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모델링관련 국내 선행연구 경향 분석 -디자인 및 계획계 문헌을 중심으로-

        이소연 ( Soyeon Lee ),유성은 ( Sungeun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리모델링은 친환경성과 경제성 등 다양한 장점 덕분에 노후화된 건축문제를 해결할 대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건축물의 틀에서 작업해야 하는 리모델링은 신축이나 재건축보다 디자인 개선 및 계획에 한계가 있어 차별화된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관련 연구를 통해 개선안을 찾는다면, 리모델링 산업을 발전시킬 뿐 아니라 국내 노후 공간을 개선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리모델링 연구 중 디자인 및 계획계 문헌의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 및 보완점을 찾아 리모델링 연구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리모델링의 개념 및 정책 변화를 살펴보아 본 연구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기존의 리모델링 연구를 게재연도, 키워드, 연도별 키워드, 연구방법, 연구결과의 유목(類目)별로 나누어 경향을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한다. 구체적으로 빈도 분석 및 게피(Gephi)프로그램 을 통한 네트워크 분석을 한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리모델링 관련 문헌을 추출하기 위해 학술데이터베이스(DB)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및 계획계 관련 논문 100편을 전수 조사하여 그 성향을 파악하였다. (결과) 첫째, 리모델링 연구는 2000년도 초반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08년 이후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는 2000년대 초반 실시된 리모델링 지원 정책과 2008년 재건축 규제 완화 정책 등 해당 시기의 정책적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공동주택 리모델링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해당 연구의 영향력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에서 공동주택 연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감소하고 있는 데 반해 다른 분야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리모델링, 교육시설, 의료시설, 노인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도시재생 관련 연구가 최근 대두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은 기존 리모델링에 대한 사례조사가 가장 많았는데, 다방면의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앞으로 다양한 조사방법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리모델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면접조사나 설문조사 등 심층 분석 조사가 더욱 활발해져야 한다. 넷째, 연구 결과는 기존공간을 분석 및 평가하고 이에 대한 지침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징적으로 정책 및 제도 제시를 위한 연구가 다수 있었다. (결론) 리모델링 디자인 및 계획의 연구는 다른 공간디자인 연구와 다르게 정책 및 제도와 긴밀한 관계를 보이는 것이 가장 특징적이다. 공동주택 연구가 다수를 이루었으나 이는 점차 축소되고 연구의 주제가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다양화 되고 있는 중이다. 연구의 방법 및 결과으로 살펴보았을 때 기존 사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연구가 가장 많아 더욱더 다양화된 연구주제 및 방법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리모델링 관련 연구를 종적 횡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modeling, as a measure to resolve deteriorating construction issues, is attracting attention for its various strong points such as eco-friendliness and economic efficiency. It is anticipated that finding improvement based on relevant studies would be highly helpful in developing the remodeling industry and making domestic deteriorated spaces better.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by analyzing the trends in the design and planning literature of remodeling research. This study also intends to address problems in existing studies and issues to remed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modeling research. (Metho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study for analysis by examining the concept of remodeling and the political change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content analysis of the existing remodeling studies was conducted after classifying them depending on the years of publication, the keywords, the study methods, and the study results. To be specific, frequency analysis and Gephi program-based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For collecting literary data regarding remodeling, 100 papers on design and planning provided by Library Database (DB) were all investigated and the tendencies were analyzed. (Resul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modeling studies began to increase in the beginning of 2000, but they have entered a downturn since 2008. It is considered that this was caused by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times, such as the remodeling support policy enforced in the early 2000s and the reconstruction deregulation policy of 2008. Second, the studies on apartment remodeling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and they had the highest influence as well. The proportion of the studies on apartment housing has been gradually declining, whereas diverse studies on other fields are under way. Third, case studies on existing remodeling occupied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 study methods. This means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needs to be attempted to obtain study findings from various angles. Fourth, the majority of the study results were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xisting spaces, and provide the related guides and directions.(Conclusion)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remodeling design and planning studies is that they have close relations with policies and systems, unlike other space design studies. Besides, the proportion of the apartment housing studies has been reducing by gradation and the study topics have been diversifying, covering social and cultural factors. When it comes to the study methods and results, the majority of them were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xisting cases and this demonstrates there is a need to deal with more diversified study topics and methods.

      • KCI등재

        노후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구성요소 및 유형매트릭스 연구

        신서경(Suh-Kyung Shin),윤영호(Young-Ho Yoon),김경래(Kyung-Rai Kim),이동훈(Dong-Hoon Lee) 한국주택학회 2017 주택연구 Vol.25 No.3

        리모델링은 노후한 공동주택의 성능개선을 통해서 기존 공동주택의 유지·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2000년대 초부터 꾸준히 진행된 리모델링 사업은 기존 공동주택의 여건이 저마다 달라 사업추진을 비롯한 리모델링 사업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리모델링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리모델링 사업을 보편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리모델링의 사업구성요소와 유형을 제안하였다. 사업구성요소는 리모델링을 통한 주택의 성능향상과 사업성 측면을 기준으로 도출하였다. 사업유형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실제 리모델링 사업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립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사업구성요소와 유형을 바탕으로 리모델링 사업모델을 일반화할 수 있는 리모델링 사업유형매트릭스를 제안하였다. 사업유형매트릭스는 리모델링 사업대상지별 사업여건을 사업구성요소에 따라서 정형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사업유형매트릭스는 리모델링 사업자와 주민이 손쉽게 리모델링 사업의 내용을 인지하고 공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modeling old multi-family residential becomes a major housing management strategy that focuses on deteriorated apartments improvement in South Korea. However, remodeling old multi-family residential experiences difficulties in covering conditions and needs which vary by each project. This study i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of multi-family residential improvement by establishing the component and general types of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To conduct the research, the laws, policies, and projects of residential improvement are analyzed. Also, expert interviews are conducted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those components and types. As a result, this study creates a matrix that illustrates various multi-family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in terms of housing improvement and project feasibility. This matrix is expectedly a platform to generalize models of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which facilitate overall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in South Korea.

      • 제1기 신도시의 도시재생과 관리방안 연구

        장윤배,이성룡,채명진 경기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2011 No.9

        1989년 4월 정부는 폭등하는 집값을 안정시키고 수도권의 주택난을 해소하기 위해 서울 근교의 20km 권역 내인 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에 5개 신도시 건설계획을 발표했다. 이들 신도시는 1992년 말 입주를 완료해 약 29만 2천 가구, 117만 명이 거주하게 되었으며, 이를 제1기 신도시라고 부르고 있다. 제1기 신도시는 대부분 준공 후 15년 이상 경과되어 주요설비가 노후화되고 있으며 주차장 등 생활편의시설 부족, 대형평형의 수요 감소 등이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판교와 같이 입지여건이 비슷한 제2기 신도시에 비해 주택가격이 크게 차이 남에 따라 주민들이 아파트의 개선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에 제1기 신도시에서는 리모델링 사업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재건축사업을 위한 경과년수가 40년으로 규정되어있어 사업추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리모델링 추진과정에서 세대수 증가 및 건물 층수의 증가(수직증축 허용) 등 규제완화와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야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추진 중인 리모델링 사업을 중심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리모델링 사업의 추진현황과 관련 자료를 입수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사업 가능한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정비사업후 주거환경의 개선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조, 채광 측면의 영향과 광역교통측면의 혼잡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제1기 신도시 아파트단지의 평면배치를 유형화하여 향후 리모델링 평면개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최근에 건설된 아파트와 비교하면 제1기 신도시 아파트는 제2기 신도시에 비해 세대당 주차대수가 1대 미만으로 개발된 경우가 많아 주차장이 부족하고, 세대당 공원?녹지면적과 부대복리시설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규정에서 리모델링 추진시 경제성을 검토하였는데, 3.3㎡당 아파트 시세가 1,000만원을 가정하였을 때, 증축이 없는 경우(대수선)에는 주택가격이 30%이상 상승해야 사업비가 회수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증축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보면, 주택가격이 10% 정도 상승할 경우 기존보다 용적률을 30% 이상 증가시켜야 최소의 사업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리모델링 사업비용에 대한 주민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는 현행규정에서 사업 전후 대지사용권(토지지분)의 변화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하였다. 대형평형의 소유자가 더 큰 평형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리모델링에 의한 여유면적을 소형평형으로 이전하거나, 임대주택으로 시장에 공급하여 사업비를 회수할 수 있다면 주민부담을 크게 줄이고 사업추진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중앙정부와 경기도에 리모델링 제도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 중앙정부의 제도개선(안)으로는 국민주택기금 지원, 리모델링기금 신설, 취득세 부과기준 개선, 리모델링에서 지분교환 허용, 준-재건축(가칭) 신설, 공공관리자제도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경기도의 추진방안으로는 제1기 신도시 재생 마스터플랜 수립, 리모델링 비용을 특별수선충담으로 장비 분할상환, 부분임대주택 건설 유도, 리모델링 컨설팅조직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요소의 중요도 결정에 관한 연구

        조용경(Yong-Kyung Cho),이정길(Jung-Kil Lee),이상엽(Sang-Youb Lee)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1 부동산 도시연구 Vol.4 No.1

        리모델링은 건축물의 노후화를 억제하거나 기능향상 등을 위해 대수선 또는 일부 증축하는 행위이다. 우리나라는 주택 200만호 건설계획의 일환으로 1980년대 후반에 집중적으로 공급된 공동주택이 공급 후 15년 이상 경과함에 따라 노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노후 개선 대안으로는 재건축, 리모델링 등이 있지만 대량의 공동주택을 동시에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리모델링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국가적 차원의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꾸준한 관련법제ㆍ개정 등의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현실에서 아직까지 리모델링은 활성화 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재건축에 준하는 무리한 재산가치 상승 위주의 리모델링 사업 방식이 리모델링 후 실질적으로 주거의 질이 하락하고 거주자의 경제적 부담 큰 것이 주요한 원인이라고 보았다. 이에 주거의 질 향상을 위한 노후 공도주택의 개선 대안으로 리모델링 사업이 결정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를 도출하고 그 결정요소의 중요도를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Fuzzy-AHP 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재산가치 상승 측면에서 거주자가 판단하는 리모델링 사업 결정요소의 중요도 결정에 집중되어 있는 기존연구과 달리 주거의 질 향상 측면에서의 합리적 리모델링 사업 결정을 위한 중요도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분석결과 전체 리모델링 결정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공사기간 중이주비용> 인테리어 개선(내부 마감재)> 주차장 확대> 재산가치 상승> 세대면적 확대> 첨단 정보시스템 적용> 유지ㆍ관리비절감> 기계설비> 세대별 공간구획 변경> 전기설비> 실내 공기실>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배려> 코어 형태 변경> 화재ㆍ소방> 주동 이미지 향상> 공사비 절감> 조명ㆍ채광 개선> 에너지성능개선> 놀이터 등 주민공동시설> 구조관련성능개선> 소음성능개선> 조경으로 결정되었다. 주차장 확대나 인테리어 개선은 거주자가 노후 공동주택에서 가장 불편을 느끼고 있으며 주거의 질을 위해 최소한의 개선이 가능한 결정요소로 순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급속하게 증가할 노후 공동주택의 주거의 질 향상을 위해 시장에서 선택 가능한 순기능적 대안으로서 리모델링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거주자가 노후로 인해 느끼는 주거의 질 하락을 개선하기 위한 재건축, 증축 중심의 리모델링 등의 대안을 선택할 때 의사결정 기준의 전환을 위한 방향 제시가 될 수 있다. Remodeling is the acts which expand a part of building and repair major part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ged apartment housing. Korea has supplied the apartment housing heavily in the late 1980s. Many apartments have been used over 15 years and their functions need to be improved. Several alternatives exist, but it is not possible to improve a large amount of housing at the same time. Pursuant to this study, the remodeling like the reconstruction falls the housing quality and requires the big economic burden of the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core factors of remodeling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housing. To this end, Fuzzy-AHP method was conducted and the factors of remodeling were analyzed.

      • KCI등재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오동훈(Oh Dong-Hoon),권영섭(Kwon Young-Sup) 한국주택학회 2008 주택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리모델링 관련 법제도 완화 적용의 문제점을 실제 사례조사를 통해 분석한 후 바람직한 법제도의 완화적용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아직도 정비나 개선이 되지 못한 법제도를 검토하여 리모델링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그 동안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리모델링이 법제도에 도입된 이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정책은 선행연구들에서 주장된 대로 지속적으로 법제도를 완화하여 왔으나 본 연구는 리모델링으로 인한 주거환경 및 도시환경에의 영향도 함께 고려함으로써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방안을 찾아보고자 함으로써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리모델링 관련 법규 적용 실태사례조사를 위해 일시에 리모델링이 많이 진행된 곳으로 잘 알려진 서울시 용산구 이촌동 지역에서 해당 구청에 2006년 공동주택 리모델링을 위한 법 적용 완화를 위한 건축심의가 신청되었던 H, S, T, V, J 아파트 등 5개 아파트단지를 조사하였다.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주거전용면적의 증축 범위에 대한 한계 설정, 2) 일조 확보를 위한 높이제한 기준의 완화범위 설정, 3) 일부 기존 棟의 이전 및 개축 허용, 4) 세대수 증가 허용, 5) 공동주택 층고기준 완화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remodelling related law and policy after analyzing the mitigation problems of the current law and policy through case studies and secondly to show the improvement schemes for vitalizing apartment remodelling by reviewing the law and policy which have not been reorganized and reformed. According to many preceding studies, since the apartment remodelling law had been introduced, the vitalization policies on apartment remodelling have been continuously relaxed. However,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receding studies because it considers influences on the residential and civil environment by remodelling and it seeks for improvement schemes of apartment remodelling which could contribute to living quality of residents. The area of a case study used in this paper for the application of remodelling law is Ichon-dong, Yongsan-gu, Seoul where many remodelling projects had performed simultaneously. This study focuses on five apartments such as H, S, T, V, J apartments which are applied to the Yongsan-gu District Office for a building deliberation in order to get a mitigating decision by the remodelling law in 2006. As the research result, the improvement schemes for vitalizing apartment remodelling are 1) an establishment of the limit on living space"s extension, 2) an establishment of the relaxation range on a height limit for a right to enjoy sunshine, 3) a permission to partially relocate and rebuild the existing apartments, 4) a permission to increase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5) a relaxation on apartment floor limit.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례연구를 통한 정책 ·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문성,김문기 경인행정학회 2010 한국정책연구 Vol.10 No.2

        공동주택 리모델링 정책은 건물의 물리적 노후화뿐만 아니라 ‘주택의 질’에 대한 사회의 다 양한 주거욕구의 증대로 인해 생겨난 제도이다. 최근에는 유지 · 보수의 차원을 넘어서 새롭게 요구되는 사회적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2001년 법제화 후 부터 관련법령 완화, 절차 간소화와 함께 신축건축물에 대해서도 향후 리모델링이 용이한 구조로의 설계 및 시행을 할 경우 인센티브를 주며 관련법 제도를 정비하는 등 제도개선을 이 루어 왔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등장과 더불어 시작된 재건축 완화정책은 리모델링 사업을 급격히 쇠퇴시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특히 실용주의 표방을 기조로 시작된 주택정책의 급격 한 변화는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장을 교란 시키고 있다. 이에 따른 결과로 2009년 말 기준 서 울 · 수도권 167단지 123,000세대가 사업이 중단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서야 정부와 서울시는 리모델링 시장의 끊임없는 제도개선 요구에 따라, 리모델링이 용이한 구조를 지향하고 리모델 링이 가능한 보금자리 주택의 공급을 증가하는 등 정책 변화를 보여주고 있지만, 현행 법률 체 계상 재건축도 리모델링도 불가능한 노후화된 아파트는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통하여 정책과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조기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구시설 대수선 공사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개선요구사항 연구

        박경석,임형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5

        최근 건축물의 대형화 및 고층건축물은 일반적으로 건설→운용→폐기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최근 들어 이러한 Life Cycle 중에서 운용단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철근 콘크리트로 지은 대부분의 건축물들은 60∼70년 가까이 사용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1970∼80년대 고도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국가 과학기술 의 발전을 위해 많은 연구 인력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연구시설이 건설되었던 수많은 건축물들이 노후화 등으로 인 해 경제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민간시설의 경우 리모델링 후에 얻어지는 경제적 이점 때문에 투자가 활발하여 신축의 수준에 달하는 리모델링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형연구시설의 경우에는 매년 책정되어있는 한정된 예산으로 간단한 개보수나 노 후화가 심각한 부위에 대한 개별적인 리모델링을 실시하는 등의 소극적인 관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제한 된 예산내에서 최적의 리모델링을 실시하여 사용자의 쾌적성 및 사용성, 연구시설의 효율적인 관리와 내구성을 증 가 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연구시설 리모델링 공사의 효율적 수행을 위하여 일반건설공사의 CM프로세스 분석을 바탕 으로 리모델링의 특성과 공사 프로세스를 비교하여 일반건설공사에서의 CM과 리모델링 공사의 CM의 차이점을 파 악하고 대형연구시설 리모델링의 특성과 사례를 고찰한 후, 대형연구시설 리모델링의 관리기법 개선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CM기법 적용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건립된 지 30∼40년이 경과된 대형연구시설을 대상으 로 리모델링 전 단계를 분석하고 대형연구시설 리모델링의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리모델링 전략을 제안하여 향 후 대형연구시설 리모델링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pecific facilities have been constructed because of increasing demand in part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h high growth of Korean economy in 1970’s and 1980’s. 50% of the large research facilities of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which are making important roles have been over 18 years since their construction and most of them were built when quantitative supply was prior to qualitative level due to lack of research areas and laboratories. These places cannot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these days so it is considered that remodelling of construction in the large research facilities would be revved up. The large research facilities require the continuous remodelling according to building performances themselves, research areas’ changes and researchers’ paradigm changes. Although the market size of total remodeling in Korea is very small; around 15% of total construction market; it is expected to grow to 30% in 2014 overtaking the growth rate of new construction investment. It is essential to approach the aspect in CM as well as information accumulation which is gained through performing the remodeling projec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n both process distinctiveness that exists as distinct from the normal construction in remodeling project and several construction contracts.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the CM application methods as follows analysing not only the CM difference in normal construction and large research facility remodeling, but also the remodeling examples of the large research facilities to perform the remodeling construction of large research facilities efficiently.

      • KCI등재후보

        장기공공임대주택의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유형 분석

        이지영,윤영호,이지은,Lee, Ji-Young,Yoon, Young-Ho,Lee, Ji-E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4 No.1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지원법" 제 개정으로 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및 증축동 신축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같이 리모델링의 법적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앞으로 장기공공임대주택에 시행될 리모델링의 목표, 공간, 주기, 아이템, 프로세스 등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요구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둔 리모델링 유형 제안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제시된 리모델링 유형은 그 시행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가능성 확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영구임대주택의 현황 및 입주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선진 국가의 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사례를 분석하여, 개선환경 별 주요 리모델링 목표를 도출하였다. 먼저, 국내 외 현황 분석은 장기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과정에서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 도모를 위한 포괄적인 리모델링 설정과 다양한 리모델링 유형 및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적용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또한, 영구임대주택단지 입주자를 대상 설문조사로, 주택의 물리적환경개선(주택 및 시설 노후화 개선)과 사회적 환경개선(단지의 부정적 이미지 개선)과 관련된 거주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같이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물리적 사회적 환경 개선요소를 도출하였으며, 7개의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유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같이 제시된 리모델링 유형은 리모델링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입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modeling of long-tern public rental housing (LPRH) have been acknowledged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of th Act of the Life Quality Improvement of the Residents in Long-tern Public Housing. Likewise, the feasible direction of LPRH remodeling should be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wellers and housing facilities. Therefore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modeling types for increasing their quality of life with regard to sustainability of remodeling. To do so this study employs various cases of public housing remodeling from the UK, France and USA and performed quantitative research that was subject to the residents in 9 LPRH in Seoul and Gyeong-gi.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comprehensive and sustainable remodeling considering both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are needed, and that the residents have needs of improvement of deteriorated facilities and negative perception of the public on LPRH. With regard to this, seven types of the LPRH remodeling types are drawn on the combination between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types will ultimately be able to increase of the quality of the life of the residents and guarantee sustainable remodeling.

      •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사례 연구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단계별 리모델링을 중심으로

        이양숙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2012 사대도협회지 Vol.13 No.-

        본 연구는 단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도서관 신축 또는 증축, 다음 단계의 리모델링 추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리모델링을 위한 T/F팀을 구성하였고, 도서관 서비스를 디지털 환경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10년 동안 국내 대학도서관의 신축 또는 증축, 리모델링 사례를 벤치마킹하였으며, 대학도서관 변화 추세를 반영하여 단계별로 리모델링을 추진하였다. 충분하지는 않지만 자료소장공간이 확보되었고 지금까지 2단계 리모델링이 완료되었으며 공사비용은 약 20억이 사용되었다. Information Commons, 학술정보이용교육장(소극장), 그룹스터디룸, 북카페가 신설되었고, 그에 따른 조직개편이 단행되었으며 업무분장이 재조정되었다. 2012년 3단계 리모델링을 추진할 계획으로, 향후 신축 또는 증축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동주택 리모델링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 실무자 및 전문가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이택운,성창원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2

        국내 공동주택의 경우, 15년 이상 경과한 아파트의 누적분포는 2015년 기준으로 521만 가구로 예측하고 있어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사업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공동주택 리모델링사업의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장애요인들을 기획단계, 계획·설계단계 및 계약·시공단계로 구분하여 도출/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장애요인들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사업타당성 분석 기법 및 합리적인 리모델링·재건축 판정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고, 또한 용적율 완화와 세대수 증설을 위한 수직증축을 허용함으로써 자금조달능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리모델링 사업수행방식을 설계·시공 분리입찰 및 일괄입찰에서 건설사업관리방식의 하나인 대리인형(CM for fee)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