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 재직자 직업훈련의 기업규모별 노동시장 성과(임금·직무만족도·장기근속)

        문영만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1

        First, the participation rate of vocational training was three times lower in SMEs (5.1%) than in large enterprises (18.3%). Seco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large companies, high education, high wages, regular workers, union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white colla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both SMEs (2.2%) and large enterprises (2.2%) had a positive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job satisfaction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the influence was greater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5.4%) than large enterprises (5.0%). Fif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longevity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fter 2 years of vocational training (t-2, t-3).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2011-2020)’과 ‘인적자본기업패널(2020)’자료를 사용하여 청년 재직자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 참여율과 1인당 훈련비용은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3배 이상 낮았으며, 대·중소기업 간의 직업훈련 참여율 격차는 청년 재직자(13.3%p)가 전체 노동자(11.5%p)보다 더 컸다. 둘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청년 재직자의 직업훈련 참여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대기업, 고학력, 고임금, 정규직, 노조원, 직무만족도, 화이트칼라 등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중소기업(2.2%)과 대기업(2.2%)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직무만족도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은 중소기업(5.4%)이 대기업(5.0%)보다 컸다. 다섯째, 직업훈련을 받은 청년 재직자의 이직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직업훈련의 장기근속 효과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 2년 이후(t-2, t-3)부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청년 재직자의 직업훈련이 기업의 생산성과 노동자들의 근로조건(임금, 직무만족도, 이직률, 장기근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직업계고 학생의 취업지원 만족도 유형과 취업성과 간 관계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김수진,이보미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classify latent group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ith employment support and analyze each latent group type’s effect on employment performance. Thus,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deriv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1st-3rd year of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KEEPII)」 and each type’s effect on job performance was confirmed through ordinary least squares method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type was divided into seven groups. Second, the high satisfaction typ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status, monthly wage,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mphasized that when discussing employment support in vocational high school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participate in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but also to increase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이 연구는 직업계고 학생의 취업지원 만족도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각 잠재집단 유형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Ⅱ의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직업계고 학생의 취업지원 만족도 유형을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도출하였고, 각 유형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상최소자승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학생의 취업지원 만족도 유형은 일곱 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각 잠재집단 유형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만족형은 취업 여부, 월 임금, 직장만족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전반적 만족형과 전반적 만족-취업캠프 불만족형은 취업 여부와 월 임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전반적 만족-취업캠프 만족형은 취업 여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계고의 취업지원에 대한 논의 시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여부뿐만 아니라 만족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고, 취업지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특정 영역이 아닌 전체적 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년층은 희망직업으로 취업하고 있는가?

        황광훈,이은혜,홍석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4 No.3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he youth’s desired job employment and estimates the effect of the desired job employment status on the job duration and wages by using the youth panel (1-13th)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other conditions constant, The youth were more likely to get desired job when there education level increased, when they had a job they want, when they had the experience of accumulating ‘specs(qualification)’. In addition, the group who was employed for the desired job was more likely to maintain a job than the group that did not, and 9.6% higher wages were received when the desired job and the employed job matched according to the job classification criteria.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1~13차 직업력 자료와 전체자료 연결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희망직업 취업결정요인, 희망직업 취업여부가 일자리 지속기간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 학력이 높아질수록 희망직업에 취업할 확률이 높게 나타나며, 재학 중 희망직업이 있는 경우, 스펙쌓기 경험이 있는 경우는 희망직업에 취업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희망직업에 취업한 집단의 경우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일자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고, 직업 소분류 기준으로 희망직업과 취업한 일자리가 일치할 경우 9.6%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 기업 및 개인의 특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박민주,정혜경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6 No.3

        산업 환경 변화 및 인구감소에 따라 우수한 인적자원을 양성하는 것이 기업 생존의 필수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우수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속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기업이 부담을 가지게 되는데, 이를 지원하는 국가차원 정책의 하나로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와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를 연계하여, 교육훈련 투자와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 정도에 따른 집단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집단별 특성에 나타난 주요 변인들을 활용하여 기업수준 성과(인적자원개발 활동의 효과-직원의 직무능력, 노동 생산성, 회사의 이미지, 직원의 의욕, 직원의 이직방지)와 개인수준의 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결과에 따르면, 기업수준 성과 중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종속변인은 직원의 직무능력과 노동생산성, 직원의 이직방지였으며, 개인수준의 성과는 조직몰입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훈련과 사업주 직업능력개발사업에 대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s the industrial environment changes and population decreases, cultivat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i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survival of companies. In this study, we linked a company's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and participation in the employ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jec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investment and the employer'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Additionally, by utilizing the key variables shown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company-level performance (effec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employee job ability, labor productivity, company image, employee motivation, and employee turnover prevention) and individual-level performanc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examin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s, respectively. The primary findings indicate that the the employ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jec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employee job skills, labor productivity, and the prevention of employee turnover at the company level. Additionally, it positively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the individual level.

      • KCI등재

        후기 청소년의 직업 인식 및 직업인지도 분석

        김기남,김형택,최보영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1

        After selecting the jobs recognized by late adolescents and confirming their validity, this study formulated their congnitive occupational map and examined types of gender roles and gender differences according to status level. A total of 384 ca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questionnaires on selected occupations to late adolesc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conducted using Excel 2019 and SPSS 18.0.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34 jobs were finally derived through validity verification. Second, the late adolescents’ job perception was found to be neutral, and the awareness level of status was high.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by gender in 16 occupations concerning the types of gender roles, and differences by gender in three occupations existed in relation to the status level. Third, with regard to the gender role type, the occupation in the real domain (R) was perceived as the most masculine, and as for the status level, the occupation in the customary domain (C) was the highest. Moreover, in terms of the career development aspect, there was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gender role type and status level during the late adolescent period (approximately 19–24 years old) from mid-adolescents (about 15–18 years old).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후기 청소년이 인식하고 있는 직업을 선정하여 타당성을 확인한 후, 직업인지도를 작성함과 동시에 성역할 유형, 지위수준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선정된 직업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후기 청소년에게 배부하여 총 384명의 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엑셀 2019와 SPSS 18.0을 사용하여 내용타당도 검증(CVR),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업을 선정하였고, 타당성 검증을 통해 34개의 직업을 최종 도출하였다. 둘째, 후기 청소년들의 직업 인식은 중성적이고, 지위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성역할 유형에서는 16개의 직업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고, 지위수준에서는 3개의 직업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유형은 실재적 영역(R)의 직업이 가장 남성적으로 인식하였고, 지위수준은 관습적 영역(C)의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진로발달적인 차원에서 중기 청소년(만15세∼만18세)이 넘어가는 후기 청소년(만19세∼만24세) 시기에 성역할 유형, 지위수준의 인식이 변화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 졸업 청년층 취업자의 직업적응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류와 대학에서 경험한 진로 및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의 영향 분석

        김수란,이선경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4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Ⅱ의 6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의 진로 및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 가운데 청년층 취업자의 직업적응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탐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먼저 취업자의 직업적응 변인(진로정체감, 직업정체감, 직업만족도)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유형화한 뒤 재학 중 경험한 진로및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이 각 유형 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취업자의 직업적응 유형은 집단1(단기적 직업적응, 6.8%), 집단2(단기적 직업부적응, 30.2%), 집단3(직업적응, 63.0%) 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집단3과 다른 집단을 분류하는 유의한 변수로 학과교수와의 상담이 도출되었고, 진로·직업탐색 교양 교과가 집단3보다 집단2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대학유형별 진로 및 취·창업 지원 정책 마련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career,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in college influence graduates’ work adjustment, using data from the sixth year of KEEPII. Initially, the variables of occupational adjustment, career identity, vocat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were categoriz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followed by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programs experienced during college on each group. The varieties of occupational adjustment of employees were classified into Group 1 (short-term occupational adjustment), Group 2 (short-term occupational maladjustment), and Group 3 (occupational adjustment). Counseling with department professors emerged as a significant variable distinguishing Group 3 from other groups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aking liberal arts courses related to career and job searching was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into Group 2 than into Group 3. These insights can help inform support policies to assist college graduates with work adjustment.

      • KCI등재

        블라인드 채용제도 도입의 성과에 관한 탐색적 실증 분석

        문희원,이호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blind recruitment introduced in 2017. We explored whether the introduction of blind recruitment changed the effects of graduation from universities in Seoul on employment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For the analysis, we use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GOMS data (from 2012GOMS to 2019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introduction of blind recrui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influence of university background on employment in the public sector. However, this reduction was inconsistent. After introducing blind recruitment, the impact of graduation from universities in Seoul decreased only for males. Taken together, the effectiveness of blind recruitment is inconsistent. Therefore, the system must be changed to make its influence more consistent across genders. 본 연구는 2017년에 도입된 블라인드 제도의 효과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2부터 2019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블라인드 채용제도 도입 전후로 취업 여부에 대한 출신학교의 평균한계효과(average marginal effects)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블라인드 채용제도 도입은 서울소재대학 졸업 여부가 공공기관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그러나 이런 변화는 블라인드 채용 도입 직후에 나타났을 뿐 지속되지 않았다. 둘째, 하위집단별로 블라인드 채용제도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성 집단의 경우 서울소재대학 졸업의 영향이 감소하였던 반면 여성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블라인드 채용제도의 효과는 설립유형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블라인드 채용제도 도입 직후에 나타났던 효과가 지속되지 못한 점에 주목하여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여성의 연령별 공공고용서비스 이용과 주관적 취업 효과

        문지선,전선영,홍미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2019년 서울시여성인력개발기관의 직업훈련에 참여한 후 2020년 취업상태인 여성을 대상으로, 공공고용서비스 이용 경험이 ‘직업훈련 서비스의 취업 도움 정도’라는 주관적 취업 인식에 미친 영향을 연령별로 비교했다. 직업훈련을 받은 여성들은 취업지원 서비스를 40대, 50대, 60대 순으로 많이 이용했지만, 20~30대의 이용률은 저조했다. 30대와 40대, 60대는 직업훈련과 취업지원 서비스를 같이 이용했을 때 직업훈련의 취업 도움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30~40대 여성은 경력단절 가능성이 높다고 해서 저학력자 등 노동시장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주관적 취업 효과가 더 큰 것은 아니었고, 50~60대는 경제적 동기가 강하다고 해서 실제 취업자가 모든 직업훈련 서비스를 취업에 도움이 됐다고 평가하는 것도 아니었다. 이 글은 이용자 관점에서 주관적 취업 효과를 분석한 차별성이 있으며, 추후 여성 연령별 ‘수요자 맞춤형 공공고용서비스’를 설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d the impact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among women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at the Seoul Women's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in 2019 and were employed the following year. Women in their 40s, 50s, and 60s used job placement services the most while its utilization rate was lower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omen in their 30s, 40s, and 60s show a positive subjective employment effect when using vocational training and job placement services. For women in their 30s and 40s, despite higher likelihood of career interruption, the subjective employment effect was not significantly greater for vulnerable workers. For those in their 50s and 60s, despite their stronger economic motives, not all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were evaluated as helpful. This study is unique in analyzing the subjective employment effect from the user's perspective and can contribute to the design of employment services customized by women's age.

      • KCI등재

        직업계 고등학교 출신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요인 분석

        하승혁,홍세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2

        This research aim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i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from vocational high school and analyze the related determinant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st(2016), 2nd(2017), and 3rd(2019)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Ⅱ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RIVET). The profiles were extracted from 1,037 people who had graduat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went to the company.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ree latent profiles emerged: low-level job satisfaction group (28.3%), middle-level job satisfaction group (58.6%), and high-level job satisfaction group (13.1%). In addition, it was proved whether demographic, introspective, career, and employment factors influenced the latent profile. Furthermore, in-school employment activity satisfaction had affected all profile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is research discusses that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look at the educational or vocational content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after getting a job. 본 연구는 직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도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재학 당시의 개인 특성과 경험 중 직장만족도 잠재프로파일 영향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해당 연구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Ⅱ의 1차(2016), 2차(2017), 3차(2019)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중, 1차 설문에서 마이스터 및 특성화고등학교 2학년 설문에 응답하고 3차 설문에서 ‘주된 일자리-임금근로자’ 설문에 응답한 졸업생 1,037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한 결과, “직장만족도 저 집단”, “직장만족도 중 집단”, “직장만족도 고 집단” 총 3개 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자기 탐색적, 진로 관련, 취업 관련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잠재프로파일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고, 교내 취업 관련 활동 참여 만족도가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는데 모두 영향을 미쳤던 유일한 변수임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재학생에게 필요한 교육 및 취업의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통근이 직장만족도 및 이직의향에 미치는 영향: 대졸 신규입직자를 중심으로

        배호중,양은모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6 No.1

        Most workers spend time commuting to and from work. Commuting affects not only personal time management but also social labor resource management. Physical and mental fatigue associated with commuting accumulates during working hours; therefore, commuting influences work performance and individual satisfaction. However, commuting has long been considered an unavoidable use of time. As a result, the personal and social effects of commuting have not been fully considered, even though Korean male workers spend significantly more time commuting than workers in OECD countries. Using data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whether commuting affects individual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 focused on employed Korean young adult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college less than a year ago. Commuting is defined in this study as both physical travel distance and commuting hours. This study highlights that personal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are clos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switching. As per the results, long commuting hours and physical travel distance negatively affect individual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직종, 직무, 고용형태와 무관하게 대부분의 노동자는 통근을 한다. 통근은 한 개인의 시간 사용에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신체적 측면과도 연관된다. 개인적인 측면 뿐 아니라 사회 전반적 관점에서도 통근은 도시 교통혼잡, 주택시장, 토지이용 및 도시공간구조 등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 본 연구는 OECD 국가들 중 통근 소요 시간이 긴 대한민국의 통근과 개인의 직장만족도에 대해 연구한다. 특히, 「대졸자 직업 이동경로조사(2019GOMS)」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을 졸업하고 이제 막 노동시장에 진입한 이들(대학졸업 후 2년이 지나지 않은 이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통근과 직장만족도, 이직의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다. 분석결과, 통근시간이 길수록 개인의 직장만족도는 낮고, 통근시간이 길수록 의직의향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또한, 직장과의 거리가 멀수록 직장만족도가 낮고, 이직의향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분석자료를 활용하여 통근으로 인한 개인적 차원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청년층의 직장만족도 제고 및 노동시장 유지를 위한 정책발굴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