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국에서 분리된 전염성 조혈괴저바이러스의 M 단백질의 유전자 클로닝과 염기서열 분석

        박정민,김현주,문창훈,조화자,차승주,윤원준,박정재,이은희,박명애,손상규,박정우,Park, Jeong-Min,Kim, Hyun-Ju,Mun, Chang-Hoon,Cho, Wha-Ja,Cha, Seung-Ju,Yoon, Won-Joon,Park, Jeoug-Jae,Lee, Eun-Hee,Park, Myoung-Ae,Sohn, Sang-Gyu,Park, Jeon 한국미생물학회 1998 미생물학회지 Vol.34 No.1

        한국에서 분리된 전염성 조혈괴저바이러스(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인 IHNV-PRT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IHNV-PRT의 matrix 단백질인 M1 및 M2를 암호화하고 있는 cDNA를 클로닝하여 이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M1은 693 bp 크기의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하였으며 이로부터 23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25.9 kDa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이 합성될 수 있다. M2는 588 bp 크기의 open reading frame을 지니고 있으며 19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21.9 kDa의 분자량을 지닌 단백질이 합성될 수 있다. IHNV-PRT의 M1과 M2의 아미노산 서열을 외국에서 분리된 IHNV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M1은 92-93%, M2는 97%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IHNV의 M 단백질 유전자들은 IHNV의 strain에 관계없이 매우 보존되어 있음을 나타내준다.

      • SCIESCOPUSKCI등재

        직접 검화법을 이용한 조제분유의 콜레스테롤 분석법 개발

        김진만,박정민,윤태형,임동길,윤창용,정자영,정인식,곽병만,안장혁,Kim, Jin-Man,Park, Jung-Min,Yoon, Tae-Hyung,Leem, Dong-Gil,Yoon, Chang-Yong,Jeong, Ja-Young,Jeong, In-Seek,Kwak, Byung-Man,Ahn, Jang-Hyu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6

        An improved cholesterol analysis method was developed for powdered infant formula by gas chromatographic separation after liquid-liquid extraction and partition. In the official Korea Food Standard method for cholesterol analysis, the water phase and solvent phase were not well separated in the case of emulsified foods such as powdered infant formulas and baby foods. For the rapid and simple sample preparation method, an optimized direct saponification condition was established for heating temperature, heating time, and KOH concentration. From the results, the optimum conditions were as follows: heating temperature $90^{\circ}C$, heating time 60 min, and 16 M KOH 10 mL for a 2 g infant formula sample; improved separation condition for gas chromatography was as follows: the initial oven condition was $250^{\circ}C$ for 25 min, the oven temperature was increased to $290^{\circ}C$ by $10^{\circ}C$/min ratio, and finally the oven temperature remained at $290^{\circ}C$for 9 min. The developed method could be implemented for the study of cholesterol, providing the advantages of reduced inspection time and cost in emulsified foods such as infant formula.

      • KCI등재

        양이온 K<sup>+</sup>, Na<sup>+</sup>, Mg<sup>2+</sup>, Ca<sup>2+</sup>, Al<sup>3+</sup> 형태로 개질한 제올라이트에 의한 리튬 이온의 흡착 특성

        박정민,감상규,이민규,Park, Jeong-Min,Kam, Sang-Kyu,Lee, Min-Gyu 한국환경과학회 201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2 No.12

        The adsorption of lithium ion onto zeolite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contact time, initial concentration, cation forms, pH, and adsorption isotherms by employing batch adsorption experiment. The zeolite was converted into different forms such $K^+$, $Na^+$, $Mg^{2+}$, $Ca^{2+}$, and $Al^{3+}$. The zeolite had the higher adsorption capacity of lithium ion in $K^+$ form followed by $Na^+$, $Ca^{2+}$, $Mg^{2+}$, and $Al^{3+}$ forms, which was in accordance with their elctronegativities. The lithium ion adsorption was explained using the Langmuir, Freundlich, and Dubinin-Radushkevich adsorption isotherms and kinetic models. Adsorption rate of lithium ion by zeolite modified in $K^+$ form was controlled by pseudo-second-order and particle diffusion kinetic models.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obtained from Langmuir isotherm was 17.0 mg/g for zeolite modified in $K^+$ form. The solution pH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lithium ions adsorption capacity and best results were obtained at pH 5-10.

      • 복소고유치해석에서 모드기여도 인자를 이용한 저주파 스퀼소음 저감

        박정민,김현수,윤문영,부광석,김흥섭,Park, Jeong Min,Kim, Hyun Soo,Yoon, Moon Young,Boo, Kwang Seok,Kim, Heung Seob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37 No.3

        본 논문에서는 상용 프로그램 ABAQUS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불안정 모드를 알아보기 위한 복소고유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전체 시스템의 불안정 복소 고유모드에서 가장 진동에너지가 큰 부품을 알아보기 위한 기여도해석과 전체 복소 고유모드와 해당 부품의 부품모드간의 기여도해석을 통해 모드 연성의 가능성이 높은 모드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스크 로터의 2차 굽힘모드와 토크멤버의 3차 축방향 횡모드의 연성에 의해 1.4kHz의 불안정 모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드 연성을 차단하기 위해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토크멤버에서 해당모드의 주파수 변화에 대한 감도 해석을 실시하였다. 감도 해석 결과를 토대로 질량 가중에 의한 구조물 동특성 변경을 수행한 결과 저주파 영역에서 불안정 모드가 발생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저감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 complex eigenvalue analysis is implemented to verify the unstable mode of a brake system using ABAQUS software. The component participation factors and component modal participation factors are used to analyze the total contributions from each component and each component mode to a particular unstable system mode. This study shows that the 1.4-kHz unstable system mode comes from mode coupling between the 2nd nodal diametric mode and 3rd lateral axial mode (LAM) in the baseline model. A sensitivity analysis with a linking index is performed to prevent the mode coupling of the component modes. This linking index analysis shows the optimum mass loading position to move away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3rd LAM, which contributes to the unstable mode. Finally, a complex eigenvalue analysis is implemented with mass loading in the tie bar position, and no unstable system mode is generated in the low-frequency range (below 2 kHz).

      • SCIESCOPUSKCI등재

        제거된 ePTFE 막의 주사전자현미경적 소견과 치주임상상태의 비교연구

        박정민,최병선,이석초,김형섭,Park, Jeong-Min,Choi, Byung-Son,Lee, Seok-Cho,Kim, Hyung-Seop 대한치주과학회 199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6 No.1

        Ten intrabony defects in 10 patients were treated by flap surgery including root surface debridement and placement of an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ePTFE) membrane. The membranes were removed after 4-6 week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trived ePTFE membrane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for bacterial contamination and adherent connective tissue elements, and to compare it with clinical conditions. The cervical portion of the membrane, which in most cases had become partially exposed to the oral cavity, had a bacterial deposit. Small bacterial colonies and a scatter of single cells in some instances extended into the apical portion of the membrane. Fibroblast-like cells, erythrocytes and fibrous structures were seen in the apical portion of the membrane. Outer surface of membrane tends to more bacterial contamination than inner surface(p<0.01), and upper portions more than lower portions(P<0.01). Comparison of ultrastructural findings and clinical conditions revealed that extent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correlated with gingival inflammation and extent of membrane exposure, but i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gingival inflammation and membrane exposure affect periodontal regeneration by the use of ePTFE membrane.

      • 물체 정합을 위한 특징점 추출 및 물체 표현에 관한 연구

        박정민,손광훈,허영,Park, Jeong-Min,Sohn, Kwang-Hoon,Huh, Young 대한전자공학회 1998 전자공학회논문지SC (System and control) Vol.s35 No.6

        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물체의 경계선에서 가장 적절한 특징들을 추출해 내어 인식에 사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경계선 위의 각 화소에서 주변 화소들과의 관계를 이용해 코너점, 접점, 변곡점을 추출하여 물체의 특징점으로 사용하였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중요한 특징점의 하나인 코너점은 곡률 함수상에서 찾고, 또한 물체가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코너점만으로 물체를 표현하기에 부족하므로 곡률 함수를 미디안 필터링하여 양자화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접점과 변곡점을 찾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세 가지 특징점을 물체 정합의 요소로 사용하여 물체를 정합하였다. 정합 방법으로는 Discrete Hopfield Neural Network을 사용하였으며, 성능 분석 결과 곡선이 섞인 물체에서 코너점만으로 물체를 정합한 경우보다 특징점으로 물체를 정합한 경우 우수한 정합 성능을 나타내었다. An efficient approach to recognize occluded objects is to detect a number of essential features on the boundary of the unknown shape. The salient points including corner points, tangential points and inflection points are detected by the relation of neighboring pixels of each pixel on the boundaries. Corner points are usually detected in the curvature function and tangential points and inflection points are detected by median filtering the curvature function to avoid the effect of quantization noise as corner points is not sufficient to represent an object with lines and arcs. Then, these salient points are used as features for object matching. Discrete Hopfield Neural Network is used for object matching.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atching result using salient points is better than those of using corner points only when an object consists of lines and arcs.

      • KCI등재

        스펙트럼 겹침이 있는 DS/SFH-SSMA 시스템의 다중톤 영향 분석

        박정민,유호진,김기근,유흥균,Park, Jeong-Min,Ryu, Ho-Jin,Kim, Kie-Keun,Ryu, Heung-Gyoon 한국전자파학회 200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2 No.3

        MAI와 다중톤 간섭채널에 BPSK DS/SFH-SSMA의 스펙트럼 겹침이 있는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연구한다. DS 확산된 신호의 스펙트럼이 겹쳐지는 SSMA 시스템을 고려한다. 겹침의 증가는 ACI와 처리 이득을 동시에 증가시키므로 시스템의 BER 성능을 최적화 시키는 겹침이 있게 된다. 다중톤 간섭이 존재하는 채널에서 스펙트럼 겹침 방식의 비트 에러 확률식을 유도하였다. 수치 분석과 시뮬레이션에 의한 분석 결과, 최적의 겹침을 사용한 시스템의 일반적인 시스템보다 BER 성능이 크게 개선된다.

      • KCI등재SCOPUS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의 암석 열물성 특성 연구

        박정민,김형찬,이영민,송무영,Park, Jeong-Min,Kim, Hyoung-Chan,Lee, Young-Min,Song, Moo-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6

        We made 712 thermal property measurements on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 samples from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ung-do, Korea. The average thermal conductivities of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are 3.58W/m-K, 4.16W/m-K and 4.53W/m-K, respectively. Thermal conductivity of granite and gneiss are 2.13-5.87W/m-K and 2.26-6.67W/m-K, with average values of 3.57W/m-K and 3.945W/m-K, respectively. The average of thermal diffusivities are $1.43mm^2/sec\;and\;1.55mm^2/sec$, respectively; the average of specific heat values are 0.914J/gK, 0.912J/gK for granite and gneiss samples, respectivel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a rock type generally have a wide range because it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dominant mineral phase, micro-structure, anisotropy, and so on.

      • KCI등재SCOPUS

        한국의 암석 열물성

        박정민,김형찬,이영민,심병완,송무영,Park, Jeong-Min,Kim, Hyoung-Chan,Lee, Young-Min,Shim, Byoung-Ohan,Song, Moo-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9 자원환경지질 Vol.42 No.6

        본 연구에서는 남한일대에서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의 총 2511개의 암석을 채취하여 열물성을 측정하고 각 암종별로 일반적인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의 평균 열전도도는 각각 3.10W/m-K, 3.76W/m-K, 3.54W/m-K 이다. 화성암의 암석 분류에 따라 심성암, 반심성암, 화산암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평균 열전도도는 3.16 W/m-K, 3.26 W/m-K, 2.77 W/m-K이다. 퇴적암에서 쇄설성 퇴적암 보다 비쇄설성 퇴적암의 열전도도가 비교적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측정된 암석의 시대별 열전도도는 고생대가 중생대 보다 높은 나타나며, 이는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구성 광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암석의 공극률은 열전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퇴적암의 경우 공극률이 증가할 수록 열전도도는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암석의 열전도도와 열확산율은 선형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의 선형 회귀분석 상관계수는 각각 0.775, 0.855 0.876로 높은 값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