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1년 5월 용문산 전투 기간 국군과 유엔군의 화력 운용 고찰

        류의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2

        This study attempts to research the fire employment of the 6th Infantry Division of R.O.K. Army and the 9th Corps of U.S. Armed forces in the Battle of Yongmunsan from May 17 to May 21, in 1951.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combat has been carried out mainly in terms of maneuver, and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operation of firepower is insuffici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Korean War, the analysis of firepower was a key factor throughout the whole wa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ield artillery tactical manuals, command and control systems, weapons systems, and support systems of the artillery units of the U.N. Forces at that time. For that, this study analyzes the ROK 6th Division’s combat reports, official publicized history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Army, testimonies of artillery veterans, records of the Chinese Communist Army and reports of Soviet military advisers, and reports of the U.S. 9th Corps. In the Battle of Yongmunsan, the U.N. Forces was able to stop the large-scale offensive operation carried out by Chinese forces based on the standard of using firepower, limitation by terrain and weather conditions, overwhelming artillery capabilities compared to the enemy, and sufficient logistics support. There were various problems during operations, but they were overcome by flexible firepower operations that were not fixed. Due to the strong and effective use of firepower, the 2nd Regiment of the ROK 6th Division was able to defeat the 63rd Army of China, which was three times larger. 본 연구는 1951년 중공군 제5차 2단계 공세 기간 발생하였던 전투 중, 5월 17일부터 5월 21일까지 진행된 용문산 전투에서의 국군 제6사단과 미 제9군단의 화력 운용을 분석한다. 기존 전투사 연구는 기동부대 중심으로 이루어져 화력 운용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미진하였다. 전쟁 전반에 걸쳐 화력이 중요하게 운용되었던 6·25전쟁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국군과 유엔군 포병의 관련된 세부적인 내용을 분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투상보와 국방부 및 육군의 공간사, 포병 참전용사 증언록, 중공군 기록과 소련 군사고문단 보고서, 미군이 6·25 전쟁 당시 활용했던 1944년 야전포병 전술 교범과 미 제9군단 보고서 등을 살펴봄으로써 용문산 전투 기간 화력운용을 분석한다. 용문산 전투에서 국군과 유엔군은 교과서적인 화력운용, 지형과 기상의 제한사항을 극복하려는 노력, 압도적인 포병 전력, 충분한 군수지원을 바탕으로 중공군의 대규모 공세를 저지할 수 있었다. 화력운용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도 발생하였으나 고착되지 않은 유연한 화력 운용을 통해 극복할 수 있었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화력 운용에 힘입어 국군 제6사단 제2연대는 3배에 달하는 중공군 제63군을 격퇴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Serous Retinal Detachment Following Combined Photodynamic Therapy and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의연,김종완,김준범,호민 대한안과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23 No.2

        We report a case of serous retinal detachment following combined photodynamic therapy (PDT) and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in subfoveal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 A 53-year-old woman was diagnosed with subfoveal CNV secondary to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and treated with combined PDT and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One day after treatment, the patient experienced a sudden decline of vision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showed serous retinal detachment involving the macula. She was managed conservatively with an oral steroid beginning on the second day of the combined treatment and the subretinal fluid started to decrease one week following the initiation of steroids. This case suggests that combined PDT and intravitreal injection of bevacizumab can be associated with serous retinal detachment.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safety and complications following this treatment regime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Clinical Outcomes after Early and Delayed Radioiodine Remnant Ablation in Patients with Low-Risk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안종화,김미화,의연,전민지,김태용,진숙,김원배,송영기,한지민,김원구 대한내분비학회 2020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35 No.4

        Background: The clinical outcomes of delayed radioiodine remnant ablation (RRA) therapy in patients with low-risk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are unclear. We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impact of the interval between total thyroidectomy (TT) and RRA therapy in patients with low-risk PTC. Methods: We included 526 patients who underwent TT and RRA for low-risk PTC with a primary tumor size of >1 cm between2000 and 2012.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early (<90 days) and the delayed (≥90 days) RRA groups based on the interval between TT and RRA. The results of diagnostic whole-body scan (DxWBS), ongoing risk stratification (ORS; response to therapy),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Results: Among the 526 patients, 75 (14.3%) patients underwent delayed RRA; they had more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and received a higher RRA dose than those who underwent early RRA.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9.1 years after initial therapy, and the structural recurrence rate was 1.9%. In DxWBS, 60 patients had focal iodine uptake limited in operative be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ORS, 78%, 20%, 1%, and 1%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excellent, indeterminate, biochemical incomplete, and structural incomplete response groups,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S or DFS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PSM. Conclusion: The timing of the first RRA had no clinical impact in patients with low-risk PTC. Thus, the clinical decision for RRA can be determined >3 months after TT considering other prognostic factors.

      • KCI등재

        김정은 시기 북한의 미래전 구상 연구

        임철균,손한별,류의연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3 한국국가전략 Vol.8 No.3

        기술결정론과 기술회의론은 과거 196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끊임없는 논쟁을 야기하고 있으나,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눈부신 발전은 각국이 군사력의 혁신적 건설에 있어 기술결정론에 더 중점을 두게 하고 있다. 북한은 핵무력 완성을 선언한 이후 일련의 군사적 혁신을 단행해 왔다. 지난 10년간의 군사혁신의 결과를 2020년 열병식과 2021년 자위-2021 방산 전시회를 통하여 선포된 괄목할 성장은 국내는 물론 전 세계를 충격에 빠트렸다. 북한의 이러한 움직임은 분명 그간의 변화양상과는 확연히 대비되는 것으로서 북한의 군사전략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필요한 시점에 이르른 것이다. 왜 이런 변화가 식별되는 것일까? 지금 선보이는 양상은 분명 북한이 추구해온 미래전의 양상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질문은 “김정은 시기 북한이 구상하고 있는 미래전은 어떤 모습이며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가?”이다. 본 연구는 상기 연구질문을 해소하기 위하여 김정은 시기 북한이 미래전을 어떻게 구상하고 있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군사력 현대화와 군사혁신을 어떻게 추진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상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김일성‧김정일 시기 북한의 군사력 증강 및 현대화 경과를 분석, 결정요인을 도출한 뒤, 이를 바탕으로 수립한 분석의 틀에 따라 김정은 시기 북한의 미래전 구상과 준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북한이 추구하는 전략적 목표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확인,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