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영아기 심실중격결손의 개심술

        조준용,허동명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3

        영아기에는 수술에 따른 위험 도가 높기 때문에 가능하면 수술을 피 해야 하지만, 제한된 경우에서 비 교적 큰 심실중격결손을 가진 영아에서도 개심술을 시행하게 된다. 따라서, 난치성 울혈성 심부전, 폐동 맥고혈압, 발육부진, 그리고 반복되는 호흡기 감염이 있는 경우에는 개심술을 시행하게 된다. 저자들은 1991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31례의 영아 심실중격결손환아에서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연령분포는 6개월에서 12개월까지 였고 평균연령은 9.2개 월이 었다. 31례중 남자가 23례 였고, 여자가 8례 였다. 평균 체중은 7.4킬로그램이 었다. 심실중격 결손의 가장 흔한 형 태는 막상주위 형 (64.5%)이었으며, 동반 심기 형은 17례 (55.8%)에서 있었다. 승모판 폐쇄부전이 가장 많았으며 (16.1%), 동맥관개존이 그 다음이 었다 (12.8%). 심 도자검 사결과에서 폐-체 혈류량비, 폐-체 혈압비, 폐-체저 항비는 각각 2.1∼3.0, 0.70이상, 0. 1∼0.25사이 에서 가장 많았다. 수술적응증에서는 폐동맥고혈압이 20례, 울혈성 심부전이 3례, 반복되는 호흡기 감염이 10El,그리고 발육부전이 14례로 나타났다. 가장혼한심장절개법과수술방법은우심방 절개 (58%)와 다크론패취봉합(94%)이 었다. 술후 합병증은 10례 (32%)에서 있었으며, 사망률은 12.9% (4례)이었다 사망례는8개월, 8킬로그램이하의 영아에서 있었다. In selected cases, early corrective surgery is indicated in the management of infants having large ventricular septal defects. The risk of any surgical procedure in infancy is acknowledged to be great and should be avoided whenever possible. However this greater surgical risk is justified when the patient presents with intractable congestive heart failure, severe pulmonary hypertension, marked growth retardation, and recurrent prolonged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We analyzed 31 patients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in infancy who underwent surgical correction from January 1991 through December 1994. Age ranged from 6 months to 12 months with mean age of 9.2 months. Of the thirty-one patients, 23 patients were male and 8 patients were female. Mean body weight was 7. 4kg. The most common typ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was perimembraneo s (64.5%). Associated cardiac anomalies were found in 17 patients (55.8%). Mitral regurgitation was the most commonly associated cardiac anomaly (16.1 %) and followed by patent ductus arteriosus (12.9%). When cardiac catheterization data were analysed, the most common range of Qp/qs, RpiRs, Pp/ps were 2.1∼ 3.0, 1-0.25, above 0.70 respectively. Among the indications of surgical correction, there were pulmonary hypertension in 20 patients, congestive heart failure in 3 patients, intractable respiratory infection in 10 patients and growth retardation in 14 patients. The most common surgical approach and method for closur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were right atriotomy (58%) and Dacron patch closure (94%).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10 cases (32%) and overall mortality was 12.9% (4 cases). All operative deaths in this series occurred in infants under the age of 8 months and weight of 8 kilograms.

      • KCI등재

        심실 중격 결손과 대동맥 판 협착을 가진 대동맥 궁 단절의 일차 완전 교정술 -1예 보고-

        조준용,정영균,이종태,김규태,장봉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12

        A male neonate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with facial cyanosis and tachypnea at 19 days of age.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showed type B interrupted aortic arch, posterior malalignment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valvular aortic stenosis. A new surgical repair was done with biventricular repair and neo-aortic arch reconstruction.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k (LVOT) was consisted of aortic valve and pulmonic valve. Right ventricular outflow (RVOT) track was reconstructed with extracardiac conduit. Postoperative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showed no stenosis and turbulency flow on LVOT and RVOT. 생후 19일 된 남아가 안면 청색증과 과호흡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심 초음파 소견 상 B형의 대동맥 궁 단절과 후방 부정열형의 심실 중격 결손, 대동맥 판 협착을 보였다. 수술은 양심실 교정을 시행하였으며, 대동맥 판과 폐동맥 판 모두를 좌심실 유출로로 이용하고 신 대동맥 궁을 재건하고 Goretex graft를 이용하여 우심실 유출로를 재건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하였다. 술 후 좌심실 유출로와 우심실 유출로 모두 협착없이 잘 유지되었다.

      • SCOPUSKCI등재

        심실 중격 결손과 좌심실 유출로 협착을 동반한 대혈관 전위 -동맥 전활술후 좌심실의 트레이닝 1례-

        조준용,김웅한,김수진,전양빈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3

        There have been few reports documenting the outcome of arterial swich operations(ASO) in selected patients with transposition of great arteries(TGA) and with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LVOTO). In the case of TGA with LVOTO, if the atrial septal defect(ASD) is large and the ventricular septal defect(VSD) is restricive, this deprives the left ventricle(LV) of approporiate preload and could lead to underdevelopment of the ventircular mass and lead poor LV performance after the arterial switch operation, dspite a high pressure in the LV preoperatively. Because an increase in the systolic ventricular pressure is not necessarily paralleled by an increase in ventricular mass, which is also essential for optimal ventricular performance after the operation. We report here a case of rapid LV training after ASO in TGA with unprepared LV (because of large ASD and restrictive VSD) despite a high pressure in the LV(due to LVOTO) preoperatively.

      • SCOPUSKCI등재

        심실중격결손의 개심술 후 잔류단락에 관한 임상적 고찰

        조준용,허동명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2

        1989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5년간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 심실중격결손으로 개심술을 받았던 환자 211례를 대상으로 하여, 정상군 191례와 잔류단락군 20례로 분류한 다음, 잔류단락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알아 보았다. 전체환자에서 연령분포는 7개월에서 39세까지로 평균년령은 5.6세였고, 남녀비는 1:0.61로 남자가 많았다. 수술시행년도에 따른 술 후 잔류단락의 발생률을 살펴보면, '89년도 21.4%, '90년도 6.2%, '91년도 8.5%, '92년도 6.5%, '93년도 8.9%로서 '90년도 이후에 비하여 '89년도에 유의하게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심실중격결손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정상군에서는 중격결손의 평균직경 6.3$\pm$3.6mm,잔류단락쿤에서는 평균직경 10.6$\pm$5.7mm로써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폐-체혈압비와 평균 폐동맥압이 잔류단락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잔류단락군에서 술후 정기적 일심초음파검 사에 의한 추적관찰을 실시하여 얻어진 성적을 보면, 잔류단락은 모두 혈류역학적인 의의가 없는 작은 크기 였고, 잔류단락에 따른 재수술례는 없었다. 그리고 추적관찰 기간중 잔류단락의 자연폐쇄가 9례에서 확인되었다. 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residual interventricular shunt following surgical closure of the isolated ventricular septal defect. From January 1989 through December 1993, 211 patients underwent surgical closure of the isolated ventricular septal defect. All patients had 2D-Echocardlo-graphic study after operation to rule out residual ventricular septal defect. There was a 9.5% incidence of a definite residual shunt. The typ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closure method of the defect and cardiopulmonary bypass tim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su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6.3 $\pm$ 3.7mm versus 10.6 $\pm$ 5.8mm : p : 0.0034), aortic cross-clamping time(32.6 $\pm$ 15.0 minutes versus 48.5 $\pm$ 20.0 minutes, p : 0.0003), pulmonary-to-systemic pressure ratio(0.31 $\pm$ 0.22 versus 0.51 $\pm$ 0.33, p=0.019) and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20.3 $\pm$ 11.9 mmHg versus 29.1 $\pm$ 16.2 mmHg, p : 0.009) were meaningful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9 insta ces of spontaneous closure of the residual shunts at mean 21 months of following up (ranged 1 ~43 months).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siz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aortic cross-clamping time and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occurance of residual ventricular septal defect.

      • KCI등재

        자활참여자들의 탈수급 이후의 삶의 경험에 대한종단적 질적 연구: 탈수급 경로와 빈곤경험 맥락에 따른 다섯가지 사례연구

        조준용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life after welfare for the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who had been conditional welfare recipien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five case studies based on twelve-year-long(2006-2018), three-wave longitudinal qualitative interviews. The outcome from within case analysis suggests three types of lives after welfare : repetitive recipient, vulnerable welfare exit, and sustainable welfare exit. On the other hand, the outcome from between case analysis shows four aspects of experiences: ambivalence, unfit for life and fixation of poverty, less eligibility and conditions for welfare exit. Such research outcomes based on the insider’s perspective can promote the reflection in current social programs which are emphasizing welfare exit but shy of sustaining better living conditions for the poor. 본 연구의 목적은 조건부 수급자였던 자활참여자들의 탈수급 경로와 빈곤경험 맥락에 대한 집합적 사례연구를 통해, 이들의 탈수급 이후의 삶(Life after welfare)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지난 12년간(2006~2018) 세 차례의 웨이브에 걸쳐 실시한 종단적 질적 면접을 분석하여, 탈수급 이후의 경로의 경계가 뚜렷한 다섯 사례를 선정하였다. 사례내 분석 결과 이들은 탈수급 이후 빈곤을 재경험하는 ‘반복적 수급’, 경계선에서 탈수급을 유지하는 ‘취약한 탈수급’, 지속적인 소득유지와 자녀취업을 통한 ‘지속형 탈수급’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사례간의 통합 분석 결과, 자활사업 경험에 대한 통찰적 인식은 ‘양가감정’으로 나타났고, 빈곤 경험에 대한 통찰적 인식은 ‘어긋난 톱니바퀴’와 ‘빈곤의 대물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탈수급 이후의 삶의 경험의 본질에 대한 인식은 ‘열등처우의 삶’으로 드러났으며, 탈빈곤 조건으로 ‘전문성 있는 지원’과 ‘일이 가능한 상황’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활참여자들의 탈수급을 성공으로 보아왔던 외부자적 평가와 달리, 탈수급 이후에도 여전히 열등처우의 삶을 살고 있는 내부자 시각을 보여주어, 향후 탈빈곤 정책의 지향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기준중위소득 방식을 반영한 보장시설생계급여 지급기준 논리 구성과 시설균등화지수 합리화에 따른 급여수준

        조준용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livelihood benefits for the institutionalized recipients under the renewed custom-tailored benefit system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NBLSS) and to present appropriate level of benefits in terms of coherency of the system. In July 2015, the NBLSS was reformed to adopt a relative level of benefit standard for the general recipients according to certain amount of ratio of standard median income. However, the benefit for the institutionalized recipients was still based on the cost of necessities of absolute poverty level. It is at this juncture that this study suggests livelihood benefits for the institutionalized recipients reflect standard median income to comply with the reform of the NBLS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ly derives basic living items for the institutionalized recipient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GI. Secondly, it calculates the reflection ratio of livelihood benefits utilizing Household Trend Survey’s consumption data under 40%. Finally, it applies equivalence scale of households to adjust the under-represented scale for large size institutions. To continue the reflection ratio metho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sumption trends and the stability of the reflection ratio periodically.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맞춤형 개별급여체계로의 개편에 따른 보장시설 생계급여 지급기준 논리구성을 논의하고, 시설생계급여 수준을 제도의 정합성 차원에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5년 7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편에 따라, 일반수급자에게는 기준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에 따른 맞춤형 개별급여 지급기준이 설정되었다. 하지만, 보장시설에서 생활하는 시설수급자들에 대해서는 기존의 필수비목 비용을 반영한 절대적 최저생계비 개념이 적용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 취지에 맞도록 시설생계급여 지급기준을 기준중위소득과 연동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시설수급자의 생계비목을 문헌연구와 FGI를 통해 도출하고, 둘째, 가계동향조사 4분위 이하 소비자료를 통해 일반생계급여의 반영비를 구하였다. 셋째, 대규모 시설에 불합리하게 적용되었던 시설규모별 균등화지수를 재조정한 뒤, 2019년 시설생계급여를 산출하였다. 향후 이러한 반영비 방식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생계비 비목의 소비성향 변화와 반영비의 안정성을 정기적으로 검토해나가야 하는 과제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