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성훈,이계욱,박정미,이영희,김정문,Seong Hoon Kim,허동민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11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3 No.2
Objectives: 만성 요통 환자에 대한 교감신경 피부반응의 신경전도검사와 임상증상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는 만성 요통 환자에서의 자율신경계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상지에서의 교감신경 피부반응 검사를 시행하여 만성요통에서 자율신경계 기능부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교감신경 피부반응과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교감신경 피부반응검사가 통상적인 근전도 검사에 부가적으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Methods: 본 연구에서는 3개월 이상의 이환 기간을 가진 만성요통환자 23명과 건강한 성인 23명을 대상으로 이학적 검사, 통증에 대한 시각적 상사척도, 일반 X 선 촬영, 컴퓨터 단층촬영 혹은 자기공명영상 촬영, 통상적인 침근전도 검사와 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자율신경계에 대한 교감신경 피부반응검사를 시행하였다. Results: 교감신경 피부반응에 대한 각군간의 비교에서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진폭은 유의하게 감소된 소견을 보였으나(p<0.05), 잠시와 지속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근전도 검사 소견에 따른 교감신경 피부반응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신경근병변과 정상 근전도 소견을 보인 두 군간에 교감신경 피부반응은 신경근병변 환자에서 잠시와 진폭이 감소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Conclusion: 본 연구는 만성요통 환자에서 만성요통 각각의 임상적 특징에 따른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은영,김진석,이상철,김용균,임상희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12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4 No.2
목적: 수근관 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후 초음파 검사를 통한 정중신경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고, 초음파 검사를 통해 주사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임상증상, 전기진단학적 검사 또는 초음파 검사에서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된 15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40 mg의 triamcinolone acetonide 주사 치료를 받았으며, 주사 전과 주사 후 1주, 4주, 12주에 주사 효과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평가 지표는 시각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 하였고, 초음파 검사를 통한 정중신경의 단면적(cross-sectional area, CSA), 전기진단학적 검사를 통한 정중운동 및 감각신경의 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하였다. Repeated ANOVA test를 이용하여 12주까지 시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였고, 주사치료 전과 각 시기별 임상증상, 정중신경의 단면적, 전기진단학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Spearman’s rank test를 이용하여 주사 치료 전 정중신경의 단면적과 전기진단학적 소견이 임상증상의 변화 정도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주사 전과 비교하였을 때, 정중신경의 단면적 및 전기 진단학적 소견 모두가 12주까지 시간에 따른 호전을 보였으며(p<0.05), 시각상사척도와 전기진단학적 검사상 정중 감각 신경의 생리학적 호전 은 주사 후 1주부터, 정중 운동 신경의 생리학적 호전은 주사 후 4주부터, 초음파 검사상 정중신경의 단면적의 변화는 주사 후 12주부터 관찰되었다. 주사 전 정중신경의 단면적이 넓을수록, 정중운동신경진폭이 작을수록 주사 후 시각상사척도의 변화 정도가 크게 관찰되었다(p<0.05). 결론: 수근관 증후군에서 전기 진단학적 소견의 변화뿐 아니라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단면적 측정은 주사치료의 반응을 추적 관찰하고, 효과를 예측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수근관 증후군에서 손 올리기 검사의 유용성과 전기 진단검사와의 상관성
고영진,김혜원,이종인,임선,오주선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09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1 No.1
목적: 수근관 증후군을 진단하는 유발검사로 손 올리기 검사, 티넬 검사, 팔렌 검사 등을 시행하여 각 검사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조사하였고 전기 진단학적 검사를 하여 수근관 증후군의 중증도에 따른 각 유발 검사의 민감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방법: 수근관 증후군 증상을 호소하는 126수에서 손 올리기 검사, 티넬 검사 및 팔렌 검사 등을 시행하였고정상 대조군 126수에서도 같은 검사를 시행하여 각 유발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하였다. 수근관 증후군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 전기 진단검사를 시행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진단하고 수근관 증후군의 전기 진 단학적 중증도에 따른 각 유발 검사의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손 올리기 검사는 티넬과 팔렌 유발 검사보다 민감도 및 특이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손 올리기 검사의 민감도는 수근관 증후군을 전기 진단검사로 진단했을 때의 중증도와 잘 일치하여 질환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민감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손 올리기 검사는 수근관 증후군을 진단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유발 검사법이다.
이현정,Min Ingi,Lee Hyun Sung,Kim Kee-Won,Hyun Sung Eun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22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24 No.3
Thoracic outlet syndrome (TOS) occurs due to compression of the neurovascular bundle exiting the thoracic outlet, through which the brachial plexus and subclavian vessels pass. Here, we report a case of venous TOS combined with brachial neuritis, which was caused by axillary lymphadenopathy after the first dose of the BNT162b2 vaccine against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 17-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left upper extremity swelling and pain after inoculation with the BNT162b2 vaccine in the left deltoid muscle. Contrast-enhanced brachial plex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severe swelling of the left axillary and subclavian lymph nodes, which lie immediately above the subclavian vein. An electrodiagnostic study revealed left brachial plexopathy, mainly involving the lower trunk with mixed demyelinating and axonal injury. The patient received intravenous steroid pulse therapy and oral steroid therapy. A follow-up examination showed complete recovery of muscle strength and function, pain, and swelling in the left upper extremity within 3 months after vaccination against COVID-19.
Lee Eun Ji,Shin Dong Jae,Ko Young Jin,Jun So Yeon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22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24 No.3
Myotonic dystrophy type 1 (DM1) is a rare autosomal dominant disorder with various phenotypes involving multiple systems. Stroke co-occurrence in DM1 is rare, but can cause severe dysfunction in a patient’s quality of life. However, the mechanism of stroke in patients with DM1 is poorly understood. In this case report, we present a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DM1 while suffering from a brain embolic infarction due to antiphospholipid syndrome (APS). This is the first known case of DM1 with APS. The coexistence of these two multisystem diseases may make the diagnosis difficult, and there is the possibility of symptoms involving multiple organ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the coexistence of autoimmune disease and stroke in DM1 patients based on this rare case of a DM1 patient with stroke and an autoimmune disease.
Postoperative Lumbar Plexopathy Secondary to Retroperitoneal Liposarcoma: A Case Report
Kim Kyungmin,Uhm Kyeong Eun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22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24 No.3
Liposarcoma is a rare malignancy that usually originates in the extremities or the retroperitoneum. The lumbar plexus, a complex neural network formed by divisions of the first four lumbar roots, penetrates the psoas muscle before it exits the pelvis. Owing to their anatomical proximity, neoplasms in the vicinity of the psoas muscle may involve the lumbar plexus. We report a case of postoperative lumbar plexopathy involving the posterior divisions of the lumbar plexus, following the resection of a recurrent retroperitoneal liposarcoma located in the dorsal aspect of the psoas muscle. A 50-year-old man visited a rehabilitation clinic for an evaluation of proximal weakness of the unilateral lower extremity after resection of a recurrent liposarcoma of the left psoas muscle. Physical examination showed weakness of left hip flexion and knee extension accompanied by sensory loss in the left anteromedial thigh and the medial lower leg. An electrophysiological study revealed left lumbar plexopathy with selective involvement of the posterior divisions of the lumbar plexus. The patient could walk independently without a walking aid on level surfaces while he underwent exercise therapy. A comprehensive evaluation, including a physical examination, the use of imaging modalities such as computed tomography for anatomical characterization, and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is important for accurate diagnosis.
Chronic Musculocutaneous Nerve Injury: An Important Differential in Progressive Arm Atrophy
Younas Umer,Khalil Muhammad Tawab,Yasmeen Rehana,Shafiq Omar,Irshad Imran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22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24 No.3
An isolated musculocutaneous nerve (MCN) injury is a rare condition that can be easily missed if it presents late. A 28-year-old man reported painless and progressive wasting of the right arm for 6 months. On examination, there was visible wasting of the right biceps brachii muscle along with its slight weakness, depressed biceps jerk, and an impaired pinprick sensation in the later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distribution. He described a history of a road traffic accident 14 months beforehand. Based on the history and clinical examinati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ed an isolated MCN injury, upper trunk plexopathy, lateral cord plexopathy, C5/6 radiculopathy, and monomelic amyotrophy involving the C5/6 myotomes on the right side. The results of nerve conduction studies and electromyography were consistent with chronic proximal MCN neuropathy (right). In cases of arm wasting without pain or numbness, MCN injury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even in the presence of good power of the elbow flexors. The importance of detailed history-taking and clinical correlation cannot be over-emphasized in such cases.
오지영,정연경,박기덕,김승민,선우일남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09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1 No.2
Muscle hypertrophy can occur unusually in various neurogenic disorders even muscle atrophy is the rule. Focal neurogenic calf muscle hypertrophy with lumbosacral radiculopathies has been frequently reported, and less often with old poliomyelitis. We report a case of neurogenic calf muscle hypertrophy after focal injury of peripheral nerve. The patient is a 10 year-old boy with progressive hypertrophy of the left calf muscle for 6 months. He had a lacerating nerve injury in the left popliteal fossa 3 years before. He underwent surgical repair, but mild weakness of the left ankle and toes was remained. Neur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mild weakness of left ankl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and sensory loss in the left sole and lateral aspect of the calf. Left ankle jerk was absent. Nerve conduction study and electromyography disclosed incomplete lesions of the left common peroneal and posterior tibial nerves at the popliteal fossa without compound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 of the left sural nerve. Though neurogenic muscle hypertrophy is a rare clinical entity, physicians should consider thi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localized muscle hypertrophy.
김상준,권정이,강민재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13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5 No.2
본 저자들은 쇄골 상하부에 걸쳐 위치한 상완신경총 종양을 갖고 있으면서, 근전도 검사 결과 상 단신경병증 유형을 보였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좌측 상지의 저린감을 주소로 내원한 37세 여자 환자가 근전도실을 방문하였다. 시행한 신경근전도 검사 상 좌측 요골감각신경 활동전위 반응크기 감소 외에 다른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았으나 자기공명영상 검사 상 상완신경총 전반에 걸쳐 위치한 신경초종으로 진단되었다. 따라서 신경초종이 상완신경총 전반에 걸쳐 위치하여도, 신경근전도 검사 상 침범정도는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방암 환자에서 액와 림프절 제거술 후 발생한 내측전완피부신경 손상: 증례보고
김다솔,원유희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19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21 No.2
Various complications of breast cancer surgery and axillary dissection have been reported, of which arm pain and sensory abnormality was reported mainly due to intercostobrachial nerve injury. We have experienced a rare case of medial forearm pain and numbness due to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MACN) injury after axillary dissection. A 49-year old woman was consulted to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for pain and numbness at medial side of left forearm after wide local excision of left breast cancer and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Sensory examination showed paresthesia and hypesthesia of left medial forearm although manual muscle test of left upper extremity was relatively normal. On sensory nerve conduction studies, the amplitude of left MACN decreased to 30% of right side. The motor nerve conduction studies and needle electromyography showed no abnormal finding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left MACN injury, and treated with medication and physical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