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경찰학 학술연구의 특성 : KCI 등재논문인 한국공안행정학회보·한국경찰학회보를 중심으로

        이승철 한국자치행정학회 201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 경찰학 학술연구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1999-2010년 기간 중 KCI에 5회 이상 인용된 「한국공안행정학회보」와「한국경찰학회보」학술지논문 103편을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들의 성별은 남성, 논문게재 시 연구자의 지역은 수도권, 논문게재 시 연구자의 직위는 교수, 연 구자 유형은 단독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술지 1편당 연구자 수는 1.2명, 논문게재편수 별 게재 자 수는 1회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비 지원형태는 순수학술연구, 연구방법론은 서술적 연구, 자료분석방법은 인과분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고자료를 살펴보면 논문 1편을 생산해내는데 평균 28.3건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참고자료의 유형별 로는 단행본, 참고자료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학술지는「한국공안행정학회보」였다. 연구 유형별 참고자료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공동연구가 더욱 많은 참고자료를 인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 사된 103편의 논문이 생산되는데 1회 이상 인용된 학술지는 162종이며 이 중 6회 이상 인용된 학술지는 16종 이었다. 학술지 인용에 기초한 경찰학의 관련성에서는 행정학(10종: 44.1%), 사회과학(4종: 6.8%) 법학(2종: 5.7%) 순으로 높은 연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논문들의 핵심주제어를 분석한 결과 총 319개의 주제어가 나타났으며, 187개의 주제어로 구분되었다. 핵심주제어 중 출현이 가장 빈번한 주제어는 ‘경찰’이었다.

      • KCI등재

        지방교육자치이념의 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전라북도 정책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찬기,김이수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지방교육자치이념의 구현과 관련하여 탐색적 연구로서 지방교육자치가 어느 정도 구현되었는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지방교육자치이념을 구현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교육정책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지방교육자치이념의 구현(교육행정의 자주성, 교육행정의 전문성, 교육행정의 정치적 중립성, 교육행정의 분권성, 교육행정의 민주성, 교육행정의 효율성)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지방교육자치이념을 세분화하여 교육자치이념의 구현정도, 교육자치이념의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교육자치이념의 구현을 위한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정책적 함의로는 지방교육자치이념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교육감이나 교육의원의 관심과 노력증대, 교육청에 대한 중앙정부의 행·재정적 간여축소에 대한 제도적 보장, 정당, 교육단체 등 정치적 세력으로 부터의 부당한 간섭 축소, 중앙정부의 도교육청에 대한 조직, 인사, 사무, 재정권한의 지방이양, 교육정책의 결정과 집행에 대한 학부모와 주민의 관심과 참여 제고, 지방의회의 심의, 의결에 있어서 효율성 제고가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광역행정 實效化를 위한 특별지방자치단체의 도입에 관한 연구

        김길수 한국자치행정학회 200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2 No.2

        교통·통신의 발달로 생활권역이 확대 등으로 광역행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지역의 경쟁력을 함양하기 위해 광역경제권의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광역행정의 필요성이 점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광역행정의 방법들은 제도적인 한계로 인해 그 기능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광역행정이 실제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특별지방자치단체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특별지방자치단체는 2개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그 사무를 공동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을 때 협약에 따른 규약을 제정하여 지방의회 의결과 행정안전부 장관의 승인으로 설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관구성은 기관대립형으로 하고 간선제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사무처리를 위해 조례와 규칙을 제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비용은 구성 지방자치단체의 분담금 및 사용료·수수료·사업수입·재산수입으로 충당해야 할 것이다. 특별지방자치단체의 도입으로 ①광역적인 행정수요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며, ② 주민에게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고, ③지방분권을 확대할 수 있으며 ④지방자치단체의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is renewed interest in special-purpose local government which meets the demand of inter-local government, resulting the enlargement of living zone and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ough it is increased the demand of inter-local government, there is deficient the related institution in Korea. Therefore, it is needed the introduction of special-purpose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effectuate the function of inter-local government. This paper proposes the way of constitution, empowerment and finance affairs which are related the establishment of special-purpose local governments. It is expected that is possible to deal with the demand of inter-local government effectively, is made a delivery of convenient public service to populations, is enlarged the power of local government and is reinforced the capabilities of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special-purpose local government.

      • KCI등재후보

        지방행정체제 개편 특별법(2010.10)을 통해 본 지방자치체제 개편 정책의 평가와 대안

        강용기 한국자치행정학회 201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5 No.1

        본 연구는 지방행정체제 개편 특별법(2010. 10)의 의의와 내용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제기된 우리나라 지방자치체제 개편 전략의 문제점을 평가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은 입법해석의 해석적 접근방법을 시도하였다. 첫째는 본 법에 나타난 개편안은 지방자치체제 개편의 문제를 중앙정부가 일방적으로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방의 문제해결 주체를 주민으로 선정하고 지방주민과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상향식 지방자치체제 개편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전국을 하나의 기준에 맞추어 획일적으로 재편하는 단일화 된 재편방식의 문제이다. 이는 지방자치가 추구하는 지방의 특수성 다양성을 보존하고자 하는 기본 정신에 어긋나는 것이다. 지역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보존하는 방식의 다양한 통합방식의 선택이 가능해야한다. 셋째는 통합논의와 추진과정이 너무 급하고 단기적이라는 것을 지적한다. 지역의 다양한 이해집단의 이익과 설득을 위해서 충분하고도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네째는 지방자치체제 개편의 경우 구역재편과 계층재편을 동시에 추진하고자 하는데 우선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구역재편을 추진하고 다음 단계로 계층재편을 추진하는 단계적 점진적 재편방식을 추구하자는 것이다. 다섯째 구(區)의 조정에 관한 문제이다. 광역단체의 자치구와 대도시 행정구, 광역단체의 행정시는 그 규모와 역할과 기능이 크게 다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광역자치단체의 자치구만이 자치단체로서의 특별한 지위를 누리고 있는 상황은 주민주권의 평등성과 형평성에 어긋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도시 자치구의 지위조정 노력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여섯째, 통합이 필요하지만 통합이 성사되지 못했을 경우 과도기적인 차원에서 통합 대상 지역의 사무 일부분 만이라도 통합을 수행하는 특별자치단체나 자치단체조합과 같은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후보

        정책혁신가로서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유형에 관한 실증적 연구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의 삼려(麗)의 행정구역 통합과정을 중심으로

        김이수 한국자치행정학회 201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5 No.3

        본 연구는 행정구역 통합과 관련하여 분절화된 정책구조에서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 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정책혁신가로서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유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책혁신가의 개념과 역할, 정책혁신과정에서 정책혁신가의 역할에 대한 접근방법을 살펴보고, 정책혁신가로서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을 결정권한과 영향력을 기준으로 영향력이 강한 리더형, 제어된 리더형, 영향력이 강한 추종자형, 제어된 추종자형으로 유형화하였다. 3려(여수시, 여천시, 여천군) 행정구역 통합과정을 중심으로 정책혁신가로서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에 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본 연구의 기초지방자치단체장 역할유형의 분류방식이 행정구역 통합과정에 일정 부분 설명력이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둘째, 행정구역 통합관련된 정책혁신가로서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은 분절화된 정책구조에서 다른 행위자들와의 관계에 따라 역할유형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행정구역 통합과 관련된 정책혁신가들의 역할유형을 결정하는 데 있어 정책혁신가를 둘러싼 제도적 맥락(institutional context)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This article aims to empirically analyze role models of mayor as policy entrepreneur. I deducted policy entrepreneurial activities, approaches of policy entrepreneur and categorized mayor as policy entrepreneur four role model which are influential-leader, constrained-leader, influential-follower, constrained-follower. And I designed the analysis framework. In this article, I analyzed consolid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which was called YeoSu(United) City as case. I divided four consolidation processes and focused on policy entrepreneurs's activities. After I categorized mayor's role as policy entrepreneur. I deducted policy implications. First, role models of mayor as policy entrepreneur was effective in explaining consolid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I found a difference in mayor's roles during consolidation. Second, institutional context made an influence on mayor's role change as policy entrepreneur.

      • KCI등재

        지방정부의 특별사법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곽영길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1

        행정의 전문성을 지닌 일반 행정공무원에게 사법경찰권을 부여하여 단속의 효율성을 확보하고 행정의 실효성 및 법질서 확립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도입한 것이 특별사법경찰제도라 할 수 있는데, 1956년 도입 이후 특별사법경찰의 직무범위와 담당인원은 여러 이유로 확대되어 2011년 12월 현재 50여 종에 이르고 있으며, 그 중 지방자치단체가 담당하고 있는 특별사법경찰사무는 식품, 의약, 원산지, 환경, 공원관리, 하천감시 등 25개 분야의 79개 법률의 영역에 걸치고 있다. 선행 연구들에 의하면, 특별사법경찰의 직무범위와 담당인원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특별사법경찰제도는 그 도입취지와 달리 유명무실하게 운영되어 왔으며, 그 원인으로는 업무분야의 전문성 결여, 업무의 연속성 결여, 체계적인 수사역량의 부족 등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종래 주로 시·군단위로 운영되던 지방정부의 특별사법경찰활동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2008년 이후 서울특별시를 필두로 하여 광역자치단체 단위에서 광역 특별사법경찰대 내지는 특별사법경찰단을 설치하여 전문적인 수사실무 교육을 마친 우수한 자원들로 하여금 광역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기획수사 전개 등을 통해 행정범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을 전개해오고 있다. 특별사법경찰제도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2008년 이전의 상황을 논의한 것들이 대부분인바 2008년 이후의 개혁노력에 대해 논의한 것은 전무하다시피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이후 진행되어 온 지방정부에서의 특별사법경찰제도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노력을 일부 광역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운영실태를 살펴보고, 향후 지방정부에서의 특별사법경찰제도의 운영에 있어 신뢰받는 법 집행력을 확보하여 지역주민들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특별사법경찰사무는 매우 전문적이며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특수한 분야이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확보되어야 하며, 또한 직무에 적합한 전문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특별사법경찰관리들에게 조사실 및 유치장 등의 시설과 직무수행을 위한 경찰장구 및 채증장비, 기동장비 등 적절한 직무수행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셋째, 관련기관 간의 유기적 협조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시민들의 원조를 확보하기 위한 협의체 및 시민참여 장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이민행정의 수직·수평적 협력거버넌스 연구 -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

        이혜경,조영희,이혜경 한국자치행정학회 202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6 No.1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ase of the National Multicultural City Council, an organization that was launched with a leading motive in the process of promoting immigration administration by local governments, by applying them to the components of the cooperative governance theory, and to suggest practical development pla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appeared that the following policy improvements are necessary to become a successful model from a vertical and horizontal perspective. From a vertical point of view, first, a department in charge of foreign residents should be established in local governments, and manpower to carry out immigration administration should be reinforced and placed and the budget should be supported. Second, in addition to the current system of collecting opinions from local governments and discussing policies at the Foreign Policy Council, by adding a conference for communicating opinions of local governments to all ministries related to immigration policy and comprehensively discussing solutions to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orm a unified policy promotion system. Third, local governments need a strategic approach to set priorities for policy proposals with the Foreign Policy Council and to make them step-by-step and continuous proposals. Fourth. It is necessary to support policy measures such as education and specific guide materials that help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immigration administration to effectively implement policies by enhancing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immigration policy. Fifth, the central government needs to recognize local governments as partners in the promotion of immigration administration.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horizontal cooperative governance, the following policy improvements are need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gal basis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National Multicultural City Council.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immigration administration through efforts to attract more member cities of the National Multicultural City Council.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name of the council to the Intercultural City Council.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가 이민행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도적인 동기를 가지고 출범한 조직인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사례를, 협력거버넌스 이론의 구성요소에 적용하여 분석해보고, 실질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직·수평적 관점에서 성공적인 협력거버넌스 모델이 되려면 다음과 같은 정책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적 관점으로는, 첫째, 지방자치단체에 외국인주민 담당부서를 설치하고 이민행정을 수행할 인력을 보강하여 배치하고 예산을 지원하여야 한다. 둘째, 외국인정책협의회에 현재와 같이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수렴 및 정책논의를 하는 체계에 더하여, 이민정책과 관련된 범부처들에게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전달하고 문제해결 방안을 포괄적으로 협의해 나갈 통로인 회의체를 추가하여, 일원화된 정책 추진체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방자치단체는 외국인정책협의회와의 정책제안 방식에 우선순위를 정하고, 단계적이고 지속적인 제안이 되도록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이민행정을 담당하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이민정책 전반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전문성을 제고하여 효율적으로 정책추진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및 구체적인 안내자료 등 정책수단의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중앙부처는 지방자치단체를 이민행정 추진의 동반자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한편 수평적 협력거버넌스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의 회원도시 규모를 확대하기 위한 유치 노력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이민행정 추진 역량을 키워나가야 한다. 셋째,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명칭을 상호문화도시협의회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제주특별자치도의 특별행정기관 운영현황과 중앙정부의 역할방향

        금창호,최영출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4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이관되어 있는 7개의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운영성과를 살펴보고, 특행기관들이 본래 목적을 잘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향후 중앙정부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지에 대한 방향설정을 논의해 보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 이관된 7개 특별지방행정기관은 여타의 행정권한들과 마찬가지로 특례이면서도 시범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특별지방행정기관의 효율적 운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체적 노력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의 다양한 역할과 지원이 요청되고 있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여타 광역자치단체에는 특별지방행정기관이 이관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중앙정부의 특별지방행정기관과 관련된 새로운 행정기술이나 정책개발 등이 효과적으로 연계 및 지원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업무수행의 효율성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의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운영성과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중앙정부의 바람직한 역할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valuate performance of seven special purpose authorities being oper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was initiated in 2006 and to suggest future policy directions for central government so that they could pursue their missions properly. The seven special purpose authorities which were devolved from central government to Jeju Province in 2006 have had functioned based on the specially-empowered rights. However, it is found that those authorities have encountered some unexpected difficulties in their operation, such as lack of policy development capacity and lack of transfer of administrative knowledge among organisations. These problems facing the special purpose authorities are expected to be overcome if central government can properly intervene and institutionally support them.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central government continue to monitor the achievements the authorities have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central-local relationships, and be proactive to institutionally support them from long-term perspective as well.

      • KCI등재

        조례제정의 한계와 통제에 관한 일고찰

        김훈,김근식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3

        본 고찰은 조례제정권에 대한 범위와 한계 그리고 그 통제기관별 유형에 대해서 살펴본 것인데, 조례제정권의 범위 및 그 한계에 따른 통제수단의 유형 그리고 통제과정 및 그 절 차, 끝으로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조례제정의 개정·개폐에 관한 외국의 입법례를 참 고로 한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조례의 통제근거로는 헌 법과 지방자치법이 있는데, “지방자치단체는 주민의 복리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고 재산을 관리하며, 법령의 범위 안에서 자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헌법 제117조)와 “지방 자치단체는 법령의 범위 안에서 그 사무에 관한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지방자치법 제22 조)고 규정한 바에서 보듯이 일단 조례의 범위설정이 곧 조례의 위법을 통제하는 근거가 된다. 즉, 조례에 대한 통제는 조례가 민주적 정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헌법상 보장된 자 치권 내지 조례제정권의 헌법에의 적합성여부 및 법치행정원리의 적용에 의해 행해진다. 한편, 조례제정권에 관한 통제는 크게 행정적 통제와 비행정적 통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는 재의요구 즉, 자치단체의 장에 의한 통제와 감독청에 의한 통제로, 후자는 입법적 통제, 사법적 통제, 주민에 의한 통제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사법적 통제와 관련된 판례를 중심으로 고찰해본다. 끝으로 조례의 제정여부를 고찰해 봄에 있어 조례라 는 법형식의 기능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조례제정권의 범위확대가 헌법상 제도보장인 지방 자치권의 강화를 가져옴을 잊어서는 안 되겠다. This study on the scope and limit of enactment power of municipal ordinance as well as type for each controlling agency mentions the scope of enactment power of municipal ordinance, type of control measures in accordance with the limits, process and procedure of control. Finally, it mentions the problems and opportunities on revision, opening and closing of regulation establishment which is to protect fundamental human rights of the public referring to examples of legislation of other countries. In Korea, Constitution and Local Autonomy Act are two grounds for control. The scope of ordinance becomes the ground to control the illegality of ordinances as shown in "Local governments shall deal with administrative matters pertaining to the welfare of local residents, manage properties, and may enact provisions relating to local autonomy, within the limit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rticle 117) and "Local governments may establish municipal ordinances concerning their affairs within the scope of statutes" (Local Autonomy Act, Article 22). Namely, control on ordinance is performed by autonomy guaranteed by Constitution as the ordinance possesses democratic justification, suitability of enactment power of municipal ordinance upon Constitution, or applic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principle. Meanwhile, control on enactment power of municipal ordinance is classified into administrative control and non-administrative control. The former was examined as the control by self-governing community head and supervisory agency, while the latter was examined by classifying it into controlling entities as legislative control, judicial control and control by residents. Here is investigated mainly cases related to judicial control. Lastly, when considering whether ordinance is established or not, it shall not be forgotten that expansion of the scope of enactment power of municipal ordinance reinforces the autonomous power of local government which is guaranteed by Constitution notwithstanding the functional limitation of ordinance.

      • KCI등재

        전북 지역의 행정학자와 연구 경향

        신무섭 ( Shin Moo-sup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4

        이글의 목적은 전북 지역 행정학자들은 누구이며 무엇을 어떻게 연구하였나에 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시기는 1973년3월부터 2020년6월까지이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전북 지역 행정학 관련 학과 교수와의 면담과 서신,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 「한국자치행정학보」, 「전주우석대학10년사」 등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전북 지역 행정학자는 출신 학부, 대학원 등이 다양하였다. 박사학위는 국내 취득자가 대다수였다. 이들은 한국행정학보와 한국정책학보에 논문게재 활동을 적게 하였다. 또 이들이 작성한 논문의 경향은 전국의 그것과 대개 유사하였다. 정책에 대한 연구와 양적 연구가 증가하였고 처방적 연구 많다는 의미에서 그러하다. 본고에서는 초창기 학자와 업적이 많은 학자의 연구경향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전북 지역 행정학자는 규범적 연구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에 기초하여 본고는 전북 지역 행정학자의 존재 의미, 학문과 삶의 조화, 연구업적이 많은 행정학자에 대한 재조명, 공공가치를 실현하는 좋은 행정을 위한 규범적 연구의 활성화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in public administration in Jeonbuk Province from March 1973 to June 2020, focusing on who the researchers were, what subject matters they were interested in and what methodology they adopted.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and e-mail exchanges with the faculty members in the Department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Jeonbuk Province, the website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Studies and the Ten Year History of JeonJu Wooseok University. The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January to October 2020. The study showed that the researchers in public administration in Jeonbuk Province graduated from various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Most of them got their doctoral degree from the universities in Korea. They did not publish their research papers in major Journals such as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and the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Their research interests were generally in line with the national trend, which was increasingly focused on policy issues, quantitative study and prescriptive outcomes. The findings further indicated that the researchers in Jeonbuk Province were less interested in normative stud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aper discussed the meaning of studying public administration in Jeonbuk Province, the harmony between studying and living, and re-examination of the contribution of scholars with many research achievements and the revitalization of normative research in public administration to realize public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