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치성 낭의 조대술 후 이환치아의 맹출 양상

        김주영,김현정,김영진,남순현,Kim, Joo-Young,Kim, Hyeun-Jung,Kim, Young-Jin,Nam, Soon-Hye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사춘기 전 아동에서 흔히 발생되는 함치성 낭을 조대술로 치료한 후 낭에 이환된 치아의 맹출에 영향 미치는 제반요인을 분석하여 이환된 치아의 외과적 또는 교정적 치료 유무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하악 소구치 부위가 함치성 낭으로 이환되어 있으며 조대술 실시 후 8개월 이내에 촬영된 파노라마 관찰사진이 있는 5-12세 아동 총 22명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과 재진 시의 관찰기간 동안에 촬영 한 파노라마 사진으로 트레이싱 용지에 필요한 구조물과 치아를 모두 그렸으며 사진 상의 수직, 수평적인 상의 확대 및 축소의 보상을 위하여 초진사진의 제1대구치 치관크기를 기준으로 모든 사진을 표준화시켰다. 각 사진 상에서 낭에 이환된 부위를 실험군, 동일 악궁의 반대측 부위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교두깊이, 각의 크기, 낭의 크기, 교두점 위치지수를 계측하여 측정값을 얻은 후, 각 치아의 발육단계, 이환치아의 경사도, 위치의 변위율, 낭종의 면적 감소량과 치아의 맹출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맹출 속도, 각의 변화율, 낭면적의 감소율, 실험군 내의 조대술 후의 평균 기간(month)을 산정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낭에 이환된 부위의 영구치의 맹출 속도는 비이환측에 비해 평균 3.5배 빨랐으며 치축의 변화는 평균 $2.7^{\circ}/month$였다. 치근의 성장 단계에 따른 변화에서는 치근의 성장단계가 낮을수록 더욱 빠른 맹출 성향을 보였으며 각의 변화에서도 치근의 성장이 1/4이하 군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낭종내 이환치의 변위에 따른 변화에서는 교두점 위치지수 차이가 30%될 때까지는 맹출 속도가 증가하다가 그 이상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낭의 면적 감소율이 $80mm^2/month$이상 감소하는 경우 현저하게 높은 맹출 속도를 보였고 이환된 치아가 근심 변위한 경우 원심 변위한 치아보다 맹출 속도는 낮았지만 각의 변화율은 크게 나타났다. 이환된 치아의 각도 변위가 작을수록 맹출의 속도는 증가하였으며 $15^{\circ}$ 이하의 경우 각도 변화도 높게 나타났다. 조대술 후 대부분의 경우 급격한 맹출 속도와 치축 각의 변화는 6개월 이내에 일어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ruption pattern of a cyst-associated mandibular premolar after marsupialization of a dentigerous cyst in children. The result from the twenty two pairs of normalized panoramic radiographs of twenty two patients who underwent neither extraction nor orthodontic traction of the cyst-associated mandibular after marsupialization were as follows. 1. The eruption speed of a cyst-associated premolar was 3.5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a-lateral premolar(p<0.05). The angulation change of test group was an average of $2.7^{\circ}$ per month. 2. In the change of the level of root formation, the group which had a little root maturity tended to be faster in the eruption speed(p>0.05) and the R1/4 group had a great change in the angulation change(p>0.05). 3. In the change to be with the cusp position index, the eruption speeds were increased to the 30% deviation groups. But, the eruption speed was decreased above that(p>0.05). 4. Group with cyst diminishment rate of more than $80mm^2$ per month showed the fastest eruption speed of all(p<0.05). 5. The mesial angulated teeth in the test group were decreased more rapidly than the distal angulated teeth in the eruption speed(p>0.05). But, increased in the angulation change(p<0.05). 6. There was a tendency of faster tooth eruption with less deviation of tooth axis. Group with tooth axis deviation of less than $15^{\circ}$ showed the fastest angulation change of all(p<0.05). 7. The eruption speed and the angulation change rapidly decreased during the first 6 months following marsupial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yst-associated mandibular premolar erupted more rapidly after marsupializaton. We thought so that it's prognosis was good if the tooth had a little root maturity, a little devitation and cyst lesion healed faster. We recommend that if there is enough space for eruption, orthodontic traction and surgical treatment of the cyst-associated tooth should be postponed 6 months after marsupialization.

      • KCI등재

        가미소풍활혈탕(加味疎風活血湯)을 투여한 외상성 슬부 손상 환자 치험 3례

        김주영,김정원,엄봉군,한상욱,김오영,Kim, Chao-Young,Kim, Jeong-Won,Uhm, Bong-Kun,Han, Sang-Wook,Kim, Oh-Young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11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Vol.6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Gamisopunghwalhyeal-tang to three patients traumatic knee joint injury. Methods: Patients are hospitalized at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Bu-Chun Jaseng Oriental Medicine Hospital, diagnosed as traumatic knee joint injury and treated mainly with herbal medicine ; Gamisopunghwalhyeal-tang. This study was measured by VAS(Visual Analogue Scale) score and walking time and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WOMAC) index score. Results: After taking Gamisopunghwalhyeal-tang, the patient's pain was controlled and increased time of walking on floor after treatment. VAS & WOMAC score were decreased. Conclusions: As seen in this three cases of traumatic knee joint injury, Gamisopunghwalhyeal-tang has a positive effect to control pain with traumatic knee joint injury.

      • KCI등재

        의료용 로봇 원격 응용을 위한 영상처리 시스템 개발

        김주영,김중혁,김정채,김기덕,유선국,Kim, Joo Young,Kim, Joong Hyuk,Kim, Jung Chae,Kim, Kee Deog,Yoo, Sun 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2 의학물리 Vol.23 No.4

        본 논문에서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의료용 로봇 응용을 위한 웹기반-영상처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다양한 영상처리 모듈과 원격 제어동작 모듈로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층적 구성은 상위계층의 복잡한 응용을 위한 확장성과 웹에서의 접근성을 만족하였다. 또한, 응용환경의 변화에 따른 처리된 영상의 표시, 전송, 저장 및 공유를 위하여 다양한 DICOM, VRML, CAD (STL) 파일형식을 지원하였다. 메시지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교환과 객체-지향 모듈과 오픈소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구성은 다양한 원격 의료 응용에 따른 다양한 요구조건에 맞는 효율적인 동적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b-base image processing system has been implemented for remote-controlled medical robot applications. The developed software system was hierarchically composed of diverse image processing and remote operation modules, and the hierarchical composition was satisfied the expandability to higher level application and the accessibility over the web. It can also support diverse file formats including DICOM, VRML, and CAD(STL) to display, transmit, store and share the processed images depending on application environment. Message-based data exchange, object-oriented module and open-source based software configuration will enable the dynamic combination associated with diverse remote medical application requirements.

      • KCI등재

        표면처리에 의한 유기발광소자(OLED)용 Ag 전극의 Nano-size 효과 연구

        김주영,김수인,이규영,김형근,전재혁,정윤종,김무찬,이종림,이창우,Kim, Joo-Young,Kim, Soo-In,Lee, Kyu-Young,Kim, Hyeong-Keun,Jun, Jae-Hyeok,Jeong, Yun-Jong,Kim, Mu-Chan,Lee, Jong-Rim,Lee, Chang-Woo 한국진공학회 2012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1 No.1

        Top-Emitting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에서는 반사율이 가장 높은 Ag (silver) 박막이 쓰이고 있지만, 소자에서 요구되는 일함수(work function)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전극과 유기물간에 에너지 장벽이 발생하여 발광효율을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g 전극의 일함수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박막 형태의 Ag 전극에 대하여 nanotribology 접근법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Ag는 rf magnetron sputter를 이용해 glass 위에 증착한 후 furnace에서 $300^{\circ}C$, 30분간 대기 중에서 열처리하였고, 또 다른 시료는 표면에 산소 상압플라즈마로 처리 시간(30, 60, 90, 120s)을 각기 다르게 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Ag 전극을 nanoindentation을 통해 국부 영역에 대한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Kelvin probe force microscopy을 이용해 시료 표면의 포텐셜을 측정했다. 그 결과 열처리한 시료의 포텐셜값은 가장 크게 증가하였지만 균일도가 낮아졌다. 120s 플라즈마 처리한 시료는 불완전한 산화막의 생성으로 인해 탄성계수 및 경도값과 박막의 Weibull modulus를 극히 낮게 만들었지만, 60s, 90s 플라즈마 처리는 시료의 균일도를 높이고 또한 포텐셜을 증가시켜 T-OLED 성능 개선에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Although silver is used for T-OLED (Top 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s reflective anode, it is not an ideal material due to its low work function. Thus, we study the effect of annealing and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reatment on Ag film that increases its work function by forming the thin silver oxide layer on its surface. In this study, we deposited silver on glass substrate using RF sputtering. Then we treated the Ag samples annealing at $300^{\circ}C$ for 30 minutes in atmosphere or treating the atmospheric plasma treatment for 30, 60, 90, 120s, respectively. We measured the change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potential value of surface with each one at a different treatment type and time. We used nano-indenter system and KPFM (Kelvin Probe Force Microscopy). KPFM method can be measured the change of surface potential. The nanoindenter results showed that the plasma treatment samples for 30s, 120s had very low elastic modulus, hardness and Weibull modulus. However, annealed sample and plasma treated samples for 60s and 90s had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Therefore, plasma treatment increases the uniformity thin film and the surface potential that is very effective for the performace of T-OLED.

      • KCI등재

        총대장균군 측정의 정도관리에 적합한 균주의 조제

        김주영,서은영,김미리,전남희,정현미,김명운,안태석,Kim, Ju-Young,Seo, Eun-Young,Kim, Mi-Ree,Jeon, Nam-Hui,Chung, Hyen-Mi,Kim, Myeong-Woon,Ahn, Tea-Seok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1

        정도관리는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농도의 표준시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도관리의 정략분석을 위해 실온에서도 일정시간 개체수가 유지되는 미생물 정도관리용 표준시료를 제작하였다. 대장균으로 조제한 미생물 시료에 세포 분열을 억제하기 위해 nalidixic acid ($100\;{\mu}g/ml$)와 cephalexin ($50\;{\mu}g/ml$)을 첨가하였다. 이후 12시간 간격으로 acridine orange로 염색 후 현미경으로 계수하는 방법과 한천 배지에 배양하여 집락을 계수하는 평판집락계수법으로 개체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현미경 계수 결과 초기간이 $3.7{\times}10^5\;cells/ml$이었을 때 대장균의 개체수는 48시간 동안 $3.5{\sim}4.2{\times}10^5\;cells/ml$의 범위를 보였고, 평판집락법 결과 초기값이 $1.2{\times}10^4\;CFU/ml$ 이었을 경우에는 $1.0{\sim}1.2{\times}10^4\;CFU/ml$로 조사되어 냉장 및 냉동의 필요 없이 실온에서도 48시간 동안 개체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미생물 표준시료를 제작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된 표준시료는 현재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표준균주 제품과 함께 정도관리의 정략분석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Standard sample for quality control of total coliform measurement was procured by addition of nalidixic acid and cephalexin as bacteriostatic agents to Escherichia coli cultured broth. After making the standard sample, the number of E. coli was measured by fluorescence microscopic count method and plate count method by 12 hr interval. The numbers of E. coli remained unchanged for at least for 48 hr at room temperature which ranged from 3.5 to $4.2{\times}10^5\;cells/ml$ and from 1.0 to $1.2{\times}10^4\;CFU/ml$ by direct fluorescence microscopic count method and plate count method,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s that microbial standard sample with bacteriostatic agents of nalidixic acid and cephalexin is usable for quantitative quality control.

      • KCI우수등재

        RF Sputtering의 증착 조건에 따른 HfO<sub>2</sub> 박막의 Nanocrystal에 의한 Nano-Mechanics 특성 연구

        김주영,김수인,이규영,권구은,김민석,엄승현,정현진,조용석,박승호,이창우,Kim, Joo-Young,Kim, Soo-In,Lee, Kyu-Young,Kwon, Ku-Eun,Kim, Min-Suk,Eum, Seoung-Hyun,Jung, Hyun-Jean,Jo, Yong-Seok,Park, Seung-Ho,Lee, Chang-Woo 한국진공학회 2012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1 No.5

        현재 Hf (Hafnium)을 기반으로한 게이트 유전체의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어져 왔다. 이는 기존의 $SiO_2$보다 유전상수 값이 크고, 또한 계속되는 scaling-down 공정에서도 양자역학적인 터널링을 차단하는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MOSFET 구조에서 유전체 박막의 두께 감소로 인한 전기적 특성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서 high-K 재료가 대두되었고 현재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HfO_2$에 대한 nano-mechanical 특성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게이트 절연층으로 최적화하기 위하여 $HfO_2$ 박막의 nano-mechanical properties를 자세히 조사하였다. 시료는 rf magnetron sputter를 이용하여 Si (silicon) 기판 위에 Hafnium target으로 산소유량(4, 8 sccm)을 달리하여 증착하였고, 이후 furnace에서 400에서 $800^{\circ}C$까지 질소분위기에서 20분간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산소 유량을 8 sccm으로 증착한 시료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누설전류 특성 성능이 우수 해졌다. Nano-indenter로 측정하고 Weibull distribution으로 정량적 계산을 한 결과, $HfO_2$ 박막의 stress는 as-deposited 시료를 기준으로 $400^{\circ}C$에서는 tensile stress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온도가 증가(600, $800^{\circ}C$)할수록 compressive stress로 변화 되었다. 특히, $400^{\circ}C$ 열처리한 시료에서 hardness 값이 (산소유량 4 sccm : 5.35 GPa, 8 sccm : 5.54 GPa) 가장 감소되었다. 반면에 $800^{\circ}C$ 열처리한 시료에서는(산소유량 4 sccm : 8.09 GPa, 8 sccm : 8.17 GPa) 크게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온도에 따른 $HfO_2$ 박막의 stress 변화를 해석하였다. Over the last decade, the hafnium-based gate dielectric materials have been studied for many application fields. Because these materials had excellent behaviors for suppressing the quantum-mechanical tunneling through the thinner dielectric layer with higher dielectric constant (high-K) than $SiO_2$ gate oxides. Although high-K materials compensated the deterioration of electrical properties for decreasing the thickness of dielectric layer in MOSFET structure, their nano-mechanical properties of $HfO_2$ thin film features were hardly known. Thus, we examined nan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Hafnium oxide ($HfO_2$) thin film in order to optimize the gate dielectric layer. The $HfO_2$ thin films were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 using hafnium (99.99%) target according to various oxygen gas flows. After deposition, the $HfO_2$ thin films were annealed after annealing at $400^{\circ}C$, $600^{\circ}C$ and $800^{\circ}C$ for 20 min in nitrogen ambient. From the results, the current density of $HfO_2$ thin film for 8 sccm oxygen gas flow became better performance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The nano-indenter and Weibull distribution were measured by a quantitative calculation of the thin film stress. The $HfO_2$ thin film after annealing at $400^{\circ}C$ had tensile stress. However, the $HfO_2$ thin film with increasing the annealing temperature up to $800^{\circ}C$ had changed compressive stress. This could be due to the nanocrystal of the $HfO_2$ thin film. In particular, the $HfO_2$ thin film after annealing at $400^{\circ}C$ had lower tensile stress, such as 5.35 GPa for the oxygen gas flow of 4 sccm and 5.54 GPa for the oxygen gas flow of 8 sccm. While the $HfO_2$ thin film after annealing at $800^{\circ}C$ had increased the stress value, such as 9.09 GPa for the oxygen gas flow of 4 sccm and 8.17 GPa for the oxygen gas flow of 8 sccm. From these results,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stress state of $HfO_2$ thin films were understood.

      • KCI등재

        활동기반 모형을 이용한 상습 침수 지역의 대피경로 분석

        김주영,유연승,이승재,Kim. Jooyoung,Yu. Yeonseung,Lee. Seungjae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3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자연재해 피해가 증가하면서 세계적으로 이를 대처하기 위해 대피 시스템 개발, 최적 대피 경로 설정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습침수지역의 도로 침수로 인해 도로 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도로 이용자들이 신속하게 대피하고 효율적인 도로교통 운영을 위해 대피경로분석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분석의 방법은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를 통해 활동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인간활동기반 교통수요분석 프로그램인 MATSim(Multi Agent Transportation Simulation)을 활용하여 상습침수지역인 신월지하차도를 분석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 기반의 활동기반모형을 구축하여 침수지역의 통행패턴을 토대로 도로 침수를 가정한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도로 침수시 우회교통패턴 및 대피경로 분석을 통해 도시부 도로 대피 경로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Recently, a research on development of evacuation route system is being carried out to handle the natural disaster occurring due to increasing weather abnormality. This paper deals with a methodology for searching evacuation route and effective traffic operation when roads areas are prone to floods. The methodology is that we made activity based model by using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and then modeling it by applying a flooding scenario in traffic demand analysis program, MATSim in Ssinwol-dong, Kangseo-Gu, Seoul. Therefore, analysis of the result shows that travel pattern can be known in worst scenario cases. And it will be used effectively in decision making for evacuation route or efficient urban road operation when road area is prone to flood, or flooded.

      • KCI등재

        추적테이블을 이용한 요구사항 변경관리 및 추적 효과 연구

        김주영,류성열,황만수,Kim, Ju-Young,Rhew, Sung-Yul,Hwang, Man-Su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7 No.4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실패요인 중 54%가 요구사항관리 미흡에서 발생하며, 이중 22%는 요구사항 변경관리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실패요인을 줄이기 위해 요구사항 관리활동이 중요하며 이중 요구사항 변경을 위한 핵심활동으로 추적기법을 활용한다. 추적기법에 사용되는 방법인 추적테이블은 단순링크 방식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가독성이 있으며 추적의 정확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 추적테이블 연구는 변경관리 방법 및 추적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변경영향 추정연구는 추정방법이 복잡하여 실용성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된 추적테이블을 이용하여 변경요구사항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로 인해 변경율 및 변경영향도를 기존 연구에 비해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15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추적테이블의 효과를 가설 검정하여 추적테이블이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며, 요구사항 관리미흡으로 인한 실패요인을 감소시킴을 확인한다. Insufficient requirement management accounts for 54% ofunsuccessful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and 22% of insufficient requirement management comes from requirement change management. Hence, requirement management activities are important to reduce failure rates and a tracing method is suggested as the major factor in requirements change management. A traceability table is easy to use because of its legibility accurate tracing. However, traceability tables of existing studies have failed to concretely suggest method of change management and effect of traceability. Also, studies of methods to estimate change impact is complex. Hence, this study suggests how to use a traceability table to manage changes in requirements. Together, in comparison to existing studies, this study suggests easier methods to estimate change rate and change impact. Also Fifteen projects were sampl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raceability table influences the success of projects and that it decreases the failure rate that comes from the insufficient requirements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