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과 관련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 수록 논문들을 연구방법, 교육실시대상, 연구주제,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따라 분석하여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과 관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31887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7-189(23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과 관련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 수록 논문들을 연구방법, 교육실시대상, 연구주제,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따라 분석하여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과 관련...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과 관련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 수록 논문들을 연구방법, 교육실시대상, 연구주제,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따라 분석하여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과 관련된 논문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3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과 관련된 학위논문 51편과 학술지 수록 논문 39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양적연구가 77.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질적연구가 21.1%를 차지하였으며, 복합연구는 1.1%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 관련 논문의 교육실시대상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실시대상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 연구가 21.1%, 현직교사를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 연구가 78.9%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 관련 논문의 연구주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과교육영역과 교사의 역량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영역과 교사의 역량이 각각 55.6%와 44.4%로 나타나 교과교육영역의 비중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 관련 논문의 교수학습방법 동향을 파악한 결과 강의, 저널쓰기, 토의, 사례발표, 토론, 실습, 동영상시청, 시연, 현장관찰의 순으로 빈도수가 높게 나타나 영유아교사 교육이 주로 이론 강의와 저널쓰기, 그리고 발표 및 토의위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rends in dissertation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topics of nursery and pre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s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dissertations and papers in academic journals by research met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rends in dissertation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topics of nursery and pre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s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dissertations and papers in academic journals by research method, education program target, research topic, and instruction method. For this research, 51 dissertations and 39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bout education programs for nursery and preschool teachers from 1993 to 2014 were analyzed. These dissertations were found using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internet sites provided b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Based on categories, 77.8% of research papers were considered quantitative while 22.1% were qualitative. Only 1.1% of papers had used mixed method. Current teachers were by far the most often studied subjects with 78.9% of research papers including current teachers while 21.1% included prospective teacher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papers were categorized into topics related to curriculum and topics related to teacher competence. The following instruction methods, listed in the order of frequency, were mentioned in dissertations related to pre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s: lecture, journal writing, discussion, case study presentation, debate, practical training, watching video clips, demonstration, and field observ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은주,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2007
2 송화진, "현직 교사를 위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원광대학교 2011
3 정재요, "한국의 유아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 현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14
4 채인숙, "탁아기관 유아와 교사를 위한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연세대학교 1994
5 김선희, "집단 활동에서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 배재대학교 2008
6 최은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의 자기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2014
7 김현정, "장애유아 통합교육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2007
8 박미령, "유치원 및 초등학교 과정의 통합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대구대학교 2007
9 김명애,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유아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3
10 박지희,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 현직교사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07-228, 2014
1 장은주,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2007
2 송화진, "현직 교사를 위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원광대학교 2011
3 정재요, "한국의 유아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 현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14
4 채인숙, "탁아기관 유아와 교사를 위한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연세대학교 1994
5 김선희, "집단 활동에서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 배재대학교 2008
6 최은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의 자기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2014
7 김현정, "장애유아 통합교육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2007
8 박미령, "유치원 및 초등학교 과정의 통합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대구대학교 2007
9 김명애,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유아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3
10 박지희,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 현직교사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07-228, 2014
11 교육인적자원부, "유치원 교사 교육프로그램"
12 이경자, "유아전통교육의 이론과 실제 :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신정 2013
13 박사빈,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2008
14 이효정,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 1996년~2006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0) : 205-227, 2007
15 이영주, "유아수학교육 논문의 경향분석 1945 - 1995" 이화여자대학교 1996
16 임민정,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 가정 부모 관련 국외 연구 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501-522, 2012
17 유수경,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3-314, 2009
18 이경화, "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11
19 최대훈, "유아교사의 자기성장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2014
20 정성진,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강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67-80, 2012
21 박옥자,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배재대학교 2009
22 김지원,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의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2011
23 최현정,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01-226, 2011
24 박은혜, "유아교사교육의 최근 연구동향"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25 고선미, "유아교사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 : 1974년~1998년" 이화여자대학교 2000
26 김경은, "유아교사 발달에 따른 유아교사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2011
27 황정숙,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광주대학교 2008
28 전수진, "유아 예절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7차 유치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09
29 이송희, "유아 수학교육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1996년∼2013년 발표된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4
30 박희은, "유아 다문화 연구에 대한 동향분석" 8 (8): 73-91, 2011
31 노영희, "유아 교육학의 연구동향: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교사 교육의 방향" 121-145, 1998
32 조정녀, "유아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12
33 이영애, "유아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장학 유형과 장학 기법" 계명대학교 2008
34 김선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PBL 교수학습 모형 개발과 적용" 배재대학교 2011
35 이혜경, "예비유아교사의 양성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영남대학교 2013
36 김 선, "예비유아교사의 교수능력 함양을 위한 탐구중심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2013
37 이은진,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PCK) 신장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강좌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2010
38 박순정,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효과" 동의대학교 2013
39 염지숙, "예비유아교사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유치원교사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65-186, 2014
40 김연희,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역량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2013
41 정지언, "예비보육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7) : 1-28, 2014
42 "영유아보육법"
43 서소정,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효과검증 및 향후 과제"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169-192, 2012
44 김옥주,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신라대학교 2012
45 김명순, "영아를 위한 대화식 그림책읽기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25 (25): 41-57, 2004
46 김현주, "영아교사 관련 주제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401-419, 2013
47 김현지,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경희대학교 2008
48 양심영, "영아-교사 상호작용 증진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아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7) : 43-66, 2011
49 김은순, "영아-교사 상호작용 교사교육이 교사효능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 및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11
50 이진희,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2011
51 황옥경, "영아 무상보육 정책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81-100, 2013
52 신소영,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 분석" 신라대학교 2012
53 이영란, "양성평등교육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2011
54 이송연, "아동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부모 · 교사교육 국내 연구동향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177-201, 2015
55 김수자, "셀프리더십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2006
56 권미량,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프로그램 모형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137-156, 2005
57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58 이은영, "사고력 중심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65-93, 2013
59 이 향,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과 영아반 프로그램 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1996
60 김지수, "보육시설 아동을 위한 감염예방프로그램의 효과" 서울대학교 2007
61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교육과학연구소 36 (36): 81-104, 2005
62 김혜금,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 상해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12, 2011
63 박현정, "보육교사를 위한 영아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2012
64 양승연,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코칭프로그램 효과 분석" 남서울대학교 2011
65 박지영, "보육교사 보수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2009
66 김종희, "동화구연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동화구연 교수효능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2005
67 안부금,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2002
68 신현석, "교원 현직연수 연구동향 분석: 연구 영역, 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431-462, 2013
69 강인숙, "교사 반응성 프로그램이 교사 및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2003
70 라정숙, "개념변화 교수법에 기초한 과학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수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2002
71 이명조, "가정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현직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1-28, 2007
72 Feeny, S., "Who am I in the lives of childen?"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 1983
73 OECD, "Starting Strong III: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 ![]() |
2013-04-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7 | 1.22 | 1.339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