 기상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익일 태양광 발전량 예측

        송근주(Song Keun Ju),박태섭(Park Tae Seop),정재익(Jeong Jaeik),권성철(Kwon Seong Chul),문종희(Moon Jong Hee),김홍석(Kim Hongseok)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최근 탄소 중립 정책으로 기존 전력 계통에 신재생에너지의 투입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계통 설비 및 운영에 있어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량 예측 기술이 중요해졌다.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원은 바람, 태양과 같은 기후 요소이기 때문에 시간 및 지형에 따른 시공간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발전소 특정 위치에 대한 기상정보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기상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익일 태양광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는 국내 태양광 발전소의 위도, 경도 정보와 거의 일치하는 기상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간단한 딥러닝 구조만으로도 예측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태양광 예측 알고리즘이 이용률 10% 이상 (낮 시간대)에서 5%대의 예측 오차율을 보였으며, 발전소들을 군집화하여 예측한 결과 3%대의 예측 오차율까지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 KCI등재

        한국 아동보육 서비스에서 관민의 관계유형의 구조와 특성

        박정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1

        본 논문의 목적은 한 사회가 보육정책을 형성하는 조건과 맥락에서 국가와 민간부문간의 역할분담 관계유형들을 규명하여 한국의 아동보육서비스에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관계유형의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여 관민협조동반관계를 모색한 것이다. 한국의 아동보육서비스가 협조동반관계로 나아가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기 위해 국가와 비영리부문의 체제유형과 상호관계 유형의 분석틀을 통하여 한국의 아동보육서비스의 전달과 재정을 분석하였다. 한국 아동보육서비스의 공사관계유형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Gidron et al의 공사 역할분담의 관계유형중 정부지배, 평행봉, 협조대행, 협조동반, 민간지배관계의 특성에 따라 관계유형을 규명하고, Salamon과 Anheir의 체제유형중 사민주의모형, 조합주의 모형, 자유주의 모형, 국가주의 모형의 특성에 따라 체제유형을 규명한 것이다. 영유아보육법 제정 이후 공급주체가 다원화되어 사회복지법인, 재단법인, 종교단체, 개인까지 참여하게 되었다. 보육시설의 전달주체별 분석결과, 보육시설수나 보육아동수의 측면에서 보육서비스의 공급은 민간영리부문이 주도적으로 공급하는 보육모형으로 나타났다. 보육서비스 재정의 분석결과는 중앙정부 보다는 지방정부의 부담이 더 크고, 지방정부보다는 보호자의 비용부담이 절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정부의 아동별 지원도 저소득층아동에 대해 제한적이고 선별적인 지원을 하고 있는데 이또한 양적인 선별주의도 충분히 실현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의 아동보육서비스의 관민의 관계유형은 국가주의적 협조대행자 모형이 유지 또는 강화를 보이고, 점차 상업화, 분권화, 탈규제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한국의 경우 국가부문의 복지비 지출이 낮고 비영리부문의 규모도 작은 국가주의적 특성이 약화되고 민간비영리부문이 성장하지 않는다면 아동보육서비스는 협조적 동반관계보다는, 국가부문과 민간비영리부문간의 지배종속관계, 협조대행자적 관계는 오히려 상업주의적 국가주의의 대안에 가깝게 될 것이다.

      • “보육교사 양성 및 재교육의 표준화”에 대한 토론

        조혜숙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추계

        유보통합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육교사들에 대한 보육교사 양성 및 재교육의 표준화를 위한 노력으로 본 발제자의 심도 있는 발전방안에 먼저 감사를 표합니다. 아울러 한국보육지원학회의 진정한 보육발전을 위한 각고의 노력에 힘찬 박수를 보냅니다. 1991년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면서 보육의 역사는 서서히 페달을 밟기 시작하 더니 2005년 영유아보육법이 개정되는 계기를 맞이하여 보육계는 급물살을 타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시대의 사회적 환경이 보육수요를 증가하게 하였으며, 이에 정부는 보육에 대한 열정을 강조하였습니다. 발맞추어 학계를 비롯한 전문인들은 보육현장에서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및 교육으로 인해 보육의 현주소를 볼 수 있도록 등대역할을 해 주셨습니다. 한편 보육을 실천하는 현장에서는 2005년 영유아보육법이 개정된 후 평가인증이 실시되었고, 영유아를 위한 보육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영유아들의 작은 소리 에도 귀 기울이면서 발달에 적합한 보육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 KCI등재

        한국 보육의 역사 및 관련법과 현황

        조복희,강희경,김양은,한유미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육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조망하기 위한 보육백서 발간 작업의 일부로서 우리나라 보육의 역사와 보육관련 법들의 주요 특징을 알아보고, 보육현황을 소개함으로써 향후 발전적인 보육정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목적을 둔다. 먼저 보육역사 부분에서는 1기 아동복리법 시기, 2기 유아교육진흥법 시기, 3기 영유아보육법 초기, 4기 영유아보육법 전면 개정 이후 등으로 구분하여 전반적인 보육사업의 흐름을고찰하였다. 둘째, 보육 관련 법 부분에서는 기본법인 영유아보육법과 보육관련법인 유아교육법과 아동복지법 그리고 기타 관련법으로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남녀고용과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장애아동복지지원법, 사회복지사업법에서의 영유아보육 관련 내용을 열거하였다. 셋째, 보육현황 부분에서는 일반 현황, 어린이집 운영 및 보육아동 현황, 어린이집 유형 별 현황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의 식생활교육 내용 비교

        서현선(Hyun Sun Suh),전홍주(Hong Ju Jun),민선혜(Sun Hye Min)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보육시설 평가지표의 식생활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양국의 식생활교육의 특성을 알아보고 한국 식생활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은 표준보육과정, 누리과정 원본과 해설서 및 지침서 그리고 어린이집 평가인증통합지표를, 일본은 2018년 개정된 보육소보육지침해설과 제삼자평가지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의 경우 보육과정과 평가에서의 중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과정은 영양 및 식사예절 등 바르게 먹기의 내용구성 비중이, 평가지표는 청결 및 위생에 대한 내용구성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의 경우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는 일관적으로 즐겁게 식사하기 관련 내용이 강조되었고, 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식생활교육 접근 방식에 있어 한국은 음식에 관한 지식중심으로, 일본은 일상적 체험을 통해 식생활교육 내용을 접근하였다. 즉, 한국의 교육은 영양과 식사예절 관련 지식을 통해 바르게 먹기를 지향하고 있으며, 일본은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통해 함께 즐기며 식사하기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어린이집에서의 식사지도 개선을 위한 방향성과, 즐겁게 먹기 강조를 위한 일관성 있는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etary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and find directions for dietary education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two countries’ dietary education in their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Methods: To this e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uidebooks for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the Accreditation Index for Child-care Center in the case of South Korea, and the handbook for the Child-care Guideline and the Third Party Evaluation in the case of Japan.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 showed differences in the focus of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The contents about proper eating such as nutrition and table manners comprised a high portion of the curriculums, whereas the contents about cleanness and hygiene accounted for a high portion of the evaluations. In the case of Japan, its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consistently emphasized contents related to enjoying eating oneself, and suggested various methods for this. Second, in terms of the two countries’ approaches to dietary education, South Korea focused on food-related knowledge, whereas Japan mainly created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based on daily experienc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results suggest a direction to improve the currently publicized dietary guidance problem and a need for consistent the national child care curriculum and evaluation indicators in South Korea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oyful eating.

      • 우리나라 보육의 발전과 전망

        우남희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추계

        한국보육지원학회 창립 10주년을 축하합니다. 학회가 설립된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 틈에 세월이 많이 흘렀습니다. ?오늘의 보육, 내일의 아이들‰이라는 주제로 10주년 기념학술대회를 개최하는 오늘, 여러분들과 자리를 함께 하게 되어 기쁩니다. 오늘 저는 ?우리나라 보육의 발전과 전망‰에 대해 여러분과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요즈음 보육의 문제는 보육을 하고 보육을 받는 이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이슈가 되어 나라 전체의 관심사가 되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닙니다. 현재 우리는 ?보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91년 ?영유아보육법?이 제정 공포된 이후부터라고 봅니다. 보육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그 뿌리를 ?탁아?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현재는 보편적 보육을 지향하여 우리나라의 모든 어린이들을 올바르 게 양육하기 위한 공공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1920년대 우리나라에서 설립이 시작된 탁아소는 빈민구제 사업의 일환이었습니다. 버려진 아이들과 가난한 아이들을 돌보아 주기 위해 시작된 탁아가 이제는 전국의 아이들을 단순히 돌보아 주는 차원이 아니라 어린 아이들의 교육과 건강과 영양과 안전의 문 제는 물론 부모에 대한 서비스까지 담당하고 있습니다. 1960년에는 고아원과 같은 탁아소가 24개소였다 고 하는데 이제는 어린이집의 수효가 40,000개원을 넘으며 시설 면에서도 엄청난 발전을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양적 질적으로 무서운 발전을 거듭해 온 우리나라의 보육실태는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보육도 OECD 선진국이 100여년을 쌓아온 경험과 지식을 3∼40년만에 압축하여 성장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는 오늘 이 곳에 오신 학계와 현장의 전문가 여러분의 열정적인 연구와 뒷받침 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또 한편, 이러한 압축성장의 이면에는 미처 다루지 못한 분야에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음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저는 우리나라 보육의 발달상과 현황에 대해 짚어보고, 우리 앞에 놓인 몇 가지 현안을 중심으로 그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또한 향후 예견되는 우리사회의 이슈 들과의 관계 속에서 보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전망해 보고자 합니다.

      • KCI등재

        한국 영유아 보육 사업의 이념적 방향과 과제

        이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3

        본 연구는 한국 보육사업 10년을 맞아 장기 발전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서 보육의 이념적 방향에 대한 합의가 최우선 과제라는 전제 하에, 우선 아동보육이 선택이 아니라 의무가 되어야 함을 천명한 아동권리협약의 관련 조항을 분석하여 한국 보육의 이념-국가의 아동보육 책임-을 강조하고 그 이념을 실현하는 방향을 향해 보육 정책이 시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보육선진국들의 보육제도를 가능케 한 보육 이념들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보육모형이 이념적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 지를 확인하고 나아가 한국 보육의 선진화를 위해 추구해야 할 보육이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보육선진국들이 일찍부터 국가의 아동양육책임을 수용하고 아동의 권리를 신장시켜 왔으며 보편주의적 공동양육이념, 아동중심주의 이념, 민주주의와 실증주의 이념을 기저로 한 진보적 보육제도를 확대하여왔음을 논의하고 한국의 보육사업이 이러한 진보적 보육이념을 지향하기 위하여 시행해야할 정책적 과제와 보육전문가 및 학부모와 종사자들이 보육의 선진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들을 논의, 제시하였다.

      • 보육교사의 자격기준강화에 따른 교과운영의 전망과 방향 : 대면교육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이소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6 한국보육지원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춘계

        여성 경제활동 인구의 증가와 가족유형의 다변화로 영유아를 대상으로 보호와 교육을 제공하는 어린이집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10년간 보육시설은 급격한 양적 팽창을 이루었으나, 영유아의 최적 발달을 담보 하는 우수한 보육환경, 보육교사, 보육프로그램 제공 등의 질적인 측면에 있어서 는 여전히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현 시점에서는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 아의 비율과 보육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이 높아지고 국가의 공적투자가 늘어남 에 따라 자녀를 시설에 맡기는 영유아의 부모, 관련 학계와 정부가 모두 보육의 질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2015년에 보육과 관련된 불미스 러운 사건들이 매스컴에 자주 보도된 바, 보건복지부는 2016년 1월 12일 “지난 해 1월 아동학대사건 이후 제기된 ‘온라인 강좌를 통한 보육교사 자격취득’ 문제 를 해소하고 보육교사의 인성과 자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어린이집 내 보육의 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선언하며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일부개 정(보건복지부령 제 392호, 2016a)을 공포하였다.

      • KCI등재

        장애유아부모의 통합보육 경험과 욕구 분석에 관한 질적 연구

        장영실(Jang Young-Sil)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8

        본 연구는 장애전담교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보육시설에 장애유아를 보낸 부모의 통합보육의 경험과 통합보육관련 욕구를 분석하여 통합보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유아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하였으며, 보육시설 선택의 영향요인, 통합보육의 긍정적ㆍ부정적 경험, 통합보육과 관련된 욕구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통합보육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특히 최소제한 환경의 보육시설에 보내기를 강력히 원하였으며, 통합보육을 통한 다양한 경험과 통합보육과 관련된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보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면, 통합보육시설의 확충,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조기교육의 실시, 통합보육시설에서 장애유아를 위한 치료프로그램의 실시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와 더불어 보육정보센터의 기능 확대, 장애인부모회 등과 같은 자조집단의 결성촉진과 상호 연대강화,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강화와 지원,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연계와 적극적 활용 등도 필요하다. The study aims to seek how to facilitate inclusive child care based on analysis which suggest experiences on mothers who sent disabled children to the child care centers without teachers specialized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its part,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fiv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subjects including; factors affecting when selecting child care centers, positive [negative] responses for inclusive child care and desires regarding inclusive child care. Study results are released for encouraging inclusive child care centers. Parents firmly prefer child care centers to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and want various experiences through inclusive child care. To promote inclusive child care based on the research, expanding and improving the child care facilities, counseling for positive change toward disabled and acquisition of new child care methods would be encouraged. In addition, providing more child care centers, access to various information, being connected with related organizations, promoting welfare including special education will be needed.

      • KCI등재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박경자,황옥경,문혁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5

        우리나라는 1921년 태화기독교 여성관 탁아프로그램으로 보육이 시작된 이후 1991년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되는 등 질적인 보육을 제공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이 꾸준히 발전해왔다. 약90년 정도 된 보육의 역사에서 보육정책을 담당하는 부처는 시대에 따라, 그리고 관련 법의규정에 따라 보건사회부, 농업진흥청, 내무부, 문교부, 노동부 등 여러 부처로 분산되어 왔으나, 1991년 제정된 영유아보육법에 의해 보건복지부로 일원화되었고 2004년에는 여성가족부로, 2007년에는 다시 보건복지부로 이관되었다.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은 1991년 제정된 영유아보육법을 기점으로 교육부 관할의 유치원과 보건복지부 관할의 어린이집의 이원체제로 운영되어 왔다. 최근 출산율의 급속한 저하로 인해 출산율 회복을 위한 정책 개발과 보육의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에 의해 다양한 보육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현재 보육정책의 주요 특징과 앞으로 다가올 시대를 위해 보육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