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의 교육적 활용 방안 및 향후 방향 탐색

        전종희(Jeon, Jonghee),홍성훈(Hong, Seo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Howard Gardner가 1983년 ‘마음의 틀(Frames of Mind)’을 발표한 이후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 적용되어온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의 교육적 활용 방안 및 향후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 이론은 누구나 8개의 지능이 있고, 서로 다른 지능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강점 혹은 약점 지능은 개인마다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각 지능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다중지능은 개인이나 집단 내에서 상호작용을 하고 상이한 유형으로 결합함으로써 탁월한 능력과 성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의 구성과 발달, 개인 내·외 상호작용을 통한 다중지능의 계발과 발휘, 다중지능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다중지능의 추가 가능성과 향후 방향을 탐색할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 연구의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성과 창의성이 중시되는 현 시대에 다중지능 이론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and future direc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hat has been applied and spread worldwide since the publication of ‘Frames of Mind’ by Howard Gardner in 1983. Multiple intelligences suggest that everyone has eight intelligences and shows different intelligence profiles. Strengths or weaknesses intelligence is manifested in a variety of ways, and each intelligence is influenced by each other. Multiple intelligences can manifest as excellent abilities and achievements by interacting within individuals or groups and combining them into different types.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the basic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ing and demonstrating multiple intelligences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interaction, teaching-learning strategies using multiple intelligences, possibilities of additional intelligences and future direc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iscussion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present age where diversity and creativity are emphasized.

      • KCI등재후보

        효와 다중지능의 통합적 연구 - 청소년 인성교육의 시선에서 -

        박형양 한국효학회 2014 효학연구 Vol.0 No.20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성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효와 다중지능의 통합성을 기초로 한 교육방법론을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라는 인간이해와 교육방법의 이론을 가지고 기존의 효교 육과의 연계를 통해 인성교육에 접목시키는 시각을 제시한다. 그러나 아직 다중지능이론을 인성교육과 합치 하여 전개한 교육방법론이 명확하지 않은 만큼, 다중지능과 효교육이라는 소재로 범위를 줄임으로써 이 둘의 통합성을 살펴보는데 우선을 둔다. 이것은 효교육의 증진과 가능성을 다중지능이론을 통해 강화시키고 인성 교육에서 효교육이 중요한 이유를 다중지능이론을 통해 풀어가고자 하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즉, 인간이해 에서 다중지능의 다양성처럼, 인성교육의 다양성으로써 효교육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연구를 전개한다. 첫째, 다중지능이론을 인성과 관련하여 검토한 다. 둘째, 현대의 효와 효교육을 시스템적 해석을 통해 살펴보고 인성교육과 관련성을 확인한다. 셋째, 이 둘 을 종합하여 다중지능과 효(인성교육)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다중 지능적 효교육의 가치와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로써는 다중지능 가운데 대인관계지능과 개인내적지능이 효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과, 효와 다중지능의 통합적 이해가 성인보다는 청소년의 인성교육에 적합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구성은 다중지능을 통하여 효교육을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특별히 청 소년의 인성교육방법론과 교육철학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규명된 효 교육에서의 대인관계지능과 개인내적지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한 교수법 및 교재연구 등 다양한 효 교육적 활용이 구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education methodology built on the integration of Hyo (filial) and multiple intelligence as a measure applicable to the character education for youth. This study presented the standpoint for application of Hyo principles to the character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existing Hyo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ity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ory of educational method. The priority was given to exploration of integration of both multiple intelligence and Hyo education by narrowing down the scope to such multiple intelligence and Hyo education, given the uncertainty in the education methodology combin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character education. That implies the intention to strengthen the promotion and potentials of Hyo education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yo education in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prism of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 other words, this involves the structure in which the importance of Hyo education can be explained from the standpoint of diversity in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analogous to the diversity of multiple intelligence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humanity. For that, this study was structured as follows:First,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as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personality. Second, the contemporary Hyo and Hyo education were examined through systematic analysis and reviewed in the context of their relevance with character education. Third, by putting together both, interconnectivity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Hyo(character education) was analyzed and the value and direction of multiple intelligent Hyo education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lligence and individual internal intelligence among the multiple intelligence aspect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Hyo education and that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Hyo and multiple intelligence was vital for the character education targeting the youth rather than adults. Such structure of study shows that the Hyo education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and particularly, would provide useful basis for building the methodology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th and developing the philosophy of education.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also useful fo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lligence and individual internal intelligence in the Hyo education which were elucidated herein, on which basis the Hyo education may be applied in multiple ways such as the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 material research.

      • KCI등재후보

        다중지능기반수업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홍기칠,임기훈 대한사고개발학회 2010 사고개발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기반수업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다중지능의 강점지능을 강화하고 약점 지능을 보완할 수 있는 직소우 협동학습모형의 사회과 수업과 강점지능을 강화하기 위한 아침학습활동과 재량학습활동 수업 등 모두 60차시의 다중지능기반수업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에는 동일한 차시로 교사주도의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결과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다중지능검사 점수와 문제해결력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다중지능검사의 하위영역별로는 논리-수학적 지능, 언어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그리고 개인이해지능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리고 문제해결력 검사의 하위단계별로는 문제발견, 문제해결책 고안, 문제실행 단계의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직소우 협동학습모형의 사회과다중지능기반 확장수업이 학습자의 강점 지능을 촉진하고 약점 지능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경험과 문제해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주도의 일반수업에 비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verify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he promotion of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through multiple-intelligences-based instruction. Subjects were composed of 56 students of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teacher of the experimental group has implemented 60 hours of multiple-intelligences-based Social Studies class, which contains jigsaw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pre-regular morning activities and selected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promote strong multiple intelligences and to complement weak multiple intelligences. The teacher of the control group has implemented 60 hours of teacher-directed Social Studies class, pre-regular morning activities and selected learning activities. Post test mark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problem solv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in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post test marks of 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inter- personal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hich are in the sub-domain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in the control group. Post test marks of problem discovery, devise of problem solving methods and problem implementation, which are the sub-processes of problem solv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ltiple-intelligences-based instruction can be offered to provide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and problem solving opportunities, so that students who have strong multiple intelligences are promoted and students who have weak multiple intelligences are complemented.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

        정희선 ( Hee Sun Chung ),신현기 ( Hyun Ki Shi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1

        최근 들어 정신지체를 설명하는 지능의 대안적 관점으로 등장한 것은 하워드 가드너에 의해 제창된 다중지능이론이다. 다중지능이론에서는 지능을 다차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지적능력을 총체적으로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따라서 다중지능이론에 입각한 평가는 기존의 지능검사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지능의 다양한 관점을 설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신지 체학생의 지적특성까지도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담보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MIDAS검사를 통해 정신지체학생의 지능의 다중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일반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에게 정신지체학생 151명의 다중지능평가를 수행하게 한 후, 이를 성별과 학교급별로 구분하여 이들의 다중지능 영역별 지능과 영역별 점수 우위순을 분석하고, 정신지체학생과 일반학생의 다중지능에서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정신지체학생의 다중지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교급별 정신지체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은 음악지능, 공간지능, 언어지능, 대인지능, 개인내 지능, 자연지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연령의 증가에 따른 발달양상도 나타내었다. 셋째, 고등학생의 다중지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정신지 체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대인지능, 개인내 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언어지능 영역과 같은 인지관련 영역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신체운동지능과 자연지능과 같은 활동영역에서는 정신지체학생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al trait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were 151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pecial classes within regular schools. Their multiple intelligence(MI) was measured on Korean Version of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al Assessment Scale(K-MIDAS) by special class teacher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re weren``t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the all areas of multiple intelligenc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the whole area of Musical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Third, there were many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group and mental retardation group in the areas of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in the results of K-MIDAS. But,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group and mental retardation group in the areas of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in the results of K-MIDA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al trait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KCI등재

        다중지능이론의 관점에서 본 정신지체아동의 지적 특성

        정희선 ( Hee Sun Chung ),신현기 ( Hyun Ki Shi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3

        지능이론 중에서 사정평가와 그 결과에 근거한 교수적 반영이 가능한 지능으로 인정되고 있는 것이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다. 따라서 정신지체아동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과정으로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하여 정신지체아동의 지적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3-5학년 정신지체아동 26명을 대상으로 수행평가 방식을 활용한 다중지능검사(PMIT-E)를 실시하였고, 일반 아동의 경우는 PMIT-E의 표준화 연구에서 실시된 다중지능검사를 통해, 이들 두 집단의 다중지능의 영역별 지능과 흥미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정신지체아동의 경우는 개인별 다중지능 프로파일의 양상을 알아보았다. 또한, 지능의 상/하 집단에 따른 정신지체아동의 다중지능 영역별 지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두 집단 간에 가장 큰 점수 차이를 보이는 다중지능 영역은 논리수학지능과 언어지능 영역이었으나 다중지능 영역별 흥미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정신지체아동의 개인별 다중지능 프로파일에서 대부분의 아동이 각기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는 등 각 아동의 프로파일은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정신지체아동 중특히 자연지능과 신체지능에서는 강점을 보이는 아동이 많은 반면 언어지능과 논리수학지능에서는 약점을 보이는 아동이 많았다. 셋째, 지능의 상/하 집단별 다중지능 영역에서의 차이는 언어지능, 논리-수학지능, 자연친화지능, 인간친화지능에서 지능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지체아동을 성장패러다임으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정신지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 subjects were 26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ird through fifth grade in special classes within regular schools. Their multiple intelligence(MI) were measured by standardized Korean Performance-based Multiple Intelligence Test for Early Children(hereafter, PMIT-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bility test of PMIT-E were many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children group and mental retardation group in the areas of linguistic and logical-mathematical. But, the preference test of PMIT-E wer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children group and mental retardation group in the most areas. Second, there were the strength and the weakness of intelligences in the profile of MI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cores in the private multiple intelligence distributed widely. Also, in analyzing MI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trength of intelligence is Naturalist intelligence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nd the weaknesses of intelligence were Linguistic intelligence and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Thir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multiple intelligence profiles from the mean of the Linguistic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Naturalist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between both groups on intelligence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many implications for teachi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KCI등재

        기술교과에서 다중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 개발 -음악지능을 중심으로-

        임미가,최준섭 한국기술교육학회 201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 with hands-on making activity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learners. As an application of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an instructional model is constructed with hands-on making activity with application of musical intelligence of learners, which is selected as strength of learners’ intelligences. Result of study is as following :Instructional model with hands-on making activity by utilizing musical intelligence is to apply musical intelligence in the classroom strategy into instructional model with hands-on making activity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 following is details of each phase:Preparation phase is to open musical intelligence learning centers and select classroom strategy by utilizing musical intelligence. Then learners are guided how to apply multiple‐intelligences in the class. Then learners with musical intelligence are selec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multiple‐intelligences. In execution phase, classroom strategy is applied by utilizing musical intelligence in each step of classroom activity. Classroom strategies included group activity, simple making of musical instruments, providing background music, making group song, presentation with UCC, etc. Evaluation phase consists of assessing contents and process of overall class that has previously performed by teachers and learners together with application of musical intelligence.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흥미도와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다중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개발한 수업모형의 적용으로써, 학습자의 강점지능으로 선별된 음악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은 준비, 실행, 평가의 세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 단계는 수업을 하기 위한 준비의 과정이다. 교사는 다중지능 별 학습센터를 개설하고 다중지능 수업전략을 선정한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다중지능 활용수업을 안내하고 다중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강점지능 별로 학습자를 분류한다. 실행 단계는 실제로 수업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만들기 체험활동 수업은 학습목표 확인, 기능 및 절차 숙지, 목적 설정 및 계획, 실행, 평가의 절차로 진행되며 각 단계마다 다중지능 수업 전략이 적용 된다. 평가 단계는 앞서 실시한 다중지능 활용 수업에 대한 평가의 단계로써 교사와 학습자가 수업의 내용과 과정 등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아 탐색․보완한다. 둘째, 음악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은 다중지능을 활용한 만들기 체험활동의 수업모형에 음악지능 활용 수업전략을 적용한 것이다.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 단계에서는 음악지능 학습센터를 개설하고 음악지능을 활용한 수업전략을 선정한다. 그리고 다중지능을 활용한 수업에 대해 학습자에게 안내하고 다중지능 검사를 통하여 음악지능을 강점지능으로 가지는 학습자를 선별한다. 실행 단계에서는 수업의 각 절차에 음악지능을 활용한 수업전략을 적용하였다. 이때의 수업전략은 음악을 활용한 모둠활동, 간단한 악기 만들기, 배경음악 제공하기, 모둠노래 만들기, 학습자 제작 동영상(UCC)으로 발표하기 등이 있다. 평가 단계에서는 교사와 학습자가 앞서 실시한 음악지능 활용 수업전체 의 내용과 과정 등을 평가한다.

      • KCI등재후보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다중지능과 부모의 다중지능 및 교육수준과의 관계

        장영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학논집 Vol.8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multiple intelligences between gifted young children and the ordinary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e study also explored the extent to which parents' multiple intelligences and education predict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consisted of gifted young children and ordinary young children. Subjects consisted of 73 gifted young children and 75 ordinary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Both Children and parents' multiple intelligences were measured by MIDAS. Data was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ifted young children and ordinary young children in linguistic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Second, for gifted young children, the mothers' eight areas of multiple intellig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ame areas of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Fathers' musical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lso predicted gifted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in the same areas. On the other hand, mothers' education predicted young children's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ird, for ordinary young children, mothers' multiple intellig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ame areas of ordinary you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Only fathers'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however, predicted the ordinary young children's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ordinary you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and mother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다중지능의 특성을 알아보고 부모의 다중지능 및 교육수준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영재유아 73명과 일반유아 75명과 그들의 부모였다.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다중지능을 살펴본 결과, 영재유아와 일반유아는 신체운동 지능과 공간 지능을 제외한 다중지능의 모든 영역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다중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중지능의 모든 영역에서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다중지능은 어머니의 다중지능과 의미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의 다중지능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결과에서는 영재유아에 있어서는 아버지의 음악 지능, 논리수학 지능, 대인관계 지능, 개인이해 지능 등만이 해당영역의 유아의 다중지능과 관련이 있었으며, 일반유아에게 있어서는 신체운동 지능만이 해당영역의 유아의 다중지능과 관계가 있었다. 한편,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영재유아의 대인관계 지능과 개인이해 지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작업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최은아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5 발도르프교육연구 Vol.7 No.1

        본 논문은 유아교육에 있어서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 행하고 있는 생활작업을 통해 전인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근거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노작교육의 한 형태인 생활작업이 가드너의 다 중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실제 생활작업 경험의 유무에 따른 유아들의 다중지능 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인 고찰 결과 생활작업은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자연 탐구지능 발달을 충분히 촉진할 수 있으며, 대인관계지능에 있어서는 작업 방법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칠 수 있으나, 음악지능과 언어지능에는 부분적으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 인이해지능은 연령의 특성 상 제한적으로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생활작업을 경험한 유아들의 다중지 능 평균 점수를 조사한 결과 3.97점을 나타낸 언어지능을 제외하고 모두 4점 이상을 나타냈다. 생활작 업을 경험하지 않은 유아들의 집단과 비교한 결과에서는 생활작업을 경험한 집단이 모두 평균 순위가 높게 나타났는데 그 중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자연탐구지능 영역에서 이론적 고찰 결 과와 유사하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활작업은 노작교육의 전인교육적 효과를 충분히 지니고 있으며 언어지능을 보완한다면 다중지능의 모든 영역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생활작업은 가드너의 다중지능 영역을 넘어 슈타이너의 정신세계를 교육함으로써 삶을 위한 교육의 본질을 되찾게 해 준다. 따라서 발도르프 생활교육을 일반유아교육기관에서 도입하여 활 용한다면 전인교육 실천에 도움이 될 것이다. Diese Arbeit untersucht die Frage nach dem Einfluß von den praktischen Tätigkeiten in den Waldorfkindergärten auf die multiplen Intelligenzen vom H. Gardner, dadurch die ganzheitliche Erziehung durch die praktischen Tätigkeiten, so wie bei der Arbeitspädagogik, im Kindergarten verwirklichen können. Zunächst beschäftigten wir mit der theoretischen Auseinandersetzung über die praktischen Tätigkeiten in bezug auf die multiplen Intelligenzen. Die praktischen Tätigkeiten können die köperlich-kinästhetische Intelligenz, logisch-mathematische Intelligenz, bildlich-räumliche Intelligenz und die naturalistische Intelligenz gut entwickeln. Aber sie beeinflußen einigermaßen die musikalisch-rhythmische Intelligenz und sprachlich-linguistische Intelligenz, die interpersonale Intelligenz und intrapersonelle Intelligenz nach den Arbeitsprozessen und wegen des Entwicklungszustandes der Kinder nur begrenzt. Dann untersuchten wir bei den Kindern, die die Erfahrung mit den praktischen Tätigkeiten hatten, wie diese die multiplen Intelligenzen beeinflußt wurde. Die Ergebnisse zeigten, daß die sprachlich-linguistische Intelligenz am niedrigsten Punkte hatten. Als wir die Kinder, die die Erfahrung mit den praktischen Tätigkeiten hatten, mit den Kindern, die diese Erfahrung nicht hatten, verglichen, zeigten die Ergebnisse, daß die erste Gruppe bei allen multiplen Intelligenzen höheren Punkte hatten, und bei der köperlich-kinästhetischen Intelligenz, logisch-mathematischen Intelligenz, bildlich-räumlichen Intelligenz und der naturalistischen Intelligenz besonders höheren Punkte hatten, wie bei der theoretischen Auseinandersetzung. Wir kamen zur Schlußfolgerung, daß die praktischen Tätigkeiten als eine Art und Weise der Arbeitspädagogik zur ganzheitlichen Erziehung beitragen und auf die multiplen Intelligenzen positiven Einfluß haben könnten, wenn wir den Bereich der sprachlich-linguistischen Intelligenz mehr unterstützen würden.

      • 가베 활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

        김미정,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센터 2008 兒童硏究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가베를 활용하여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을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유아들의 다중지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소재한 A유치원에 다니는 만 4.5세 유아반 5개 반 유아를 실험집단 (48명)과 통제집단(48명)으로 무선 표집 하였다. 다중지능 검사 도구는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7)에서 만든 유아용 다중지능 검사지 (7개영역)와 문용린 외 (2001)가 개발한 다중지능 검사지(1개영역-자연지능)를 합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베 활용 프로그램은 다중지능 여덟 개 영역으로 나누어서 개발 및 구성하였다. 다중지능 영역별 프로그램은 음악 지능 21개, 논리-수학 지능 14개, 언어 지능 13개, 신체-운동 지능 6개, 공간 지능 9개, 대인관계 지능 10개, 개인 내 지능 8개, 자연 탐구 지능 10개이다. 둘째, 가베 활용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자유 선택놀이를 한 통제집단의 유아들 보다 다중지능검사도구의 접수가 다중지능 여덟 개 영역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도 유아들이 기본 활동 외에도 스스로 활동을 응용하고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으며 이런 활동들을 통하여 유아들의 잠재적인 능력을 끌어내어 다중지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비추어 볼 때, 가베 활용 프로그램은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적인 프로그램으로서 유아의 다중지능 증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Gabe-based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useful for enhance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ofchildren and to apply them to the kindgarten classrooms to study the effects of them. We selected 96 4~5 year olds from 5 classes of A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Nowon District, Seoul city. And we also separated the young children into a test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composed of random 48 children. We used the Multiple Intelligence Test for Infants made by th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1997) and other Multiple Intelligence Tests developed by Moon Yong Rin(2001) based on the Shearer, C. B.(1991) development screening which is a test for an infant's multiple intelligences. Also the statistics program SPSS win 10.0 was used and T-verification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conclusion for the 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is developed upon and composed of 8 intelligence dimensions(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musical, spatial, bodily-kinesthetic, inter-personal, intrapersonal, naturalist intelligences) Second, the children in the test group exposed to the Gabe-based programs geared to develop multiple intelligenc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grades in all 8 dimensions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exposed only to free play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arrive to the conclusion that the Gabe-based educational programs are useful for enhancement ofmultiple intelligences of young children when applied to kindergarten classrooms.

      • KCI등재

        아버지의 학력, 자녀양육에 대한 부부 일치도 지각 및 다중지능과 유아의 다중지능과의 관계 연구

        장영숙,노운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39

        본 연구는 아버지의 배경변인인 학력과 직업, 아버지의 심리적 변인인 아버지가 지각한 자녀양육에 대한 부부일치도, 그리고 아버지의 다중지능이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아버지의 학력에 따라 음악 지능과 신체 운동 지능 영역을 제외한 여섯 영역의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에 차이가 있었으며, 아버지의 직업에 따라서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음악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대인관계 지능, 개인이해 지능, 자연탐구 지능에서 자녀 교육에 대해 부모간의 의견이 일치한다고 아버지가 지각할 때. 유아의 다중지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다중지능의 여덟 영역과 아버지의 다중지능의 여덟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아버지의 다중지능과 유아의 다중지능 간에 매우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nalyzed how you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MI) is related to their fathers' education, perception on couple's agreement for parenting style, and multiple intelligences(MI). Subjects were 259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fathers in Kwangju. Data were analyzed b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father's education in the six areas of multiple intelligences, which is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naturalist intelligence. Second, you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fathers' perception on couple's agreement for parenting style in the following five areas: musical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ir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and fathers' multiple intelligence showed that eight areas of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each other. In addition, young children's intelligence in each area of multiple intelligences was associated with their fathers' intelligence in that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