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미래국방전략: “국방전략2050”의 이슈와 과제

        손한별 세종연구소 2022 국가전략 Vol.28 No.2

        The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established the “Defense Vision 2050” aimed at 2050, and selected key tasks to realize the vision through the “Future Defense Innovation Initiative.” Strategy and implementation measures for the future after 30 years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 government is actively preparing for potential and non-tradition threats beyond North Korea, pursuing the convergence of strategy, doctrine and military technology, and cooperating with related ministries and agencies. It is a core work of future defense planning as a process of presenting future defense goals and innovatively constructing ways and means to achieve the goals. Various issues are expected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future defense strategies. To solve them,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linkage between defense strategies, military force building, R&D, defense structure, manpower structure, and defense management, and step-by-step strategies according to changes in strategic environment, ways and means, and available resources. It also needs to be reorganized to simplify and streamline the defense organization. In addition, future strategies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appropriate evaluation of threats and risks, concept of deterrence and response, analysis of operational missions and capabilities, and verification of combat experiments. 한국 국방부는 2050년을 목표로 하는 『국방비전2050』을 수립하고, 『미래국방혁신구상』을 통해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과업을 선정하였다. 향후 30년 이후의 미래를 위한 전략과 수행방안이 마련된 것으로, 북한을 넘어서 주변국 및 비전통위협에도 적극 대비할 것임을 공식화하였고, 전략・교리와 군사기술의 융합을 추구하며, 유관부처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국가 차원에서 국방 패러다임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래의 국방목표를 제시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방법과 수단을 혁신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으로서 미래 국방기획의 핵심적인 작업이다. 앞으로 미래 국방전략의 기획과 실행에는 다양한 쟁점이 예상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방전략-군사력 운용-군사력 건설-연구개발-방산구조-인력구조-국방운영의 연계를 고려하고, 전략환경, 방법과 수단, 가용재원의 변화에 따라 시기별 전략을 단계화해야 한다. 또 국방조직을 간소화하고 효율화하기 위한 개편도 필요하다. 아울러 위협과 위험에 대한 적실한 평가, 작전수행개념, 작전임무와 요구능력의 분석, 전투실험 검증 등을 통해 미래 전략을 실행해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방전략서 작성의 이론과 실제: 미국과 영국 국방전략서가 한국에 주는 함의

        손한별,전경주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1 한국국가전략 Vol.6 No.2

        본 연구는 한국의 『국방전략서』 신설 필요성과 작성 시의 방향성을 검토하는 사전 연구이다. 먼저 국방전략의 개념과 역할, 국방기획 체계 내에서의 『국방전략서』의 역할과 기능, 필요성과 쟁점 등 국방기획 및 전략에 관한 이론적 논의들을 살펴본다. 두 번째로 대표적인 전략서라 할 수 있는 미국과 영국의 국방전략서의 변천 과정, 작성 절차와 주요 내용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를 통해, 한국 국방부의『국방전략서』 작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한다. This research is a pioneering study that examines why and how to write the ROK’s National Defense Strategy.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value of a national defense strategy; the status, function, and necessity of a National Defense Strategy as a strategy document within the defense planning system; and debates relevant to build a defense strategy. Second, the strategy formulating process of the U.S. National Defense Strategy and of the U.K. Strategic Defence and Security Review are studied as one of best practice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recommendations for writing the first ROK’s National Defense Strategy that would guide the ROK’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hen it decides to develop it.

      • KCI등재

        2040년 한반도 전쟁양상과 한국의 군사전략

        손한별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0 한국국가전략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전쟁의 양상을 전망해보고, 한국군의 미래전쟁 수행개념과 추진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먼저 위협과 기술의 미래가 전쟁의 미래를 결정하게 될 것인바, “누가”, “어떤 기술”을 사용할 것인가를 검토한다. 미중 패권경쟁, 북한의 불안정성, 전쟁과 평화의 모호성, 전략공간 확보의 중요성, 초국가적 위협 등이 “위협의 미래”를 구성하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무인전투체계와 초고속, 고위력 정밀타격 등이 “기술의 미래”를 결정한다. 이같은 변화로 인해 저강도 분쟁 또는 국지전이 언제든지 전면전으로 비화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주변국과의 갈등으로 이해 한반도에서 일어날 수 있는 6개의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분쟁 시나리오와 전략/작전적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제시하는 미래 한국의 군사전략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적 중심 마비”를 전략목표로 하며, 국가주권 영역에서의 강력한 방위, 외부영역에서의 전략적 공세를 기본개념으로 제시한다. 방법으로는 “비선형 통합작전”을 통해 기습, 속도, 우세를 달성하며, “지능화된 유무인 복합체계”를 수단으로 하되 절대적 방위능력, 비대칭 공세능력, 전략적 기반능력을 요구능력으로 제시한다. 아울러 미래전쟁에 대비하는 군사혁신을 위해 위험평가의 적응성, 국가차원의 안보전략 수립, 한국주도의 작전완결성, 기술적용의 우선순위 설정, 취약성과 전략문화에 대한 고려를 정책제언으로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to prospect the future war and present the concept of military strategy of the Republic of Korea. First, it considers “who” will use and “what technology” as the future of threat and technology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war. The U.S.-China hegemony competition, the instability of North Korea, the ambiguity between war and peace, the importance of securing strategic space, and transnational threats constitute the "future of threat," while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nmanned combat systems and high-speed and high-powered precision strikes determine the "future of technology." Such changes can lead to an all-out war at any time with low-intensity disputes or a regional war, and this study presents six scenarios that can occur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conflic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Based on conflict scenarios and strategic/operational requirements, future military strategy of ROK is as follows. First, with "paralysing Center of Gravity" as the strategic objective, strong defense in the realm of national sovereignty, strategic offensive in the external sphere are analyzed as the basic concept. Methods achieve surprise, speed and superiority through "integrated nonlinear operations." And "intelligent Manned Unmanned Teaming(MUM-T)" as means require absolute defense capabilities, asymmetric offensive capabilities and strategic infrastructure capabilities. In addition, for revolution of military affairs(RMA) in preparation for future wars, the author suggests adaptability of risk assessment, establishment of national security strategies, completeness of ROK-led operations, prioritization of technical uses, and consideration of vulnerability and strategic culture as policy suggestions.

      • KCI등재

        인도의 국방개혁: 전문성과 합동성 추구의 역사

        손한별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9 군사 Vol.- No.111

        This article deals with the history of India's defense reform. Particularly on a military level, India has gained momentum for reform as it has experienced several wars. Regardless of whether the war itself ended in success or failure, India has maintained its direction of reform through lessons learned from these war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ports and actual application of the Defense Reform Committees, which were organized right after the war between India and China in 1962, the end of the Cold War in 1990, the Kargil War against neighboring Pakistan in 1999, and the multiple terror attacks in the 2000s. Based on this, it analyzes the Indian defense reform’s characteristics such as self-reflection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mation of a grand strategy, reorganization of the upper command structure, and maintenance of military balance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e implication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a lesson learned must be drawn from any success or failure to establish a clear direction, and then actively pursue it. Second, in order to adapt to changes in strategic environments, procedures for military strategy planning must be established, and above all, it begins with threat and risk assessment. The planned strategy also needs to be open to Congress and the people at the right level to form a consensus and unite the national power in one direction. Third, at a military level, the military should seek integration of the military while preparing institutional framework for a faithful military advice on civilian officials. Finally, the government needs a financial foundation to secure critical military power so that it can respond to any threat. Given that defense reform is aimed at achieving the national security objective in an effective and efficient manner, its importance is emphasized even more today. 본 연구는 인도 국방개혁의 역사를 다룬다. 특히 군사적 차원에서 인도에 관심을 갖는 것은 인도가 수차례 전쟁을 경험하면서 개혁의 동력을 얻어왔다는 데 있다. 전쟁 자체가 성공 또는 실패로 끝났는지 와는 관계없이 인도는 전쟁의 경험을 통해 개혁의 방향성을 유지해왔다. 본 연구는 1962년 중인전쟁, 1990년 냉전의 종식, 1999년 카르길전쟁, 2000년대 다수의 테러 직후 조직된 국방개혁 위원회의 보고서와 실제 적용에 중점을 둔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반성과 발전방향의 설정, 대전략 수립에 중점, 상부지휘구조의 개편, 주변국과의 군사력 균형 유지 등을 특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떠한 성공과 실패로부터도 교훈을 도출하여 분명한 방향성을 설정하고, 이를 행동력있게 추진해야 한다. 둘째, 전략환경의 변화에 따른 적응을 위해서는 대전략과 군사전략 기획을 위한 절차를 정립해야 하며, 무엇보다 위협 및 위험평가로부터 시작된다. 또한 기획된 전략은 적정수준에서 의회와 국민에 공개되어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민의 역량을 하나의 방향으로 결집할 필요도 있다. 셋째, 군사적인 수준에서는 군의 통합성을 추구하면서도, 민간관료에 대한 충실한 군사조언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전략기획의 부단한 환류를 통해 어떠한 위협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긴요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재정적 기반도 필요하다. 국방개혁은 국가안보목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 중요성은 오늘날 더욱 강조된다.

      • KCI등재

        미국의 남아시아 전략과 선택적 비확산정책 : “전략적 균형”을 위한 수평적 핵확산

        손한별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9 국방연구 Vol.62 No.1

        This study argues that the United States has pursued “selective non-proliferation policies” in accordance with its South Asian strategy. To actively form a "strategic balance" at the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the U.S. has supported or condoned horizontal nuclear proliferation in South Asia, or has pursued non-proliferation through hard-line coercion. There are two factors that determine America's selective non-proliferation policy. The first is the nuclear balance at the international level. First of all, when the U.S. is concerned about its weakening nuclear superiority, it supports the "friendly" nuclear proliferation in South Asia. On the other hand, if the 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could undermine the interests and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it takes a tough non-proliferation policy. The second is the nuclear balance at the regional level. This allows the U.S. to occupy a position to actively intervene while maintaining stability in South Asia. The U.S. either Supports or condones to nuclear development in relatively small countries when regional nuclear imbalances occur. However, under the regional nuclear balance, a tough non-proliferation policy is adopted to curb the vertical nuclear proliferation. This overriding concern for U.S. foreign policy is to maintain its strategic superiority, which can change the non-proliferation policy depending on the strategic situation. It can also be seen that there is room for U.S. intervention in non-proliferation policy because of its "bounded rationality" in the policy-making process. 본 연구는 미국이 남아시아 전략에 따라 “선택적”으로 비확산정책을 추진해 왔다고 본다. 지역 및 국제체계 차원에서 인위적이고 적극적으로 “전략적 균형”을 형성하기 위해, 남아시아에서의 수평적 핵확산을 지원 또는 묵인하기도 하고, 강경한 강압을 통해 비확산을 추구해왔다고 주장한다. 미국의 선택적 비확산정책을 결정하는 요인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국제체계 차원에서의 핵균형이다. 먼저 미국의 핵우위를 강화할 수 있다면 남아시아에서의 ‘우호적’ 핵확산을 지원한다. 다른 한편, 핵무기의 확산으로 인해 미국의 이익과 영향력을 침해할 수 있다면 강경한 비확산정책을 취한다. 둘째는 지역 차원에서의 핵균형이다. 이를 통해 미국은 남아시아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한편으로는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위치를 점할 수 있다. 지역적 핵불균형이 발생하면 상대적 약소국에 대한 핵개발을 지원 또는 묵인한다. 하지만 지역적 핵균형 상태에서는 수직적 핵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강경한 비확산정책을 취한다. 이와 같이 미국 대외정책의 최우선 관심은 전략적 우위 유지에 있기 때문에 전략상황에 따라 비확산정책이 변화할 수 있으며,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제한적 합리성” 때문에 미국의 비확산정책에 대한 개입의 여지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