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논쟁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한국 특수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상위학문으로서 사회학문의 정체성을 문제 삼았고, 이어 우리나라에 ‘한국 특수교육론’이 과연 존재하는지 어떤지, 그리고 한국 특수교육론 정립을 위한 주요과제는 무엇인가를 논의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여타 사회학문 분야에 비해 특수교육학은 학적 연륜이 일천한 가운데 해외종속적인 수입학문이 주종을 이루고 있어, 소위 ‘한국 특수교육론’의 정체성은 극히 불투명한 면이 있으나,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역사정립을 위한 몇몇 주목할 만한 연구가 수행되어 오기도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한국 특수교육론’ 정립을 위한 과제로 한국의 역사성과 현실성에 천착한 다양한 연구를 기대하며, 세계 속의 한국 특수교육론 정립을 위해 유럽이나 미국중심의 특수교육 담론과 겨루면서 차별성을 드러내는 아시아 특수교육 학술담론 형성을 제안한다. Korean special education has relatively short history as an established study comparing with the other discipline in social science. Further, Korean special education greatly depends on theory and discourse of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refore, the identity of ``theor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is extremely ambiguous at present although have been remarkable studies for establishing historic identit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or a few decades.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scholastic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Specifically, three issues related to scholastic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were mainly addressed: a) identity of social science as a meta-theory, b) realit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and c) essential efforts for establishing Korean discourses o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tries to stimulate a variety of studies on the basis of history and reality of Korea as an essential effort of establishing theory and discourse of special education.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play a leading role of making distinctive scholastic network and discourses about Asian special education which can be competitively comparing with European or American based scholastic discourses.

      • KCI등재

        대구대 중심의 한국 특수교육: 역사, 현상, 쟁점

        김병하 ( Byung Ha Kim ),이근용 ( Kun Yong Rhee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광복 후 초기의 한국 특수교육은 뜻 있는 민간인들이 앞장서 그 발전의 주역을 담당하였으며, 이들 선구자의 중심에 대구대학교와 그 부속 특수교육기관들을 설립한 이영식(李永植 1894-1982)과 이태영(李泰榮 1929-1995)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 두 사람이 주도하여 추진해 온 특수교육 사업(대구대학교 특수교육과 그 부속기관들)이 한국 특수교육 발전에 어떻게 기여해 왔는가를 밝힐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영식 목사는 광복기념 사업으로 1946년에 대구맹아학교를 설립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특수교육의 개척자가 되었다. 이어 이영식 목사의 장남인 이태영은 1956년에 오늘의 대구대학교 전신인 한국 이공학원을 설립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961년에는 정규 4년제 대학과정에 의한 특수교사 양성과정을 개설하기에 이르렀으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대학수준 특수교사 양성의 효시가 되었다. 그 후 대구대학교는 특수교육 분야 전문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1975년 대학원 박사과정에 특수교육학과를 개설하였으며, 그 후 우리나라에서 특수교육 전문 인력배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현재 대구대학교는 5개 장애 영역별(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정서장애)의 특수학교와 재활과학대학을 운영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장애인 교육과 재활의 ‘총합성’(總合性)을 단일 기관 내에서 독특하게 유지하고 있다. 그동안 대구대 특수교육은 1977년에 특수교육진흥법이 제정되는 과정에서 정부를 계도하고 입법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 1980년대 이후 세 차례에 걸쳐 국가수준의 특수학교 교육과정을 위탁받아 개발하기도 했다.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들며 우리나라 특수교육은 그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이제 달라진 시대적 요구에 따라 대구대와 그 부속학교들의 특수교육이 그동안 축적해온 역사성에 걸맞게 그 리더십을 어떻게 발휘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省察)이 절실한 때이다. 특히, 한국에서 통합교육의 정착, 장애학(disability studies)의 입장에서 본 특수교육 전문성의 재정립, 그리고 세계화 시대에 상응한 한국 특수교육 정체성 정립등에 걸쳐 새로운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구대 특수교육은 심각한 자기반성과 더불어 새로운 리더십의 발휘가 요청된다. This paper present the history, phenomenon, and issues of Daegu Univers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of Korean special education. The early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in our country was led by private institutes or organization. Daegu University developed the first program of special education 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in Korea. The University and attached special schools have played the important roles, such as the pioneer practice in educa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eparation of the professionals in special education, urging law-makers to establish the Special Education Acts, and developing the n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such important roles as a pioneer higher education, Daegu University need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and to show leadership agai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urther, the University must be able to cope with new problems and issues of special education after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국특수교육의 역할과 쟁점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1

        이 연구는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국특수교육의 역할과 쟁점을 다음 세갈래로 논의하였다. 첫째는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의 역사적 함의를 유럽과 미국중심의 세계화에 대응하는 정족론(鼎足論)의 입장에서 평화의 간절한 메시지로 제기하였다. 그러나 우리에게 동아시아 공동체는 여전히 ‘신화와 현실’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어, 특수교육분야만이라도 동아시아 네트워크 복합체 구축에 적극 기여하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로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ㆍ중ㆍ일의 역할과 과제는 서로 다르면서 같다. 21세기의 통합교육 지향시대에 동아시아 3국의 특수교육은 ‘이원적 일원화’(二元的一元化)의 공통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특별지원교육’ 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통합교육에 한 발앞서 있는 반면에, 중국은 분리교육으로서의 특수학교교육과 일반학교 내의 통합교육을 ‘동시발전’ 모형으로 압축해서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이원적 일원화’ 체제로서의 한국특수교육은 일본과 중국의 중간쯤 어디에서 자기 정체성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동아시아 공동체의 무늬를 띤 세계 속의 한국특수교육 정체성 정립을 위해 필자는 ‘화이부동(和而不同), 법고창신(法古創新),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한국특수교육론을 제기하였다. 우리는 이제 남이 알아듣고 읽을 수 있는 담론으로 ‘한국특수교육론’을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무대에 당당히 발설(發說)해야 한다. This paper presents three critical aspects on the role and issue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or building an East-Asian special education community. First, I discuss the historical implications for building an East-Asian community in special education. Particularly, for three different regional areas (Korea, China, and Japan) building an East-Asian community of special education is an important goal to accomplish in the future. One of the key essences is a collaborative work among the three countries throughout sharing partnership for building an East-Asia community network in special education. Second, I discuss about issues on a common focus of the above three countries. It is successfully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Although all three countries’ ultimate goal is accomplishing inclusive education, these countries’ common reality is that special education is still separated from gener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of Japan has been developed by taking a ‘supportive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since 2007, which presents a relatively progressive attempt for accomplishing inclusiv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China seems to be in the early stage of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given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educate students with disability in special schools although they also try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Last, I suggest that we need to establish the discourse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based on our tradition, history, and philosophy for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build an East-Asian community of special education. I emphasize that we need to discuss about establishing a ‘Korean special education’ using the discourse in the way that everyone can hear, read, and understand.

      • KCI등재

        통합교육의 선호요인, 통합교육 장면 및 특수학급 효율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권선미 ( Sun Mi Koun ),정용석 ( Yong Seok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3

        통합교육을 주장하는 관점은 매우 많은 갈래에서 비롯되었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연구에서 주장하는 다양한 이유나 요인들이 오늘날 한국의 특수교육을 통합교육으로 유도하였다. 이러한 가치 있는 연구에서 주장한 요인들이 특수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 선호요인으로서는 어떤 모습을 가지는가? 통합교육이 실천되는 교육현장의 관점에서 한국의 통합교육을 선호하는 요인에 대한 정보를 밝히는 것이 첫 번째 연구문제이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통합교육 장면은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통합교육 장면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적 관점에서 통합교육의 주 장면인 특수학급의 효율성을 장애영역 및 교육내용별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설문지를 통한 교사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접근하였으며, 특수학교 교사, 특수학급 교사, 일반학급 교사등의 교사집단별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첫째, 통합교육에 기여하는 요인들은 한국의 집합주의 문화, 법과권리, 혜택, 접근성, 차별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교육을 선택한 이유가 교과나 사회적기능 영역에서의 혜택이나 차별의 감소 등의 요인보다는 집합주의 한국문화 요인과 법과 권리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통합교육 장면인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에서, 사회적 적응기능과 교과 영역에서는 특수학급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고, 차별과 관련된 영역에서는 일반학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특수학급의 효율성과 관련해서, 특수학급은 정신지체, 정서ㆍ행동장애, 학습장애 영역이 지체장애 영역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세 가지 연구문제의 상당부분에서 재직형태별 교사집단에 따라 반응점수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facto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inclusive settings, and the efficiency of partial special class. We used questionnaire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and we analysed 324 teacher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received. Through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tions on facto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re different to the teachers’ groups such as special school, partial special class, and regular class. Second, there exist differences in teachers’ recognitions on partial special class and regular class as inclusive settings. Third, differences are teachers’ recognitions on the partial special class, according to disability fields, and to the teacher groups. And there exist differences in teachers’ recognitions on the efficiency of the content realm such as curriculum, discrimination, and benefit, to the teachers groups. Throug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explore parents’ recognition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lated inclusive education. Second, continuously we need to improve curriculum and environment to meet uniquenes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중학교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실태분석

        최세민 ( Se Min Choi ),손영수 ( Young Su S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기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를 중심으로 설문과 질적 면담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이론적 타당성이 부족하고 의사결정 방식에문제가 있으며, 교육과정 운영시 특수교육교사와 일반교육교사의 협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전문성제고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관련인사들의 적극적 참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단평가위원회와 개별화교육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평가 위원회와 개별화 교육위원회가 특수학급 학생의 진단이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시 실제적인 역할을 할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개별화 교육프로그램 작성과 활용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의 장단기 목표 진술방법이나 평가방법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가 많으며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료 장학이나 교과교육연구회 등을 통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 작성방법 및 활용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급 학생 지도시 활용가능한 교수-학습자료가 부족하고 학생의 성취도를 평가하는데 있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활동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특별활동 및 재량 활동시 지도 교사와 동료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활동시 장애학생의 의견반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활동과 재량 활동시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교육과 더불어 장애학생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애학생 전환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제고와 더불어 특수학급학생의 전환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special class were compiled and applied in Seoul and what problems they were faced with.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n``t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mpilation and operation of special-class curriculum, and there was neither enough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nor adequate connection between special class curriculum and regular curriculum, either. Second, as for assessment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assessment committees and board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existed just for form``s sake. The way to map out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and to carry them out was not efficient. Third, concerning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activities for students in special clas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appeared not to be satisfactory. Fourth, extracurriculum activities and discretion courses were provided without having a full understanding of disabled students nor considering their opinions. Seven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ids were not sufficient enough to ensure the successful operation of special class. To improvement the situation, specific guidelines about academic, discre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rapy education, which are the basis of special-class curricula, should be prepared. Second, how to apply special-class curriculum should be determined in detail. Proper teaching methods should be selected for different areas, and in which way curricular should be modified should be decided. Besides, a wide variety of materials about discre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rap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hird, in which direction evaluation should be led and relevant guidelines should be determined. What and how to evaluate should be presented, and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methods also should be supplied. In addition,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s applicable to students in special class should be introduced as well.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을 위한 현상적 문제와 그 과제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기존의 특수교육이 진단-처방적 교정 모형에 따라 Tyler식 목적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몰두해 오는 동안 장애에 수반된 기능개선 훈련을 곧 교육인 것처럼 착각해 왔다. 따라서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 활동은 장애교정을 위한 부차적인 활동쯤으로 인식 되어 왔다. 특수교육의 재구조화는 교육본질을 복원 하는데 있으며, 교육본질의 복원은 교과를 그 본래의 의미로 되돌려 놓는것으로부터 가능하다. 교육에서 내용이 방법을 규제하지 방법이 내용을 규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지금까지 특수교육은 특수아동의 장애보상과 그 지도방법에 지나치게 관심을 쏟은 나머지 교과내용을 교과답게 다루는데 상대적으로 무관심 했다. 교과를 교과답게 다루기 위해 특수교사는 그가 가르치는 교과내용에 정통해야 하고, 가르칠 내용에 정통한 교사만이 교과교육을 본래의 의미대로 수행할 수 있다. 바로 이런 관점에서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은 재정립 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오늘의 농교육은 의사소통 기능을 중심으로 한 ‘방법’문제에서부터 교과내용을 교과답게 다루는 ‘내용’문제에로의 패러다임적 전환이 요구된다. This paper is to inquire the present problems and issues of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specially focused on the deaf education. Traditionally, speci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had been controled by the diagnosis-treatment instructional model according to applied Tyler``s model which was the purpose-based curriculum. Reconstructing special education means to reconceptualiz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then the essentiality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is to reconstruct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In priority, the subject contents precede rather than teaching method of the subjects. Basically, the subject contents regulate teaching method on the subjects, but teaching method do not control the contents. Howev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has been focused on the therapeutic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and relatively subject``s instruction was implemented as a secondary activities in the curricular managing. Teache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should be establish an authority in their subject``s instruction. To keep highly qualified competency in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teacher``s professionality should be demonstrated in teaching the subject contents. In this context, deaf education require a paradigm shift from the method in communication skill to the contents in subject matter.

      • KCI등재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특수교육 교사 이미지 연구 -고학년 학생 중심으로-

        한경임 ( Kyung Im Han ),송미승 ( Mi Seung Song ),박철수 ( Cherl Soo Pah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 고학년생의 특수교육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주관성 연구방법(Q-방법론)에 의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경남에 거주하며 대학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 3학년과 4학년생 41명이었으며, Q-방법론에 따라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특수교육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학생들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 3학년과 4학년생의 특수교육 교사에 대한 이미지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세 유형 중 1유형이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 3학년과 4학년생의 특수교육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가장 많이 설명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 3학년과 4학년생의 특수교육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선행연구로 실시된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 1학년과 2학년생의 특수교육 교사에 대한 이미지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pattern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mage of junior and seni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special education. The Q-methodology was used for research because this method is useful for analyzing subjectivity like as individual value, attitude, belief and image. The Q-population of this study was 40 units got from previous study and P-sample was collected from junior and senior students majoring special education live in Gyeongnam province. The analyzing population were 41, that is, female 31 and male 10. As a result of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 image of junior and seni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special education were constituted in 3 types. The frist type was labeled as the type of universal occupation based on humanity. They have im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one of the general occupation based on humanity. The second type was labeled as the type of skilled occupation focused on actualistic teaching function. They have im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a occupation having professional skill. The third type was labeled as the type of absolute humanity occupation focused on the royal summons pursing social understanding about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y have im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a occupation having an unique summons and they wish to change social recognition about special education teacher.

      • KCI등재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비교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현정 ( Hyun Jung Kim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이 배치되어 있는 일반 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 초.중.고등부의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을 대상으로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자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광주광역시 소재 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에 배치되어 있는 유급특수교육보조원 총60명과 해당학교의 관련특수교사(즉, 유급특수교육보조원이 배치되어 있는 학급의 담임교사) 총78명 전체였다. 설문지는 기초사항 7문항과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 관련 26문항(자격 및 역할 9문항, 교육 및 배치 8문항, 활용 및 관리 9문항)의 총 3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138부(특수교사용 78부, 특수교육보조원용 60부)가배부되었으며 그 가운데 116부가 회수되었다(회수율: 84.1%). 회수된 설문지는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순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자격 및 역할, 교육 및 배치, 활용 및 관리의 순서로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별로 비교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가 논의되었고 논의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perception on operating the teacher-aid system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aprofessionals. To do thi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60 paraprofessionals and 78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general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or special schools in the area of Gwangju. One hundred sixteen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they were analyzed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qualification and roles of paraprofessional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aprofessionals? .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education and placement of paraprofessional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aprofessionals? .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use and management of paraprofessional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aprofessional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order of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and some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경기지역 통합교육 재구조화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김남진 ( Namji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2

        이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이 4ㆍ16교육체제 실현을 위해 2015년 추진한 ``경기 특수교육의 재구조화 방안`` 연구과정에서 실시한 특수교육 재구조화 설문조사 중 통합교육 관련 기초자료만을 분석,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경기지역 특수교사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성실히 응답한 2,084명에 대한 자료를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혹은 학교급별로 구분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통합교육을 저해하는 가장 주된 요인은 일반교사 및 관리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와 협력 부족이었으며,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통합교육을 위한 새로운 학교문화의 형성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경기지역 특수학급 담당교사들은 특수학급의 정체성을 자립생활과 지역사회 통합 지향에 두고 있었으며, 특수학급 학생들에게 수업부적응 문제와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를 지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순회학급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해서는 순회학급을 공립 특수학교로 재편ㆍ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4ㆍ16교육체제하에서 경기 특수교육을 재구조화하기 위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와의 협력, 순회학급 운영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 survey conducted to collect basic data concerning inclusive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restructuring plan in Gyeonggi province, Korea: 4ㆍ16 education system of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shall aim at education students happy.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2084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separated by a special school teacher and special class teachers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factors that hinder inclusive education was the lack of coope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ion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o activate the inclusive education, it was need to form a new school culture. Second, special class identity is independent living and community integration. 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interventions to support students special classes for teaching problems and maladaptive behavior. Third, For itinerant education courses substantiality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and operate a itinerant classroom in a public school special.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discussed in the following: The principal leadership, school culture, and cooperation wi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tinerant classroom management.

      • KCI등재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일본 특별지원교육의 위상과 역할

        ( Nakamura Makio ),홍정숙 ( Jeong Suk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본 논문은 일본 특수교육이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 과제는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일본 특수교육이 특별지원 교육 제도로 전환한 배경과 일본 특수교육의 특징 및 형성과정을 검토하였고, 일본 특수교육은 그 장점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의존, 중앙지향 체질과 밀접한 관련 하에 형성되어 왔음을 밝혔다. 또한 일본 특수교육이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해 현재 공헌 가능한 활동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러한 역할을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본 특수교육의 정체성을 재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명시하였다. This thesis aims to look into what roles Japan Japan’s special education can play in establishing an East Asian special education community and what is its tasks. To this end, this paper reviewed the background under which Japan Japan’s special education converted to special support education, its characteristics, and its process of formation, and illuminated that the formation of Japan Japan’s special education, despite its merits, has involved characteristics of being dependent on advanced countries and center-oriented. Moreover, this paper presented activities Japan Japan’’s special education can provide in constructing the East Asian special education community and at the same clarified that its identity should be reestablished to perform such roles in earn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