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논문 : 중소기업 정책자금 고용효과의 지속성 분석

        노용환 ( Yong Hwan Noh ),주무현 ( Moo Hyeon Joo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2 中小企業硏究 Vol.34 No.2

        이 연구는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사업」의 고용효과 분석을 통해 동 자금지원 사업이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의 해결방안으로 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대부분 정책금융 고용성과 분석은 정책금융기관의 입장에서 소규모 표본 설문조사나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간접적 고용효과 추정에 머물러 있어 지나치게 공급자 입장만을 대변한다는 의문의 시각이 많은 것이 사실이었다. 또한 고용성과가 순수하게 정책자금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정책자금 지원이 없었다 해도 거둘 수 있었을 것인지를 구분하지 못하는데서 발생하는 선택편이(selection bias)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는 비판을 더할 수 있다. 반면에 이 연구는 처음으로 정책자금이 집행된 제조업, 도소매업, 서비스업 등 전 산업에 속하는 2만 5천여 개의 대표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책자금 이용 기업 및 비이용 기업의 재무자료와 고용보험 DB의 상용근로자수 기준 고용통계 수집을 통해 미시경제적 관점에서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사업」의 고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보다 강건한 고용효과의 도출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이중차감법을 통한 분석, Heckman류의 2단계 추정을 통한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정책자금 신청기업 중 채택기업을 처리집단으로, 탈락기업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단순 이중차감방식으로 분석한 정책자금의 업체별 고용효과는 1년 후에 1.37명, 2년 후에 1.55명(누적치 기준), 3년 후에 1.84명(누적치 기준, 자금투입 1억 원당 0.5명) 수준으로 자금투입 초기에 집중되며, 3년 이후에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정책자금 이용기업이 정책자금을 이용하지 않았을 때 예상되는 성과와 정책자금을 이용한 경우에 얻은 성과의 차이인 평균 고용효과는 3년 후 0.12명에 불과하여 고용의 지속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대적으로 전기·전자·의료정밀·영상음향·통신장비·광학기계 제조업이 고용효과가 높은 생산활동 부문으로 분석되었으며, 자금유형별 고용효과를 보면 단기고용효과는 긴급경영안정자금이, 중장기 고용효과는 개발기술사업화자금, 신성장기반자금, 창업자금의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자금용도별 고용효과의 경우 단기에는 운전자금이 중장기에는 시설자금의 고용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정책자금 승인이 중소기업의 고용에 미치는 효과는 업력이 낮고 고용자수가 적은 소규모 기업에서, 그리고 초기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높은 미래 유망한 기업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기업의 담보수준과 부채비율 등 재무상태는 고용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책자금의 고용효과 증대를 위해서는 경기둔화시 운전자금의 투입증가를 통해 고용을 유지하고, 경기회복 이후에는 다시 중·장기적 고용증대의 견인을 위해 설비투자자금의 투입비중을 증가시켜야 한다. 아울러 정책자금 투입으로 증가한 고용의 지속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Since the Korean economy is considered as being trapped in a jobless economic growth stage, it is important to create jobs via implementing various economic policies. Among them,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policy loan on the SMEs in Korea is being operated in employment-friendly ways. Using a micro-econometrics analysis, we compare the performance between treated and controlled establishments to calculate the employment impact. While the employment effects using an input-output table of a central bank in the perspective of macro-level public expenditure have an indirect impact on the establishments which have used policy loans, micro analysis could generate a direct impact on employment in the participating establishments relative to the non-participants. This study focuses only on the loans associated with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Corporation`` (SBC), which is a non-profit public organization established to implement such government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SMEs. Regarding this program, it is well known that commercial banks are reluctant to serve SMEs. This is mainly due to lenders` incomplete information about SMEs and the firms` lack of collateral to secure commercial loans. Policy loans for SMEs, therefore, are implemented to compensate commercial banks` losses and take inherent risks, while keeping borrowing rates low relative to the commercial rate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job-creation effects of the policy loans in the following ways: First, we use an establishment-level employment insurance database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or the employment effects evaluation. Second, to cure a potential bias from treatment selection conditional on observed variables due to the effects of unobserved variables, we first introduce a simple two-period, two-group comparison associated with the employment effect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government programs, which is well known as the ``difference in difference`` (DID) method. Third, since we do not know outcomes for untreated when it is under treatment, and for treated when it is not under treatment, individual performance cannot be observed simultaneously. Thus, we estimate the employment effect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treat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relevant policy and that of a similar control group. Forth, we propose strategies for increasing jobs with the support of policy loans for SMEs. Analyzing the effect of SME policy funds on employment, we extracted 25,613 establishments out of the establishments that applied for policy-loans between 2005~2010. To control for double support, the sample is restricted to the establishments that applied only once to the policy loan. The employment effect of the beneficiary establishments of the SBC policy funds is analyzed to see the T+1 year, T+2 year and T+3 year,starting from target year (T). After the policy fund support, within the three years of the research period, the result clearly shows that the number of average employees of participant establishments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non-participants. According to a simple DID analysis, the average number of employees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by 1.84 persons after three years from receiving the policy loan compared with non-participants. This effect, however, seems to be a short-run phenomena as we have difficulty finding evidence of employment sustainability associated with policy loans. This result is robust with the Heckman (1976) type of adoption and usage models. It is also investigated that the employment effects are higher in the industries such as electronic components and precision instruments than other industries. The short-run effects are higher in policy loans associated with the management stabilization, while the long-run effects observed in loans associated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R&D results, foundations of new economic growth, and venture business start-ups. It was also found that in the short run, working funds are an effective way of maintaining and increasing employment rather than plant and equipment investment, and vice versa. The effect of approved policy loan on employment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irm age and its size, while i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eturn on net sales. It also found that the collateral and debt ration of establishment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establishments` employment. SME financing from the public sector seems to be essential. It has been shown that, at the minimum, there exist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fund and its effectiveness on employment in the short run. Our results also imply that when providing policy loans to increase the employees, it is more desirable to target young prospective SMEs rather than matured firms in terms of firm size and age. Lending to SMEs via commercial banks is decreased in a recession phase, while increased in the expansion phase, causing excess investment. Policy loans can play a pivotal role in alleviating this kind of co-movement between commercial loans to SMEs and the business cycle. In particular, for maintaining and increasing employment of SMEs, policy loans in the recession phase should be concentrated on short-run working funds, while those in the expansion phase should be concentrated on long-run plant and equipment investment. This paper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including the introduction. In section 2, we introduce the methodology and the description of data used in the paper. In section 3, we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policy loans on the establishments` employment using micro level pooled data. The last section concludes the paper by providing policy recommendations to reinforce the employment effect of loans from the public sector.

      • KCI등재

        정치의 원인으로서의 공공정책:정책중심적 관점의 정책학적 함의

        구현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3 行政論叢 Vol.51 No.3

        Public policy and political science are closely related. However, public policy has been regarded as an epiphenomenal phenomenon in political science. From this view, public policy is an outcome of politics that reflects political change. This was not able to be an important causal force of politics but we now need to change the causal chain. The new wave of political science known as the “policy-centered perspective”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Public policy is not so much a political outcome as an important causal factor of politics seen in the context of the policy-centered perspective. Regarding the important aspects of public policy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is paper examined the costs and benefits of public policy, the interest arrangement of public policy, the visibility and proximity of public policy, and the symbolic expressive aspect of public policy. Based on these arguments, this paper examined the feedback effects that public policy uses to structure the subsequent political process in terms of the strategies of political elites as blame avoidance, endogenous and exogenous interest group resources, and the various dimensions of public policy effects influencing public opinion. Ultimately, the feedback effects of public policy are embodied in positive feedback effects leading to policy persistence and negative feedback effects leading to policy change.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d a future research projects in terms of Harold Lasswell’s “policy science for democracy" based on these arguments. 공공정책과 정치학은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러나 그동안 정치학은 공공정책을 정치과정의 ‘부수적인’ 현상 정도로 치부해왔다. 그들에게 있어 정책은 정치의 변화를 반영한 단순한 결과물일 뿐이고, 그 자체가 중요한 ‘원인력’이 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인과관계의 고리를 바꿀 필요가 있다는 상당한 근거가 있다. “정책중심적 관점”이라고 불리는 정치학의 새로운 조류는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정책중심적 관점의 맥락에서 공공정책은 정치의 산물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정치 그 자체를 바꾸는 핵심적인 인과요인으로 기능한다. 정치의 독립변수로서 공공정책의 중요한 양태로 본 논문은 정책의 편익과 비용의 집중・분산 여부로 나타나는 정책의 유인 구조, 이해관계의 배열, 정책의 가시성과 근접성으로 구체화되는 정책의 효과, 그리고 사회구성주의에서 강조하는 정책의 ‘보여지는’ 상징적 측면에 대해 차례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공공정책이 후속 정치과정을 구조화하는 ‘환류 효과’를 비난 회피라는 정치엘리트들의 전략, 이익집단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내생적・외생적 자원, 그리고 일반대중의 여론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효과의 다양한 차원에 대해 차례로 살펴보았다. 정책의 환류 효과는 궁극적으로는 정책의 지속성으로 이어지는 ‘긍정적 환류 효과’와 정책의 변동으로 이어지는 ‘부정적 환류 효과’로 구체화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들을 토대로 결론에서는 Harold Lasswell이 말한 “민주주의 정책학”을 위해 정책중심적 관점이 기여할 수 있는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박근혜정부 복지정책의 비용추정 및 경제적 효과 분석

        조경엽(Gyeong Lyeob Cho),유진성(Jin Sung Yoo) 한국경제연구원 2013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3 No.03

        Ⅰ. 서론 ▶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제시한 복지정책을 대상으로 향후 5년 동안의 복지정책에 소요되는 추가 비용을 추정 - 대통령인수위원회에서 제시된 대부분의 정책이 매우 간략하고 개괄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비용추정 시 몇 가지 가정을 적용 ▪ 추진 일정이 구체화되지 않은 경우 단계적으로 시행한다고 가정 ▪ 정책내용이 모호한 경우 총선 및 대선에서 언급된 관련 정책이 실현되는 것을 가정 ▪ 비용의 부담주체가 정부가 아닌 경우이거나 부담주체가 불분명한 부분은 간접비용으로 나누어 제시 - 추정결과를 간략히 언급하면 간접비용을 제외한 직접비용은 향후 5년간 약 104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간접비용을 포함하면 157조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본 연구는 완전 동태적 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세부 복지정책을 소득분배와 효율성 측면에서 평가하고 정책의 우선순위를 함께 제시 - 동태적 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재정의 직간접적인 소득재분배효과와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분석하고 정책적 우선순위를 제시 - 세부 항목별 복지지출이 소득계층별 귀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설문조사에 기초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 소득계층별 수혜수준과는 괴리가 발생할 수 있음. -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복지정책을 세분화하고 소득재분배와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동시에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화 Ⅱ. 박근혜정부의 복지정책 비용 추정 ▶ 기본적으로 본 연구에서 추계하는 비용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제시한 복지공약으로 해당 복지공약이 시행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복지비용임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책과제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제적으로는 어려운 점이 있어 비용 추정 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가정을 적용 ▪ 복지정책의 시행년도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경우나 단계적으로 시행하겠다는 언급만 있을 경우에는 각 년도 별로 해당 복지정책의 시행이 단계적으로 진행되어 2017년에 완료되는 것으로 가정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복지과제의 내용이 모호하지만 관련 복지정책의 내용이 2012년 총선 및 대선의 복지공약에서 제시된 경우에는 관련 총선 혹은 대선에서 제시된 복지공약이 실현되는 것을 가정 ▪ 통계 및 자료의 사용은 2012년에 가장 가까운 것을 이용하되 그렇지 못한 경우 이용이 가능한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사용 ▪ 미래의 자연증가분을 가정 시 통계청으로부터 이용이 가능한 경우 통계청의 해당 자료를 사용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는 과거 3개년도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평균 증가율을 산정한 후 각 년도 별로 평균 증가율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 ▶ 박근혜정부의 복지정책과제 비용추계는 2013년 2월에 발표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안 박근혜정부 국정과제의 ‘국정목표 2 맞춤형 고용 복지’에 제시된 복지정책을 대상 - 맞춤형 고용 복지라고 명명된 두 번째 국정목표에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제공, 자립을 지원하는 복지체계 구축, 서민생활 및 고용안정 지원, 저출산 극복과 여성 경제활동의 확대 등을 위한 복지정책이 제시 - 추진전략 주요 내용들의 세부 정책과제를 취합한 후 국가재정운용계획의 복지부문 세부항목을 참조하여 복지과제를 재분류하고 각 분야의 복지비용을 추계(복지관련 교육항목은 따로 추가) ▶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발표한 복지정책 과제에 대한 추계결과를 요약하면 <표 1>과 같음. 인수위원회의 주요 복지정책과제에 소요되는 비용은 최소 5년간 104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간접비용까지 더하면 157조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대선과정에서 새누리당이 발표한 복지공약 소요비용은 134.5조원에 달하지만 대선 복지관련 공약과 관련하여 새누리당에서 발표한 비용은 5년간 약 73조 6,000억 원 정도인 것으로 판단 ▪ 대선 시 발표자료의 편안한 삶 28조, 일자리 관련 복지 2조, 교육 관련 복지 14.1조, 여성 가족 보육 23.5조, 농어촌 4.4조, 주택 0.4조, 장애인 0.9조 등을 포함1) ▪ 발표자료의 총선관련 복지 부분까지 포함하면 총 93조 7,000억 원으로 추정됨. - 본 연구의 추정치는 새누리당이 대선공약에서 발표한 복지관련 소요비용 74조 원보다 직접비용 고려시 약 30조 원, 간접비용 고려시 약 83조 원이 더 많은 수치 - 새누리당에서 발표한 대선 복지공약의 비용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나, ▪ 전반적으로 인수위원회의 복지정책과제가 그동안의 여론과 재원조달의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대선 복지 공약과 달라진 부분이 있다는 점, ▪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이용의 한계와 인수위 복지정책 내용의 모호성으로 인하여 가정을 This study attempts to estimate the cost of the welfare policies planned to be carried out dur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d analyzes the effect of the policies on the economy with respect to GDP and employment.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futur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welfare policies by evaluating and prioritizing the main welfare policies. The cost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welfare policies based on policy agenda, presented by the Transition Committee for President-elect Park Geun-hye, was estimated at 104 trillion KRW in terms of direct cost only, and at 157 trillion KRW including direct cost and indirect cost. With regards to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the study shows that the policy on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olicy was the most effective, followed by the policy on protection of vulnerable social groups. However, policies regarding free high school education, halving university tuition, expansion of coverage rate for the four major diseases, and expansion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were found to be not very effective. In terms of effects on GDP and employment, only the housing policy showed positive effects on both GDP and employment while the others showed negative effects. Basic livelihood security policy and protection of vulnerable social groups showed the least negative effects in relation to free high school education, halving university tuition, expansion of coverage rate for the four major diseases, and expansion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which showed relatively substantial negative effects. In order to improve income inequality while minimizing GDP loss, the Park administration needs to focus on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policy and protection of vulnerable social groups while increasing the expenditure on growth-friendly policies (e.g. housing policy) and decreasing the expenditure on the other welfare policies. As the study shows that free high school education, halving university tuition, expansion of coverage rate for the four major diseases, and expansion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have relatively low effects on income distribution and huge negative effects on GDP and employment, it is recommended to take slow approaches on the execution of such policies or reconsider the scopes of the welfare policies, giving low priorities to these policies.

      • KCI등재

        논 문 : 주택정책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참여정부를 중심으로-

        김주영 ( Ju Young Kim ),박경배 ( Kyung Bae Park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0 감정평가학논집 Vol.9 No.1

        This study analyze contents of participatory governments` housing policy and find out its stabilization effects from the viewpoint of housing prices. Housing policy usually focus on stabilization of housing prices because our housing market`s situation of excess housing demand. It divided governments` housing policies into 6 types and analysed contents or characteristics of prior government. According to analysis of government policy, policymakers usually uses different policy combinations even though they have same objectives. Housing policy of Participatory government usually rely on regulation policies and contents of that policy focus on control of speculative real estate behavior. Interrupted ARIMA model was constructed to find out what kind of policy was efficient for housing market stabilization. Main results like as follows. First, regulation policy may have a very limited effect from the viewpoint of its duration periods. Second, when it comes to market stabilization, comprehensive policy bring a more powerful effect than that of regulation policy. Third, mix of policies can brought more powerful effects to stabilize housing market. Although several policy implications, there is a limitation a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because of research data.

      • KCI우수등재

        동물보호 정책변동 과정의 시민참여 정책 환류 기제 연구: 자원효과와 해석효과를 중심으로

        주지예,박형준 한국행정학회 2019 韓國行政學報 Vol.53 No.2

        This paper explores the mechanism of policy feedback for mass politics and policy change through a case study of resource effects and interpretive effects of animal protection policy. Citizens have become a main policy actor si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mprove civic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Civic participation has been a critical factor for policy change and is described as policy feedback in international journals. Policy feedback theory focuses on how policy shapes politics and shows the mechanism for civic participation drawing on resource effects and interpretive effects of policy. It explains how original policy influences policy trust and political efficacy and causes citizen participation for policy change.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feedback and civic participation, we created a sophisticated analysis framework for the feedback mechanism and conducted a case study of animal protection policy using survey data and new big data. The selected case is in the participatory policy field and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animal protection policy has been driven by NGOs and other civic organizations in conjunction with governmen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riginal policy has good resource effect but less interpretive effect. Many civic groups have been established and citizens have shaped positive political efficacy while showing negative policy trust. Second, more citizens are mobilized steadily at the individual level for conventional civic participation, while at the group level, non-conventional civic participation grows rapidly just before policy change. This means a high level of political efficacy and a low level of policy trust has different effects on various types of civic participation. This paper indicates that original policy and civic participation can be also important factors for policy change. 정책과정에서 시민의 참여는 정책 설계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기존 정책에서 새로운 정책으로 변화시키는 변동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시민참여의 정책과정에서 환류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특히 집회 및 시위와 같은 비 통상적인 참여행위가 급증가하고 있는 현 시민사회 모습을 비추어 봤을 때,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는 시민참여가 각 유형별로 어떠한 경로와 기제를 통해서 정책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제도적 기반 구축부터 시민참여를 통해 발전된 동물보호정책을 분석사례로 선정하여, 시민참여와 정책변동과정을 분석하였다. 정책환류이론에서 제시하는 대중의 정책 매커니즘을 바탕으로 기존 정책이 시민참여에 미치는 인과기제를 분석틀로 구체화하여 살펴본 결과, 동물보호정책은 자원효과와 정책 집행차원의 해석효과에 긍정적인 성과가 있었으며 시민들은 부정적인 정책신뢰감과 긍정적인 정치효능감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 환류 효과로 인해, 개인행태의 통상적인 시민 참여활동은 가시적으로 지속적 강화되었으며 공식적, 비공식적인 집단적인 행태의 참여 역시 모두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동물보호정책은 동물보호·복지의 선택적 적용에서 보편적 적용 및 확대로 정책패러다임이 전화되었으며 새로운 정책이 집행되는 시기에도 자원효과와 해석효과는 계속 발생하며 시민들의 참여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었으나 이전보다 긍정적인 정치적 태도를 형성해가고 있으며 통상적인 활동 위주로 참여유형이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정책수단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을 중심으로-

        송성화 ( Sunghwa Song ),전영한 ( Young Han Chun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4

        정부가 활용하는 정책수단은 매우 다양하며, 각각의 정책수단이 갖는 효과성에 대한 인식도 인식주체 혹은 정책수단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정책수단은 무엇이며, 이러한 정책수단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적 혹은 개인적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39개 중앙행정기관에 소속된 공무원 1,200여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한 위계적선형모형(HLM)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정부에서 시장유인을 활용한 정책수단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증대하고 있다는 일부의 시각에도 불구하고 공무원들은 규제와 같이 강제적인 수단이 정책목표 달성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무원의 정책수단 효과성 인식의 영향요인으로는 해결해야 할 정책문제의 다양성, 정책기능, 제도적 위치, 인적규모 등의 조직적 특성과 직급과 재직기간 등의 개인적 특성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공무원의 정책수단 효과성 인식은 정책수단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주장과 실제정책수단의 활용간의 간극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적이다. 특히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강제적 규제를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 기존의 규제완화 노력이 실질적 결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다. A government utilizes multiple policy instruments to achieve policy goals. A percep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differs depending upon evalua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examined which instruments are more effective to achieve policy goals and which factors influence on the perception about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200 public officials working in 39 central government agencies in Korea. The data for this study was analyzed in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officials perceive that coercive instruments such as regulation are more effective to achieve policy goals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and use of market-based instrumen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policy problem complexity, policy function, institutional location, and organization size were found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At the individual level, position and ten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erceived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The results are important in that it could explain the gap between theoretical claims of policy instruments and actual utilization of policy instruments to accomplish policy goals. In particular, public officials, who take central role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recognize that the mandatory regulations are effective instrument. This finding shows that the efforts for deregulation might not have practical effects.

      • KCI등재

        지방정부의 시민참여관리 정책도구가 정책과정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 연구 - 시민참여제도의 성과평가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이수,최예나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의 시민참여관리 정책도구가 정책과정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참여성과 평가제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정부의 시민참여관리 정책도구는 유형별로 정책과정의 효과성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의제 설정 및 정책결정의 효과성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친 요인에는 참여제도 운영에 관한 대통령의 정치적 성향, 참여제도 활성화를 위한 실행계획 수립이 있었다. 반면에 시민들의 정책과정 참여를 유인하는 제도는 정책의제 설정과 정책결정의 효과성에, 시민참여 관련 프로그램 운영은 정책의제 설정의 효과성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의제 설정 및 정책결정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도구로서 시민참여관리 정책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시민들이 정책의제 설정 및 정책결정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둘째, 중요한 정부정책에 대해 시민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즉 시민들의 정책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별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는 것이필요하다. 셋째, 시민들의 정책참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시민참여예산제 등을 정비·확대해야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ocal government's citizen participation management policy tool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process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this relationship.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s citizen participation management policy tools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process by policy type. The factors that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agenda setting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decisions were the president's political orient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participation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n action plan to activate the particip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incentive system for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policy proces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policy agenda setting and policy making. And the oper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related program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policy agenda set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 First, there is a need for a foundation for citizens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setting policy agendas and making policy decis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ecute civic educations on major core policies. Third, the public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s needed as policy participation system for citizens.

      • KCI등재

        통화정책이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비선형적 영향 분석

        이명수(Myung-Soo Yie),송승주(SungJu So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20 한국경제연구 Vol.38 No.1

        본고는 정책기조별, 금리수준별, 시기별로 정책 여건에 따라 통화정책이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달라지는지 여부에 대해 점검해 보았다. 분석 결과 정책기조별, 금리수준별, 시기별로 정책 여건에 따라 통화정책의 영향이 비선형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기조별로 보면 통화정책의 긴축충격과 완화충격 각각에 대하여 자본이 유입되는 경향은 통화정책의 긴축충격은 채권투자수지를 통해, 그리고 완화충격은 주식투자수지를 통한 자본유입의 확대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화정책의 긴축충격은 주로 국내 채권시장의 투자수익률 상승을 통해, 완화충격은 주로 미래 경기 상승에 대한 기대감(signaling effect)을 통해 주식시장의 자본유입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수준별로 구분해 보면 저금리 수준에서는 자본유출입에 대한 통화정책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기간 중에는 통화정책이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든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고는 자본유출입에 대한 통화정책의 영향을 직․간접 영향으로 분해하고 누적적으로 나타나는 간접적 영향이 통화정책의 비선형성으로 이어지고 있는 경로를 일부 확인하고 있다. 또한 통화정책의 자본유출입에 대한 영향이 비선형성을 보인다는 분석 결과는 정책 수립과 분석에 있어 이의 비선형성까지도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monetary policy has nonlinear effects on flows of international capital. We find that tightening monetary policy causes international capital inflows by raising the returns on investment in the bond market, and that easing monetary policy also leads to international capital flows by affecting investors’ optimistic expectations of future return in the local stock market. Additionally, we find that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are not so large during the period of low interest rates, and monetary policy effects have weakened in the low-interest-rate regime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se findings imply that, if policy rates are normalized to the previous level in the future, policy effects 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could be strengthened more effectively.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we decompose policy effects 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nto the direct and indirect components and investigate the nonlinear channel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to international capital Inflows. Although there are methodological limitations in estimating a behavioral equation, the finding that monetary policy has nonlinear effects 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mplies that nonlinear effects of monetary policy should be closely considered in the monetary analysis.

      • 미세플라스틱의 건강 피해 저감 연구

        박정규,박하늘,이희선,정다운,주문솔,한선영,김시진,송민경,김용진,이서우,이혜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사업보고서 Vol.201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 배경 및 필요성 ㅇ 플라스틱의 양은 수십 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미세플라스틱의 사용 범위는 폭넓어 규제 없이는 미세플라스틱의 사용으로 인한 영향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됨 -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과 발생량을 확인하여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 ㅇ 최근 들어 미세플라스틱 관련 연구와 국가 R&D 사업 투자 등이 증가하고 있으나 미세플라스틱의 영향에 대한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증거는 여전히 부족함 - 다량의 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하는 빅데이터 연구가 필요하며, 미세플라스틱 영향을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위해성 평가 방법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ㅇ 일부 국가에서 마이크로비즈에 대한 규제를 시작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의 화학물질청(ECHA)에서는 추후 의도적으로 사용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사용 규제를 확대할 계획임 - 미세플라스틱 특성을 고려한 발생원 및 제품군별 미세플라스틱의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함 □ 연구 기간 전체(3년, 2019년~2021년) 연구 목적 ㅇ 1차 및 2차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을 확인하고 일부 제품군의 발생량 추정 ㅇ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 평가 방법론 도출 ㅇ 발생원 및 제품군별 미세플라스틱 영향 저감과 관리 방안 마련 ㅇ 미세플라스틱 연구 관련 정보 플랫폼 기반 구축 □ 2019년(1차 연도) 연구 목적 및 주요 내용 ㅇ (1차 연도 연구 목적) 미세플라스틱 관련 기초 현황 조사, 자료수집 및 정책 설계방향 검토 ㅇ 1차 연도 주요 연구 내용 - 일부 제품군에 대한 발생량 추정 - 환경오염 실태 확인을 위한 환경오염 관련 최신 연구 결과 분석 - 건강 피해 현황 파악을 위한 노출 및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미세플라스틱 관련 국내외 규제 동향 분석 - 매크로 플라스틱 우선관리대상 물질 선정 - 미세플라스틱 관련 정책 설계를 위한 정책적 제언 Ⅱ.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 및 발생량 추정 □ 미세플라스틱의 주요 발생원 ㅇ 1차 미세플라스틱 - 화장품 등과 같은 개인 관리 제품, 세척제 등 세제류,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농업 및 원예, 오일 및 가스, 건축 자재 및 건축 산업, 잉크 등 페인트 및 도료 등으로 정리됨 ㅇ 사용 중 마모에 의하거나 자연 중 방치되어 미세화된 2차 미세플라스틱 - 타이어 마모 분진, 세탁 시 미세섬유, 생산·운송 시 펠릿 유출, 농업용 멀칭 필름 풍화, 도로/건물/선박 도료 탈락 등 □ 미세플라스틱 발생량 추정 결과 ㅇ 페인트, 세제 및 세정제류에 대한 1차 미세플라스틱 발생량 추정을 위해 산업계 조사결과, 관련 정보의 불확실성이 높아 국내 생산 페인트와 세제 및 세정제류 6종의 고분자 함유량을 추정함 - 국내 생산 페인트 제품 내 고분자 물질 함유량은 최소 41만 4,076t/year, 최대 55만 2,102t/year, 평균 48만 3,089t/year으로 추정됨 - 기업 정보를 토대로 추정된 세정제 및 세제류의 고분자 물질 함유량은 최소 126.4ton/year, 평균 1만 2,045.1t/year이 될 것으로 추정됨 ㅇ 타이어 마모에 의한 2차 미세플라스틱 발생량 추정 결과 - 국내 차종별 타이어 마모 분진 배출계수(최소-최대 중간값)를 적용하여 타이어 마모 분진에 의한 2차 미세플라스틱 총발생량(최소-최대 중간값)을 추정한 결과 4만 9,228~5만 5,007t/year(5만 1,118t/year)으로 확인됨 Ⅲ. 미세플라스틱 오염 실태 확인을 위한 매체별 환경오염 연구 분석 □ 매체별 환경오염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주로 해양을 중심으로 해수층에 대한 조사가 이뤄져 왔으며, 해양 중 심해층, 갯벌 등에 대한 현황 조사는 부족함 □ 해상에 비하여 육상 환경 부문은 더욱 열악한 실정으로, 샘플 조사는 자연하천 및 호수, 인공저류지 등과 같은 정수와 폐수 처리장, 하구역 등을 대상으로 이뤄짐 - 육상 환경 부문의 샘플 조사는 자연하천 및 호수, 인공저류지 등의 정수와 폐수 처리장, 하구역 등을 대상으로 이뤄짐 - 퇴적물(sediments)에 대한 조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폐수처리장의 슬러지는 비료 등으로 재활용되어 미세플라스틱 관리를 위해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큼 □ 토양과 대기에 관한 연구는 매우 열악한 실정으로, 토양 내 표토와 풍화침식토 내 미세플라스틱의 농도를 조사하거나, 도시지역 내 실내외 공기질과 대기 중 낙진(fallout)에 대한 조사 사례가 일부 존재함 □ 환경오염 현황 분석연구에 있어 시료 채집 도구나 분석 방법, 농도 계산의 기준이 되는 단위 사용에 연구자마다 편차가 크다는 문제점이 존재함 - 연구자마다 사용하는 분석 단위가 부피(㎥, L, ㎖ 등) 또는 면적(㎢, ㎡), 드물게는 단위 중량(㎏)당 입자 수 또는 입자 무게(㎍, ㎎) 등으로 다양한 척도로 측정·분석되고 있음 - 환경오염 현황에 대한 종합 고찰을 다룬 일부 연구에서는 각각의 연구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있으나 각각의 결과를 표준화한 작업 기준과 방법의 적정성을 검토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Ⅳ. 건강 피해 현황 파악을 위한 노출 및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1. 배출 및 거동 □ 환경 중 미세플라스틱 유입 및 거동은 주로 해양 환경을 중심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육상 환경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유입 및 거동 연구는 매우 제한적임 - 토양 부문에 대한 일부 연구 결과를 통해서 토양으로의 유입은 하수 슬러지 및 유기질 비료, 농업 용지 피복 필름 등 농업 활동에 의한 유입 및 도시에서의 유출, 그리고 대기 비산이 주를 이룬다는 사실을 확인함 - 토양으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지렁이, 곤충, 토양 선충류 등 땅속 생물 및 박테리아의 먹이사슬 관계에서 분해되거나 이동하는 것을 확인함 - 담수로의 유입은 생활 하수, 산업 폐수, 산업 재료의 유출, 도시에서의 유출 등을 통해 일어나며, 이때 미세플라스틱 밀도에 따라 담수 내에 가라앉거나 해수로 이동하며, 밀도 외 미세플라스틱 표면 군집 형성과 바람에 의한 혼합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 2. 생물농축 □ 미세플라스틱은 먹이사슬을 통하여 포식자로 이동한다는 사실은 밝혀졌으나, 포식자로의 이동이 생물농축으로 이어지는 것인지에 대한 문제와 유기오염물질 등 흡착 물질의 미세플라스틱을 통한 생물농축 현상에 대한 연구 결과는 연구자 간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이와 관련된 학계 내 논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3. 노출 □ 해수를 비롯하여 토양, 담수의 생물종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고 있어, 생태계 전반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노출이 광범위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됨 - 인체 노출은 주로 섭취와 흡입으로 이뤄지는데, 식품의 경우 어패류, 새우, 소금, 맥주, 꿀, 설탕, 생수, 수돗물 등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고 인간의 대변에서까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면서 인체 소화기관으로의 미세플라스틱 노출 영향에 대한 우려가 존재함 - 최근 시도되고 있는 인체 노출량에 대한 정량적 평가에 대한 연구 사례가 축적된다면 위해성 평가 방안을 고려한 노출 영향 문제가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4. 영향 □ 물리·화학적 영향 - 미세플라스틱의 가소제·소수성 오염물질 이동의 매개체 역할은 미세플라스틱의 주요 관심 이슈 중 하나이지만, 이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가 현재로서는 부족함 - 수생 생물에서의 미세플라스틱의 섭취는 종 특이성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며, 미세 플라스틱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섭취율 및 생물 내 축적이 증가하고, 생존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됨 - 대부분이 실험 연구에 의존하고 있어 현장에서의 농도를 반영한 연구 수행이 필요함 □ 독성 영향 - 주로 수생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연구 사례가 많은 해양 생물종의 경우 개체 수준에서 번식, 성장, 생식, 여과 행위, 호흡 등의 영향이, 분자 수준에서는 산화 손상, GST 효소 활성화, 지질 대사, 유전독성, 면역 반응 등의 영향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 - 담수는 개체 수준에서 치사, 발달, 섭식, 생식 등의 영향이, 분자 수준에서 산화손상, 대사 유전자, 소화효소, 신경세포 등의 영향이 관찰된 바 있음 - 독성 기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토양계를 대상으로 한 경우는 더욱 부족한 것으로 평가됨 □ 인체 영향 - 주로 어패류의 식품 노출 연구가 이루어진 가운데 식품 섭취를 통한 독성 영향은 확인되지 않으나 인체 세포 종류와 미세플라스틱의 입자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논의들이 존재함 - 호흡을 통해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직업적으로 노출되거나 폐 기능이 저하된 사람에 대한 건강 피해 우려가 존재하는 가운데, 직업 특성에 의한 미세섬유 노출과 그로 인한 호흡기계 건강 피해가 확인된 바 있음 - 선행연구에서 추정되는 잠재된 인체 영향으로는 염증 반응 증가, 미세플라스틱 입자크기 관련 독성, 흡착된 화학물질 전이, 장내 미생물 군집의 혼란 등이 있으며, 건강 측면에서 가장 관심을 모으는 것은 미세플라스틱이 세포 장벽을 통과하는지 여부 등임 - 가장 최근에는 플라스틱 첨가제로 인한 건강 영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나 아직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임 Ⅴ. 미세플라스틱의 국내외 규제 동향 1. 미세플라스틱의 시장 퇴출을 유도하는 자율적 활동 □ 산업계가 주도적으로 미세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여나가고 정부가 이를 유인하거나 광범위한 수준의 이해관계자들이 주도하는 참여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이니셔티브 활동 2. 입법 등에 의한 규제 정책 □ 1차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정책은 주로 입법 규제에 의해 사용을 제한하는 형태로, 국가 수준으로는 북미 대륙의 미국과 캐나다, 유럽 대륙의 스웨덴,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오세아니아주의 뉴질랜드, 아시아의 우리나라 등 전 세계 8개 국가에서 시행중임 - 국가별로 구체적으로 1차 미세플라스틱의 사용을 제한하는 행위와 대상 제품군, 예외 규정 등이 다른데, 주로 각질 제거 등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을 비롯하여 개인 관리 용품에 대하여 마이크로비즈의 제품 중 함유나 판매, 거래 등을 금지중임 - 입법 규제를 시행하는 대다수의 국가도 개인 관리 용품이나 린스오프(rinse-off)형 화장품에 대한 사용 및 제조 금지 조치를 적용하고 있으며, 뉴질랜드는 린스오프형 화장품 외에도 연마재, 차량 및 산업용 세정제까지 확장하여 마이크로비즈의 사용을 제한 중임 □ 유럽연합의 화학물질청(ECHA) - ECHA는 유럽연합국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에 따른 제한물질에 1차 미세플라스틱을 포함시켜 사용을 제한하려는 방침을 담고 현재 관련 제안서에 대한 심의를 진행하고 있음 - 1차 미세플라스틱의 제한물질 등록에 따른 규제는 시장에서의 판매 제한(restriction), 표시(labelling) 요구, 보고(reporting) 요구의 세 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마이크 로비즈를 함유한 화장품, 세제 및 유지 제품은 유예기간 없이 바로 적용되며 나머지 화장품, 의료 기기, 세제 및 유지 제품, 농업 및 원예 제품은 유예기간이 주어짐 - 페인트 및 코팅제 등 일부 예외 조항이 포함되어 있지만,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광범위한 규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해당 제안서가 통과될 경우 유럽연합 가입국은 물론이고 전 세계적으로 1차 미세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규제는 강화될 것으로 전망됨 Ⅵ. 매크로 플라스틱의 우선관리대상 물질 선별 □ 물질 특성을 고려한 2차 미세플라스틱 발생원 관리를 위해서는 관리의 우선순위가 높은 물질에 대한 정책 방향을 선 수립해야 함 - 본 연구에서는 2차 미세플라스틱의 물질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크로 플라스틱의 우선관리대상 물질을 선정함 - 쓰레기 발생 비중, 재질 및 구조적 위해도, 재활용 가치, 관련 정책 현황 및 관리 필요성 등을 기준으로 관리우선순위를 분석함 - 분석 결과, 해상 기인 품목에서는 스티로폼 부표가, 육상 기인 품목에서는 플라스틱 재질의 병뚜껑이 우선관리대상으로 선별됨 Ⅶ. 결론 및 정책 제언 □ 연구 결과, 미세플라스틱의 크기 범주와 개념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정책 설계가 어려울 것이 예상되므로, 미세플라스틱 개념 정의를 위한 정책적 합의가 필요함 - 연관 사업계의 협조를 기반으로 현장에서 사용하는 고분자 물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적절한 규제 수준과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 또한 산업계 현장에서 규제 대상 미세플라스틱의 식별을 돕기 위한 정책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관련 정책 설계에 필요한 기초 현황 자료인 미세플라스틱 국내 발생량 정보가 매우 부족하므로 주요 발생원별 발생량 추정의 노력이 필요함 - 본 연구에서 추정한 1차 미세플라스틱과 2차 미세플라스틱의 발생량은 일부 발생원에 한정한 추정 결과로서 추가 조사가 필요함. 특히 1차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발생 비중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농업 및 원예 제품, 화장품류에 대한 국내 사용량 및 발생량 추정이 필요함 - 이 외에도 1차 미세플라스틱 분야의 의약 제품, 오일 및 가스와 2차 미세플라스틱 주요 발생원에 대한 현황 조사가 필요하므로, 관련 산업계의 협조를 기반으로 한 발생원별 발생량 산정을 위한 기초 조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 □ 산업계 현장에서 화학물질 관련 규제 피로도가 높으므로 산업계의 협조를 이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정책 대안과 인센티브 개발이 필요함 - 국내 사업계 현장 여건과 대체 기술 유무 등을 고려한 발생원별 규제 시행을 차등 설계하는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으며, 산업계와 소통 가능한 다양한 채널 개발과 산업계 의견 모니터링 등을 통하여 다양한 인센티브 정책을 개발하고 규제 저항도를 낮출 필요가 있음 □ 미세플라스틱 관련 정책 집행의 권한이 분산되어 있는 국내 현실을 고려하여 범부처형 의사결정기구를 조기 마련하고 체계적인 정책을 설계해야 함 -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별로 정책 집행을 주도하는 부처가 다수(예시: 농업 및 원예분야는 농림축산식품부, 화장품, 의료기기, 의약품 등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오일 및 가스는 산업통상자원부, 세제 및 페인트류는 환경부 등)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연관 부처가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는 의사결정기구를 먼저 구성하고, 거시적인 정책 목표와 통합적 규제 설계로 정책 효율성을 높여야 함 Ⅰ. Background and Objectives □ Background and need ㅇ Due to the increasing volume of microplastics used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re are concerns that continued use of microplastics will have consequences unless regulations are put in place.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e sources and release of microplastics to examine their potential impact on the environment. ㅇ Recently, the number of studies on microplastics have been increasing, but scientific evidence on microplastics’ impact remains lacking. Big data research is required to combine and analyze the abundance of studies, and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in devising a risk assessment methodology to scientifically assess the impacts of microplastics. ㅇ Some countries have established regulations for microbeads, and the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is planning to expand regulations on the use of microplastics that are intentionally added. A method of microplastics management by source and product group that takes the characteristics of microplastics into consideration should be prepared. □ Research objectives for the project duration (3 years, 2019 - 2021) ㅇ Confirm the sources of primary and secondary microplastics and estimate some product groups’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ㅇ Design a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microplastics ㅇ Suggest reduction and management plans on the risk of microplastics by source and product group ㅇ Establish a foundation for a microplastics research-related information platform □ Research objectives and major content of research in 2019 (the first year) ㅇ Review basic status of microplastics-related investigations, data collection, and policy design directions ㅇ Major research content of the first year - Estimation of some product groups’ release of microplastics into the environment - Analysis of latest research results related to environmental pollution -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exposure and impact -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 Selection of priority target materials for macroplastics management - Suggestions for microplastic management policies Ⅱ. Estimation of Sources and Release of Microplastics □ Sources of microplastics ㅇ Primary microplastics - Summarized as personal care products such as cosmetic products, detergents such as laundry detergents, medicinal products or medical devices,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chemicals used in the oil and gas sector, construction materials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paints, coatings, and inks ㅇ Secondary microplastics - Produced through use of products (wear and tear): Particles released by worn tires, microfibers released during the washing of clothes, loss of pellets during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weathering of agricultural mulching films, road peeling, microplastics relased by building and ship paints, etc. - Post-use (marine plastic wastes, macro plastics): Disposal of used plastics into open water, carriage via floodwater, disposal of fishing gear such as ropes, nets, and buoys and other waste from seafaring vessels □ Estimation of microplastic relaese ㅇ The use and release of primary microplastics - Domestic production and polymer content were estimated for the six product groups, including paints and detergents. - The estimated polymer content of domestically-produced paint products was 414,076 tons/year at minimum, and 552,102 tons/year at maximum, averaging 483,089 tons/year. - The total annual production of detergent products estimated ― based on the replies to surveys of targeted companies ― was approximately 266,968 tons/year, and among them, the estimated polymer content was 126.4 tons/year at minimum and 12,045.1 tons/year on average. ㅇ Release estimation results of secondary microplastics caused by tire wear - The total release of secondary microplastics caused by tire wear particles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tire wear particle emission coefficient to the domestic automobile model. The result was 49,228 to 55,007 tons/year (51,118 tons/year). Ⅲ. Research and Analysis of Environmental Pollution □ The status of environmental pollution has typically involved the investigation of shallow seawater layers and research on oceanic deepwater and tidal flats are insufficient. □ Compared to the marine environment secto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ollution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sector. Especially, research on soil and the atmosphere is highly insufficient, and there are only a small number of studies on microplastic concentrations in surface soil and the distribution of microplastics in the atmosphere. □ With respect to research on the status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 is a problem whereby large variations exist between researchers in terms of sampling tools, analytical methods employed, and base units used in concentration calculations. Ⅳ.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Exposure and Impacts 1. Emissions, fate and transport □ Research on the inflow, fate, and transport of microplastics in the environment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refore research o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is very limited. 2. Biomagnification □ It is known that microplastics move through the food chain. However, other research has shown conflicting results regarding whether movement in the foodweb leads to bio-concentration of microplastics and microplastic-associated organic pollutants. This appears to be an ongoing debate. 3. Exposure □ Because microplastics are detected in soil and freshwater organisms as well as in seawater organisms, it is estimated that exposure to microplastics is occurring at a broad scale across the ecosystem. ㅇ Human exposure occurs mainly through ingestion and inhalation, and microplastics have been detected in fish, shellfish, shrimp, salt, beer, honey, sugar, mineral water, tap water, and even human feces. Therefore, there is concern regarding the impact of microplastic exposure on human digestive organs. ㅇ The issue of exposure and effect, which considers risk assessment methods is expected to be discussed more vigorously if more studies o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human exposure are conducted. 4. Impacts □ Physical/chemical impacts ㅇ The role of microplastics as carriers of plasticizers/hydrophobic contaminants is an issue of major concern, but studies which have provided evidence of this are lacking. ㅇ The ingestion of microplastics by aquatic organisms seems to be species-specific, and it is known that as the particle size of microplastics decreases, both ingestion rates and accumulation in an organism increase while the survival rate decreases. ㅇ The majority of research focuses on experimental studies, but research should reflect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 Toxic effects ㅇ In general, studies focus on aquatic organisms. In particular, studies on marine organisms confirmed effects on breeding, growth, reproduction, filtration, and breathing at the individual level, and effects on oxidative damage, GST enzyme activation, lipid metabolism, genotoxicity, and immune response at the molecular level. ㅇ In freshwater species, mortality, development, feeding, and reproduction problems were observed at the individual level, and effects on oxidative damage, metabolic gene expression, digestive enzymes, and neurons were observed at a molecular level. ㅇ Little research exists on toxic mechanisms, and research targeting soil systems is even less understood. □ Human Effects ㅇ While studies on food exposure have been mainly conducted on fish and shellfish, toxic effects through food ingestion have not been confirmed. However, there are discussions that the effects vary depending on human cell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icroplastic particles. ㅇ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o airborne microplastics has been raised, and there are concerns of health damage to people who are occupationally exposed or have compromised lung functions. In addition, cases of respiratory effect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exposure to microfibers have been confirmed. ㅇ Potential human health effects raised by previous studies include increased inflammation, microplastic particle size-related toxicity, toxicity of absorbed chemicals, and disruption of the intestinal microbiome. The most interesting issue in regards to health effects is the transport of microplastics through the cell barrier. ㅇ Recently, interest has been focused on the health effects of plastic additives, but studies on this issue remain scarce. Ⅴ.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gulation of Microplastics 1. Autonomous activities inducing the market phase-out of microplastics □ In some countries, industry is proactively reducing the use of microplastics with government encouragement and there are participatory programs led by a broad range of stakeholders operated based on initiative activities. 2. Regulatory policies through legislation, etc. □ In eight countries, the policies for primary microplastics mainly take the form of restriction legislated at the national level. The following nations have some regulation in place: the USA and Canada in North America, Sweden, Italy, France, and the UK in Europe; New Zealand in Oceania and South Korea in Asia. □ A case study on the pan-government dimension of regulation: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ㅇ The ECHA is currently reviewing a proposal to restrict the use of primary plastics by including them among the restricted materials of REACH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currently being enforced in EU countries. ㅇ Regulations through restricted material registration of primary microplastics consist mainly of merchandising restrictions in the market, labelling requirements, and reporting requirements. They are to be immediately applied to cosmetic products, detergents, and maintenance products containing microbeads without delay and in the cases of remaining cosmetic product types, medical devices, detergents, maintenance products and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s, a grace period will be given. ㅇ Although some exception clauses are included for paints and coatings, the regulations deal with a broad range of microplastics. Therefore, if the corresponding proposal passes, regulations on the use of primary microplastics are expected to be strengthened in not only the EU member countries but also globally. Ⅵ. Selection of Priority Targets for Macro-plastics Management □ In this study, we prioritized “macro-plastics (plastics released post-use)” becaus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ources and quantitative estimates of volumes, which would help us determine policy priorities for management. ㅇ We consider released volumes using coast monitoring data, chemical and physical risks, recycling value, existing regulations, necessity of additional management, etc. to determine management priorities. ㅇ EPS buoys were selected as a priority target among marine sources, and bottle caps made of PP were targeted among land sources. Ⅶ. Conclusion and Policy Suggest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difficulties in policy design are expected because the size, scope and definition of microplastics are not clear. Therefore, policy-based agreement should be arranged for a conceptual definition of microplastics. □ Information regarding the domestic production of microplastics, the basic status of which is needed for relevant policy design, is highly insufficient, and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estimate the use and release of microplastics by all sources. □ Chemical-related regulation fatigue is high in the industrial sector in South Korea, and various policy alternatives and incentives should be developed to encourage cooperation from industry. □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where the rights of executing microplastics-related policies are distributed, designing systematic policies by preparing a pan-governmental decision-making organization is presently necessary.

      • KCI등재후보

        개발도상국 축산 부문 개발 정책 효과성 연구: 르완다 Girinka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용욱(Yong-woog Cho),김동훈(Donghoon Kim) 국제개발협력학회 2016 국제개발협력연구 Vol.8 No.1

        One of the main reasons for our attention to Rwanda s Girinka (One Cow Per Poor Family) program was its potential for policy effect distribution among policy targets. That is, the structure of this program is such that if the policy goal for a unit of policy targets is achieved, the next policy target automatically receives the same policy benefits at minimum costs, so a virtuous circle is inherent throughout its policy processes. The farm households that received milk cows can expect the following major benefits through livestock production: benefits from production of livestock products (meat, milk, etc.) and benefits from crop production increases due to input of fertilizers utilizing the cows excrements. Components of the total cost for livestock production include stable construction costs, feed expenses, water purchase costs, and medical expenses. Additionally, labor activity and time for livestock production (feed procurement, milking and so on) can be taken as opportunity costs even though they would not be direct expenditure on visible goods. Rwanda s per capita GDP is 644 dollars. On a basis of 4-person households, GDP per household amount to 2,576 dollars. If the Girinka program produces the result similar to the outcome that this research assumed, the average benefit per policy beneficiary household for the first 3 years after policy implementation would be 1,913.2 dollars, and that after the third year is 3,748 dollars, 1.96 times the previous figure. That is, the benefit per beneficiary household for the first 3 years after policy implementation is 74% of GDP per household, and the additional benefit, about 1.5 times GDP per household, occurs from the fourth year and on. We can judge the size of the policy s visible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policy effects financial value. In the meantime, some of the benefits will be consumed, while some will be accumulated as assets. The benefits additionally consumed can improve policy targets nutritional status and capability. The accumulated assets can be reinvested as the production base for creating more profits, which in turn can enhance social dynamism. The assets can also be the insurance that provides funds when urgently needed. The Rwanda economy s recent economic performance seems to partly reflect the collective outcome of national policies including the Girinka program. This study tried to present a standard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If several assumptions and forecasts in the process are rechecked and become more accurate through accumulation of time and more experimental surveys, it will be able to more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rogram to a more effective and sustainable livestock development policy and, in the end, designing new policies too. Also, if comparative studies with other countries similar policies and other livestock policies are conducted in the future, a more generalized understanding of livestock development policy will be possible. 본 연구진이 르완다의 Girinka(One Cow Per Poor Family) 프로그램에 주목하게 된주요한 계기는 이 프로그램이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는 정책 효과의 확산성 때문이었 다. Girinka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한 단위의 정책 대상에게 주어지는 정책 수단의 정책 목표가 성취될 경우, 그 다음 정책 대상자가 동일한 혜택을 최소한의 비용으로 받도록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선순환 구조가 내재되어 있다. 정책 대상 농가가 축산 활동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주요 편익으로는, 축산물 생산 으로 인한 편익을 들 수 있으며, 아울러 젖소의 분뇨를 활용한 비료를 투입함으로써 얻게 되는 작물 생산 증가분 편익을 들 수 있다. 축산물 생산을 위한 총비용으로는 축사건축비, 사료비, 물 구입비, 의료비 등을 대표변수로 산정하였다. 르완다의 1인당 GDP는 644달러이며, 4인 가족 기준으로 했을 때, 가구 당 GDP는 2,576달러가 된다. 한편 Girinka 프로그램이 예상대로 시행될 경우, 정책 시행 4년 차부터 추가적으로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하는 정책 수혜 1가구 당 경제적 편익 규모는 가구 당 GDP의 약 1.5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정책 효과의 재무적 가치 측정을 통해 정책의 가시적 성과의 예상 규모를 판단해 봄으로써, 정책성과 측정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Girinka 프로그램은 여러 제약요소에도 불구하고 일차적으로는 젖소의 사육을 통한 축산 수익과 배설물을 활용한 작물 생산량의 증대를 목표로 하며, 이차적으로는 정책 수단으로 지급된 젖소의 정책 효과가 다음 정책 대상자에게도 전해지도록 구조화함으 로써 정책의 수평적 확산을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정책 효과는 장기적으로 정책 수혜자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즉 영양 섭취의 양과질 향상, 의료 접근성 향상, 교육에 대한 접근성 확대, 가용 생활 편의 시설 증가와 같은 유무형의 복지 증진 가능성은 Girinka 프로그램의 장기적 효과에 대한 기대감을 갖도록 해준다. 다만 프로그램의 효과를 저해하는 제약 요인에 대한 통제 및 긍정적 효과를 극대 화하는데 필요한 강화 요인에 대한 지원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 즉 전반적인 가축 의료 서비스의 개선, 축산 경영 관련 교육의 실시, 종축개량을 위한 인공수정 관련 교육 실시 및 전문가 양성, 지역적 환경에 적합한 사료 작물 육종 및 활용 기술 교육과 같은 부문에 대한 조사 대상자들의 지적은, 정책 수혜자들의 수요를 반영함과 동시에 정책적 제약 요인 통제 및 강화 요소의 투입을 위한 방향성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