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북한 교과서의 ‘한국전쟁’ 관련 내용 비교 연구

        차승주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1 북한학연구 Vol.7 No.2

        Current South Korean textbooks call the “Korean War” the “June 25War”(the day of its initiation in 1950). On the contrary, in North Korea, the expression “Fatherland Liberation War” is used. The “Korean War” is also referred to as the “Joseon War” in Japan, “War to Resist USA aggression and Aid Korea”, and “Korean War”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All South Korean textbooks today make it clear that the “June 25 War”was started by North Korea’s invasion and stress that the war continued for no fewer than 3 years, becoming an international war with the participation of United Nations forces and the intervention of mainland Chinese troops. However, explanations on various aspects of the historical incident including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during the war and international relations surrounding the armistice agreement continue to be insufficient.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North Korean textbooks, the American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cause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Korean War,” invading North Korea. Thanks to the wise leadership of Kim Il-sung, however, the latter successfully ousted the imperialistic invader troops and triumphed in the “Father land Liberation War.” In addition, these textbooks provide explanations that are more detailed than those in South Korean textbooks. North and South Koreans hitherto have promoted explanations of the “Korean War” strictly based on an inflexible logic of good and evil, shifting all blame for the war to the other party. Unless such disparities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view of the “Korean War” are bridged, genuine peace and reunification are remote indeed. What must be done, then, is to teach children that war must be avoided as much as possible. By clearly analyzing what happened during the “Korean War” and thus shedding light on the incident and endeavoring to teach the outcome objectively to youngsters in North and South Korea alike, it will be possible to set the foundation for the prevention of such tragedy from recurring. 남한의 현행 교과서는 ‘한국전쟁’을 ‘6·25전쟁’이라 부르고 있다. 반면 북한에서는 ‘조국해방전쟁’이라는 표현을 쓴다. ‘한국전쟁’은 일본에서는 ‘조선전쟁’, 중국에서는 ‘항미원조전쟁’, 영미권에서는 ‘Korean War’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남한의 모든 교과서는 ‘6·25전쟁’이 북한의 남침에 의한 것임을 명확히하고 있으며 유엔군 참전과 중국군 개입 등으로 전쟁이 국제전의 양상을 띠고 3년이란 장기간 계속된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전쟁 시기의 정치및 사회 상황, 정전협정을 둘러싼 국제 관계 등에 대한 설명은 미흡한 실정이다. 북한은 한반도의 분단과 ‘한국전쟁’은 미국과 남한정부에 의한 것이며 이들이침략전쟁을 일으켰으나 김일성의 현명한 영도로 제국주의 침략군을 성공적으로막아내고 ‘조국해방전쟁’에서 승리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전쟁의 전개과정을크게 ‘제1계단’에서 ‘제4계단’으로 나누어 남한에 비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남북한 정부는 지금까지 ‘한국전쟁’에 대하여 철저하게 흑백논리에 따른 설명, 즉전쟁의 모든 책임을 상대방에게 떠넘기는 설명을 조장해 왔다. ‘한국전쟁’에 관한 남북한의 인식차가 좁혀지지 않는 한 진정한 평화와 통일의 길은 멀 수밖에 없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전쟁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는 점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는것이다. ‘한국전쟁’ 시기에 있었던 일들을 명확하게 분석함으로써 실체를 밝혀 나가고, 그러한 내용을 남북한의 청소년들에게 객관적으로 가르치려는 노력이 그러한 비극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Genotupe distribution of infectious haematopoietic necrosis virus(IHNV) in Korea.

        차승주,정요한,이현영,정지윤,조희정,박미선 한국어병학회 2012 한국어병학회지 Vol.25 No.3

        Infectious ha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 is an important fish pathogen that infects both wild and cultured salmonids. Since the first isolation of IHNV from rainbow trout and masu salmon in 1991, a series of IHN disease outbreak has been reported in Korea. In 2011, we isolated two IHNV isolates from rainbow trout cultured in Korea. The full open-reading frame (ORF) encoding the glycoprotein (G) of them were sequenced and the amino acid sequences were phylogenetically analyze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 revealed that both IHNV isolates were grouped into an Asian genogroup containing Korean IHNV isolates and Japanese IHNV isolates. However, based on their sequence variation, they were divided into different subgroup. While one isolate was similar to other Korean isolates, the other isolate showed a high level of similarity with Japanese isolate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influx of new IHNV strain into Korea.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평화・통일교육 정책 평가: 서울 및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차승주,김훈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direction,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cities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 the Seoul and the border areas (Gyeonggi, Incheon, Gangwon) that have been seen as an active interest i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thanks to geographical specificity, and propose future policy directions based on them.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analyze and evaluate the basic plan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2019-2020 by the four cities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s a result, the four cities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plans for unification education did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government’s plans and policy directions, and all had ordinances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However, Seoul focuses on peace educa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while Incheon aims to become a ‘Hub city Incheon’ of inter-Korean education exchange hub of peace and coexistence. Gyeonggi not only has peace education been adopted as a major policy since 2011, but also has jointly developed and distributed the textbook in 2015. Gangwon is trying to implement policies tha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citing ‘glocal peace education.’ 본 논문은 지리적 특수성에 힘입어 다른 지역에 비하여 평화・통일교육에 적극적인 관심으로 보여 온 서울과 접경지역(경기, 인천, 강원) 시・도교육청의 통일교육 방향과 목표,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 방향을 제언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4개 시・도교육청의 2019-2020년 통일교육 기본 계획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문헌연구 방법에 기초하였다. 결과적으로 4개 시・도교육청의 통일교육 관련 계획은 정부의 계획과 정책 방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모두 통일교육 관련 조례를 갖추고 있었다. 다만 서울은 다른 지역에 비해 평화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인천은 ‘평화공존의 남북 교육교류 허브(Hub) 도시 인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기는 2011년부터 평화교육을 주요 정책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2015년에 서울・인천・강원 교육청과 함께 교과서를 공동 개발하기도 했다. 강원은 ‘글로컬 평화교육’을 내세우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정책을 추진하려 하고 있다.

      • KCI등재

        '통일국민협약'이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와 대안적 사회통일교육 방안 모색

        차승주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0 OUGHTOPIA Vol.34 No.4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s striving to meet various demands for unification education and resolve conflicts among the nations through unification education and North Korea policy through the spread of unification consensus and the promotion of national unification agreement. In particular, civil society is the main pillar of the 'National Unification Contract', which means the promises of the people on the issue of unification or the direction and principles of the unification policy drawn through social consensus. '. It is expected that the 'social dialogue' method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unification education by cultivating a mature discussion culture and providing a reasonably resolved conflict. Through this process, the goals and directions of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rearranged to create 70 years of integration beyond 70 years of divis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model in villages and everyday life can be expected. Through the linkage between the National Unification Contract and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participants will be able to foster the values and capabilities necessary to escape the socialization of division and to live in an era of peace and unification. By seeing it, the government can participate and play a role in policy making and enforcement, as well as in the practice of unification and peace in their daily lives. It is through this process that more people will have the "values and attitudes necessary to achieve unification" 문재인 정부는 국정과제로 제시된 ‘통일공감대 확산과 통일국민협약 추진’을 통해 통일교육에 대한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통일·대북정책을 둘러싼 국민들의 갈등을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통일문제에 관한 국민의 약속 또는 국민들이 사회적 합의를 통해 도출한 통일정책의 방향과 원칙을 의미하는 ‘통일국민협약’의 도출을 위해 시민사회가 주축이 되어 ‘평화와 통일을 위한 사회적 대화’를 실시하고 있다. ‘사회적 대화’ 방식은 성숙한 토론문화를 배양하고,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통일교육의 대안적 방안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단 70년을 넘어 통합 70년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통일교육의 목표와 방향 등이 재정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마을·일상에서의 평화·통일교육 모델의 개발과 실시도 기대해 볼 수 있다. ‘통일국민협약’과 사회통일교육의 연계를 통해 참여자들은 분단의 사회화에서 벗어나 평화와 통일의 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가치와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며, 통일·대북정책을 둘러싼 문제에 대해 숙의해 봄으로써 정부의 정책 결정과 집행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신의 일상에서 통일과 평화를 위한 실천에 참여할 수도 있다. 바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더 많은 국민들이 통일교육이 목표로 하는 “통일을 이룩하는데 필요한 가치관과 태도”를 갖추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종교의 평화사상이 한반도 평화교육에 주는 함의

        차승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종교의 평화사상과 종교계의 평화교육 실천 사례들을 통해 ‘한반도 평화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국내외의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한반도 평화교육’을 위한 사상・문화적 기초를 한반도, 특히 남한 사회 구성원들의 사고와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친 유교, 불교,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전통 속에서 찾아본다. 또한 실제로 갈등과 분쟁으로 고통받고 있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평화교육을 통해 평화의 문화를 만들어내고 평화를 정착시키고 있는 종교계의 노력을 살펴본다. 결론 및 제언: ‘한반도 평화교육’의 목표로 정의와 사랑을, 핵심 내용으로 용서와 화해를, 방법으로는 대화와 연대를 제시한다. 이러한 방향에서 평화교육을 실시한다면 사회 구성원들의 평화역량을 제고하고 사회 전반에 진정한 평화의 문화를 형성하고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남북한 도덕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비교

        차승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moral subjects of the two Koreas have clear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personality, goal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re are similar characteristics of moral edu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especially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model sensitivity method'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an important method of moral education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The South's model-sensitivity method and the North's positive-sensitivity training have both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terms of theoretical foundation,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and the content and nature of the model. The terms and expressions used are different, b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can be found in basic social studies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ories, an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s in the process of education is similar to those of the two Korea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character and content of the moral model presented to student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model sensitivity method’ among the moral education methods of the two Koreas. I will analyze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literature of the two Koreas to see what and how moral education by model appreciation is actually being conducted at the educational sites of the two Koreas. Through this, I will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oral education of the two Koreas. I hope that such discussions will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in preparing for the integration of moral edu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future. 남북의 도덕 과목은 교과의 발전과정과 성격, 목표와 내용 등에 있어서 명료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남북한의도덕교육은 유사한 특성도 있는데, 특히 교수·학습방법의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모범감화방법’은남북한 모두에서 도덕교육의 중요한 방법으로 교육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남한의 모범감화방법과 북한의긍정감화교양은 이론적 토대, 구체적인 적용 방식, 모범의 내용과 성격 등의 측면에서 동질성과 이질성을 모두 가지고있다. 사용하는 용어나 표현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사회학습이론이나 인격교육이론에서 이론적 배경을 찾을 수있고, 교육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을 무엇보다 중시한다는 점 등은 남북한의 유사한 면이다. 반면에, 학생들에게제시되는 도덕적 모범의 성격과 내용에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남북한의 도덕교육 방법 중에서 ‘모범감화방법’에 주목하여 남과 북의 교육현장에서 모범감화에의한 도덕교육이 실제로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는지를 남북한의 교육 관련 문헌 내용을 분석하여 살펴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남북한의 도덕교육이 가진 다른 듯 닮아 있는 모습과 함께 비슷해 보이면서도 확연히 다른 모습을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가 향후 남북한 도덕교육의 통합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의 정치사상교육 - ‘5대 교양’을 중심으로

        차승주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4

        2015년 신년사를 통해 김정은이 '5대 교양'(위대성교양, 김정일애국주의교양, 신념교양, 반제계급교양, 도덕교양)을 정치사상교육의 핵심 내용으로 천명하면서 최근 북한의 정치사상교육은 '5대 교양'의 형태로 기본 내용과 체계를 갖추어 나가고 있다. 물론 '5대 교양'에 포함되는 대부분의 내용들은 김일성 시대부터 북한의 정치사상교육에서 줄곧 다루고 있는 것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북한이 '5대 교양'을 통해서 기존의 정치사상교육을 시대와 교육환경의 변화에 맞게 개선하고 이를 통해 과거와는 차별화되는 김정은 시대의 정치사상교육을 실시해 보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북한에서 최근 강조하고 있는 '5대 교양'을 중심으로 김정은 시대 정치사상교육의 주요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기존의 정치사상교육과 비교해 봄으로써 향후 북한 정치사상교육의 전개 양상과 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북한 사회의 변화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Through the New Year's Day in 2015, Kim Jong Eun has described the ‘Five major ideological education' (Greatness education, Kim Jong Il patriotism education, belief education, anti-imperialist class education, moral education) as the core contents of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It has been equipped with basic contents and system in the form of ‘Five major ideological education'. Of course, most of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Five major ideological education' have been covered by the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in North Korea since the Kim Il-sung era. Nevertheless, North Korea's recent attempts to improve the existing education of political thought through ‘Five major ideological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 changes in the tim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us to provide the education of political thought in the Kim Jong Un er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ast.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the mai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Kim Jung Eun 's political thought education centering on ‘Five major ideological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recently by North Korea. I would like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political thought education and the change of North Korean society that can be caused by this.

      • KCI등재

        통일교육의 윤리적 기초 – 용서를 중심으로

        차승주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2

        한반도의 구성원 모두를 아우르고 분단과 전쟁이 남긴 상처를 치유하여 민족의 화해와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덕목으로 ‘용서’에 주목하고, 이를 통일교육의 목표와 내용으로 제안하기 위해 한반도의 평화 실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대안적 통일교육의 윤리적 기초로서 ‘용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용서를 통해 개인과 사회는 과거에서 벗어나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이러한 용서는 개인 간에만 국한되지 않고 개인과 사회, 사회나 국가 간의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용서는 증오와 갈등의 관계를 화해와 소통의 관계로 변화시킴으로써 개인의 내적 치유와 행복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통합과 평화를 이루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통일교육을 통해 한반도 통일과정 및 통일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심리적·사회적 갈등과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 ‘용서’가 중요함을 강조하는 한편, 이러한 ‘용서’를 연습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분단 이후 한반도의 구성원들이 겪고 있는 복잡하고 다양한 갈등과 분쟁,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는 반목과 대립의 상황과 역사에 대한 진실을 가르치고 이를 기억하게 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용서’의 의미가 무엇인지, 통일교육을 통해 ‘용서’라는 덕목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소견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I am looking at ‘forgiveness’ as an ethical basis for alternative unification education that can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suggest the goal and content of unification education by focusing on forgiveness, healing all the member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ontributing to national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Through forgiveness, individuals and society can move away from the past and toward the future. Such forgiveness is not limited to individuals but can also be applied to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society, society, and nations. Forgiveness can also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and peace of the community as well as to the inner healing and happiness of the individual by changing the relationship of hatred and conflict to the relationship of reconciliation and communication.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and disputes that may occur afte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we emphasize that 'forgivenes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we can practice this 'forgiveness' You will have to provide an opportunity. It should also teach and remember the truth about the complex and diverse conflicts and conflicts that the member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experiencing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the situation and history of the ongoing conflict. For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present my thoughts on what forgiveness means, why we should teach the virtues of forgiveness through a unified education, and how we can implement i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