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도르프 교육을 실천하는 교사

        최숙연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5 발도르프교육연구 Vol.7 No.1

        본 논문은 발도르프 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라는 주제로 현장에서 발도르프를 실천하는 것의 의미와 발도르프를 실천하는 교사가 내면에 지녀야 할 덕목을 루돌프 슈타이너가 말한 지상명령에 적용하여 진술을 해 보았다. 발도르프 교육에 많은 관심을 지니지만, 그것을 자신의 삶과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일은 관심을 넘어 결단의 과정과 관계되는 일이다. 발도르프 교육을 실천한다는 일은 인지학의 개념 (concept)을 알아가는 과정이며, 자기 인식과 자기 초월의 과정이다. 슈타이너는 끊임없이 자신을 노출 시키길 원하지만 또한 자신을 초월하여 대상의 영역으로 나아가기를 요구한다. 또한 자신과 주변의 혼 들과의 통합과 조화의 과정이며, 고정화된 발도르프의 이론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독자적인 스토리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발도르프를 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해서 교사가 내 면에 지녀야 할 덕목을 루돌프 슈타이너는 교사로서의 지상명령이라고 하였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우선 교사는 내면에 초월적 영역에 대한 감각을 지녀야 하며, 생생하게 살아있는 상상력을 내면에 지녀야 한다. 또한 진리에의 용기와 자유와 결부된 책임을 지녀야 한다. 발도르프를 현장에서 실천하는 길은 하나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과정 중의 인간으로 연대하고 소통하며 함께 길을 걸어가는 교사들이 되었으면 한다. With the title of ‘Teachers who put Waldorf's education in practice’, this paper, applying Rudolf Steiner's categorical imperatives, stated the meaning of practicing Waldorf's education in classroom and the virtues teachers of Waldorf's education should have in themselves. Many people have interest in Waldorf's education, but applying it to one's life and field of education is a matter that requires determination beyond a mere interest. Practicing Waldorf's education is the proces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nthroposophy and the process of self-awareness and self-transcendence. Steiner wants to continuously expose himself but also requires to transcend himself and move toward targets. Waldorf's education is also the process of integration and harmony with spirits around oneself and the process to create one's own story rather than experience a fixed theory of Waldorf. Rudolf Steiner labeled the virtues teachers should have inside themselves in order to practice Waldorf's education in classroom, ‘categorical imperatives’, whi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eachers should have a sense about the transcendent areas and lively imagination inside themselves. Also, they need courage for truth and responsibility involved in freedom. Practicing Waldorf in the field of education can be a process. Hopefully, during the process, teachers will solidify and communicate as fellow human beings who walk along the same path.

      • 발도르프학교 수업의 특징

        정윤경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1 발도르프교육연구 Vol.3 No.1

        본고의 목적은 발도르프학교 수업의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발도 르프학교는 90년대 후반 교육에서 대안을 찾고자 하는 요구 속에서 관심받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 학교 수업이 일반학교의 수업과는 어떻게 다른지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먼저 발도르프학교의 사상적 배경인 인지학과 발도르프학교에 대해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발도르프학교 수업의 특징을 수업목표, 수업방법, 평가 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발도르프학교 수업 목표는 일반학교에서와 달리 명시적이지 않고, 세분화된 목표제시도 없다. 대신 인간의 발달이라는 광범위한 목적과 관련되어 있으며, 지식의 획득을 넘어 지혜와 힘을 추구한다. 발도르프 수업방법은 다양한 표상 형식의 활용, 교사의 스토리텔링의 강조를 통해 수업을 예술적으로 구성한다. 또한 개별화와 교사-학생간의 관계를 중시한다. 이러한 발도르프학교의 평가는 학생의 통합적 발달을 기술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발도르프학교 수업의 특징은 현재 지식교육에 치중된 교육 목표, 획일화된 수업, 즉, 주입식 교육과 기계적 반복 암기식 교육, 수동적 교육, 수치화된 성적의 강조로 인해 평가가 교육의 목적을 뒤흔드는 형국이라고 비판받는 학교교육에 일반적인 학교 수업과는 다른 가능성을 시사한다.

      • 통합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발도르프교육론의 장애 이해와 치유교육

        김순영,이숙정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09 발도르프교육연구 Vol.1 No.1

        장애영유아에 대한 통합교육의 정당성을 감정에 호소하거나 당연시하기 보다는 일반교육계를 아우르는 학술적 지지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발도르프교육론에 내재한 장애인에 대한 비차별적이고 총체적인 인간이해를 도출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당위성을 근거 지음으로서 일반교육계및 사회구성원의 보편적인 지지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위대한 교육학자의 사상 속에서 장애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확장함으로서 통합교육의 근거를 마련하는 특수교육적 시론이며, 특히 발도르프 교육론이 표방한 '치유교육' 입장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고, 현재 독일어권에서 운영되고 있는 발도르프 통합유치원의 특징을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측면에서 조망한다.

      • 발도르프 유아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정민숙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1 발도르프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발도르프 유아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자아개념을 신체적 자아, 친구관계 자아, 부모관계 자아, 언어 자아, 수학 자아, 일반 자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유아로 발도르프 유아집단과 일반 유아집단 각 40명씩 나누어 총 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 측정은 유아용 자아개념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집단 간 차이 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발도르프 집단이 일반 집단 보다 자아개념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둘째, 발도르프 집단이 자아 개념을 구성하는 모든 하위요인 즉 신체적 자아, 친구관계 자아, 부모관계 자아, 일반 자아, 언어 자아, 수학 자아에서 일반 집단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발도르프 유아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며, 나아가 유아교육 현장에서 자연의 리듬에 따라 삶의 과정을 경험하고, 스스로의 의지를 발달시켜 능동적인 삶의 태도를 지향하는 발도르프 유아교육 적용을 통해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개념발달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발도르프 유아교육 입문 교사들의 발도르프 유아교사 되어가기

        임환미,전혜인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6 발도르프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발도르프 유아교육에 입문한 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이들이 겪는 변화 성장과 정과 어려움들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4명의 발도 르프 유아교육 입문 교사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발도르프 유아교육에 입문한 교사들은 원내교육, 교사회의, 교사양성교육과정의 참여 등을 통하여 발도르프 유 아교육을 알아가고, 원내교육을 통한 발도르프 교육의 이해, 교사회의를 통한 교육적 고민해소, 교사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실천하기를 통한 교사 성장을 하면서 고민들을 풀어 나가고 있었다. 발도르프 유아교육에 입문한 교사들은 발도르프 유아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스스로에게 질문을 하고 노력하 여 수정해 가면서 성숙한 발도르프 유아교사가 되기 위한 자기발전 과정을 겪고 있었다. 발도르프 유 아교육에 입문한 교사들은 주변 동료나 원장의 조언 및 모델링, 전문 서적 찾아보기, 선배 발도르프 유아교사들의 도움 받기 등을 통하여 교사로서의 고민들을 해소하고 있었다. 발도르프 유아교육에 입 문한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발도르프 유아교육 전문가의 멘토링 기회, 동료들과의 고민 나누기 장 마련, 교육 자료의 공유, 다양한 시간과 장소에서의 교사교육 개설 등이 있다. This study listens to story of teachers who just entered into Waldorf infant education so that figure out change in process of growth and difficulties and find out method to support this. Interview to achieve study purpose with 4 teachers who just entered into Waldorf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who entered into Waldorf infant education figured out Waldorf infant educa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teacher meeting, and science education subjects, and solved problems as teachers were solving the problem with growth through understanding Waldorf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 educational problem solving through teacher's meeting, setting their goal and perform. As teachers who entered in Waldorf infant education asked themselves, tried, and fixed , they were suffering self-development process to become matured Waldorf infant teacher . Teachers who entered in Waldorf infant education were solving problems as teachers through advice from co-workers and chief, modling, looking up specialty publications, getting help from fellow Waldorf infant teachers. For the method to support teachers who entered in Waldorf infant education, there are mentoring opportunities from Waldorf infant education specialist, preparing place to share problems, sharing educational information, and opening teacher education in various time and places.

      • 발도르프교육론의 교육학적 이해 : 인간이해와 전인교육 지향의 교육이론을 중심으로

        정영근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09 발도르프교육연구 Vol.1 No.1

        발도르프교육론의 창시자인 슈타이너는 당시의 인지학습 중심의 학교교육에 대해 비판하면서 자신의 인간학인 인지학(人智學)을 바탕으로 한 인간이해와 교육이론을 전개하였다. 대우주의 법칙을 반영하는 소우주로서의 인간은 육체, 영혼, 정신의 3원적 본질구조를 지니며 신체, 생명체, 감정체 그리고 자아라는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네 가지 구성체는 7년을 주기로 하는 발달과정을 거쳐 새로운 탄생을 경험하게 되는바, 그 과정에서 전인교육을 지향하게 된다. 이때 교육은 예술로서의 교육이며 발생학적 교수이론에 따라 수업이 유기적으로 조직되고 실행된다. 이러한 발도르프교육론은 과학적 타당성이 결여된 신비적 요소로 가득 찬 체험교육학의 일종이라거나 또는 교육학의 개념들을 조작하였다는 비판마저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도르프교육론은 실증주의적 학문이해에 따르는 현대교육학 주지주의 및 사회효용성 추종의 성향을 비판하면서 비인간화라는 현대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전인적 교육 및 예술로서의 교육을 강조하는 발도르프교육론은 국가에 의해 운용되는 한국 초중등학교의 획일적 교육에도 대안적 교육이념과 교직관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설립되고 있는 발도르프학교의 교육에도 핵심적 영향을 준다.

      • 어린이집에서 리듬생활 만들고 가꾸어 가기

        서남숙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09 발도르프교육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발도르프 어린이집에서의 올바른 리듬생활의 정착화를 위해서, 서울 서남발도르프 어린이집에서의 리듬생활을 고찰한 것이다. 발도르프유아교육을 오랫동안 실천하고 있는 교사로서 필자는 일일리듬, 주간리듬, 월간리듬, 연간리듬의 리듬생활을 어떻게 만들고 가꾸며 생활할 수 있는지, 월간리듬생활의 실제 중 '동지리듬 생활'을 예로 제시하여, 리듬생활을 만들고 가꾸고자 하는 현장교사들에게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끝으로 리듬 생활의 경험을 중요하게 여겨지는 점들을 발도르프 현장 교사의 마음가짐과 리듬생활 중의 유의할 점으로서 제언하였다.

      • 발도르프유아교육에서 실외놀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

        김선희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5 발도르프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발도르프유아교육에 따른 실외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를 진행하여 그 교육적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의 B어린이집 117명 중 103명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행연 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실외놀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물리적 공간 마련하기, 시간 적 질서 가꾸기, 자유로움 안에서 아이들의 놀이 동반하기 등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발도르프유아교육 에 따른 실외놀이는 영유아를 자연의 리듬으로 성장하게 하고 다양한 신체 자극을 통해 건강한 생활을 하게 해 주었으며 문제 상황 해결력과 창의성을 증진시키고 집중력과 의지력의 발달과 정서적 안정과 도덕성 형성 및 관계성과 사회성의 함양에 많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교육적 결과는 실외놀이를 위한 다양한 물리적인 공간 마련, 영유아의 창의력과 의지력을 길러주는 교사의 구성자로서의 역할, 자 연에서 많은 것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실외놀이의 특성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To promote outdoor play based o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practice research and examined its educational effect.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103 infants in B daycare center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s for concrete ways to promote outdoor play, creating physical space, bringing temporal order, and accompanying children in freedom were tried.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outdoor play based o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helped infants grow up in natural rhythm, maintain healthy life through various physical stimulations,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creativity, enhance concentration and will power, form emotional stability, morality, human relationship, and sociality. These educational benefits are attributed to creation of various physical space for outdoor play, the role of teacher as a constructor who raises creativity and will power of infants,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outdoor play that makes it possible to experience a lot in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