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신생아 심장 수술의 특징과 결과- 단일 병원에서의 82례 고찰

        오기원,김정옥,조준용,현명철,이상범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7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 in newborns undergoing cardiac surgery. Methods : Eighty two neonates underwent heart 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efect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0 and February 2006. Patient characteristics (sex, age, diagnosis), pre-operative conditions, operation typ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mortality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In 82 patients, 41 (50%) were male. The mean age and weight at operation were 12 days and 3.2 kg, respectively. The common cardiac anomalies were complete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TGA), Tetralogy of Fallot (TOF), 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 and single ventricle variants. Fifty seven operations were performed with cardiopulmonary bypass and corrective surgery was done on 54 patients. Arterial switch operation and modified Blalock-Taussig shunt were most frequently performed as corrective and palliative operations, respectively. The early hospital mortality rate was 7%; the late mortality was 3.9%. Complications were acute renal insufficiency, delayed sternal closure, wound infection, arrhythmia, and brain hemorrhage. Conclusion : During the last 6 years, the outcomes of cardiac surgery for congenital heart defects in neonates improved by progress in perioperative, anaesthetic, surgical, and postoperative care. 목 적 : 최근 신생아기에 심장 수술을 받은 환아들의 임상적 특징 및 수술 성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6년간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신생아기에 수술을 받은 82명에 대해 이들의 수술 당시 나이 및 체중, 심기형의 종류, 수술 전 상태,수술 내용 및 결과, 합병증 등을 검토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82명 중 남아는 41명이었으며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12일, 평균 몸무게는 3,200 g이었다. 주된 심기형은 완전대혈관전위, 활로씨사징, 심실중격이 온전한 폐동맥판폐쇄, 기능적 단심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수술 방법으로 인공심폐기를 사용한 경우가 57례였고, 54례에서 완전 교정수술이 시행되었다. 수술 종류로 완전 교정수술로는 동맥전환수술이, 고식 수술로는 변형 B-T 단락술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총 사망은 9례(10.9%)였으며 이 중 조기 사망은 6례, 만기 사망은 3례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급성 신기능 부전, 지연 흉골 봉합, 상처감염, 수술 후 부정맥, 뇌실내 또는 뇌내출혈 등이 발생하여 내과적 치료를 필요로 하였다. 결 론 : 최근 6년간 본원에서 신생아기의 선천성 심장병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수술 전 처치, 수술 방법, 체외 순환법 그

      • 신생아에서 발생한 파열된 난소 낭종 1례

        오기원,배화영,김자형,정진영,남창우,최성훈,박상규,김준성 대한신생아학회 2008 Neonatal medicine Vol.15 No.1

        Ovarian cysts are the most common cystic abdominal masses in female newborns. It is believed to be derived from an overstimulation of the ovarian follicles by maternal, placental, and fetal hormones. Although most ovarian cysts resolve spontaneously, surgical management is mandatory for life-threatening, complicated cases, including torsion, intracystic hemorrhage, and rupture of the cyst. Rupture of ovarian cysts is thought to be exceedingly rare, but can lead to severe hemorrhagic ascites or peritonitis. We managed a case of a ruptured ovarian cyst in a female newborn who presented with mild abdominal distension and two episodes of gross hematuria. Exploratory laparotomy revealed a right ovarian cyst with torsion and rupture. She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 right salpingo- oophorectomy with no sequelae.

      • KCI등재후보

        미숙아에서 진단된 혈우병 A 1례

        오기원,이경연,김자형,이강원,정진영,박상규 대한신생아학회 2010 Neonatal medicine Vol.17 No.1

        Although the majority of abnormal bleeding during the neonatal period results from acquired coagulation disorders, inherited coagulation disorders can also manifest at this time. Hemophilia is the most common of inherited coagulation disorder. Although 40-70% of cases with hemophilia are diagnosed in the neonatal period, few cases have been reported in premature infants. We report a case of a premature infant born at 31 weeks of gestation, diagnosed with hemophilia A by blood coagulation test, coagulation factor assay and study of the F8 gene. The baby was treated with recombinant factor VIII (RecombinateⓇ, USA) because of repeated seizures and intramuscular hematoma. 미숙아에서 비정상적인 출혈의 대부분은 감염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후천성 응고 장애가 원인인 경우가 많으므로 혈우병과 같은 유전응고장애질환은 간과되기 쉽다. 저자들은 반복되는 출혈 경향을 보인 재태 기간 31주 1일, 1,880 g으로 출생한 미숙아에서 혈우병 A를 진단하고 VIII인자 보충을 통해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COX-2 억제제 투여 후 호전을 보인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1례

        오기원,김세영,이환석,이명훈,최병호,Oh, Ki Won,Kim, Se Young,Lee, Hwan Suk,Lee, Myung Hoon,Choe, Byung H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2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FAP) is an autosomal dominant disease characterized by numerous adenomas in the colorectum. Patients with FAP are always at risk of malignant transformation, so that colectomy is unavoidable. NSAID, such as sulindac, and selective COX-2 inhibitor, such as celecoxib, have shown a positive effect on FAP by causing polyp regression in some patients. We report a case of FAP in a 9-year-old female whose polyposis regressed markedly after six months-treatment with celecoxib.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은 전 대장에 수백개 이상의 용종들이 발생하는 유전성 질환으로, 예방적 대장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으면 거의 100%에서 대장암으로 악성화 한다. NSAID와 선택적 COX-2 억제제가 용종의 퇴행을 유발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9년 5개월 여아에서 FAP로 진단받고 6개월간 선택적 COX-2 억제제인 celecoxib를 투여한 후 증상이 소실되고 양호한 성장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용종의 수와 크기도 현저하게 감소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녹병 저항 다수성 들깨품종 " 청산들깨 "

        오기원,배석복,박희생,정찬식,김정태,곽용호,곽재균,임무상 한국육종학회 2002 한국육종학회지 Vol.34 No.1

        Chungsandeulkkae is a new perilla(Perilla frutescence (L.) Britton) variety developed at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NYAES) in 1998. This variety, originated from the pure line selection in Hadong local strains collected in 1990. It

      • SCOPUSKCI등재

        언어발달장애에 있어서 청성뇌간반응의 임상적 의의

        오기원,박우생,권순학,김진경,이준화,Oh, Ki Won,Park, Woo Saeng,Kwon, Soon Hak,Kim, Jin Kyung,Lee, Jun Hwa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0

        목 적: 언어발달장애를 주소로 내원하는 소아들을 대상으로 청성뇌간반응(ABR)을 선별검사로 시행함으로써 그 원인을 조기 발견하고 조기 치료함으로써 이들의 장애를 최소화하고 언어발달 과정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3년 동안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언어발달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18개월 이상 소아 139례를 대상으로 하여 청성뇌간반응(ABR)을 시행하였으며 이들의 임상진단과 ABR 이상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 과 : 전체 139례 중 ABR 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인 환아는 15례(10.8%)였으며 전반적 발달장애 7례, 발달성 언어장애 4례, 기타 4례로 나타났으며 이상소견을 보인 환아 중 7례는 전음성 난청이었으며 8례는 감각신경성 난청이었다. 또한 ABR 검사상 정상을 보인 18개월에서 7세 사이의 I파 및 V파의 평균잠복기 및 표준편차는 각각 $1.40{\pm}0.13$, $5.57{\pm}0.26$이었으며, I-V의 정점간 잠복기는 $4.18{\pm}0.24$였다. 중등도 이상의 감각신경성 난청환아의 4례에서 보청기를 착용하였으며 이들을 추적 관찰하였다. 결 론: 언어발달장애를 주소로 내원하는 소아들에게 선별검사로서의 ABR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것을 통해 감각신경성 난청을 조기 발견하고 감각 신경성 난청의 경우 보청기를 사용하여 조기 치료함으로써 이들의 신경학적 발달 및 사회적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ABR) as a screening tool in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Methods : Between January 1, 1999 and December 31, 2001, 139 patients with chief complaints of speech and language delay were recruited from the pediatric neurology clini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aegu, Korea. They had ABR on entry and the clinical data were then analyzed. Results : Fifteen out of 139 cases(10.8%) showed abnormal findings; seven ha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four ha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and four were noted to have other conditions. Among them, seven cases were noted to have conductive hearing loss and eight had sensoryneuronal hearing loss. We also evaluated the normal values in children at the ages of 18 months to seven years. The mean latency of wave I and V were $1.40{\pm}0.13$ and $5.57{\pm}0.26$ respectively. Interpeak latency of I-V was $4.18{\pm}0.24$. Conclusion : Based on these findings, ABR has proved to be a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index of hearing impairment. It should be used as a screening tool in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 KCI등재

        건강한 성인남성에서 혈청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와 혈청 Osteoprotegerin 농도 및 골밀도의 관련성

        오기원,윤은주,오은숙,이은정,이원영,백기현,강무일,박철영,최문기,유형준,박성우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6

        목적 : 갑상선기능항진증 및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는 골밀도가 감소되고 골절의 위험도가 증가하여 체내 갑상선호르몬 농도자체가 골대사의 변화와 관련되었다고 생각되었으나, 최근 갑상선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이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의 TSH 수용체에 결합하여 골형성과 골흡수 모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갑상선호르몬이 직접적으로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고, 혈청 TSH 자체가 골대사변화와 관련되는지 알아보고자, 정상 갑상선기능상태인 건강한 한국인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혈청 TSH 농도와 혈청 osteoprotegerin (OPG), receptor activator of NF-B ligand(RANKL) 농도 및 골밀도와의 상호관계를 관찰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은 골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자와 약물 복용자를 제외한 정상 갑상선기능상태인 건강한 남성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갑상선기능 검사로는 혈청 TSH 및 유리_4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청 성호르몬 및 인슐린 양성장인자-I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을 측정하였다. 골대사에 대한 검사로는 생화학적 골교체 표지자와 효소면역측정법으로 혈청 OPG 및 RANKL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중에너지 방사선흡수계측법으로 요추골과 대퇴골 경부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요추골 골밀도를 종속변수로 시행한 다중회귀 분석에서는 혈청 총 남성호르몬, estradoil 및 IGF-I 농도가 독립적인 관련인자로 관찰되었고, 대퇴골 경부 골밀도를 종속변수로 시행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체질량지수와 혈청 IGF-I 농도가 독립적인 관련인자로 관찰되었으나, 혈청 TSH와 유리T₄ 농도는 모두 요추골 및 대퇴골 경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혈청 OPG 농도를 종속변수로 시행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혈청 TSH, estradiol 농도 및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독립적인 관련인자로 관찰되었으나, 혈청 RANKL 농도를 종속변수로 시행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혈청 estradiol 농도만이 독립적인 관련인자로 관찰되었다. 결론 : 결론적으로 혈청 TSH 농도는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골밀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았으나 혈청 OPG 농도와 독립적인 상관관계가 관찰되어 골흡수의 조절기전에 대한 역할을 확인하게 위하여 TNF 및 다른 pro-resorptive 사이토카인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 In untreated hyper or hypothyroidism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BMD) has been demonstrated. Studies on fracture risk in patients with hyper or hypothyroidism have reported an increased risk of osteoporotic fractures. The osteoporosis associated with thyroid dysfunction is traditionally viewed as a secondary consequence of altered thyroid function. Recently, there was a report about direct effects of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on both components of skeletal remodeling, osteoblastic bone formation, and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mediated via the TSH receptor found on osteoblast and osteoclast precursors.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TSH levels, and osteoprotegerin (OPG)/ receptor activator of NF-B ligand (RANKL) system and bone mineral density in healthy men with euthyroid function. Methods : We observed 75 korean men (mean age, 54.5 yr) with euthyroid function. Serum concentrations of TSH, free thyroxine, total testosterone, estradiol, insulin-like growth factor I (IGF-I) an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ere measured by standard method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determined serum concentrations of OPG and RANKL. BMD at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 When the BMD at lumbar spine or femoral neck were examined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rum total testosterone, estradiol and IGF-I levels were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BMD at lumbar spine, and only serum IGF-1 levels for BMD at femoral neck. For Serum OPG pr RANKL levels as the dependent variable, serum TSH, estradiol levels and BMD at femoral neck were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serum OPG levels, and only serum estradiol levels for serum RANKL levels. Conclusion : Our data shows that the serum TSH levels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rum OPG levels in healthy men with euthyroid function, but not associated with BMD. Our observations suggest that serum TSH levels are partly related with resorptive mechanism of bone metabolism in men,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its relation with TNF and other pro-resorptive cytok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