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에서 Cefepime 단독투여와 Ceftazidime 및 Tobramycin 병합투여의 효능비교

        정현욱,채제욱,강미라,양정채,문치숙,기현균,장현하,오원섭,김기현,백경란,이남용,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6

        목적 : 국내에서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악성 종양환자에게 경험적 항생제로 베타락탐계 항생제와 아미노배당체의 병합요법의 사용이 일반적이다. Cefepime은 광범위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어, 그람 음성균 뿐만 아니라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재료 및 방법: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악성 종양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공개, 비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를 무작위로 cefepime 단독요법군과 ceftazidime 및 tobramycin 병합요법군으로 나누어 투여하고 각각의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비교하였다. 구강및 인후 점막염이 있는 환자에서 분리된 녹색 연쇄알 구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 89명 중 CA 투여군이 48예(53.9%), CT 투여군이 41예(46.1%)이었다. 발열의 유형별로 MDI는 18예(20.2%), CDI는 9예(10.1%), UF는 62예(69.7%)로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CA 투여군과 CT 투여군의 임상적 호전률은 시험약 투여 후 2-4일째 각각 91.7%, 85.4% (P=0.31), 치료 종료 시 각각 91.7%, 100% (P=0.15)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 종료 시 CA 투여군과 CT 투여군의 세균학적 소실률은 모두 100%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78). 점막염이 있는 환자로부터 녹색 연쇄알 구균이 분리된 경우는 25예(28.1%)이었으며, 분리된 녹색 연쇄알 구균은 penicillin, ceftriaxone, cefepime, vancomycin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약제 관련 이상 반응의 발생 빈도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감소증이 있는 악성 종양환자의 경험적 항생제로서 cefepime 단독요법은 ceftazidime 및 아미노배당체의 병합요법만큼 효과적이고 안전하였다. Background : Broad-spectrum antibiotic therapy has been recommended as an empirical regimen in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Cefepime is a fourth generation cephalosporin with good activity against both gram-positive cocci and gram-negative bacilli. Materials and Methods :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efepime alone with ceftazidime plus tobramycin as empirical regimen for adult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a randomized, open label, comparative trial was performed. If the patient showed clinical improvent 72 hours, antibiotic could be changed to oral ciprofloxacin.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responses were determined at 72 hours and at the end of therapy.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ridans streptococci, swab cultures were obtained from throat in all enrolled patien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were performed by using microdilution method according to the NCCLS. Results : A total of 89 patients were enrolled. Forty-eight patients received cefepime alone (CA), and 41 patients received ceftazidime plus tobramycin (CT). Demographic and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P>0.05). The initial clinical success rate at day 2-4 in group CA (91.7%) was similar with that in CT group (85.4%) (P=0.31). At the end of therapy, the final clinical success rate in CA group (91.7%) was similar to that in CT group (100%) (P=0.15). In 18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defined infections, the eradication rate was 100% in both groups. Adverse events including liver dysfunction (21.3%) and renal dysfunction (2.2%), were similar in both groups (P=0.87). Viridans streptococci were isolated from the throat cultures in 25 cases, and all of thes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penicillin (MIC_(90) 0.12 ㎍/mL), cefepime (1 ㎍/mL), and vancomycin (0.12 ㎍/mL). Conclusion : Efficacy and safety of cefepime monotherapy was comparable to the combination of ceftazidime and tobramycin. It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empirical regimen for treating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 KCI등재

        충돌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구난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정창현(Chang-Hyun, Jung),남택근(Taek-Kun, Nam),정중식(Jung-Sik, Jeo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6 No.10

        세계 해상교통량의 증가와 고속선의 증가로 해양사고 발생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그 피해 규모도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2007년 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 2010년 천안함 사고에서와 같이 해양사고 발생시 초기대응의 미흡, 비상대응체계의 부재, 적절한 구조체계의 부족, 사고현장의 혼란 등으로 구난 활동이 지연됨으로써 막대한 인명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가져왔다. 사고 발생 후 적절한 피난처의 제공이나 신속한 사고처리는 사고선박으로부터 발생 가능한 잠재적인 환경오염 및 2차적인 피해로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최근 남해부근에서 발생한 선박 충돌사고의 구난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현재 국내 구난시스템에서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을 제시하였다. 그 주요 내용으로는 외국의 피난처 지정 사례와 IMO 관련 지침을 바탕으로 피난처 제공에 대한 절차 수립의 당위성을 제시하였으며, 사고선박을 항내 또는 피난처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고선박 예인지원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ISU 가입을 위한 국가적인 지원방안의 검토와 사고 발생시 국내업체가 구난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occurring the marine accident and become bigger the extent of damage with the growing number and high speed of ships. Also, there were tremendous loss of lives and properties in accidents of Hebei spirit in 2007 and Cheon Ahan war ship in 2010 with the insufficient salvage response and the lack of emergency response systems. When a ship has suffered an incident, the best way of preventing damage or pollution from its progressive deterioration would be to providing a place of refuge and to repair the damage rapidly. Therefore, it was examined the recent collision accident broken out near the Nam-Hae, and then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be improved of the domestic salvage systems. It requires the procedures of providing a place of refuge, and the towing support system which make the damaged ship moved to the safe area, and joining of the ISU.

      • KCI등재

        EFFECTS OF LIDOCAINE ON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IN RAT VIBRISSA/BARREL CORTEX

        남순현,최병주,김현정,이만기,김영진,이혜숙 大韓小兒齒科學會 199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3 No.3

        본 실험은 삼차신경 자극으로 발생되는 체성 감각 유발 전위에 대한 국소마취제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나트륨 통로차단을 통하여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리도카인를 뇌 피질에 국소 투여한 후 삼차신경의 체성 감각유발 전위의 강도및 지연시간을 측정하였다. 케타민으로 마취된 흰쥐의 대측성 구레나룻 자극후 뇌의 체성 감각영역으로부터 기록되는 유발전위를 분석한 결과, 리도카인을 뇌 피질에 국소 투여시 유발전위의 강도 및 지연시간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필드 전위의 형태는 이상성(양극성 및 음극성) 혹은 삼상성(양극성, 음극성 및 양극성)의 파형으로 나타났다. 필드 전위의 발생 부위는 뇌 피질의 중대뇌동맥의 상행지 상방영역이었다. 본 실험에서 나타난 초기 전위변동은 피질판 상층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탈분극 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후기 전위 변동은 피질판 상층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탈분극 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후기의 전위 변동은 동일 영역의 하층 신경세포에서 과분극 혹은 재분극이 발생한 결과라고 유추된다. 따라서 삼차신경계의 체성 감각 영역에서는 피질 상층및 하층의 과립성 피라미드 세포의 순차적인 활성화에 의하여 기본적인 신경 회로망이 형성되어 있으며 생리적 자극으로 유발되는 필드 전위는 이러한 신경망를 통하여 발생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조대술에 의한 하마종의 치료

        강동균,황경문,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1

        하마종은 구강저에 발생하는 점액 남종으로 주로 설하선과 관련된다. 즉, 하마종은 설하선 분비도관의 파열로 인하여 타액이 분비도관에서 빠져나와 주위의 연조직 내에 저류됨으로써 발생하는 가성 낭으로 정의 되며, 원인은 설하선 도관의 파열이나 폐색이다. 하마종의 임상소견은 청색의 투명한 종창이 구강저의 소대를 중심으로 편측으로 발생하며, 무통성이며, 촉진시 파동성을 나타낸다. 조직소견은 결합 조직 내 와동이 형성되지만, 낭 벽은 상피세포가 아닌 육아조직으로 구성되는 가성 낭을 관찰할 수 있다. 하마종의 첫 번째 치료법으로는 하마종의 내벽이 구강점막의 일부가 되도록 만들어 주는 조대술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특징적인 하마종의 임상소견을 보이는 환아에게 gauze-packing등을 동반한 조대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증례로써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여 보고하고자 한다. Ranula is a mucocele which occurs at the mouth floor and mostly related to sublingual gland. In other words ranula is definded as a pseudocyst which occurs as the secretion duct of sublingual gland is destructed there as the saliva from the the secretion duct flows out and retention in the soft tissue. The cause of ranula is destruction or obstruction of the duct. The clinical findings of ranula is a painless, unilateral bluish transparent swelling around the frenum and shows fluctuation when palpated. Histological finding represent a formation of cavity inside the connective tissue. but a pseudo-cyst can be seen which the wall of the cyst is composed of granulation tissue rather than epithelial cells. The first treatment of ranula can be considered as marsupialization. which induces the inner wall of the Ranula to be a part of oral mucosa. This case report shows a treatment of marsupialization with gauze packing in a young patient representing a clinical finding of characteristic ranula.

      • KCI등재
      • KCI등재

        Familial hypophosphatemia 환아의 증례보고 : A CASE REPORT

        남순현,조윤정,김은정,김현정,김영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1

        가족성 저인산혈증(famiial hypophosphatemia)은 근위 세뇨관의 인산 재흡수 기전의 결핍으로 혈청 칼슘 농도는 정상이나 혈청 인산 농도가 낮아져 저인산혈증을 나타내는 가장 흔한 유전성 구루병이다. 혈청 인산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소변으로의 인산 배출이 증가되어 있고 혈청 알칼리성 인산 분해 효소의 상승이 현저하다. 주로 반성 우성 유전이며 보통 남아에서 여아보다 임상 증상이 심하다. 이러한 가족성 저인산혈증 환자의 전신적 소견으로는 앞이마의 돌출, 사각형 머리, 작은 키, 휜 다리가 나타나며, 치과적 소견으로 치조백선과 치낭의 비박, 얇은 법랑질, 확장된 치수강과 근관, 치근단 농양과 치주 농양의 높은 발생률, 원인불명의 치근단 희박화 골염이 나타난다. 본 증례는 유치 충치 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아가 임상적으로 작은 키와 휜 다리, 방사선적으로 많이 확장된 치수강과 근관이 관찰되어 소아과에 의뢰한 바 가족성 저인산혈증으로 진단받아 그 임상적 소견과 치과적 치료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Familial hypophosphatemia is the most common hereditary rickets which occur hypophosphatemia as the calcium concentration in the blood serum is normal but the phosphate concentration in the blood serum decreases by dysfunction of renaltubular phosphorus reabsorption. In spite of the low concentration of phosphate in the blood serum discharge of phosphate by urine and alkaline phosphatase increases remarkably. It is a sex-linked and normally male show severe clinical symptoms than female. This kind of familial hypophosphatemia patients show frontal bossing. square head, short of status for general finding, and for dental finding, thinning of limina dura and dental follicle, thin and hypoplastic enamel, enlarged pulp chamber and canal, high occurance rate of periapical and periodontal abscess and unknown cause of rarefying osteitis. This case is to report about the clinical finging and dental treatment of a child patient, who came to the hospital for treatment of deciduous teeth caries but was refered to pediatrics because the child showed clinically short of status, bow-leg and radiographically enlarged pulp chamber and canal, there as diagnosed as familial hypophosphatemia.

      • KCI등재

        FGF-mediated FGFR signaling 이 두개봉합부의 초기형태발생 및 유지기전에 미치는 영향

        남순현,김영진,서경환,김현정,박미현,유현모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4

        두개봉합부의 조기융합으로 알려진 Craniosynostosis는 두개봉합부 주위 조직들 사이의 조화로운 상호 작용이 파괴되었을 때 야기될 수 있다. 흥미롭게도 FGF receptor들, 특히 FGFR2의 point mutation은 여러 가지 형태의 craniosynostosis 증후군과 연관되어 있어, FGFR가 두개봉합부를 포함한 두개골 성장 발달과정에 중요한 유전자임을 시사하고 있다. Mouse 두개봉합부의 초기형태발생시 FGFR 유전자들의 기능을 알아보기위해,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FGFR2(BEK) 및 골아세포분화의 초기표지자인 osteopontin이, 태생기(E15-18)에서 출생후(P1-P3)까지, 두개골의 시상봉합부에서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FGFR2(BEK)은 osteogenic front에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osteopontin은 parietal bone의 exo-, endocranial부위에서 발현되었으나, parietal bone의 성장가장자리인 osteogenic front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두개봉합부에서의 FGF-mediated FGFR signaling의 역할을 좀더 심도깊게 조사 하기위해 E15.5 mouse의 두개골을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였다. 흥미롭게도 osteogenic fronts 및 시상봉합부의 간엽조직 중앙에 FGF2 - soaked beads를 점적하여 36시간 기관배양한 결과, bead주위 조직들의 두께 및 세포수가 증가되었으며, osteogenic fronts 상에 FGF4 beads를 올려놓은 경우, 시상두개봉합부 중앙에 점적된 FGF4 beads나 BSA control beads에 비해, 골성장이 촉진되어 시상두개봉합부의 부분적인 소멸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FGFR2 beads는 osteopotin 및 Msxl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FGF - mediated FGFR signaling이 발육중인 두개골과 두개봉합부에서 세포의 증식과 분화의 균형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으며, 이 과정중 FGF signaling이 osteopontin 및 Msxl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므로써 막내골 성장 및 두개봉합부의 유지기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Craniosynostosis, the premature fusion of cranial sutures, presumably involves disturbance of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tissues within the cranial sutures. Interestingly, point mutaions in the genes encoding for the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s(FGFRs), especially FGFR2, cause various types of human craniosynostosis syndromes. To elucidate the function of these genes in the early morphogenesis of mouse cranial sutures, we first analyzed by in situ hybridization the expression of FGFR2(BEX) and osteopontin, an early marker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in the sagittal suture of calvaria during embryonic (E15-E18) and postnatal stage (P1 - P3). FGFR2(BEK) was intensely expressed in the osteogenic fronts, whose cells undergo differentiation into osteoprogenitor cells that ultimately lay down the bone matrix. Osteopontin was expressed throughout the parietal bones excluding the osteogenic fronts, the periphery of the parietal bones. To further examine the role of FGF-mediated FGFR signaling in cranial suture, we did in vitro experiments in E15.5 mouse calvarial explants. Interestingly, implantation of FGF2 soaked beads onto both the osteogenic fronts and mid-mesenchyme of sagittal suture after 36 hours organ culture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tissue thickness and cell number around FGF2 beads, moreover FGF4-soaked beads implanted onto the osteogenic fronts stimulated suture closure due to an accelerated bone growth, compared to FGF4 beads placed onto mid-mesenchyme of sagittal suture and BSA control beads. In addition FGF2 induced the ectopic expression of osteopontin and Msxl genes.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FGF-mediated FGFR signaling has a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cranial bone growth and maintenance of cranial suture, and suggest that FGF-mediated FGFR signaling is involved in regulating the balance between th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rough inducing the expression of osteopontin and Msxl genes.

      • 난소암의 조기진단

        남주현,목정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1993 울산의대학술지 Vol.2 No.2

        Ovarian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from gynecologic malignancies. In 1992,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cidence of ovarian cancer was 3% of all female malignancies in Korea. During the last decade, the incidence of cervical cancer which is the most common one of female malignancies was gradually declining, however that of ovarian cancer tended to be slightly increasing probably because of changes in socioeconomic status of this country. Despite of aggressive debulking operation and intensive platinum-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the overall survival rate for ovarian cancer has not changed appreciably over the last twenty years. One of the reasons for poor prognosis of ovarian cancer is that greater than 70% of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is unfortunately detected after the disease has already spreaded beyond the pelvis because of the lack of early symptoms. The cure rate for these patients with advanced ovarian cancer is only 15-20%, This low survival rate is in marked contrast to that of as high as 90% with stage I disease. Therefore, development of early detection method for ovarian cancer would be the best way to reduce the mortality rate of this disease. Ultrasonography and serum tumor marker, CA 125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for early detection of ovarian cancer. Recently, combined use of transvaginal color Doppler technique is studied to increase the specificity of the screening test. However, the value of these methods as a screening test is still debating. So far, unfortunately there is no conclusive method which has cost-effectiveness and perfec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ovarian cancer screening. Moreover, the optimal population and interval for ovarian cancer screening are not currently defined. In this review, recent data of studies using ultrasound and serum marker, CA 125 and debating issues for ovarian cancer screening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