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구선수의 Detraining과 Retraining이 혈청지질 및 호르몬농도에 미치는 영향

        정정화,박재현,채종훈,성혜련,황지인,윤미숙,노금선,윤종관,윤영학,노순덕,정경숙,박일규,김은희,박현태,박상갑 대한스포츠의학회 1999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training and retraining on serum lipid and hormones in soccer players. Subjects were seven male high-school soccer players. V˙O_2max was determined for each subjects by administering a treadmill test(initial speed: 90m/min, grade: 5%, increasing speed per 3 min: 30m/min). Serum lipid(T-C, TG, HDL-C LDL-C) and hormones(epinephrine, norepinephrine, growth hormones, cortisol) were assayed pre and post detraining in 10, 20, 30 days after retraining. The repeated ANOVA was us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was as critical level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V˙O_2max(ml/min) were 3576.3±204.2ml/min pre detraining, 3234.1±198.9 ml/min post detraining. There are significant(p<.05)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detraining. In 10, 20, 30 days after retraining, V˙O_2max(ml/min) were 3601.4±170.9 ml/min. There were significantly(p<.05) increased in retraining periods. 2. V˙O_2max(ml/kg/min) were significantly(p<.05) decreased from 62.3±2.9 ml/kg/min to 55.9±4.7 ml/kg/min in detraining. In 10, 20, 30 days after retraining, V˙O_2max(ml/kg/min) were 62.4±3.4ml/kg/min, 62.7±2.3ml.kg/min, 67.3±7.2ml/kg/min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ly(p<.05) increased in retraining periods. 3. T-C were significantly (p<.05) increased from 166.6±8.5mg/dl to 175.3±10.3 mg/dl in detraining. In 10, 20, 30 days after retraining, T-C were 160.1± 3.2mg/dl, 156.7±3.7mg/dl, 140.3±9.0mg/dl. There were significantly(p<.05) decreased in retraining periods. 4. HDL-C were 61.4±6.6mg/di pre detraining, 5.3±6.6mg/dl post detraining. There are significant(p<.05)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detraining. In 10, 20, 30 days after retraining, HDL-C were 56.9±7.1mg/dl, 56.4±9.2mg/dl, 57.7±9.1mg/dl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raining periods. 5. The hormones(epinephrine. norepinephrine, growth hormone, cortisol) were changed as same patterns. Epinephrine were 26.0±7.0[g/ml pre detraining, 24.6±3.2pg/ml post detraining. In 10, 20, 30 days after retraining, epinephrine were 26.9±5.6pg/ml, 30.6±6.2pg/ml, 29.4±5.6pg/ml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raining periods. In conclusion, HDL-C, epinephrine, norepinephrine, growth hormone and cortisol were decreased, T-C, LDL-C and TG were increased in detraining. But HDL-C, epinephrine, norepinephrine, growth hormone and cortisol were increased, T-C, LDL-C and TG were decreased in retraining.

      • KCI등재

        상악 절치부-토크에 의한 치아 이동과 응력 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윤현주,임용규,이동렬,조영수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상악 절치부에 active 토크가 가해졌을 경우, 교정력을 직접 받은 치아와 인접 치아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상악 치아 및 치조골의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고, stainless steel, NiTi, TMA 세 종류의 각형 호선을 육면체 요소로 모델링하여 유한요소 모델을 완성하였다. 호선이 브라켓에 삽입되었을 때 브라켓에 발생하는 반력과 모멘트를 구하였고, 이것을 유한 요소 모델에 적용하여 각 치아의 변위와 응력 분포를 측정하였다. 브라켓에 발생하는 반력은 근원심 방향과 협설 방향으로의 힘은 0에 가까우며, 중절치, 측절치, 견치의 브라켓 근심측에서는 정출력이 원심측에서는 압하력이 발생하였다. 힘과 모멘트의 크기는 측절치에서 최대였고, 중절치, 견치 순으로 감소하였고,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 부위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중절치와 측절치는 치관 협측, 원심 경사 이동과 압하를 보였으며, 견치는 치관 설측 원심 경사와 정출을 보였고, 제1소구치는 치관 설측 경사이동을 보였다. .019×.025 SS을 사용하여 상악 절치부에 토크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측절치에 과도한 힘이 집중되므로, 임상에서 토크를 조절할 경우에는 NiTi나 TMA 호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fate the stress distribtion in the periodontal tissue and the displacement of teeth when active torque was applied to the maxillary incisors by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consisted of the maxillary teeth and surrounding periodontal membrane, .022×.028 Roth prescription bracket and stainless steel. NiTi and TMA rectangular ideal arch wires which were modeled by hexahedron elements. Applied active torques were 2, 5 and 10 degre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bracket was the extrusion force on the mesial side of the incisors and canine and the intrusion force on the distal side of the incisors and canine.The amount of force and moment was greatest at the lateral incisor. When active anterior labial crown torque was applied, labial crown and distal tipping and intrusion of the incisors took place, and lingual crown distal tipping and extrusion of the canin occured. An excessive force was concentrated on the lateral incisor, when the stainless steel wire was used. NiTi or TMA wire os desirable for torque control.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성견에서 표면처리된 교정용 마이크로임플랜트의 골 접촉률 및 동요도

        박승현,김성훈,류준하,강윤구,정규림,국윤아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obility and ratio of the bone-implant contact (BIC) of a 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etched (SLA) orthodontic micro-implant. Methods: Ninety-six micro-implants (48 SLA and 48 machined) were implanted in the upper and lower buccal alveolar bone, and palatal bone of four beagle dogs. Two weeks after surgery, orthodontic force (150 - 200 g) was applied. Two beagles were sacrificed at 4-weeks and the other two at 12-weeks. Histomorphometric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SLA experimental group and the machined micro-implant as a control group to determine the ratio of contact between the bone and implant. Micro-implant mobility was also evaluated using Periotest. Results: Periotest valu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pper alveolar and palatal bone between groups except for the lower buccal area. BIC in the upper buccal are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oth at 4-weeks and 12-weeks. However, both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C ratio in the rest of the experimental areas between 4 weeks and 12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ctive bone remodeling around the bone-implant interfa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IC and the Periotest values between the surface-treated and machined micro-implants according to bone quality in the early stage. 본 연구는 비글견에 식립된 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etched (SLA) 표면처리된 교정용 마이크로임플랜트와 평활면 마이크로임플랜트에 교정력을 가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동요도와 골접촉률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비글 성견 네 마리를 이용하여 상, 하악 협측과 구개측 골에 대해 SLA 표면처리된 표면처리군 48개, 평활면의 비처리군 48개의 마이크로임플랜트 96개를 식립하고 2주의 치유기간 후 교정력(150 - 200 g)을 지속적으로 가했으며 식립 4주 후에 두 마리를 희생시키고, 12주 후에 나머지 2마리를 희생시켰다. 표면처리군과 비처리군 간의 마이크로 임플랜트의 동요도와 골과 임플랜트 간 접촉률을 조직학적인 측면에서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상악 협측과 구개측에서는 표면처리군과 비처리군의 동요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협측에서는 표면처리군이 유의하게 안정적인 동요도를 보였다. 마이크로임플랜트와 인접골 간 접촉률은 상악 협측에서는 4주와 12주 모두 표면처리군과 비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 협측과 구개측의 경우 4주와 12주 모두 표면처리군이 비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접촉률을 보였다. 표면처리군은 비처리군에 비해 임플랜트 주변에서 활발한 골개조가 관찰되었으며 모든 군에서 이물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SLA 표면처리된 마이크로임플랜트는 평활면 마이크로임플랜트에 비하여 식립 초기에는 식립 부위에 따라 유의하게 높은 인접골 간 접촉률과 동요도의 안정성을 보임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방향의 교정력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 한정 액세스 수신 기술 동향

        류영규,윤호선,조현숙,염흥열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1999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5 No.2

        방송에서의 제한 수신 시스템 (CAS) 은 모든 수신자에게 방송 정보를 수신토록 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 권한(Entitlement) 이 있는 수신자만이 특정 방송 채널의 수신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이다. 비용의 절감. 세계 시장 규모의 확대, 장비의 호환성 등의 이유 때문에 각 나라뿐만 아니라, 국제적 표준안을 규정 및 연구해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OPIMA, ARIB, DVB, ETSI, ITU에서 사용된 방송용 한정 액세스의 표준화를 동향을 살펴본다.

      • KCI등재후보

        납노출지표와 적혈구내 protein kinase C 활성도의 연관성

        황규윤,황보영,안현철,김용배,리갑수,이성수,안규동,이병국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Protein kinase C는 칼슘-인지질 의존형인산화 효소로 'H VJ'tfO에서 납에 의하여 활성화되지만, 납에 노출된 인체내에서 그 영향을 평가한 경우는 얼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납에 직업적으로 노출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납 노출이 적혈구막의 단백질내에서 PKC 활성에 의한 인산화 수준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부터 국내 납 근로자를 대상으로 납에 의한 건강 영향조사가 4년간의 코호트 연구로 실행하였다. 1차년도에 630명의 납 근로자와 135명의대조군이 조사되었고 이들중 본 연구에서는 직업적노출이 되는 사업장에 근무하는 212명의 근로자를대상하였다. 156명의 남자와 56명의 여자 근로자를 대상으로 인구학적, 과거병력, 직업력 등을 구조화된 설문과 면접으로 조사되었고 납 노출 평가는 혈중 납농도 및 ZPP, 경골중 납농도를 측정하였다. PKC의 활성도는 적혈구막 단백질내 PKC 의존형인산화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적혈구막 단백질인spectrin과 band 4.9의 후인산화수준을 측정하여각 납 노출지표(혈중 납, ZPP, 경골중 납. 노출기간)와의 관련성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자의 평균(SD) 연령은39.1(10.0)세, 근무기간은 8.1(6.5)년 이었으며, 경골중 납농도는 범위가 0.8에서 290.8 trg Pb/gbone mineral로 평근(SD) 34.4(35.2) rig Pb/gbone mineral이었다. 적혈구막 단백질의 후인산화수준은 개인간 변이가 매우 컸으며, spectrin은 평균(SD) 540 7(304.1), band 4.9 SfkDa는198.6(78.2), 48 kDa는 247.7(83.3) PSL이었다.경골중 납농도와 노출 기간은 이들 후인산화 수준과역상관성을 보였으나(p(0.05), 혈중 납 농도와 ZPP는 상관성이 없었다(p)0.05). 가능성 있는 혼란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경골중 납 농도와 노출기간은 이들 후인산화수준과 유의한 회귀계수를 나타내었다. 결론 : 만성적 납 노출에 의하여 적혈구내 PKC활성도는 영향을 받아 증가되어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적혈구막 단백질의 인산화수준은 납의 노출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납의 신경독성은 부분적으로 PKC의 활성도왁 관련되어 있을 기전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PfC 활성도와 신경행동학적 기능과의 관련성 평가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Protein kinase C(PKC) , a calcium and phospholipid dependent enzyme, is activated by lead in vitro at picomolar concentrations. However, the effect of lead on PKC has never been studied in a human popul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lead exposure was associated with PKC mediated-phosphorylation in erythrocytes among lead workers. Methods : Two hundred and twelve lead workers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phosphorylation ir vivo, an in vivo back phosphorylation technique was used by adding PKC and γ-32P to preparations of erythrocyte membranes. We measured back phosphorylations of erythrocyte membrane proteins, spectrin, and 52 kDa and 48 kDa, as an indirect measure of PKC activation if vivo. Results : The mean(SD) age and exposure duration was 39.1(10.0) years and 8.1(6.5) years, respectively. Tibial lead ranged from 0.8 to 290.8 μg Pb/g bone mineral with a mean (SD) of 34.4(35.2) μg Pb/g bone mineral. The means(SD) of back phosphorylation levels of the three proteins were 540.7(304.1), 198.6(78.2), and 247.7(83.3)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units (PSL), respectively, by phosphoimager.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tibial lead and exposure duration were significantly and inversely associated with back phosphorylation levels. One unit of increase in tibial lead (1 μg Pb/g bone mineral) is associated with a decline in spectrin, band 4.9 52 kDa, and band 4.9 48 kDa back phosphorylation levels by 1.4(p〈0.05), 0.34(p〈0.05), and 0.47(p〈0.01),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associations between the back phosphorylation levels and either blood lead or ZPP levels.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KC activity in erythrocytes is increased by chronic lead exposure and that erythrocyte membrane protein phosphorylation may be a biomarker of lead expos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