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기관 기능부전을 초래한 치명적인 삼일열 말라리아 증례

        박상원,김동우,박주원,이순일,신영학,김의종,오명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2

        삼일열 말라리아는 국내에서 재유행하고 있는 감염질환으로, 일반적으로 양성의 임상경과를 거친다. 저자들은 특이한 질병력이 없이 건강하였던 젊은 성인이 국내에서 삼일열 말라리아에 걸린 후 다기관기능부전과 폐출혈으로 사망한 증례를 경험하였다. 환자의 중증 임상경과를 설명할 만한 특이한 인자가 발견되지 않았다. Vivax malaria is a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 in Korea with cumulating 19,416 cases as of December 2003 since 1993. Vivax malaria is generally a benign disease with few severe complications. Even in the worldwide literature, there are only small number of case reports on severe complications. We experienced a fatal vivax malaria in a previously healthy young adult with severe multi-organ failure and fatal massive pulmonary hemorrhage. The patient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and shock. There were splenic hemorrhage,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oliguric acute renal failure requiring dialysis, and pulmonary hemorrhage leading the patient finally to death. The initial parasitemia was 2,046/μL. Thin smear and PCR revealed only Plasmodium Vivax. There was no explainable cause of death except for the only serological suggestion of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 without correlating clinical evidence. This is a first case of fatal vivax malaria in Korea since its re-emergence in 1993. Further case monitoring is needed to define whether this is a index case or an isolated one.

      • 면직물과 면/닥섬유 혼방직물의 질감이미지와 선호도 평가

        신주동, 김여원, 최종명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3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exture images and preferences for cotton and cotton/mulberry blended fabrics in order to suggest the fabric planning for environment-friendly fashion products. Fift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evaluated the texture images and preferences of cotton and cotton/mulberry blended fabrics dyed with natural indigo dye.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mean, factor analysis, t-test, F-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exture images of cotton and cotton/mulberry blended fabrics were classified into 4 factors: 'stiffness', 'elasticity', 'weight', and 'smoothness'. They evalu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iber content in the texture images for the fabrics. Also,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gender in the texture images for the fabrics. Female students were more sensitive than males for the 'stiffness' and 'elasticity' factor. They were more preferred cotton fabrics than cotton/mulberry blended fabrics in terms of tactile and purchase preferences. The preferences of tactile were no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in terms of purchase preference.

      • 알코올리즘 환자에서 뇌교외수초용해증과 연관된 주기교대눈떨림과 주기교대주시편위

        강성원,이명제,정주리,김영진,양현덕 원광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9 圓光醫科學 Vol.24 No.1

        주기교대눈떨림와 주기교대주시편위는 이상안구 운동에서도 흔히 관찰되지 않는다. 이런 안구운동은 뇌교와 소뇌에 병변이 있을 때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50세 남자 환자가 과음을 하고 난 이후 심하게 구토를 하여 입원하였다. 다음날 아침에 의식이 없었으며 주기교대눈떨림과 주기교대주시편위가 관찰되었다. 뇌자기공명영상에서는 뇌교나 소뇌에 병변없는 교뇌외수초용해증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 저자는 아마도 교뇌외수초용해증이 소뇌와 전정신경핵의 경로중에 GABA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여 주기교대눈떨림과 주기교대 주시편위가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한다. Background; Periodic alternating gaze deviation(PAGD) and periodic alternating nystagmus(PAN) are rare forms of abnormal eye movement. Multiple lesions in the cerebellum and brainstem have been reported with PAN and PAGD. Case Report; A 50-year-old man presented with severe vomiting after binge drinking. The next morning he. became vegetative state and showed PAGD and PAN. Brain MRI showed findings compatible with extrapontine myelinolysis(EPM) without any brainstem or cerebellar lesions. Conclusions; We postulate that the disturbed GABAnernic system in the pathway from the cerebellum to vestibular nuclei caused probably by EPM developed PAGD and PAN.

      • KCI등재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사업장 지원 프로그램의 단기효과 분석

        곽우석,원종욱,이정배,이명숙,강은주,노재훈 大韓産業醫學會 2009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1 No.1

        목적 뇌 심혈관질환은 주요한 사망원인이며 우리나라 산업재해 보상에 있어 중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2000년도부터 지역 산업보건기관을 통해 많은 사업장에 뇌 심혈관질환 예방 프로그램을 지원해왔다 본 연구는 이 프로그램이 근로자의 뇌 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개선에 미치는 단기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07년도 집중관리 프로그램 대상자 중 전후 발병위험도 평가가 가능했던 5,902명(53.3%)을 대상으로 혈압 콜레스테롤 비만도 및 발병위험도를 전후 비교하였다 발병위험도 평가는 KOSHA CODE H-11-2004 지침을 사용하였다 결과 평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4.9 mmHg 3.1mmHg 감소하였으며 총콜레스테롤과 비만도(BMI)는 각각 8.4 g/dL 0.1 kg/㎡ 감소하였다 흡연율은 6.0% 감소하였으며 규칙적인 운동 시행률은 23.1% 증가하였다 전체적인 발병위험도 개선율은 49.1%였다 결론 국가 지원의 뇌 심혈관질환 예방 프로그램은 단기적으로 좋은 성과를 나타냈다 향후 연구에서는 사업장 단위의 장기적인 영향과 비용-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Objectives Cardiovascular disease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and a major source of workers' Compensation claims in Korea Since 2000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working through local occupational health institutions has supported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programs at a number of compan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hort term effects of this effort Methods A total of 11,077 workers at risk were enrolled in the workplace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program and 5,902 workers (53.3%) completed the 1-year course during 2007 The program consisted of a medical checkup and health counseling for the workers by occupational health nurses The guidelines for this prevention program were adopted from KOSHA Code H-11-2004 To determine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workers risks for cardiovascular disease were assessed before and one year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Results The intervention led to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of 4.9 mmHg and 3.1 mmHg respectively Mean total cholesterol and BMI were also reduced significantly by 8.4 g/dl and 0.1 kg/㎡ The rate of smoking was decreased by 6.0% and the percentage of workers engaging in regular exercise was increased by 23.1% of the 3,530 workers with the low risk and above the overall cardiovascular risk was improved in 1,734 (49.1 %) of them Conclusions The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program suppor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reduces cardiovascular diseases risks among workers and may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workers in Korea

      • 가역적 후외동맥 폐색으로 발현된 전조편두통 연관 뇌경색

        김영진,이명제,정주리,강성원,양현덕 원광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9 圓光醫科學 Vol.24 No.1

        예전 인구에 근거하여 연구된 논문들은 편두통이 뇌졸중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를 하였으며, 전조증상을 동반한 편두통은 중추신경계와 연관된 병인론적 과정을 통하여 뇌졸중과의 관련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편두통성 뇌졸중의 병태생리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편두통의 발생 원인에서 혈관성 이론은 편두통을 혈관수축으로 발생하는 전조증상과 함께 대뇌 조절 장애로 발생한다는 이론으로 뇌허혈증상은 일으킬 수 있다. 전조증상을 동반한 편두통성 뇌경색은 허혈성 뇌졸중의 드문 원인이며, 또한 편두통과 허혈성 뇌졸중사이의 관련성은 아직 논란으로 남아 있다. 우리는 혈관경련 수축으로 나타날 수 있는 전조성 편두통과 관련된 뇌경색에서의 가역적 후뇌 동맥 폐색 1례를 보고한다. Several previous population-based studies reported an increase risk of stroke in association with migraine. Migraine with aura increased stroke risk with pathogenetic proces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However, the pathologic mechanism of migrainous infarction remains elusive. The vasogenic theory ascribes migraine to cerebral dysregulation with aura resulting from vasoconstriction. Migrainous infarction with aura is a rare cause of cerebral ischemic strok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migraine and ischemic stroke remains controversial. We report a case of cerebral infarction associated with migraine with aura that shows reversible arterial narrowing which might be caused by vasospasm.

      •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원인으로서 Chlamydia pneumoniae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김의종,김성민,오명돈,김선주,최강원 대한감염학회 1995 감염 Vol.27 No.1

        연구 배경 : Chlamydia pneumoniae(TWAR)는 급성 호흡기 감염증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혈청역학적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세계적으로 성인의 20-50%가 C. pneumoniae 대한 IgG 항체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건강한 성인의 약 50%가 항체 양성임을 고려하면 C. pneumoniae는 우리나라에서도 호흡기 감염증의 흔한 원인중 하나일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 건강인 108명과 1993년 2월부터 5월 말까지 신병 훈련소에 입대한 군인 중 폐렴으로 인해 후송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 pneumoniae에 대한 IgG 및 IgM 항체는 microimmunofluorescent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항체검사에 사용한 elementary body 항원은 Washington research Foundation으로부터 분양을 받았다. 현증 감염은 항체 역가가 4배 이상 상승하거나, IgG항체 역가 ≥512, 또는 IgM항체 역가>16으로 정의하였다. 성적 : 건강인 108명 중 IgM 항체 양성자는 한 명도 없었으나, IgG >16인 사람은 67명 (62%) 이었다. 폐렴에 걸린 신병 79명의 증상은 기침, 객담이 100%, 발열 87%,수포음 78%, 흉부 X-선상 침윤이 87%였고, 증상 발현 후 입원까지의 기간은 1주일이내가 27%, 8-13일 27%, 14-20일 27%, 21일 이상 20% 였다. 이들 폐렴 환자들 중 C. pneumoniae에 대한 lgG 항체 역가가 4배 이상 상승한 환자는 11명, lgG 항체 역가 ≥512인 환자가 4명 (3명은 항체 역가가 4배 이상 상승)으로, 전체 대상환자 중 15%(12/79)가 급성 간염증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C. pneumoniae 감염은 비교적 흔히 발생하며, 지역 사회 획득 폐렴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생각된다. Background : Chlamydia pneumoniae strain TWAR cause acute infections of the respiratory tract. Previous study showed that prevalence of TWAR antibody in adults from different areas of the world ranged from 25% to 50%. In Korea, positive rate of poly- IgG antibodies against TWAR was reported to be about 50% among healthy adults. These suggest that infections caused by TWAR may be quite prevalent in Korea. We tried to determine whether TWAR is an important pathogen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Methods : We studied 108 healthy persons and 79 military recruits with pncumonia who were evacuated from the training camp to the military hospital from February to April 1993. IgG and IgM antibodies to TWAR were measured using the microimmunofluorescence method. Elementary body antigen from TWAR was provided by the Washington Research Foundation. Serologic evidence of current infection was defined as a four-fold rise in antibody titer. In addition, a titer of 16 or greater in the IgM fraction and of 512 or greater in the IgG fraction were considered presumptive evidence of current or recent infection. Results : Of the 108 healthy subjects, none had IgM TWAR antibody, while 67 (62%) had IgG antibody at a titer of 16 or greater. Of the 79 military recruits with pneumonia, cough and sputum developed in 100%, fever in 87%, and crackles in 78% Chest X-ray infiltration was noticed in 87%. Duration of symptoms before admission was less than 7days in 27%, 8-13 days in 27%, 14-20 days in 27%, 21 days or longer in 20%. Of the military recruits with pneumonia, 15% (12/79) showed evidence of acute TWAR infection: 11 showed a four-fold antibody titer rise, and 1 had IgG antibody titer greater than 512.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WAR infections are quite prevalent and TWAR may be one of the important pathogen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Korea.

      • KCI등재

        광범위 베타 락탐계 항생제 분해 효소를 생성하는 폐렴간균에 의한 균혈증이 발생한 환자에서 감영의 위험 인자 및 치료 결과

        강철인,김성한,방지환,김홍빈,박상원,최영주,오명돈,김의종,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2

        목적 : 본 연구는 ESBL을 생성하는 K. pneumoniae에 의한 균혈증 환자에서 감염의 위험 인자 및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혈액 배양 검사에서 동정된 K. pneumoniae를 대상으로 NCCLS guidelines과 이중 디스크 확산법(double-disk diffusion test)을 이용하여 ESBL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ESBL 생성 균주에 의한 균혈증 환자 60명(환자군)에 대해 ESBL을 생성하지 않는 균주에 의한 균혈증 환자들(대조군)을 연령, 성별, 균혈증 발생 시점을 고려하여 1:2 또는 1:3으로 배정하였다. 총 159명의 대조군을 선정하였고 후향적인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연령, 성별, APACHE Ⅱ score, 주된 감염 부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ESBL을 생성하는 K. pneumoniae에 의한 균혈증이 발생할 독립적인 위험 인자에는 요관 삽입, 균혈증 발생 이전 72시간 동안 침습적인 시술을 받은 경우, 균혈증 발생 이전 30일 동안 투여받은 항생제 개수가 있었다. 초기 항생제 치료 72시간 후의 반응을 평가하였을 때, 완전 반응(complete response)은 대조군에서 더 많았고(13.3% vs. 40.3%, P<0.001), 치료 실패(treatment failure)는 환자군에서 더 많았다(33.3% vs. 11.9%, P<0.001). 7일 사망률은 환자군에서 20% (12/60), 대조군에서 15.6% (25/159)이었고(P=0.451), 30일 사망률은 환자군에서 30% (18/60), 대조군에서 24.5% (39/159)이었다(P=0.410). ESBL 생성 균주에 의한 균혈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최종 항생제 치료가 부적절했던 환자들을 제외하고 30일 사망률을 분석하였을 때 효과적인 항생제 치료의 지연은 사망률을 높이지 않았다(11.1% vs. 9.1%, P=1.000). 결론 : ESBL을 생성하는 K. pneumoniae에 의한 균혈증이 있는 환자에서 초기 항균제 치료 72시간 후의 치료 반응률은 낮지만 사망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원인균이 동정된 후 최종 치료 항생제의 선정이 적절하다면 초기에 효과적인 항생제 투여의 지연은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infection and treatment outcome of bloodstream infection due to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s(ESBL)-producing K. pneumoniae. Methods: ESBL production was evaluated by NCCLS guidelines and/or double-disk synergy test in K. pneumoniae blood isolates stored from January, 1998 to April, 2002. Sixty patients with bloodstream infection due to ESBL-producing K. pneumoniae (cas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159 matched control patients with bloodstream infection of non-ESBL-producing K. pneumoniae.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performed.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APACHE Ⅱ score, and the primary site of infection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 In multivariate analysis, significant independe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bloodstream infection due to ESBL-producing K. pneumoniae were urinary catheterization, invasive procedure within previous 72 hours, and the number of antibiotics administered within previous 30 days. In clinical response at 72 hours after initial antibiotic treatment, complete response rate was higher in the controls (13.3% vs. 40.3%, respectively, P<0.001), however, treatment failure rate was higher in the cases (33.3% vs. 11.9%, respectively, P<0.001). Overall 7-day mortality rates in the cases and the controls were was 20% (12/60) and 15.7% (25/159) (P=0.451), respectively, and overall 30-day mortality rates were 30% (18/60) and 24.5% (39/159), respectively (P=0.410). When the patients with bloodstream infection of ESBL-producing organism were evaluated and the patients who received inadequate definitive antibiotic treatment were excluded, delayed effective antibiotic treatment was found to be not associated with higher mortality. Conclusion : In patients infected with ESBL-producing K. pneumoniae bacteremia, clinical response rate at 72 hours after antimicrobial therapy was lower, but the increase of mortality rate was not significant. Delayed effective antibiotic treatment was not associated with higher mortality, when definitive appropriate antibiotic treatment was prescribed.

      • KCI등재

        입원정신질환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명주(Myoung-Ju Jo),전원희(Won-Hee Ju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본 연구는 입원정신질환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 대학병원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 186명이었다.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사고는 결혼상태, 진단명, 자살시도 과거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우울, 자아존중감, 영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 중 자살사고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결혼상태, 진단명, 자살시도 과거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우울과 영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자살사고에 대한 설명력은 52.4%이었다. 결론적으로, 입원정신질환자들의 자살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이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영성을 증진하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A total of 186 psychiatric in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18.0. Suicidal ide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diagnosis, and previous suicide attempt histor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depression, self-esteem, spirituality and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and spirituality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52.4% of suicidal ideation. As a result, intervention program for decreasing depression and improving spirituality is essential to decrease suicidal ide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