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linicopathological role of kidney injury molecule-1 in immunoglobulin A nephropathy

        ( Yu Ho Lee ),( Yang-gyun Kim ),( Sang-ho Lee ),( Ju-young Moon ),( Kyung-hwan Jeong ),( Tae-won Lee ),( Chun-gyoo Ihm ) 대한신장학회 2014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33 No.3

        Background: Urinary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is an early and sensitivebiomarker of acute kidney injury, but it is unclear if it is a biomarker of chronicglomerulonephritis. We evaluated whether urinary KIM-1 levels in patients withimmunoglobulin A (IgA) nephropathy can be a marker to reflect clinicopathologicalseverity and predict the prognosis. Methods: We measured urinary KIM-1 levels in 40 patients (15 males; mean age36.6712.9 years) with IgA nephropathy and 10 healthy people (5 males; mean age37.379.6 years) as controls. The correlation of urinary KIM-1 levels with patients’clinical parameters, histological grades, and follow-up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odified H. S. Lee grading system and tubulointerstitial change scores. Results: Urinary KIM-1 level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thanhealthy controls (P¼0.001).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showedthat urinary KIM-1 levels had a direct correlation with H. S. Lee grade andtubulointerstitial inflammation (P¼0.004 and P¼0.011, respectively). Conclusion: In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urinary KIM-1 has a significantcorrelation with histopathologic severity.

      • Medicinal Chemistry : EVALUATION OF CADMIUM-INDUCED NEPHROTOXICITY USING URINARY METABOLOMIC PROFILES IN SPRAGUE-DAWLEY MALE RATS

        ( Yu Kyung Lee ),( Eun Young Park ),( Shi Won Kim ),( Ji Yeon Son ),( Tae Hyung Kim ),( Won Gu Kang ),( Tae Chun Jeong ),( Kyu Bong Kim ),( Seung Jun Kwack ),( Jae Won Lee ),( Suh Mann Kim ),( Byung M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2015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Vol.25 N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rinary metabolomics profiles associated with cadmium (Cd)-induced nephrotoxicity and their potential mechanisms. Metabolomic profiles were measured by high-resolution 1H-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in the urine of rats after oral exposure to CdCl2 (1, 5, or 25 mg/kg) for 6 wk. The spectral data were further analyzed by a multivariate analysis to identify specific urinary metabolites. Urinary excretion levels of protein biomarkers were also measured and CdCl2 accumulated dose-dependently in the kidney. High-dose (25 mg/kg) CdCl2 ex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blood urea nitrogen (BUN), but serum creatinine (sCr) levels were unchanged. High-dose CdCl2 (25 mg/kg) exposure also significantly elevated protein-based urinary biomarkers including osteopontin,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kidney injury molecules-1 (Kim-1), and selenium-bingding protein 1 (SBP1) in rat urine. Under these conditions, six urinary metabolites (citarate, serine, 3-hydroxyisovalerate, 4-hydroxyphentllactate, dimethylamine, and betaine) were involved in mitochondrial energy metabolism. In addition, a few number of amino acids such as glycine, glutamate, tyrosine, proline, or phentlalanine and carbohydrate (glucose) were altered in urine afrer CdCl2 exposure. In particular, the metabolites involved in the glutathione biosynthesis pathway, including cysteine, serine, methionine, and glutamate, were marked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Thus, these metabolites are potential biomarkers for detection of Cd-induced nephrotoxicity. Our results further indicate that redox metabolomics pathways may be associated with Cd-mediated chronic kidney injury. These findings provide a biochemical pathwa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ellulat mechanism underlying Cd-induced renal injury in hunmans.

      • KCI등재

        강원남부 폐광지역 개발기금 사업의 경제적 효과 : 2001~2021년간의 기금사업을 중심으로

        유원근(Won Keun Yu),최호영(Ho-yeong Choi),김승렬(Seung-Leul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본 논문은 2001년부터 2021년 기간의 강원남부 폐광지역 4개 시군을 대상으로 전개된 폐광지역개발기금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기간 동안 연차별 투자 건수 1,220개로 구성된 691개의 재원 사업이 이행되었다. 분석대상 기간 동안 연차별로 투자된 재원의 합계는 총 1조 6,180.5억원이며,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경제적 파급효과를 도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폐광지역개발기금의 투자금액의 면에서 보면, 대체로 생산유발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3차산업 부문에 대한 재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3차산업 부문의 취업유발효과가 이 지역에서 타 산업에 비해 높다는 점이다. 이러한 산업구조적 특성을 토대로 향후 폐광지역개발기금 사업의 경제적 효과를 최적화시키기 위해서는 유발계수 값의 분포를 고려한 재원의 배분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고의 추정결과는 향후 폐광지역 개발기금의 합리적인 배분을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the closed mine area development fund on the southern part of the Gangwon provinces during the period 2001~2021. In this time frame, 691 financial projects comprising 1,220 items in the annual base were carried out and the total amount of investment was 1,618.05 billion Won.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economic effect of this fund through the regional industrial input-output tables. An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financial resources available to the specific fields revealed that the portion of funds invested in the tertiary industry sector has a low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which was not comparable with other industries. However, the movement of the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of tertiary industries led by the services sector in this area is comparatively high.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 of the industrial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make a deliberate funds distribution plan taking the movement of the above inducement coefficients into consideration, to optimize the economic effect of the closed mine area development fund. The empirical output derived from this study would assist policymakers in establishing an effective distribution strategy for the closed mine area development fund in the future.

      • KCI등재

        콜롬비아 소가모스에서 미세먼지 감축 시나리오 분석

        박일수(Park, Il-Soo),장유운(Jang, Yu-Woon),하상섭(Ha, Sang-Sub),장수환(Jang, Su-Hwan),정경원(Chung, Kyung-Won),김혜원(Kim, Hye-Won),김희선(Kim, Hee-Su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2

        콜롬비아 소가모스 지역에서 미세먼지 감축 시나리오를 TAPM 모델을 활용하여 도출하고 평가하였다. 시나리오 1의 제철소 및 금속 등 중공업 오염원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방지 기술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80% 감축하는 방안에서는 도시 중심 평균 농도는 6.5 μg m-3로 1.5 % 감소하였고, 모델영역에서 최고 평균농도는 387 μg m-3 로 변동 없었다. 시나리오 2의 벽돌 및 석회공장 등을 대상으로 연료를 석탄에서 코크스로 교체하여 90 % 감축하는 방안에서는 도시 중심 평균 농도는 4.5 μg m-3로 31.8%, 모델영역에서 최고 평균농도는 111 μg m-3 로 71.6 % 감소하였다.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를 결합한 시나리오 3에서는 도시 중심에서 평균 농도는 4.3 μg m-3로 34.8 %, 모델영역에서 최고 평균농도는 110 μg m-3 로 71.7 % 감소하였다. 소가모스 지역에서 대기환경을 개선하는 로드맵 수립에는 수공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석탄 연료를 청정연료인 코크스로 교체하는 방안이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하겠다. 이후 미세먼지 방지 시설을 굴뚝에 설치하는 방안도 차선책으로 고려하여 환경과 경제가 선 순환하는 녹색성장관점에서 장기적인 미세먼지 개선 마스터 플랜이 수립되어야 하겠다. Reduction scenarios for PM10 concentration in Sogamoso, Colombia were analyzed using the TAPM( The Air Pollution Mode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in the downtown area was 6.5 μg m-3, a reduction of 1.5 %. The maximum average concentration in the model domain was 387 μg m-3 without any reduction in scenarios 1 which the PM10 emissions from heavy industries such as iron and metal was reduced by 80 % using the prevention technology. In scenario 2 which the PM10 emissions from the brick and lime industries was reduced by 90 % substituting coke (a cleaner fuel) for coa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in the downtown area was 4.5 μg m-3, a reduction of 31.8 % , the maximum average concentration in the model domain was 111 μg m-3 , a reduction of 71.6 %. In scenario 3 which the scenarios 1 and 2 were combine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in the downtown area was 4.3 μg m-3, a reduction of 34.8 % and the maximum average concentration was 110 μg m-3, a reduction of 71.7 %. To put forward a road map for the reduction of PM10 in the Sogamos region, substituting coke for coal in manual industries should have priority over reduction policies. Also,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a longterm master plan for reducing PM10 concentrations should be established with a focus on environmentally-friendly development and future green growth policy with a win-win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environment.

      • KCI우수등재

        신선육및 육가공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및 소비실태조사 제 2 보 . 육가공제품의 소비실태 및 구매성향

        안병윤,김종원,이유방 ( Byung Yoon Ahn,Jong Won Kim,Yu Bang Lee ) 한국축산학회 1981 한국축산학회지 Vol.23 No.1

        A total of 1006 households residing in Seoul, Taegu and Cheonan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 and purchasing tendency of processed meat products under the current marketing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frequency of purchasing meat products was 3-4 times a month and the frequency was closely related to the monthly income of the consumers. A mere 6 percent of respondents with relatively high income purchased more than 10 times per month; whereas, sixty percent of respondents less than 3 times, indicating the consumption of processed meats is at very low level. 2. Sausage(fish-red meat mixture) was purchased most frequently(75%) by all consumption of ham was relatively high (∼20%) at the monthly income level of more than 400,000 won. 3. Meat products were chiefly consumed by children(71%) and teenagers(19%), and were used as side dish in lunch box(41%) or main meal(30%). 4. The average consumers purchased meat products primarily from supermarkets (53.1%), grocery stores(22.5%) and meat shops(16.5%). 5. The procurement of processed meat was determined either by the sole decision of housewife(56%) or by the recommendation of family members(27%). Good nutrition(40.7%) and convenience(29.1%) were the predominant reasons of baying processed meats. The low income people set the highest priority in good nutrition, whereas the high income people in convenience. 6. Forty one percent of respondents have the experience of having purchased foreign products, 15% of them having asserted the superiority of domestic products, while 43% expressed the reverse opinion.

      • SCOPUSKCI등재SCIE
      • KCI등재

        쑥뜸요범이 노인의 CMI에 미치는 효과

        유경원 ( Gyuong Won Yu ),민순 ( Soon Min ),박재경 ( Jae Kyoung Park ),김정효 ( Jung Hyo Kim ),강경구 ( Gyung Goo Ka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건강증진 방안의 하나라 사료되는 쑥뜸요 법이 노인의 CMI의 건강지수에 효과를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모든 문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내었다. 쑥을 활용한 뜸 요법은 일종의 온열 자극으로 쑥뜸은 피부면에 위치한 중요한 경험점을 열로 자극해 원하는 효과를 얻어 내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양한 고증과 문헌이 이를 뒷받침한다. 『황제내경(皇帝內經)』 영추(靈職) 경맥(經脈)편을 보면 “함하즉구지(陷下卽灸之)- 한응혈체(寒凝血滯), 무맥증(無脈症), 장기하함(臟器下陷), 구병허한(久病虛寒)- 등의 병은 모두 쑥뜸으로 치료한다” 고 했고, 영추(靈楓) 관능(官能) 편에서는 쑥뜸이 양기를 따뜻하게 해주고, 가라앉은 것을 끌어올리며,기혈을 활발히 움직이게 하는 작용을 한다고 했다. 『편작심서(扁鵲心書』 라는 옛 의서에도 “관원(關元), 기해(氣海), 명문(命門) 등의 임맥(任脈)과 독맥(督脈)혈위를 매일같이 뜸을 뜨면 장수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 족삼리(足三里) 라는 혈을 계속 뜸 떠 주면 모든 병이 없어진다” 고 하였는데 본 논문이 선정한 각 신체증상의 병증별 건강지수의 모든· 영역에서도 유의 한 결과가 나왔다. 이외에도 중국 명대(明代)의 이정(李挺) 은 『의학입윅醫學入門)』 (Lee, 1981)에서 “한(寒),열(熱), 허(虛), 실(實)증 모두에 艾灸(뜸)를 광범위하게 응용할 수 있다” 고 하였고 “’ 약지불급 (藥之不及), 침지부도 (針之조徒), 필수구지(쓰須灸之)”란 대목이 나닐오는데 이는 “약이 미치지 못하고 침이 다다르지 못하면 모름지기 쑥뜸을 해야 한다” 는 것이다. 명대의 양계주 《楊繼洲, 1522~1620) 또한 『침구대성(鍼灸大成)』의 ‘제가득실책(諸家得失策)’에서 “병이 장위(瞬胃)에 있으면 약 물이 아니면 건질 수 없고, 병이 혈맥(血脈)에 있으면 침이 아니면 미칠 수가 없으며, 병이 주리(理)에 있으면 뜸이 아니면 도달할 수 없다. 의사에게는 침과 뜸 과 약물 어느 하나도 빠뜨릴 수 없다. 많은 의사들이 병을 치료함에 단지 악물만 시용하고 침뜸은 버리고 있는데 그래서야 어떻게 환자의 원기를 보전할 수 있겠는가?" 라고 주장하여 쑥뜸요법의 필요성과 치료효과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이러한 역대 의가들의 주장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간호사들이 침과 뜸과 약물 각각에 있는 적응증들을 적절하게 파악하여 질병관리의 상황과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관리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쑥뜸이 아니면 도달 할수 없는 쑥뜸치료만이 갖는 다양하면서도 특이한 쑥뜸요법의 치료의 힘을 느껴볼 수 있는 것이라 사료된다. 현대에 이르러 쑥뜸요법은 상당부분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쑥뜸이 갖는 고유한 특성과 효능은 더욱 연구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쑥뜸요법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해보면 북한의 과학백과사전종합 출판사가 펴낸 『뜸으르 병을 고치는 책』에시는 뜸쑥이 탈 때 생겨나는 불빛이 적외선과 같은 효과를 낸다고 했으며, 뜸쑥을 태울 때 나오는 쑥 연기는 일부 세균, 병원성 포도상 구균, 대장간균, 녹농간균, 플렉스네르 적리균, 가성 디프테리아균 등을 억제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했다(Kim, 1995). 일본의 유명한 침구가인 시로다(代田文誌)는 l0년간 16, 147명을 분류해 좌골신경통 9%, 요통 8%, 목과 등의 통증 6%, 견갑 관절통5%, 상완 신경통 4%, 류머티즘 질환 13%, 위장 질환 13%가 해소됐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물론 침과 뜸이 동시 사용된 결과 이지만 뜸의 진통작용에 대한 효능을 입증해주는 결과들이라 할 수 있다 (Kim, 1996), 이러한 결과는 본 논문의 연구결과인 관절이 붓고 아프고, 어깨나 등살이 뻣뻣해져서 일을 계속하기가 힘들 때, 허리가 아픈 경우에 쑥뜸전보다 쑥뜸 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 연구결과와 상당부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뜸의 작용기전을 살펴보면 세계보건기구는 오랜 기간의 과학적 검증을 거쳐 1998년에 300종의 질병을 침과 뜸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공인(公認)한 바 있다 (Kim, 2003; Lee, 2005). 또한 세계 보건기구는 1977년 지역사회 일차 보건의료에 관한 보고서에 의하면 첫째, 쑥뜸은 면역학적으로 생체면역기능을 증진케 하는 작용에 의하여 각종 세균성질환에 멸균·소염 효과가 있다. 특히 현대의학으로 특효약이 발견 되지 않은 감기 등의 바이러스성 질환에 대하여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쑥뜸은 신경성질환에 대하여 항마비 효과가 있고, 경련성질환에 대하여 진정효과가 있으며, 자율신경 계통에도 조정 작용이 있다. 셋째, 쑥뜸은 심장맥 관계의 혈관운동을 조정하는 효과가 있고, 혈액성분의 조성 및 개선에도 영향을 미친다. 넷째,쑥뜸은 내분비이상 질환에 내해서도 또는 채액대사에도 상당한 개선효과가 인정된다고 밝히고 있다 (Gwack, 1998). 본 논문에시 조사된 몇 개의 항목 즉, 목이 아프거나 편도선이 붓고, 코가 막히며, 감기에 잘 걸린 경우, 또한 기침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경우에도 증상 이 호전되 Kang(2005)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의 고려임상의전에서는 첫째, 피의 조성성분에 영향을 준다. 둘째, 소화기 계통에 영향을 준다. 셋째, 핏줄에 영향을 준다. 넷째, 면역형성에 영향을 준다. 다섯째, 뜸은 몸무게를 늘이며, 난소 고환, 내분비선의 기능을 조절하는 전신상태에도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Korea Clinical dictionary, 2002). won (2000)은 체중의 증감, 감정의 변화 불면증치료, 체질개선, 월경 변통의 회복, 변통의 원활, 마비회복, 못, 혹, 티눈 제거에 탁월하다고 밝히고 있고 뜸을 뜰 때의 초기 중상으로 첫째, 방귀가 자주 나온다. 둘째, 으슬으슬 춥고 몸살기가 느껴진다. 셋째, 소변의 양이 늘어난다. 넷째, 대변이 끈적끈적하다. 다섯째, 며칠간온· 몸이 무겁고 가라앉은 것 같다. 여섯째,아픈 부위가 더 아프다. 라고 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위의 증상들은 호 전되 는 것으로 소개 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논문에서 소화기계 모든 증상에서 쑥뜸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Min 등(2005) 이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Kang(2005) 이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쑥뜸요법이 소화기계에 중상을 완화시킨 결과와 본 연구결과는 일치하였다. 이는 쑥뜸이 소화기 계통의 질환에는 상당히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주었다 ‘ Lee 등 (2003) 은 뜸은 여러 방면에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는데 첫째, 빈혈증상 개선, 둘째, 진통기전에 관련하며, 셋째, 신장기능을 확정화하며, 넷째,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으며, 다섯째, 각종 호르몬 분비를 촉진 시키며, 여섯째,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며, 일곱째, 간 손 상의 회복을 촉진시키며, 여덟째, 부인과 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아홉째,글루코오스 (Glucose) 및 chelester이 수치를 떨어뜨리며, 마지막으로는 혈압강하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Lee et al., 2003). Heo의 동의보감(東醫寶鑑)의 구편(灸篇) 첫머리에서도 灸(뜸)는 『溫寒散寒,溫中回陽,溫通氣血,保健防病』이라 하여 찬 기운을 분산시키고, 속을 따습게 하여 양기를 북돋우며, 기와 혈을 소통시키고, 병을 예방한다고 하였다 (Kim, 1995). 본 논문에 있어 머리가 무겁고 아프다 경우 쑥뜸 전에는 평균 1. 99에서 쑥뜸후 1. 39로 감소하였고, 몸이 갑자기 달아오르거나 싸늘해지는 때가 있다에서는 쑥뜸전에는 평균 1. 76에서 쑥뜸후 1. 28로 감소하였다. 갑작스럽게 현기증이 난다의 경우 쑥뜸전에는 평균 1. 79에서 쑥뜸후 1. 28로 감소하였고’ 위를 쳐다보면 어지럽다에서는 쑥뜸전에는 평균 1. 58에서 쑥뜸후 1. 21로 감소하였다. 손이나 다리에 쥐가 난다에서는 쑥뜸전에는 평균 1. 95에서 쑥뜸후 1. 23로 감소하였고, 몸의 일부가 저리거나 쑤신다에서는 쑥뜸전에는 평균 1. 93에서 쑥뜸후 1. 33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쑥뜸요법 이 인간의 장기(臟器) 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쑥뜸요법을 실시하는 일반인 및 여성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던 Min 등(2005)의 연구에서 쑥뜸이 신체 건강지수에 미치는 효과와 Kang (2005) 의 쑥뜸요법이 신체 건강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와 같이 조사 전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 들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본 논문에서 사용된 경험들이 주로 사용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완(中脘) 과 천추(天樞)에 구처리(灸處理) 했을 때 진통작용과 혈색소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됐고(Lee, 1981), 중완(中脘)의 침구자극에서는 위장관(胃腸管)에 미치는 영향이 보고 되기도 했다 (Lee, 1991). 중극(中極) 혈 시구(始球)시에는 난소 호르몬에 영향을 미쳤고 (song, 1996), 관원혈(關元)에 시구한 쑥뜸의 결과는 혈압의 강하와 자각증상의 호전이 있음을 동물실험을 통해 보고하기도 했다 (Lee, 2001) 여성의 불임 (不姙) 시 灸治療는 관원(關元), 중극(中極)을 줌심으로 치료 (Yuon, 2000) 한다고 보고되기도 했다. 쑥뜸은 대류현상으로 그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데 쑥뜸 (艾灸) 요법은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에 의 한 화학적 자극(化學的剌戟)을 이용하여 병을 치료 하는 방법이라고도 했다 (DePartment of acuPuncture meridian이ogy, 1988). 쑥뜸 치료시 화학적인 자극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혈자리에 맺히는 노란 진액을 치 료의 원인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쑥뜸의 진액 이 뜸기 아래로 내려오는 현상을 유심히 관찰해보면 하얀 진액이 밑으로 수직으로 내려가는데 밑 부분에 살짝 충격을 주면 하안 연기는 이내 방향을 잃고 흩어지거나 밑으로 내려오지 않음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쑥뜸을 뜰 때 말과 일체의 행동을 중단하고 호흡 하는 것 외에 다른 행위가 이뤄지면 안 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Yoo, 2002). 본 논문에서도 신중한 분석을 얻기 위해 뜸을 뜰 때의 적절한 요령과 방법에 대한 충분한 사전 지식 습득이 병행됐음을 밝힌다. 쑥뜸의 연소 온도가 치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최근 연구로는 2000년 원광대학교에서 BKZI 사업의 지원으로 연구된 상용소형 쑥뜸의 열역학 연구에서는 가열기에서 소형 쑥뜸 바닥면의 평균 온도는, 소형 뜸이 36· ZoC에서부터 37. 8℃ 까지이며 바닥면중 심부의 온도는 48 ``6OC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Lee et al., 20이).대형뜸 2종을 가지고 연구한 실험에서는 보온기간 중 평균온도가 44. 0℃ 와 42. 9℃로 조사되었고,대형 뜸의 장점에 해당되는 보온기 유지 시간 동안 37℃ 이하의 열이 계속 유지되었다. 같은 종을 가지고 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44솥5℃ 와 45. 4℃ 로 조사되기도 했다 (Lee et al., 2002) . 국내에서 통용되는 뜸 연구가들의 서적에 등장하는 뜸의 온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뜸쑥이 타들어갈 때의 온도는 대략 표면 온도가 500℃ 를 넘으므로 화 상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얼굴, 생식기,유두,장딴지,혈관,임신부의 허리와 배 등엔 뜸을 뜨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Kim, 2001). 쌀알크기 정도의 쑥은 피부 위에서 섭씨 60℃ 정도 이고, 그 뜨거움은 약 2- 3초 동안 지속되며 뜨겁다고 느끼는 순간 끝난다. 이는 1℃ 정도의 화상으로 피부가 빨간 정도이고 처음 뜸을 뜰 때는 잘 보이지 않을 정도이다. 중간정도의 크기는 100℃, 뜸쑥이 큰 것은 130℃ 라고 한다 (Kim, 2002). 간접 뜸은 피부가 느끼는 온도가 50℃ 이하이나 세라믹으로 처리된 도자기 뜸통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이 쑥의 약 기운과 함께 피하 심층까지 침투해 들어가므로 몸속에서는 (환부) 55℃ 이상의 고열을 느끼게 되어 열에 약한 암 세포 나 바이러스 등이 박멸되는 동시에 변조된 신경의 정상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고열로 인한 피부 표면의 무분별한 가열로 인한 화상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뜸기 받침을 두 개 이상 놓을 수 있게 하여 뜨거움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Bergersen (l995) 은 손과 손가락에서 35℃부터 43℃까지 15분 동안 국소 가열시 혈류속도의 증가를 관찰 보고하였다. 이는 손바닥과 손가락 끝면, 정확하게는 손톱뿌리 옆면인 일명 정혈(井穴) 등에 뜸을 떴을 시 예상되는 치료의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평소에도 쑥뜸에 대한 상당 한 관심과 접근성을 지닌 사람들이었으며,치료기간 전에는 조작이 간편한 소형 뜸을 가지고 뜸을 뜨면 좋다는 정보들을 가지고 쑥뜸을 할 수 있는 기구들을 보유하고 있는 가정이 상당히 많았다. 하지만 혼자서 쑥뜸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부분 조심스러웠으며 누군가 옆에서 같이 쑥뜸을 뜬다거나 끝날 때 까 지 함께 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쑥뜸을 뜨는 실험 기간 중에 실시된 경혈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교육이 실시 될 때도 평소 본인들이 알았던 쑥뜸 요법에 대한 지식과 비교해보거나 새로운 내용을 복사 물로 받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는 쑥뜸요법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이고 구쳬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는 것과 전문적인 지식전수와 간호중재를 위해서도 연구하고 전문화시키는 작업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o improve health care of the elderly, we have used Moxibustio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duct from 1st Feb. 2007 to 31st May for 78 people who are older than 65 years old twice a week. Method: The tool of research was modified Cornell Medical Index(CMI) which Nam Ho Chang(1965) modified for the Korean and CMI which consists of 26 questions. Data were analyzed in frequency, paired t-test by SPSS. Result: Hypothesis: ``It was supported that CMI increases for those who have treated Moxinus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using Moxibustion when the symptom is one of those which are sore throat, tonsillar, edema, tightness of nose, common cold, cough, tightness of chest, palpitation, dyspnea, edema of leg, difficulty of urination, anorexia, heavy on stomach, nausea, vomiting, dyspepsia, fullness of abdomen, stomachache, diarrhea, constipation, incontinency of stool, arthralgia, shoulder or backache, lumbago, headache, burning or chillness, vertigo and dizziness. Conclusion: As a result, Moxibustion is effective for such symptoms so that it is considered to be using in everyday life this product for better health care.

      • SCISCIESCOPUS

        High-resolution three-photon biomedical imaging using doped ZnS nanocrystals

        Yu, Jung Ho,Kwon, Seung-Hae,Petrá,š,ek, Zdeně,k,Park, Ok Kyu,Jun, Samuel Woojoo,Shin, Kwangsoo,Choi, Moonkee,Park, Yong Il,Park, Kyeongsoon,Na, Hyon Bin,Lee, Nohyun,Lee, Dong Won,Kim, Nature Publishing Group 2013 NATURE MATERIALS Vol.12 No.4

        Three-photon excitation is a process that occurs when three photons are simultaneously absorbed within a luminophore for photo-excitation through virtual states. Although the imaging application of this process was proposed decades ago, three-photon biomedical imaging has not been realized yet owing to its intrinsic low quantum efficiency. We herein report on high-resolution in vitro and in vivo imaging by combining three-photon excitation of ZnS nanocrystals and visible emission from Mn<SUP>2+</SUP> dopants. The large three-photon cross-section of the nanocrystals enabled targeted cellular imaging under high spatial resolution, approaching the theoretical limit of three-photon excitation. Owing to the enhanced Stokes shift achieved through nanocrystal doping, the three-photon process was successfully applied to high-resolution in vivo tumour-targeted imaging. Furthermore, the biocompatibility of ZnS nanocrystals offers great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s of three-photon im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