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천 지역 지석묘 구조 변화와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

        송만영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8 고문화 Vol.92 No.-

        This paper focuses o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tio of the funeral system of the secondary inhumation in the mid-Bronze Age, during which dolmens were built, and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is increase in connection with changes of the funeral system in Chuncheon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dolmens in Chuncheon area were constructed intensively in the latter half of the Bronze Age, in particular, in Jungdo site they were continuously built from the second half of the Bronze Age, in which the large-scale settlements, were dismantled to the Clay-stripe Pottery period. The dolmen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 ground, semi-underground, underground, and deep underground. While the more the central part of the landfill gets exposed, the larger the tomb facility and the central part of the grave gets, the more the central part goes down, the fewer the tomb facility is set up; even if the facility is set up, the size of it and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are small. These structural differences reflect time sequence: the size of dolmens gets low as the loc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grave changing in order of ground → semi-underground → underground and deep underground. The change also indicate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abor force to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dolmens.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scale of the dolmens are reflected in the formation of dolmen groups in Cheonjeon-RI and Jungdo sites. In these sites, it exhibits the rapid process of undergroundization and miniaturiza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in this process, the secondary inhumation has become generalized. Besides, these chang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large-scale settlements being dismantled and converted into mixed-economic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adaptive strategy to cope with overpopulation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Bronze Age. 본 논문은 춘천 지역 무덤의 장제 변화와 관련하여 지석묘가 조성된 청동기시대 중기에 이차장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는 점에 주목하여 그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그 결과 춘천 지역의 지석묘는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에 집중적으로 조성되었으며, 특히 지석묘가 가장 밀집된 중도 유적에서는 대형 취락이 해체된 중기 후반부터 점토대토기 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조성되었다. 지석묘는 매장주체부 위치를 기준으로 지상식, 반지하식, 지하식, 깊은 지하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매장주체부가 지상에 노출될수록 묘역 시설과 매장주체부 규모가 큰 반면에 지하로 내려갈수록 묘역시설을 설치하지 않거나, 설치하더라도 작은 규모이며, 매장주체부도 작은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구조 차이는 시간을 반영하는데, 지상식→반지하식→지하·깊은 지하식 순으로 매장주체부 위치가 변화하면서 지석묘 규모가 소형화 되는 점으로 보아 지석묘 조성에 투여되는 노동력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석묘 구조와 규모 변화는 천전리와 중도 유적 지석묘군의 조성 과정에 반영되어 있는데, 전반적으로 매장주체부의 지하화와 소형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이러한 과정에서 이차장의 장제가 일반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 이래로 인구 과밀을 극복하기 위한 적응전략에 따라 대형 취락이 해체되고 혼합경제 체제로 전환되는 과정과 관련된다. 토지에 의존도가 높은 생계경제가 포기되면서 농경지 확보를 전제한 이념조작의 전통적 기제로서 지석묘의 사회경제적 기능이 약화된 결과이다.

      • KCI등재

        강원 영서, 영동지역 적색마연토기의 편년과 계보

        宋滿榮 한국문화유산협회 2013 야외고고학 Vol.0 No.16

        이 글은 강원 영서, 영동지역 적색마연토기의 편년과 계보를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 다. 이를 위해 이 지역의 적색마연토기를 평저장경호, 대부토기, 원저호, 호형토기, 발형토 기 등의 기종으로 분류하고 이 가운데 대부토기는 완, 발, 단경호, 장경호 등으로, 원저호 는 장경호와 단경호로 세분하였다. 각 기종은 형식학적 변화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여 형식 분류하였으며, 강원 영서, 영동지역의 무문토기와 석촉 편년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여 적색마연토기의 형식학적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적색마연토기 가운데 평저장경호와 원저단경호는 서포항 청동기시대 상층 문화에 계보 를 두고 있지만, 대부토기 가운데 대부발, 대부단경호, 대부장경호는 남한 지역에서 소형심 발과 장동형 평저장경호의 형식학적 변화 과정에서 출현하였다. 특히 원저단경호 기종의 출현과 관련하여 기존에 두만강유역 컵형토기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대부단경호에서 대각 이 탈락되면서 흔암리유형 단계에 원저단경호가 발생했다는 견해가 있었지만, 대부단경호 의 시원적 형태가 장동형인 것과는 달리 컵형토기는 화분형과 같은 기형이기 때문에 형식 학적으로 바로 연결되기는 어렵다. 이에 소형심발→대부발→대부단경호 순의 형식학적 변 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적색마연토기의 형식학적 변화는 주로 동체부의 변화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대부단 경호와 대부장경호, 그리고 원저단경호는 그 시원적 형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기 후반 의 늦은 시기에는 동 최대경이 하위에 위치한 주머니형으로 통일되어 가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원저장경호와 중ㆍ소형의 호형토기는 중기 전반에 동 최대경이 상위에 위치하여 어 깨가 강조된 형태로 변화하였다. 평저장경호는 편구형→구형→장동형 순으로 변화하지만, 남강유역의 평저장경호와 비교할 때, 변화 속도에 차이가 있어 두만강유역의 평저장경호가 확산된 이후 지역별로 전개 과정이 달랐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 소형의 호형토기와 발형 토기는 무문토기를 모본으로 출현하였으며, 무문토기와 동일한 변화 과정이 확인된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chronology and genealogy of red burnished pottery from the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of Gangwon Province, Korea. To do so, the pottery was categoriz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their shape: the long-necked jar with flat-bottom (pyeongjanggyeong-ho), mounted pottery (daebu-togi), round type jar (wonjeo-ho), jar and bowl. Mounted pottery is subdivided into four types: the smaller bowl called wan, bowl called bal, short-necked jar (dangyeong-ho), and long-necked jar (janggyeong-ho). The round type jar is subdivided into the long-necked jar and short-necked jar. This classification based on form referred to the previous scholarship because each type experienced its own process in terms of change in form. The typological changes of red burnished pottery were examined in reference to studies undertaken on the plain (mumun) earthenware and stone arrowheads in the Yeongseo and Yeongdong regions of Gangwon Province. Of the types of mounted pottery, the mounted bowl called daebu-bal, mounted short-necked jar and long-necked jar emerged during the process of typological changes to the small deep bowl and pyeongjeojanggyeong-ho with long body in the South Korea. Of the types of red burnished pottery, the pyeonjeojanggyeong-ho (long-necked jar with flat-bottom) and wonjeodangyeong-ho (short-necked jar with round bottom) belong to upper layer Bronze Age culture of Seopohang. In respect to the advent of the wonjeodangyeong-ho (short-necked jar with round bottom), there is an opinion that it emerged in the Heunam-ri assemblage phase, when the mount from mounted short-necked jars, which had been produced following the influence of cup type pottery, vanish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rectly link the cup type pottery and the mounted short-necked jar in terms of typology because the original form of the mounted short-necked jar had a long body whereas the cup type pottery was shaped like a flowerpot. For this reason I suggested a new order of typological change: small deep bowl → mounted bowl → mounted short-necked jar. This typological change of the red burnished pottery was investigated through changes in its body form: even though the original forms of the daebudangyeong-ho, daebujanggyeong-ho and wonjedangyeong-ho were different, their shape became transformed into the pouch type, which was widest at the lower part, in the late Early Bronze Age. The long-necked jar with round bottom and middle and small-sized jars were transformed into shapes that emphasized the shoulder, which is the widest part of the pottery vessels in the early Middle Bronze Age. The body of the pyeongjeojanggyeong-ho was trans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oblate spheroid type → sphere type → prolate spheroid type. However,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peed of change when compared to the pyeongjeojanggyeong-ho of the Nam River basi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after the spread of the pyeongjeojanggyeong-ho from the Duman River region, it experienced its own unique process of development in each local area. Middle and small-sized jars, as well as bowls, were made by imitating mumun pottery and these jars and bowls show a common process of development with mumun pottery.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 실무 교육 연구

        송만영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2 고문화 Vol.100 No.-

        This essay was written to offer suggestions for practical training for museum exhibitions on the metaverse platform. The term ‘metaverse’ refers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where,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IT technology, the same kinds of social, economic, cultur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as in the actual world are conducted. The museum is also hoping to become a metaverse museum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but this is still only a theoretical idea. I primarily practiced museum exhibitions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SPATIAL, and I'm hoping that by sharing my experience, museum education on the metaverse platform may be sparked. Despite the value of practical training for museum exhibits, colleges and museums need help to conduct practical education due to space and funding constraints actively. The metaverse platform offers a virtual environment and eliminates the need for funding for exhibition practice, making it an alternative to exhibition practical education. However, Open World, Sand Box, and interactive avatar components should be present in the metaverse platform’s exhibition area. It allows visitors to virtual museums to engage, directly participate in exhibitions, and enjoy the same level of presentation and education as visitors to physical museums. The constraints of the platform caused some issues due to the training the exhibition practice mainly in the physical space. Still, the metaverse platform is a substitute for museum education and has effective results, making it highly competitive as an exhibi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reate 3D data of exhibition relics, remains, and relics in addition to additional software designed for museums to create a metaverse platform specialized in museum exhibitions and education. Additionally, several museums must collaborate to develop and use the same platform to construct a Museum Complex in a virtual environment. 이 글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박물관 전시 실무 교육을 제안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메타버스는 IT 기술의발달로 현실세계와 동일한 교육, 사회, 경제, 문화, 과학 기술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의 가상공간을 의미한다. 박물관도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메타버스 박물관을 지향하고 있지만, 아직은 원론적인 논의에 그치고 있다. 필자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스페이셜(Spatial)을 활용하여 박물관 전시 실무를 실습 위주로 교육하였는데, 이경험 사례의 공유를 통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박물관 교육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박물관 전시 실무 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학과 박물관은 공간과 예산 때문에 실습 중심의 교육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가상의 공간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그리고 전시 실습에 소요되는 예산이 필요하지 않다는 측면에서 전시 실무 교육의 대안이 된다. 다만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전시 공간은 오픈월드(Open World)와 샌드박스(Sand Box), 그리고 상호작용이 가능한 아바타(Avatar)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가상의 박물관에서 관람객은 현실세계와 동일한수준의 전시와 교육을 경험하며, 상호작용하며, 직접적인 전시 참여도 가능해진다. 스페이셜에서 전시 실무를 실습 위주로 교육한 결과, 플랫폼의 한계로 몇 가지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테면 건축 3D 모델링 툴이 제공되지 않아 공간 구성을 할 수 없거나, 조명, 배색 등과 같은 세부적인 공간 세팅이 어려웠다. 하지만 전시 실무의 전 과정을 실습 위주로 경험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는 점에서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메타버스 플랫폼이 박물관 교육의 대안이 될 뿐만 아니라 그 결과물도 양호하여 전시로서의 경쟁력도 높다고 할 수 있다. 향후에 박물관 전시와 교육에 특화된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적인 보완뿐만 아니라 전시 유물 및 유구, 유적의 3D 데이터화가 필요하다. 또한 뮤지엄 컴플렉스(Museums Complex)를 가상공간에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박물관이 공동으로 동일한 플랫폼을 개발, 활용할 필요가있다.

      • KCI등재

        한강 하류 마한 취락의 편년과 전개 과정

        송만영 숭실사학회 2016 숭실사학 Vol.0 No.36

        이 글은 한강 하류 마한계 단위 취락을 편년함으로써 이 지역 정치체의 변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단위 취락들을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 출토율과 더불어 한성기 백제토기 기종을 기준으로 순서 배열하였다. 또한 배열된 단위 취락들의 상대 순서를 검토하기 위해 비교적 존속 기간이 긴 토기 기종들의 형식학적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편년 결과에 따르면, 한강 하류의 지역 정치체는 크게 4단계의 변화 과정이 확인되었다. 먼저 Ⅰ기는 인천 운북동유적이 대표적인 취락 사례로 전국계 외래토기와 재지계 삼각형 점토대토기가 공반되는 단계이다. 유적 사례가 많지 않아 분명치 않지만, 한강 하류 지역이 중국 산동 지역과 한반도 서해안을 연결하는 원거리 교역망의 거점으로 부각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Ⅱ기는 심발형토기, 장란형토기와 같은 타날문 취사용기와 더불어 중, 대형의 저장용기가 단계적으로 출현하여 한강 하류 지역에 타날문토기 생산 체제가 완성되는 단계이다. Ⅲ기는 한강 하류에 이형토기라는 신 기종의 생활 의례용 토기가 출현하여 유행하는 단계이다. 이 새로운 토기는 파주, 김포, 인천 등 한강 하류의 지역 정치체들이 공동의 생활 의례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적 유대감을 고양하기 위해 제작된 것이다. 3기는 원삼국 Ⅲ-2기에 시작하여 한성 1기까지 지속되는데, Ⅲ기가 끝나는 4세기 전반을 기점으로 백제의 한강 하류 지역으로의 영향력 확대에 따라 생활 의례용 토기가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polities through chronology of Mahan styled settlements in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For this, we placed the settlements in order as types of Baekje pottery in Hanseong period with the rate of excavation of hard-plain pottery and paddling pottery. Also, we considered the change of type of pottery existed relatively long term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ve order of settlements. As a result of chronology, we could find out that the polities in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largely experienced changes of 4 steps. In the first stage, nationwide scaled pottery from foreign coexisted with native-triangled clay strip pottery as a typical example of settlements in Woonbook-dong, Incheon. It wasn’t very clear because of few case, we could find out that the area of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was base for the network of long distance trade between Sandong area in China and the west coast of Korean Peninsula. In the second stage, production system of paddling pottery was completed by appearance of middle-large sized string container by stages with paddling container such as deep bowls shaped pottery and long egg shaped pottery. In the third stage, the differently shaped pottery, which was a new and ceremonial poterry, in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was appeared and widespread. This new type of pottery was designed to raise a sense of fellowship through participation in common ceremony of polities in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Paju, Kimpo, Incheon. The third stage was started in Ⅲ-2 period of the pro-Three Kingdoms and continued in 1 period of Hanseong Baekje. By the first half of 4th century, the ceremonial pottery was dissipated because of extension of influence of Baeckje to downstream part of the Han River.

      • KCI등재

        북한강유역 역삼동유형 영향설에 대한 검토

        송만영 중부고고학회 2019 고고학 Vol.18 No.2

        이 글은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전기 유물복합체의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북한강유역 역삼동유형 영향설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북한강유역 역삼동유형 영향설은 청동기시대 전기에 한강유역에서 유입된 역삼동유형의 문화 전통을 토대로 북한강유역에서 중기에 천전리유형이라는 독자적인 문화 유형이 형성되었다는 견해이다. 따라서 북한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초기 유물복합체, 즉 미사리유형과의 계승 관계를 인정하지 않은 관점에서 제안된 것이다. 이에 북한강유역 역삼동유형 영향설이 구체화 되는 과정과, 그 논리의 바탕이 되는 편년안의 쟁점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 필자의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편년안에 영향을 주었던 탄소연대 측정치의 적용 문제와 북한강유역의 이른바 역삼동 주거유형이라고 주장된 주거지들의 계통 문제, 그리고 역삼동유형이 유입되었다고 주장된 시점의 한강유역과 북한강유역의 토기 조합상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전기 유물복합체가 이 지역 청동기시대 초기의 유물복합체인 미사리유형의 토기 조합상과 주거유형을 계승한 조동리유형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서울ㆍ경기 이남 및 아산만 지역과는 달리 조동리유형 분포권에서는 청동기시대 초기에 형성된, 요동 및 서북한 지역과의 청동기 관계망이 지속되어 전ㆍ중기에는 비파형동검을 매개로 한 관계망이 더욱 강화되었다 This paper was prepared to critically review the theory of the influence of the Yeoksam-dong type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by examining the nature of the relic complex during the early Bronze Age. The theory holds that Cheonjeon-ri type was established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in the middle Bronze Age based on the cultural tradition of the Yeoksam-dong type introduced from the Han River basin in the early Bronze Age. Therefore, the proposal was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not recognizing the succession relation between relic complex of the North Han River basin in the early Bronze Age or Misa-ri type. In response, the paper examined the above theory's materializing process, and the issues and problems of the chronology, on which its logic is based. It also proposed a new chronology as an alternative to that theory. In addition, the paper reviewed by comparison the application of carbon dating measurements that have affected the previous chronology, a systematic problem of residential areas claimed to be Yeoksam-dong residential type in the North Korean River Basin, and the combination of earthenware from the Han River basin and the North Han River basin at the point at which the Yeoksam-dong type is claimed to have been introduced. This shows that relic complex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during the early Bronze Age was Jodong-ri type inherited from earthenware combination and residential type of Misa-ri type, and that it was related to the Bronze Age network with Yodong and Western North Korea formed in the early Bronze Age, unlike the areas of Seoul, South Gyeonggi Province and Asan Bay area.

      • KCI등재

        中部地方 粘土帶土器 段階 聚落 構造와 性格

        송만영 한국고고학회 2011 한국고고학보 Vol.80 No.-

        Previous understanding on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is based on opinions of conflict between existing settler groups and migration groups, and of reorganization by migrators. Therefore in previous scholarships settlement on highlands has been regarded as a material to reflect friction and tension among these groups. It has been also believed that the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accomplished more extensive regional unification than societies in Bronze age through reorganizing by migrations and improved as a legitimate hierarchical society. However this understanding can not explain location changes, downsizing and dispersion of settlements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investigating settlements in the perspective of changes of socio-economic networks. A group of houses became a small settlement and three or four groups of houses formed a middle-sized settlement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This means size of each settlement decreased comparing Bronze age. These settlements were classified in two groups: one top house and several lower houses at the small settlements, and a few top houses and several lower houses at the middle-sized settlements. It seems that local community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was in the level of village, chollak in Korean uniting hamlets, chon in Korean, which was composed of 14 to 18 houses and small hamlets, sochon in Korean, which was composed of 4 to 6 houses at this time. Size of the community was within 2~6km. Horizontal location of these villages was formed by combining settlements on hills with centering ritual places in heights. From a broad perspective, socio-economic networks, by which ritual places on highlands were connected, having been gradually formed since the Bronze Age were completed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This social economic networks were formed after networks centering water system in Bronze age were dissolved. However the social economic networks were also formed as a part of dissolution of bigger settlements and downsizing and dispersion of settlements. I think that as bigger settlements dissolved due to excessive reliance on agriculture, dependence upon resources from the sea temporarily increased and their economic system turned into the mixed one combining farming, hunting, and fishing. In this respect reorganization of social economic networks related to livelihood should be considered in demarcating the Early Iron Age.

      • KCI등재

        중부 지역 점토대토기 사회에 대한 다른 인식

        송만영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3

        The clay-band rim pottery communities of the central region of Korea have been understood thus far from the point of view of migration, of coexistence and conflict between migrants and indigenous peoples, and in terms of exchange and reorganization. In addition, the migration of foreign residents has been regarded as a cause of cultural change, bringing about the regional integration of the wider area and transformation into a fully class-divid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problems with the logical structure of such a perception, and to consider whether it is a descriptive frame that is consistent with archaeological data, and to suggest alternative interpretations if required. The migration theory for the clay-band rim pottery group, which was developed by combining the methodology of making historical records as a prerequisite for annals and cultural interpretation with the epistemology of regarding a specific archaeological assemblage as a representing a population group, is an unconfirmed entity. Also, the dating of the clay-band rim pottery sites has been based on the theory of systematic awareness, coexistence, and conflict. However, no verification has taken place and occasionally errors of chronology have been identified in relation to the overlapping of dwellings and the relationship of artifacts. Therefore, relationship network theory is presented as the basis for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It is proposed that the indigenous group formed strategic networks for social integration and stratification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which involved the dissolution of large villages, their dispersion and the miniaturization, and the emergence of a mixed economy, which had taken place since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In other words, it is argued that the indigenous group gradually accepted clay-band rim pottery and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through a wide regional network that connected the Liaodong region, the northwestern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id-western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at the culture had spread through the regional network via nodes such as ritual sites. 지금까지 중부 지역 점토대토기 사회는 점토대토기 집단의 이주설과, 이를 전제로 한 이주민과 재지민의 공존과 갈등, 그리고 교류 및재편이라는 틀 속에서 설명되었다. 또한 외래 집단의 이주가 광역의 지역 통합과 본격적인 계급적 복합사회로 변화하는 등과 같은 문화변동의 원인이 되었다고 본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의 논리 구조에 문제가없는지, 그리고 고고학 자료와 잘 부합되는 설명 틀인지 검토하고 그대안적 가설을 제안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점토대토기 집단의 이주설은 문헌의 역사 기록을 편년과 문화 해석의 전제 조건으로 하는 방법론과 특정의 유물복합체를 집단으로 이해하는 인식론이 결합되면서 주장된 것이지만, 실제 남한 지역의 인구 변동에는 확인되지 않은 실체이다. 또한 계통론적인 인식과 공존, 갈등설이 전제되어 점토대토기 유적편년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검증이 이루어진 사례는 없으며, 주거지의중복 및 유물의 공반 관계에서 편년 오류가 확인되기도 한다. 필자는 그 대안으로 관계망설을 제안하였는데, 청동기시대 중기 이래의 인구감소, 대형취락의 해체에 이어 취락의 분산, 소형화와 혼합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재지 집단이 사회 통합과 계층화를 위하여 전략적으로 관계망을 형성하였다는 견해이다. 즉 재지 집단이 요동, 서북 지역, 그리고 중서부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의 관계망을 통해 점토대토기와 세형동검문화를 순차적으로 수용하였고, 제장과 같은 지역 관계망을 통해그 문화를 확산하였다고 본다.

      • KCI등재

        대학박물관에서의 메타버스 박물관 구축과 활용 방

        송만영 숭실사학회 2022 숭실사학 Vol.- No.49

        This article was written to urge interest in the me taverse platform as a self-rescue measure for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university museum after post-Corona. Specifically, a plan to build and utilize a metaverse museum was proposed, and the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taverse Museum is a step further from existing online or cyber museums. In other words, the metaverse Museum not only enables interaction through avatars in a virtual space, but also guarantees nonlinear stories and free movement. Moreover, you can design your own exhibition space by creating content in an expanded space. In addition, you can experience the same amount of space and realism as reality on the HMD-based metaverse platform, making it possible to designate it as a new level of the museum rather than a level that supplements offline museums. However, budget and compatibility issues arise when each university museum creates a metaverse museum. Therefore, the Korean University Museum Association must establish a metaverse museum platform so that its member university museums can use it. The Metaverse Museum, which the Korean University Museum Association will operate, will have the structure of a museum complex because it includes permanent and special exhibitions of its museums, past exhibitions, combined exhibitions, and exhibition spaces for general visitors. In addition to having a completed exhibition space, each university museum also has a structure complemented by other university museums' exhibition contents. Since education in the metaverse museum provides a virtual space like the real world, the difficulties of space and budget shortages arising from offline practiceoriented education are offse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utilizes the advantages of the metaverse platform. 이 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학박물관의 관람객 감소에 대한 자구책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에 관한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서 작성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메타버스 박물관 구축과 활용 방안을제안하였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메타버스 박물관은 기존의 온라인 또는 사이버 박물관에서 한 단계 진일보한 박물관이다. 즉메타버스 박물관은 가상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한 상호작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선형 스토리와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된다. 더욱이 확장된 공간에 콘텐츠를 만들어 자신만의 전시 공간을 만들 수 있으며, HMD 기반의 메타버스 플랫폼에서는 현실과 동일한 수준의 공간감과 실감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박물관을 보완하기 보다는 새로운 차원의 박물관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각 대학박물관들이 메타버스 박물관을 조성할 때에 예산과 호환성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메타버스 박물관 플랫폼을 구축하여 회원관인 대학박물관들이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국대학박물관협회를 중심으로 운영될 메타버스 박물관은 소속 박물관들의 상설 및 특별 전시뿐만 아니라 과거의 전시, 그리고 연합전시, 일반 관람객들의 전시참여 공간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뮤지엄 컴플렉스의 구조를 갖추게 된다. 또한 각 대학박물관이완결된 전시 공간을 가지게 되지만, 한편으로는 다른 대학박물관의 전시 내용으로 보완되는 구조를 보인다. 메타버스 박물관에서의 교육은 현실세계와 같은 가상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의실습 중심의 교육에서 발생하는 공간 및 예산 부족의 어려움이 상쇄된다. 앞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장점을 살린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부 지역 청동기시대∼점토대토기 단계 지역성과 의미

        송만영 숭실사학회 2018 숭실사학 Vol.0 No.41

        원삼국시대에 중부 지역에는 마한계 주거지와 중도식 주거지와 같이 서로 다른 두 주거유형이 서쪽과 동쪽에 분포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분포권이 형성되게 된 기원을 찾기 위해 청동기시대부터 점토대토기 단계까지 취락과 무덤 자료를 검토하였는데, 청동기시대 초기에 형성된 지역성이 점토대토기 단계에 이어 원삼국시대까지 지속된 결과로 보았다. 임진강 하류와 한강 본류, 그리고 남한강 수계를 연결하는 경계선을 중심으로 동서 양 지역은 지형적 조건이 다르고, 이에 따라 지역 공동체를 유지, 발전시키기 위한 서로 다른 전략을 구사하였다. 경계의 이동 지역은 청동기시대 초기에 형성된 요동 지역, 서북한 지역과의 관계망을 통해 비파형동검을 적극적으로 반입하였지만,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에 대형 취락이 해체되면서 관계망이 느슨해지고 분산된 취락들의 결속력도 약화되었다. 이서 지역은 청동기를 사회 통제의 기제(機制)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대형 취락의 해체 이후에 공동 제장(祭場)을 집중적으로 조성하여 분산된 취락들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한편, 서해안을 따라 형성된 요동 지역과의 관계망을 통해 새로운 목관묘와 세형동검을 수용하고 그 연장선에서 철기와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유입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성은 원삼국시대에도 지속되어 주거유형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물질문화를 수용하는 토대가 되었다. Two different types of housing such as Mahan and Jungdo type dwellings form distribution area in the west and east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untry in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order to find the origin of this distribution, the paper reviewed the settlements and tombs from the Bronze age to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stage. The distribution is because the locality formed in the early Bronze age was followed by Pottery with Clay Stripes stage, and continued until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lower reaches of the Imjin River, the mainstream of the Han River, and both of East and West of the border connecting the waters of the Namhan River are different. Thus they used different strategies to maintain and develop the local communities. In the eastern part of the border, the Lute-shaped Bronze Daggers were brought in actively through the network between the Liaodong area and the northwestern area formed early in the Bronze Age. However, In the latter half of the Bronze Age, large-scale settlements were dismantled, which loosened the network and weakened the solidarity of the dispersed settlements. In the western part of the border, they did not use bronze as the basis of social control. However,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large settlements, they built common places for rituals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dispersed settlements. Also, they accepted new wooden coffins and Narrow-bladed Daggers through the network of relations with Liaodong area along with the west coast, and then ironware and Triangular-shape Pottery with Clay Stripes were introduced. These regional characteristics continued in the era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laid the basis for embracing different material cultures, including residential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