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컨테이너 선사의 유사 항만군 분류에 관한 연구

        김율성,허윤수,신창훈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5

        선사들의 자가 터미널 확보, 전략적 제휴 및 M&A, 선박의 대형화는 항만으로 하여금 기항지 축소와 항만간 경쟁을 초래하게 하였다. 이러한 해운항만의 환경변화는 선사들이 항만평가 기준인 항만선호도, 성장가능성, 항만경쟁력 등에 대한 평가도 변하게 하고 있다. 선사들의 항만평가 기준의 변화는 항만이 추구해야 하는 정책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한 연구의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NVOA 분석과 Duncan 검증을 통해 선사들의 항만 기항선호도, 성장가능성, 항만경쟁력의 평가변수들을 대상으로 전세계 8개 주요항만(싱가포르항, 홍콩항, 상하이항, 부산항, 로테르담항, 함부르크항, 카오슝항, 도쿄항)을 유사 항만군으로 그룹핑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이는 평균차이 검증을 통해 선사들이 전세계 주요 항만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평가결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number of calling ports has been decreased and the degree of inter- and intra-port competition has been increased, which is caused by the market trends that shipping liners have and operate their own terminals, strategic M & A frequently occurs among shipping liners, and container vessel size is increasing. The trends also cause shipping liners to change the evaluation factors for decision to call a particular port such as port preference, potential for growth, port competitiveness, etc. Since the decision of liners greatly influences the policies for port and terminal development, it is worth having interest in the evaluation factors. Therefore, this work intended to evaluate 8 major ports (Port of Singapore, Hong Kong, Shanghai, Busan, Rotterdam, Kaoshung, and Tokyo) with regard to liners' evaluation factors (calling port preference, potential for growth and port competitiveness) and to classify ports by similarity of evaluation factors with the methodologies of ANOVA analysis and Duncan test. The result shows implications for liners' viewpoint to evaluate major ports in the world.

      • KCI등재

        동북아시아 주요 컨테이너항만의 효율성 비교연구

        이탁(Li Duo),곽규석(Kyu-Seok Kwak),남기찬(Ki-Chan Nam),안영모(Young-Mo An)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주요 컨테이너항만간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함으로써, 각 항만의 현재 효율성 수준을 파악하고, 효율적 항만이 되기 위한 주요 전략수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동북아시아 지역의 주요 16개 항만을 대상으로 개별항만 효율성 및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DEA기법을 사용했다. DEA모형 중 규모수익불변모형인 CCR모형과 규모수익가변모형인 BCC모형을 통해 항만 효율성을 분석하며, 또한 CCR모형에 의해 평가된 효율성을 BCC모형에 의해 평가된 효율성으로 나눈 비율인 규모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실증분석을 시행함에 있어서 투입요소로는 선석 수, 안벽 길이, 수심, 부두 총면적, C/C 대수를 이용하고, 산출요소로는 컨테이너 물동량을 이용했다. 연구 결과, 중국의 경우, 대부분의 항만이 효율적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과 일본의 경우 대체적으로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항과 상해항, 롄윈강항과 인천항, 다롄항과 광양항이 투입요소가 유사하지만 산출요소인 컨테이너 물동량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ajor strategy to become effective for each port in Northeast Asia by analyz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each port to determine the current level of efficiency, efficient harbors plan. Individual port of the major 16 ports in Northeast Asia was analysed targeting efficiency and relative efficiency. In this study, DEA technique was used. Of the DEA model, CCR (constant returns to scale) models and BCC (variable return to scale)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ort. Then the efficiency measured through CCR model is again compared with the efficiency measured by the BCC model. In this way, the empirical analysis includes the input factors of the operating ports such as the number of berths, wharf, depth, total area of the pier, C / C numbers and output elements includes the container throughpu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most of the ports in China is efficient whereas those in Korea and Japan are relatively inefficient. There are some pairs of ports which has the similar input factors, like Busan port and Shanghai port, Lianyungang port and Incheon port, Dalian port and Gwangyang port, but the container throughput of them has a huge difference.

      • 항만 폐기물 관리시스템 확보방안 연구

        하신영, 승기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춘계

        국제해사기구(IMO)의 협약 제·개정에 따른 규정 강화에도 불구하고 협약 당사국의 불성실한 의무 이행으로 선박의 전손 및 해양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IMO는 2005년부터 자발적 회원국감사제도를 시범 운영하였으며 2016년 1월부터 감사제도를 강제화하였다. IMO는 2016년부터 총 174개 회원국을 7년 주기로 감사하기 위해 매년 25개국씩 회원국감사(IMSAS)를 실시하고 있다. IMSAS는 IMO 협약이행코드(Ⅲ CODE)를 중심으로 주요 협약에 따라 공통사항, 기국, 연안국, 항만국 총 4개 분야로 구분하여 협약이행 실태를 감사하는 제도이다. 이중 항만국의 이행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폐기물 수용시설의 운영, 항만국 통제 시행, 연료 공급업체의 등록관리 등을 확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국 의무이행 요건 중 폐기물 수용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해외 선진 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선박배출 폐기물 처리실태를 파악하였으며 항만 폐기물 관리시스템 확보를 위해 국내 법제도 개선과 항만 폐기물 수용시설 확보, 폐기물 처리 지침 등이 수립되어야 한다.

      • 고객 세분화에 따른 항만 선호도 비교분석

        김율성(Yul Sung Kim),허윤수(Yun Su Hur)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

        본 연구에서는 항만의 주요고객인 선사를 대상으로, 국외선사와 국내선사로 세분화하여 속성의 중요도와 항만 선호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컨조인트 분석 결과 국내선사와 국외선사 간에 항만선호도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기항지와 환적항에서 동시에 나타났다. 국외선사들은 상하이항을 부산항보다 환적항의 선호도를 높이 평가했지만, 국내선사들은 부산항을 상하이항보다 환적항의 선호도를 높게 평가했다. 또한, 기항지 선호도 비교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외 선사에 따라 항만 선호도가 다르기 때문에 집단별로 구분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타항만에 비해 경쟁우위에 있는 부산항의 선호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타켓 마케팅이 필요하며, 주요 타켓은 항만의 주요 고객인 선사임을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estimated a port preference and attribute importance an objects for shippers as main customer of port. In the Conjoint analysis result, it is difference between domestic shippers and foreign shippers. The difference of port preference have a similar tendency both of import/export port and transshipment port. Foreign shippers estimated that they prefer Shanghai Port rather then Busan Port in transshipment port, but domestic shippers prefer to Busan Port, and to preference of import/export port is a same result. This result mean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segmentary because a port preferenc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domestic/foreign shippers. To maintain the preference of Busan Port, it is necessary must have to target marketing.

      • KCI등재

        컨조인트분석을 활용한 신국제여객터미널 최적 항만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인천항을 중심으로

        유성재(Sung-Jai Yoo),차영두(oung-Doo Cha),여기태(Gi-Tae Yeo)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는 신규로 건설되는 국제여객터미널의 최적 항만운영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하여 최적 항만운영이 될 수 있는 대안을 분석하였다. 또한 사용자 관점과 실사업 주관입장인 인천항만공사와 인식차이 비교분석을 실시한다. 사용자 컨조인트 분석결과 ‘임대료 산정방식’이 신국제여객터미널 항만운영 방안에서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자동화 구축, 부지면적 순으로 분석되었다. 수준별 효용결과를 살펴보면 임대료 산정방식에서는 ‘국유재산법 적용방식’, 자동화구축에서는 ‘야드장 비의 자동화’, 부지면적에서는 ‘61,000평∼66,000평’순으로 효용성을 보였다. 신국제여객터미널 실사업 주관자인 인천항만공사의 경우, 사용자 결과와 마찬가지로 중요도에서 ‘임대료 산정방식’이 신국제여객터미널 항만운영방안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동화구 축, 부지면적 순으로 도출되었다. 각 요인의 수준별 효용결과로는 임대료산정방식에서는 ‘투자비 보전방식’, 자동화구축에서는 ‘야드장치장의 자동화’, 부지면적에서는 ‘43000평∼48000평’ 순으로 효용치를 보였다. This study uses Conjoint Analysis to study optimal port operations at the newly buil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IPT) at Inchon Port, Korea. The perceptions of users, operators, and the Incheon Port Authority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user Conjoint Analysis showed that rent calculation method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NIPT operation plan, followed by establishing automation and the size of the site area. For the Incheon Port Authority and operators, the rent calculation method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NIPT operation plans. It was followed by establishing automation and the site area. Utility results showed the “investment cost preservation method” to have the highest rent calculation utility, “yard automation” as the priority, and “43,000 pyeong–48,000 pyeong” as the optimal site area.

      • KCI등재

        실습선을 이용한 선박 조우형태별 위험도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실습 교육자료 개발

        박영수,이윤석,Park, Young-Soo,Lee, Yun-Sok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2 No.1

        해양계열 대학에서는 STCW협약에 의거하여 항해계열 실습생은 1년 동안 승선실습을 대학 실습선 및 해운선사를 통한 위탁실습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해양대학교 및 목포해양대학교는 실습 교육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학기별 약 4${\sim}$5회의 연안 항해 실습과 1회 정도의 원양항해 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실습교육 프로그램에는 초급항해사에게 필요한 위치결정능력, 해도작업능력, 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을 포함한 선박운항능력, 화물관리능력 등과 같이 많은 내용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초급항해사에게 항해 중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충돌 회피를 위한 선박조종 실습은 안전운항에 대한 법적 책임 및 타선박과의 불규칙한 조우로 인해 직접적인 충돌회피 조종 실습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타 선박과의 조우하는 상황 자체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 한나라호의 원양항해 중 타선박과의 조우형태를 조사하여 해양계열 대학 실습생 및 초급 항해사에게 실제 해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우상황별 위험도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충돌 회피를 위한 효율적인 판단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실습교육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추후에는 이러한 자료를 선박조종시뮬레이터 적용하여 임의의 조우 상황 하에서 안전한 선박조종이 가능하도록 교육 훈련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실습 교육에 이바지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maritime universities, cadets of deck part should practice on board training using training ships of university or merchant vessels of company for 1 year according to STCW Convention. For training period, trainees are educated many education items as to positioning ability, chart work ability, vessel operation ability and cargo operation ability etc. Among many abilities, vessel avoiding ability which is demanded as a basic ability for deck officer can't be gained easily, because avoiding maneuver of ship controlled by cadets is not allowable regally and encounter situations occur randomly. This paper investigated CPA to the various encounter types with other vessels during the ocean going navigation of T.S Hannara. We analysis danger degree per each encounter type, and proposed a basic material of efficient training education about proper look-out and avoiding maneuver.

      • KCI등재

        부산항 항만안전 주요 이슈 동향에 관한 연구

        이정민,하도연,김주혜 한국항해항만학회 202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8 No.1

        글로벌 공급망에 예측 불가능한 위험성이 확산되면서 세계의존도가 높은 항만물류산업의 위험부담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적인 연구로 국내 항만의 안전성에 위험을 주는 다양한 이슈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항의 항만안전과 관련된 뉴스 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LDA토픽모델링 분석과 시계열 선형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부산항 항만안전 주요 이슈들의 변화와 그 동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난 30년동안 부산항 항만안전과 관련된 주요 이슈는 총 9개이며 이들을 5년 주기의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지난 30년 동안 해상안전 이슈, 수입화물 검역 안전 이슈, 노조파업 관련 이슈, 자연재해 관련 이슈가 지속해서 등장했다. 부산항 항만안전 주요 이슈는 주로 예측 불가능한 성격이 큰 사회환경적 유형과 자연현상적 유형으로 글로벌 불확실성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분석 결과로 도출된 항만안전 주요 이슈들을 위주로 부산항 항만안전 강화를 위한 정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예측 불가능한 위험상황을 대비한 부산항 항만안전 회복탄력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사회적 여건에 맞춰 항만안전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선진적인 연구 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As global supply chain risks proliferate unpredictably, the high interdependence of port and logistics industry intensifies the risk burden. This study conducted fundamental research to explore diverse safety issues in domestic ports. Utilizing news article data about Busan Port, we employed LDA topic modeling and time-series linear regression to understand key safety trends. Over the past 30 years, Busan Port faced nine major safety issues—maritime safety, import cargo inspection, labor strikes, and natural disasters emerged cyclically. Major port safety issues in Busan Port are primarily characterized by an unpredictable nature, falling under socio-environmental and natural phenomena types, indicating a significant impact of global uncertainty. Therefore, systematic policies need to be formulated based on identified port safety issues to enhance port safety in Busan Port.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port safety for unpredictable risk situations. In conclusion, advanced research activities are necessary to promote port safety enhancement in response to dynamically changing social conditions.

      • KCI등재

        국내 항만배후단지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

        심민섭,하도연,김율성 한국항해항만학회 202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8 No.1

        Port distripark can activate more functions. It is adjacent to a port. However, domestic port distripark is still limited to support port because of the shortage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government policy, and investmen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of domestic port distripark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by conducting DEA analysis and productivity analysis based on internal data of each port distripark. As a result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west port distripark of Gwangwang and the northern port distripark of Incheon were efficient in the warehouse industry while the northern port distripark of Incheon and the Ulsan 1 port distripark were efficien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addition, in the case of foreign investment productivity, the west side port distripark of Gwangyang and the stage 1 port distripark of Pyeongtaek Dangji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others. In the case of facility investment productivity, the port distripark on the west side of Gwangyang and the north side of Incheon had the highest productivity. Lastly, in the case of labor productivity, the north side of Incheon and Busan ungdong port distripark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review handling item when picking up enterprises in the port distripark for enhancing efficiency, foreign investment, and facility investment. The number of employees is not directly affecting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항만배후단지는 항만과 인접한 배후공간으로 항만의 기능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하지만, 국내 항만배후단지는 단순한 항만물류지원기능에 국한되어 있으며 인프라 시설, 정책 및 지원, 투자 미흡 등으로 인하여 항만배후단지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항만배후단지 업체별 내부자료를 바탕으로 DEA 분석 및 생산성 분석을 진행하여 국내 항만배후단지의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DEA 분석결과 창고업의 경우 광양항 서측, 인천항 북항 항만배후단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의 경우 인천항 북항, 울산항 1공구 항만배후단지가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투자규모별 생산성의 경우 광양항 서측, 평택당진항 1단계 항만배후단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 투자규모별 생산성은 광양항 서측, 인천항 북항 항만배후단지가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노동생산성은 인천항 북항, 부산항 웅동 항만배후단지가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선정 시 취급 품목이 효율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며, 외국인 투자규모, 시설 투자규모, 종업원 수가 항만배후단지의 생산성 향상으로 직결되고 있지 않은 상황을 나타낸다.

      • 항만 전 항로 위험도 평가를 위한 해상교통안전평가모델의 개발

        황수진,임남균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추계

        본 연구에서는 항만 전 항로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해상교통안전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항만을 일정간격으로 나누어, 통항 선박의 분포를 바탕으로 구간별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오사카항만 전 항로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계산 결과에 따라, 오사카 항만 전 항로에 해당하는 위험도를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험지도를 제시하였다. 위험 지도를 실시간 표시함으로써, 항만 내 항로 및 특정 구역의 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VTS 관제 센터와 같은 항만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새롭게 설계될 항로의 위험도 계산 등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디지털 전환이 영향을 미치는 항만 지속가능성 영역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장명희(Myung-Hee Ch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25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5 No.5

        항만의 디지털 전환은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항만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이고 고객과 상용자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동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환경적인 측면에서 항만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고 스마트 시티의 개념과 통합되도록 설계되어야 ‥‥(중략)‥‥.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항만의 디지털 전환을 통하여 달성되고 있는 항만의 지속가능한 영역을 구분하여 영역별 요소를 파악하여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위한 모형을 구축 ‥‥(중략)‥‥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ports is to provide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customers and the demands of port services using new digital technologies, and to predict the potential of ports in terms of the environment, and to provide integration with the concept of smart c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ivided the sustainable areas of ports that are being achieved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of ports, identified the elements of each area, and constructed a model for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to derive the most influential priority ‥‥(omit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