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 규모별 직업훈련 실태 및 노동시장 성과(임금, 직무만족도)

        문영만,김종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9 산업혁신연구 Vol.35 No.1

        First,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was improvement of work ability (93.1%). Participation rate of large companies (17.8%)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5.3%). Second, as a result of panel regression analysis, wage, education, full-time, union, working hours, job satisfaction, and white color were higher in participation rate of vocational training.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was low in age, service years, and manufacturing.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wag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2.0% in total) than the incumbent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Large companies (2.6%) were more influential than SMEs (1.9%). Fourth,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vocational training was significant (+ 5.0%) in panel regression analysis, Influence was greater for large corporations (7.6%) than for small businesses (3.9%). Fifth,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he long-term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was estimated to increase the wage level not only at the beginning of vocational training but also over time. 본 연구는 기업 규모별 직업훈련 참여 현황과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의 참여목적은 업무능력 향상(93.1%)이 가장 많았으며, 참여비율은 대기업(17.8%)이 중소기업( 5.3%)보다 3배 이상 높았다. 둘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재직자의 직업훈련 참여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임금과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정규직일수록, 노조에 가입할수록, 노동시간과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관리·전문직 등 화이트칼라일수록 직업훈련 참여비율이 높았다. 셋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에 참여한 재직자의 임금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전체 2.0%), 기업 규모별 영향력은 중소기업(1.9%)보다 대기업(2.6%)이 더 컸다. 넷째, 직업훈련에 참여한 재직자의 ‘직무만족도, 취업의 안전성,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직무만족도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전체 5.0%), 영향력은 중소기업(3.9%)보다 대기업(7.6%)이 더 컸다. 다섯째,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활용하여 직업훈련의 장기적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 초기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기적으로도 임금수준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산지역 음식 배달노동자의 소득 및 산업재해 결정요인

        문영만,박주상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부산이동노동자지원센터의 부산지역 음식배달 노동자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음식배달 노동자의노동실태와 함께 소득 및 산업재해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1년 기준 부산지역 배달노동자는 27,199명(전국 42.3만명), 음식배달노동자는 5,714명(전국 8.9만명)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부산지역 음식배달노동자의 소득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는 노동시간, 주말 배달건수, 전업여부, 결혼여부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장시간 노동이, 많은 주말배달 건수가, 전업배달노동자가, 기혼배달노동자가 높은 소득과의 통계적 연관을 보였다. 셋째, 부산지역 음식배달노동자의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정한 결과, 노동시간과 주말배달 건수가 증가할수록 교통사고 확률이 높았고 , 표준계약서를 작성할수록, 여자일수록, 혼인일수록 교통사고 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실적급 형태의 특수고용노동자의 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특수한 현상이며, 사각지대에 놓여져 있는 노동환경이 배달노동자들의 건강 악화와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부산지역 배달노동자들의 산업재해(교통사고 )를 줄이기 위해서는 적정 노동시간과 함께 지역에서의 생활임금 보장을 위한 지원 정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노사정 간(또는 초기업 노사교섭)의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적정 노동시간(적정 배달 건수) 및 적정 생활임금(안전 배달료)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고, 표준계약서를 작성한 배달노동자일수록 교통사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된 만큼 표준계약서 작성을 장려해 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used survey data on food delivery workers in the Busan area to analyze the labor conditions of food delivery workers and the determinants of income and industrial accidents (traffic acci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of 2021, the number of delivery workers in the Busan area was estimated at 27,199 (423,000 nationwide) and the number of food delivery workers was estimated at 5,714 (89,000 nationwide). Second, the results of estimating the wage determinants of food delivery workers in the Busan area showed that the variables working hours, number of weekend deliveries, full-time job status, and marital statu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which means that long working hours and many weekends The number of deliveries, full-time delivery workers, and married delivery workers showed a statistical association with higher wages.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factors affecting traffic accidents of food delivery workers in Busan, the probability of traffic accidents was higher as the number of working hours and weekend deliveries increased, and the more standard contracts were written,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traffic accidents in women and marriag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 special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labor market of specially employed workers in the form of performance-based pay, and suggest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blind spot can lead to poor health and traffic accidents among delivery workers.

      • KCI등재

        비수도권 청년의 수도권 유출 실태 및 결정요인 - 7개 권역과 노동시장 격차를 중심으로 -

        문영만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를 이용하여 비수도권 대졸 청년의 1-2차 유출실태 및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첫째, 지난 10년간 모든 연도에서 수도권은 순유입이 발생한 반면, 비수도권은 모든 권역에서 순유출이 일어났다. 둘째, 대학진학을 위한 1차 유출은 비수도권 6개 권역 모두 동일 지역을 제외하고는 수도권 대학으로 유출된 비중이 가장 많았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비수도권 청년들의 수도권 대학 유출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부모소득이 높을수록(1.4배), 특목고 졸업생일수록(3.0배) 수도권 대학 유출 비중이 높았다. 넷째, 대학입학 당시 부모소득이 자녀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부모소득이 한 단위 증가할 때 자녀의 임금수준이 4.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소득격차가 자녀들의 사교육비와 학력격차로 이어지고, 노동시장 성과 격차로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취업을 위한 2차 유출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임금이 높을수록(2.6배), 300인 이상 대기업일수록(1.5배), 4년제 대학 졸업생일수록(2.8배) 수도권 기업 유출비중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비수도권 대졸청년의 수도권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노동시장 격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고학력 대졸청년의 수도권 유출을 막고, 그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확대보다는 일자리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outflow of college graduates from non-metropolitan area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 the past 10 years, a net inflow occurred in the metropolitan area, while a net outflow of youth in non-metropolitan areas occurred in all areas. Second, in the first outflow of youth from non-metropolitan areas (going to university), the largest proportion of outflows to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the largest in all six regions (excluding the same area). Third,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igher parental income(1.4 times) and graduates of special-purpose high schools (3.0 times) had a higher proportion of outflow from metropolitan universities. Four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 (employment), the higher the wage(2.3 times), the larger the company with 300 or more employees(1.5 times), and the more graduates from a four-year university(2.8 times), the higher the share of outflow from compan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outflow of university graduates from non-metropolitan areas, it is necessary to bridg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s.

      • KCI등재

        증거기반 최저임금제 실태와 소득·소비·고용효과-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

        문영만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1

        First, the proportion of low-wage workers and wage inequality have significantly decreased since 2018, when the minimum wage was raised high. The decrease in wage inequality over the past five years was the largest in Korea among OECD member countries. Seco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income and consumption effects of the minimum wage, only SM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e income and consumption effects of the minimum wage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long run.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employment effect of the minimum wage, the employment retention effect of workers hired in the previous year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However, the estimated net employment effect including new employment was not significant for both SMEs and large enterprises.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최저임금 수준은 2020년 기준 7.3달러로 OECD 회원국의 중간 수준(14위/30개국)이다. 둘째, 저임금노동자 비중과 임금불평등도는 최저임금이 높게 인상된 2018년 이후 큰 폭으로 개선되었으며, 최근 5년간 OECD 회원국 중 임금불평등도 감소 폭은 한국이 가장 컸다. 셋째, 최저임금의 소득 및 소비효과를 추정한 결과, 중소기업에서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 효과는 최저임금이 인상된 연도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최저임금의 기업규모별 고용효과를 추정한 결과, 선행연구와 같은 방법으로 전년도에 고용된 노동자들의 고용유지 효과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신규 입직을 포함해 추정한 순고용 효과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2018-19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저임금노동자 비중과 임금불평등이 개선되고, 중소기업 노동자들의 소득과 소비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최저임금 인상이 이직과 입직을 동시에 유발하는 만큼,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분석은 기존 노동자의 고용유지 효과뿐만 아니라 신규 입직 노동자들도 고려한 순고용 효과를 추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의 산업구조 및 일자리 결정요인

        문영만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2

        본 연구는 통계청의 경제총조사 및 기업활동조사를 사용하여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의 일자리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남권의 산업별 매출액 비중을 분석한 결과, 부산은 도매 및 소매업(28.7%), 울산(77.2%)과 경남(52.5%)은 제조업 비중이 가장 높았다. 둘째, 동남권의 산업별 취업자 비중은 부산은 도매 및 소매업(16.5%), 울산과 경남은 제조업(35.6%, 32.3%)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기업규모별로는 대다수 취업자가 중소기업에 종사하고 있었다(부산 89.0%, 경남 88.0%, 울산 78.6%). 셋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동남권의 일자리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노동소득분배율, 영업이익률, 매출액, 연구개발집중도 변수는 상용직 고용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반면, 자본집약도, 외주가공비, 임시·일용직비율 변수는 고용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임금변수는 임금이 증가한 당해 연도는 상용직 고용을 감소시키는 반면, 그 다음해에는 고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는 고용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 노동소득분배율, 영업이익 및 매출액, 연구개발투자 등을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각 지역의 산업구조와 일자리 특성에 따라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만큼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mployment decision factors of Busan, Ulsan and Gyeongn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ratio of sales by industry, Busan has the highest rate of wholesale and retail business (28.7%), Ulsan (77.2%) and Gyeongnam (52.5%) have the highest manufacturing ratio. Second, the ratio of workers by industry Busan had the highest wholesale and retail business (16.5%), Ulsan (35.6%) and Gyeongnam (32.3%) had the highest manufacturing ratio. Third, as a result of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labor income share, the operating profit margin, the sales, and the concentr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variables significantly increase the employment of the regular workers, while the capital intensity, the outsourcing cost, were estimated to significantly reduce employment. The wage variable indicated that the year in which wages were raised decreased employment, but increased employment in the following year. Therefor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implement policies to strengthen labor income distribution, operating profits and sales, and R & D investments that have a positive (+) impact on employment. The impact on job creation is different, so a job policy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s needed

      •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2차 유출 결정요인

        문영만 한국지역고용학회 2018 지역고용노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청년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2차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 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의 고용률은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5%p정도 높았 으며, 이러한 격차는 지난 16년 간(2000~2016) 지속되었다. 대졸이상 청년층의 임금수준은 수도권 취업자가 비수도권에 비해 월평균 29만 원 정도 높았다. 둘째, 비수도권에서 학교를 졸업한 청년 중에서 수도권 기업에 취업한 2차 유출비중은 25%였으며, 수도권에서 학교를 졸업하고 비수도권 지역에 취업한 비중은 7%에 불과했다. 비수도권 유출자의 67.1%가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의 고학력 청년들이었으며, 유출비중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청년취업자의 전반적인 직장만족도는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러 한 만족도 차이는 지난 6년 동안(2009~2014) 지속되었다. 이는 직장만족도의 경우 임금뿐만 아니라 일의 내용, 근로시간,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인관관계, 인사고과의 공정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주거환경 등 생활만족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수도권 취업자의 임금수준 이 높다고 하더라도 가족과 떨어져서 혼자 생활하는데서 오는 생활만족도 하락 등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회귀분석을 통해 지역청년의 2차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성일수록, 공인 영어성적 이 높을수록, 인턴 및 직무경험이 있는 청년일수록 수도권으로의 유출가능성이 높았다. 다섯째, 비 수도권 청년들의 취업지역에 따른 임금격차 및 대기업·정규직 취업효과를 추정한 결과, 임금격차의 경우 수도권지역이 6.5%정도 높았으며, 취업효과 또한 대졸이상 학력에서 수도권이 1.5배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방 청년들의 2차 유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 간 노동시장 격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으며, 청년들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대기업, 정규직)를 비수도권 지역에 유치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bined Youth Panel Data(2009~2014) to analyze the labor market gap of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nd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gener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was higher by 5%p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gap has continued for the last 16 years (2000~2016). In the case of the wage level of highly educated youth of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the wage of metropolitan employees was higher than that of non-metropolitan employees by about 290,000 won per month. Second, of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in non-metropolitan areas, secondary outflow percentage who got a job in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25% and percentage of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ot a job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only 7%. 67.1% of those who leaked into the non-metropolitan area were highly educated young people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and outflow percentage was steadily increasing over time. Third, overall job satisfaction of youth employe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difference in satisfaction has continued for the last 6 years (2009~2014). Fourth,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people were analyz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and as a result, men, those with higher qualified English grades and young people with internship and work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leak into the metropolitan area. Fifth, wage effects and large company·regular permanent position employment effects according to th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were estimated and as a result, wage effects of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o be higher by 6.5% and employment effects to be 1.5 times higher only in college graduates or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bridg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regions and attract decent jobs preferred by young people large companies, regular permanent position) in the region.

      • 무용동작유형별 피드백제공방식에 따른 동작수행 및 학습효과

        문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연구소 2003 예술논총 Vol.6 No.-

        본 연구는 무용동작 학습시, 피드백 정보의 제공방식이 동작의 특성에 따라, 즉 무용동작의 주요한 두 특성인 기술적 동작과 표현적 동작에 따라 수행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무용학습의 주요변인인 정보제공 문제와 관련된 경험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무용학 연구 영역에서 다소 미진한 과학적 접근, 구체적으로는 무용학습 이론의 잠정적 가설에 현장연구를 통한 해답을 제공하여 무용심리학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이차적 목적을 지닌다. 그리하여 응용적으로는 무용학습 현장(학교 및 직업단체의 훈련과정)에서, 특히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시스템이 요구되는 발레연습 과정 내에 포함된 일련의 동작 습득에 있어서 교사 또는 지도자로 하여금 학습자의 기술수준에 따른 적정한 동작 제시방법을 모색하게 하는 토대를 제공하여 단계적이고 효과적인 학습과 공연상황에서의 절정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데 그 연구목적을 둔다. 실험집단은 동작유형과 피드백 정보 제공방식에 따라 언어적 피드백-기술동작 집단(집단A), 언어적 피드백-표현동작 집단(집단B), 시각적 피드백-기술동작 집단(집단C), 그리고 시각적 피드백-표현동작 집단(집단D)의 네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통계적 수준에서 수행점수는 기술동작의 평균이 M=6.6이었고, 표현동작의 평균이 M=6.1로 차이를 보였고, 검사에 따른 변화는 사전검사(M=5.5), 사후검사(M=6.8)로 나타나 수행 후기에 점수의 변화가 컸으며, 제공방식에 따른 수행점수의 변화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기술동작 집단이(M=7.4) 가장 큰 폭으로 향상되었으며, 다음은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한 표현동작 집단(M=6.5),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한 기술동작 집단(M=5.8), 그리고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표현동작 집단 (M=5.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유형에 대한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서, 기술 동작의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오차수정을 위한 시각적 피드백이 유의미한 수행점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표현동작의 경우는 그 동작이 요구하는 질적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언어적 오차수정이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기준벙보 제시방법과 동작 유형과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를 지지하면서(김윤진, 1996), 기준정보와 피드백 정보와의 관련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문영 1998, 2000, 2001 : 박금자, 문 영, 1998).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유형에 따른 변화, 구체적으로 언어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 제공에 따른 무용동작 유형별 수행점수 변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사후 동작수행점수에 대한 삼원 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에 따른 주효과가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검사에 따른 주효과는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 유형의 학습효과를 의미하는 연구로, 상기의 결과가 무용학습 현장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cquisition of dance movement skill through experimenting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information mode and movement type. Forty ballet dancers were required to practice ballet enchainement movements(battement tendu-adagio-grand battement-petit jete-grand jete) task in four different practice condition (visual feedback+technical movement, verbal feedback+technical movement, visual feedback+expressive movement, verbal feedback+expressive movement) during ten day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feedback mode) × 2(movement type) × 2(test)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est. Pre-Post test performance scores was analyzed with three 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in effects of feedback mod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main effect of movement type was not significant. 2) The main effect test was significant. 3)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mode, movement type and 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concluded to suggest that verbal feedback information for expressive movement and visual feedback information for technical movement have significant on dancers' acquisition of skill and thus, on dance performance; the using feedback information method is a factor to effective dance learning.

      • KCI등재

        중소기업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

        문영만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1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labor income share of S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ne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union organization rate and R & D variables had a positive (+) effect, and the outsourcing cost, capital intensity, market share, and transaction concentration variable had negative effects. Second, the determinants of the labor income share of SM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ustry (manufacturing/ non-manufacturing) and subcontracting (subcontracting/independent firms). In particular, the transaction concentration variab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ly on the subcontracting firms. This means that the distribution of added value due to the increase of market share is attributed more to the capitalist than the workers of the company. Third, in the past 11 years (2006~2016), the share of labor income distribution by company size was higher in SMEs than in large companies in all years. The higher labor income share of SMEs with low wage levels suggests that wage gap by firm size can not be eliminated without improving SMEs' ability to p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bility of the subcontracting company to pay through the elimination of unfair trade and the assurance of appropriate parts price.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노동소득분배율을 실증·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중소기업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노조조직률과 연구개발비, 생산성 변수는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외주가공비, 자본집약도, 시장점유율, 거래집중도 변수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중소기업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은 산업(제조업/비제조업)과 하청 여부(하청기업/독립기업)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거래집중도 변수는 하청기업에서만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노동소득분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청기업과의 거래 전속성을 낮추고 거래기업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셋째, 지난 11년간(2006~2016)의 기업규모별 노동소득분배율 추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연도에서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높았다. 임금수준이 낮은 중소기업의 노동소득분배율이 더 높다는 것은 중소기업의 지불능력이 개선되지 않고는 기업규모별 임금격차를 해소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불공정거래 근절 및 적정한 납품단가 보장 등을 통한 중소기업의 지불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재직자의 교육훈련이 임금, 직무만족도, 이직에 미치는 영향

        문영만 한국노동연구원 2019 노동정책연구 Vol.19 No.2

        First,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 was the large corporations (17.8%)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5.5%), By industry, manufacturing (9.2%) was higher than non-manufacturing (8.5%). Second, The purpose of training was The highest to improve job skills (93.4%), Education and training for entrepreneurship and re-employment were higher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6.5%) than in large corporations (1.1%).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of the employees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through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Education, regular workers, unions, working hours, and firm size variables were higher in participation rate of vocational training. Fourth, as a result of estimating labor market perform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through panel regression analysis, Wage (1.8%) and job satisfaction (4.7%)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urnover rate (5.1%) decreased. Fifth,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o estimate the long-term wage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beginning of training and not only in time in the long run, the wage effect has also increased. 첫째, 재직자의 교육훈련 참여율은 대기업(17.8%)이 중소기업(5.5%)보다 3배 이상 높았으며, 산업별로는 제조업(9.2%)이 비제조업(8.5%)보다 높았다. 이는 재직자의 교육훈련이 기업 규모와 산업별로 불균등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교육훈련 격차→생산성 격차→노동시장 성과 격차’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재직자의 교육훈련 참여목적은 업무능력 향상(93.4%)이 가장 높았으며, 창업 및 재취업 목적의 교육훈련은 대기업(1.1%)보다 중소기업(6.5%)이 높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근로조건이 열악한 중소기업 재직자의 이직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패널 회귀분석을 통해 재직자의 교육훈련 참여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정규직일수록, 노조에 가입할수록, 노동시간이 길수록, 기업 규모가 클수록, 화이트칼라일수록 직업훈련 참여율이 높았다. 넷째, 패널 회귀분석을 통해 교육훈련의 노동시장 성과를 추정한 결과, 재직자의 교육훈련이 임금(1.8%)과 직무만족도(4.7%)를 유의하게 높이고, 이직(5.1%)은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활용하여 교육훈련의 장기적인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교육훈련 직후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임금효과가 더욱 증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