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번역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남지만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as led many translation projects of Korean classics and it has accumulated a lot of achievements, but the limits of these achievements have been revealed. This research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of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as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of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ill make the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by means of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academic research of Korean society related to classical translation. Most of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was related to the lack of preparation of basic researches such as classical theories on the translations of classics. That is why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as discussed as a suppl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hich was suggested in this project, will play a major role in activating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into academic field. Korean Chinese-written Classics is the key chain that inheri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s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it is at a limit that could not be fully utilized due to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ill build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develop various cultural contents of Korean classics by connecting education and field in research and education. If the establish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is complemented with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concrete connection of education and the working field will be realized. It would be a collaborative research system between classical translator and graduate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plan and prepare the establishment the network among the related institute such as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and other universities. This network will provide graduate students with various research and training opportunities through research networking with academic institutions in and outside of Korea. 근대 이전 시기의 우리 민족공동체의 기록물은 대부분 한문이다. 현대에 이르러 이 기록들이 현대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으면 민족공동체의 기억이 단절될 수도 있다. 국고지원으로 고전번역사업을 진행하는 까닭은 이 일이 민족공동체의 기억을 이어가는 행위라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고전번역작업은 다양한 경로로 고전번역자가 양성되었기 가능하였다. 본고는 고전번역이 이어지기 위한 필요조건인 고전번역자 양성문제에 대하여, 특히 최상급의 학술과정인 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검토하려 한다. 우리나라에서 학문적 축적은 학과형태의 학술적 연속성에 기초하기에 협동과정 형태의 운영으로는 번역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한계를 피할 수가 없다. 독립된 학과형태의 고전번역학 과정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러한 학과 과정은 한학(漢學)이 갖는 학문체계의 통합성을 복원하여, 번역학의 기반에서 학문적으로 재구성해야 하는 학문적 요구에 부응하는 명실상부한 ‘고전번역학’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고전번역사업을 주도하는 한국고전번역원을 중심으로 독립적인 고전번역대학원을 설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현실적으로 독립적인 학문기구로서 고전번역대학원의 설립이 어렵다면, 공동학위제도를 바탕으로 하는 통합적인 협동과정 형태를 상정할 수 있다. 대학의 기존 고전번역협동과정과 한국고전번역원이 ‘한국고전번역학 공동학위과정’을 만들어 고전번역자 자격취득에 관한 부분은 한국고전번역원이 주로 담당하고, 연구를 통한 학위 취득에 관한 부분은 대학에서 주로 담당하는 형태로 고전번역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것이다. 서울과 지방에 있는 대학의 고전번역협동과정을 하나로 연계하여 공동학위과정 혹은 복수학위과정으로 운영하고 거기에 고전번역원의 번역교육과정을 공통과정으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의 고전번역원은 다음과 같은 변화가 요청된다. 첫째, 현재의 연수과정과 연구과정은 학점인정제를 바탕으로 하여 학점교류가 가능한 형태로 변화하여 정규 교육제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2018년 처음 도입되어 직업교육에 가까운 형태로 운용되는 교감표점전문가 양성과정, 편집전문가 양성과정을 온전한 직업교육훈련 과정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물론 고용노동부 등의 충분한 정부지원을 얻어서 내실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고전번역대학원 과정에 대해서는 국가의 정체성확인과 그것을 기초로 국가의 정신문화를 창달하는 기반사업이기에 국가주도의 투자가 요청된다.

      • 한국인 인체 중심 산출 방안 연구

        신성휴 한국운동역학회 1996 한국운동역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생체역학 연구 가운데 많이 사용되고, 스포츠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된 인체중심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즉 한국인의 인체 중심을 실측하고, 실측치와 차이를 보인 선행 연구 결과들 가운데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외국의 결과를 보정하여 정확한 인체 중심을 구할 수 있도록 인체 분절의 질량비를 제시함으로써 생체역학 연구와 운동 기술 평가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인체 중심을 구할 때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Dempster(1955), 또는 松井(1956)이 구한 인체 분절별 전신에 대한 비율을 한국인의 인체 중심에 알맞게 보정하고 타당성을 분석한 다음 제시하였다. Dempster가 제시한 방법은 한국인 남자의 인체 중심과 2.29% 차이를 보였으며, 松井이 제시한 방법은 1.54%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를 인체 중심에 국한하여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도록 그들이 제시한 분절의 질량비를 개선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문학 영어번역 양상 멀리서 읽기(2)-고전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전기화,김지윤,유건수,전세진,정기인,정성훈,Seth Chandler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한국 고전문학의 영어번역양상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1889년부터 2023년까지 번역된 1868개의 고전문학 작품과 206권의 단행본의 목록을 만들고, 그 서지 사항을 근거로 하여 시기별 발간량 추이, 여성 작가의 비율 추이, 장르별 번역 추이, 작가와 산출 연대별 번역 추이, 번역가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고전문학 분야의 연간 발간량은 지난 60년 동안 일관된 증가나 감소 추세를 보이지 않았으며, 특정한 고전문학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재번역 및 재출간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성 작가의 비율은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 특히 2011년부터 2020년 사이에 데이터 수집 기간 중 가장 높은 16.8%를 기록했다. 이러한 여성 작가 비율의 증가는 번역자 개인의 관심과 영미 학계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장르별 추이를 살펴보면, 한글문학, 한문학, 구비문학 순으로 비중이 높으나, 이 비중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1960년대 이전까지는 구비문학이 중심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기록문학 중심으로 전환되었고, 2000년대 이후 한문학 및 산문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작품이 가장 많은 횟수에 걸쳐 번역된 작가들은 鄭澈, 黃眞伊, 尹善道 등 고전시가 작가들로 확인되며, 번역 작품의 가중치를 고려할 경우 상위 작가 명단은 金萬重과 惠慶宮 洪氏 등 고전산문 작가들로 나타난다. 번역된 작품에서는 조선시대 작품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16세기와 17세기 작품이 다수 번역되었다. 한편 번역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볼 경우, 초기 선교사 번역가들과 20세기 중후반 한국학 개발 시기의 번역가들의 작품이 여전히 주요 비중을 차지하며, 이들의 개인적 취향과 환경이 번역 양상에 영향을 끼쳤다. 현재로서는 고전문학의 실제적 다양성을 영어번역에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최근 연구자들의 문제의식이 번역 양상에까지 충분히 반영되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다. This preliminary study offers a comprehensive view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 Using bibliographic data from 206 books and 1868 works of translation published between 1889 and 2023, it analyzes trends in the number of translations published over time, the proportions of female authorship, literary genre, and historical era among source texts, and the translators of classical literature. This analysis indicates no consistent increase or decrease in publishing over the past 60 years, and finds a tendency for specific works to be retranslated or republished. Female authorship of source texts gradually increases over time, reaching a maximum of 16.8 percent in 2011-2020. This increase may reflect individual interests of specific translators and the influence of English-language academia. In terms of genre, Hangul literature makes up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hen oral literature. However, this changes over time, shifting from oral literature prior to 1960 to written literature in the 1970s. From the 2000s, prose and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grew. Authors with the most translated works include classical poets like Jeong Cheol, Hwang Jin-i, and Yun Seon-do, while a weighted measure of translated works results in prose writers like Kim Man-jung, Lady Hyegyeong, and Il-yeon. Joseon-era source texts are predominant, particularly from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Early missionary translators and those activ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from the mid-to-late twentieth century remain the largest overall contributors, with their personal tastes and available resources influencing overall trends. This suggests that the concerns of recent researchers, who argue for a fuller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of classical works, are not yet sufficiently reflected in English translation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s a whole.

      • KCI등재

        고전번역사업의 전망과 과제

        장유승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지난 60년간 고전번역사업은 한국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산업 구조 및 인구 구조 변화에 따라 향후 한국학의 전망은 불투명하다. 한국학의 소외는 고전번역사업의 소외로 이어질 것이다. 한국학은 기존 개념과 범주를 재정의함으로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고전번역사업 역시 한국학의 쇄신에 동참하는 한편, 한국학의 범주를 벗어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 고전번역사업의 쇄신은 고전, 번역, 사업의 개념과 범주를 재정의하는 것부터 시작될 것이다. 우선 분과 학문의 논리를 벗어나 문학, 사학, 철학에 치우친 사업 대상을 여러 분야로 다양화하고, 문헌의 국적, 형태, 시기, 가치의 경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사업과 교육의 연계를 통해 고전번역 인력 및 한국학 연구자 양성에 기여하는 것도 고전번역사업의 해묵은 과제이다. 이것이 한국학의 경계 허물기에 부응하는 고전번역사업의 경계 허물기이다. For the past 60 years, classical translation Korean classic translation projects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However, the future prospects of Korean studies are unclear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population structure. The decline of Korean studies will lead to the decline of the Korean classic translation projects. Korean Studies is seeking a way out by redefining existing concepts and categories. Korean classic translation projects should also participate in the reform of Korean studies, while seeking a way out of the scope of Korean studies. The renovation of the Korean classic translation projects will begin with redefining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classics, translations, and businesse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project targets that are biased toward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beyond the branch studies into various fields. First of all, the project targets that are biased toward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should be diversified into various field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boundaries of nationality, form, timing, and values of the literature. It is also an old task to contribute to the training of classical translation human resources and Korean studies researchers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business and education. This is the breaking down of the boundaries of the Korean classic translation projects that meets the breaking down of the boundaries of Korean studies.

      • KCI등재

        ‘1760년 상송 읍지’의 성립과 전래, 그리고 현존본-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와 신발굴 ‘여지승람’ 2종에 대하여-

        손성필,김준섭 한국고전번역학회 2021 고전번역연구 Vol.12 No.-

        This study analyzed the records of Yeoji-doseo and reviewed thre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Eupji submitted nationwide in 1760', including two newly discovered ones. The main contents of the discussion, focusing on the three existing manuscripts, are as follows. First,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is the original version of 'Eupji in 1760'. Contrary to what is generally known, Yeoji-doseo cannot be said to be a national name because it is named by Seo Myeong-eung in a manuscript kept in his house. Second, the newly discovered Yeoji-seungram, which is kept in various places such as Keimyung University, is the original version of 'Eupji in 1760'. In this manuscript, a new Eupji in seven regions that are not in the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was discovered. Third, the newly discovered Yeoji-seungram, which is kept in the the museum of silhak, is a manuscript that reproduces the 'Eupji in 1760'. In this manuscript, a new eupji in four regions, which is not in the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was discovered. 이 논문은 ‘여지도서’의 성립과 전래에 대한 기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 발굴된 2종을 포함한 ‘1760년 상송 읍지’ 현존본 3종을 비교, 검토하여 논의한 것이다. 현존본 3종을 중심으로 주요 논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55책)’는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는 달리 영조 41년(1765) 12월 8일에 서명응은 ‘여지도서’를 영조에게 진상하기 위해 입시한 것이 아니었다. 서명응은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중의 1건을 입수하여 소장하였고, ‘여지도서’라는 명칭은 서명응이 이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1건을 소장하고 장정하면서 임의로 명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여지도서’는 서명응의 개인 소장본을 지칭하는 것일 뿐, 국가적이거나 공식적인 명칭이라고 할 수 없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는 이 서명응 가문에 소장되어 전래된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이며, 이른바 ‘여지도서’라는 문헌의 실체는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중의 1건인 것이다. 둘째, 새로 발굴된 계명대 등에 분산 소장된 ‘여지승람(8책)’은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이다. 1759년부터 홍문관이 하달한 범례에 따라 각 군읍에서 읍지를 찬집하여 홍문관, 감영 등으로 3건 또는 5건 상송했다. 홍문관에 상송된 읍지는 2건인데, 그중 어람용 1건은 홍문관에 보관된 것으로 보이나 1765년 이래 그 존재나 전승이 불분명해졌으며, 1건은 이은에게 분아되었는데 이를 서명응이 입수하여 ‘여지도서’로 명명한 것이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와의 비교를 통해 볼 때, 계명대 등에 분산 소장된 ‘여지승람’은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1760년 상송 읍지’의 계명대 등 분산 소장본에서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본에 누락된 40여 군읍의 읍지 중에 7개 읍지의 존재가 확인된다. 셋째, 새로 발굴된 실학박물관 소장 ‘여지승람(6책)’은 ‘1760년 상송 읍지’를 복제한 정사본이다.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은 각 군읍에서 찬집, 필사한 것이기 때문에 필체, 지도의 화풍 등이 군읍별로 각각 다른 반면, 실학박물관 소장본의 경우 전체 군읍 읍지의 필체가 유사하며, 채색 지도의 화풍도 유사하다. 또한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은 각 군읍별로 광곽과 계선의 형식, 색상이 다른 반면, 실학박물관 소장본은 동일 목판으로 광곽과 계선을 인출한 다음 필사한 괘인사본이다. 그러므로 실학박물관 소장 ‘여지승람’은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의 복제를 위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필사, 채색하여 제작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실학박물관 소장본에서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본에 누락된 4개 군읍의 읍지가 확인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