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공연에 대한 온라인 홍보 매체가 중국인 관광객의 공연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AISAS 모델 적용

        유은정,윤지환 한국관광진흥학회 2023 관광진흥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관광 온라인 홍보매체 중에서 한국의 공연 홍보물을 가장 많이 접한 온라인 홍보매체는 무엇인지에 대해 검증을 하고자 한다. 또한 공연관광객들의 종합적인 의사결정과정 및 실제 방문의향과 후에 공유하는 행동까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에 광고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어 온 AISAS 모델을 이론적 틀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공연 홍보물을 가장 많이 접한 온라인 홍보매체는 SNS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공연 홍보물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는 행동은 한국의 공연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한국의 공연에 대한 정보를 검색해 보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공연 홍보물을 보고 형성된 한국의 공연에 대한 관심은 한국의 공연에 대한 정보를 검색해 보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연관광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AISAS 모델을 토대로 분석 한 결과, 공연관광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온라인 홍보매체에 노출 된 공연 홍보물에 주의를 기울이면 자연스레 한국의 공연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고, 검색 후 공연관광 결정과 후의 공유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Dentsu(2004)가 제안한 AISAS 모델을 지지하는 것이며, 공연 온라인 홍보매체와 관광행동을 측정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의 관광객 행동을 예측하고 이해하는데 적용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현재 관광객들의 관광욕구가 다양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는 공연관광 온라인 홍보매체가 용이하게 운영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단순히 공연 홍보물만으로 관광객을 유인하는 것이 아니라,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공연관광지로서 공연시장 확대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노력을 기울이는 등 다양한 공연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한국의 공연만의 특색을 공연 홍보물에 녹여내어 공연관광객의 관심을 유도하는 지속가능한 공연관광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에 광고학이나 마케팅 분야에서 AISAS 모델을 적용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한국의 공연 온라인 홍보매체가 관광객들의 방한의도와 그 후의 공유행동으로까지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통합적 이론체계를 제공하는 데에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공연관광 마케팅의 중요성과 공연관광의 효과적인 홍보전략 및 대안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Korean culture in person,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the national image, and thus greatly creating invisible benefit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performance market, it is essential to increase synergy b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entire market through 'competitive cooperative relationship', so a joint promotion and marketing system should be organized, and the aggregation of space can be achieved to maximize the expansion of the market. Tourists who came here to see the show has been steadily rising, however, collecting the right information and ticket purchasing experience has been quite poor. In order to overcome the issues and to actively achieve the competitive edge,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is needed in order to inform, persuade and remind the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ich online marketing communications have received the most promotional materials for Korean performances among different performance tourism online marketing communications. In addition, analysis will be carried on the overall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performance tourists and their actual intention to visit and their shared behaviors afterwards. At this time, the AISAS model, which has been actively applied in the advertising field, was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paying attention to promotional materials for performances exposed to Online promotion media naturally generates interests in Korean performances, induces people to search information, and leads to affect on performance tourism decisions and post-shared actions. This supports the AISAS model proposed by Densu(2004) and suggests applicability in predicting and understanding tourist behavior at various angles by measuring performance Online promotion media and tourism behavior. At a time when tourists' desire for tourism is becoming more diverse, Korea does not have suitable Online promotion media to operate for performing tours. 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just to attract tourists with promotional materials for performances, but to establish various performance marketing strategies, including making efforts to maximize the expansion of the performance market as a performance tourist destination by utilizing storytelling. The government should seek sustainable performance tourism that encourages the attention of performance tourists by apply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s performances into promotional materials.

      • KCI등재

        지각된 가치와 친숙성이 웰니스 관광 태도 및 관광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 모형을 적용

        정효진,고사랑,문선정 한국관광진흥학회 2024 관광진흥연구 Vol.12 No.4

        웰니스 관광에 대한 관심과 시장의 지속적 성장으로 인해 웰니스 관광객의 행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웰니스 관광 행동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개인적 요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목표지향적 행동 모형에 가치와 친숙성을 추가하여 이들이 웰니스 관광에 대한 태도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웰니스 관광 경험 여부에 따라 변수들 간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경험자와 비경험자 집단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280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PLS-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웰니스 가치가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가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친숙성은 웰니스 관광에 대한 태도와 행동 의도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비경험자 집단에서 열망과 행동 의도 간의 관계가 경험자 집단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웰니스 관광 소비자 행동에 대한 새로운 모형을 제안하며, 업계에 효과적 전략 수립 및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s the interest in wellness tourism increases and its market continues expanding, a growing need exists to understand wellness tourists’ behaviors in-depth. To address limitations in current research on wellness tourism behavioral intentions, which ha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personal factors from diverse perspectives, this study extends the goal-directed behavior model by incorporating value and familiarity therein. We aim to ascertain how these factors influenc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wellness tourism. To this end,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280 participants. Further, we examined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based on wellness tourism experience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groups. Additionally, we conducted a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 found that functional, emotional, and wellness value positively impacted attitudes, whereas social value did not exert a significant impact. Moreover, familiarity positively impacted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wellness tourism, and the inexperienced group exhibited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desire and behavioral intentions than the experienced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novel model of consumer behavior in wellness tourism and offers useful insights for the industry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and response measures.

      • KCI등재

        생태관광과 생태관광객의 개성차이가 자아이미지일치성 및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전영신,김현지 한국관광진흥학회 2025 관광진흥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생태관광의 개성과 생태관광객의 자아이미지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실제 자아이미지, 이상적 자아이미지, 사회적 자아이미지, 그리고 지불의사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관광 개성의 차이가 생태관광객의 자아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태관광 개성의 현실성(realism), 주도성(proactiveness), 감성(emotionality) 차이가 실제 자아이미지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생태관광 개성 차이 요인 중 주도성(proactiveness)만이 지불의사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태관광 개성에서 주도성의 차이가 클수록 생태관광에 대한 지불의사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생태관광 자아이미지의 하위 요인 중 실제 자아이미지(actual self-image)와 사회적 자아이미지(social self-image)가 지불의사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개인 맞춤형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 생태관광객의 개성 유형에 기반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프리미엄 생태관광 상품 개발과 트래킹, 자연보호 활동과 같은 주도성을 강조하는 생태관광 상품 개발이 요구된다. 사회적 인식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는 사회적 자아이미지가 높은 관광객을 위한 SNS 인증, 사회 공헌 프로그램 등의 전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생태관광 개성의 차이가 자아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브랜드 개성 차이와 자아이미지 일치성 연구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Sirgy(1982)의 절대차이모델(absolute difference model)을 적용하여 측정 방식을 정교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rsonality of ecotourism and the self-image of ecotourists by analyz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s among actual self-image, ideal self-image, social self-image, and willingness to pa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ecotourism personality were found to partiall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cotourism self-image. Specifically, differences in realism, proactiveness, and emotionality in ecotourism persona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tual self-image. Second, among the ecotourism personality differences, only the factor of proactiv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willingness to pay. This suggests that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proactiveness in ecotourism personality,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pay for ecotourism.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ecotourism self-image, actual self-image and social self-imag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willingness to pa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the necessity of personalized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personality types, the development of premium ecotourism products that emphasize proactiveness (e.g., trekking, nature conservation activities), and strategies to enhance social recognition, such as SNS certific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programs, for tourists with a high social self-image.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empirically verifying that differences in ecotourism personality play a crucial role in shaping self-image and improving the existing research on brand personality differences and self-image congruence. Furthermore, this study applied Sirgy’s (1982) absolute difference model, refining the measurement approach.

      • KCI등재

        비대면 스포츠관광 산업진흥을 위한 정책요인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김민규,박수정,박찬민 한국관광진흥학회 2022 관광진흥연구 Vol.10 No.S3

        This study aims to draw policy factors for contactless sports tourism industrial promotion and estimate their priorities. This study performed a literature study to attain its goal and drew policy factors for contactless sports tourism industrial promotion. A priority estimation diagram was developed through four experts’ detail evaluation, which priority estimation conducted through 15 exper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hierarchy 1’s relative importance, R&D should be considered first because R&D, administrative support,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were estimated in such order. Seco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R&D’s sub-hierarchy was estimated in the order of technology support research, law/system planning research, and basic research; therefore, technology support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ird, the relative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support’s sub-hierarchy was estimated in the order of budget support, industrial support, and recognition improvement, so budget support needs to be considered first. Fourth, the relative importance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s sub-hierarchy was estimated in the order of content development, hardware infrastructure, and professional manpower fostering; therefore, content development needs to be considered first of all. The study result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 policy factors for contactless sports tourism industrial promotion were hierarchized, an analysis was performed centered on imperativeness and timeliness, and the keynote of policy to be enforced in priority was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스포츠관광 산업진흥을 위한 정책요인을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산정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비대면 스포츠관광 산업진흥을 위한 정책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 4인에게 내용평정을 실시하여 우선순위 산정도를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총 15명의 전문가를 활용하여 우선순위 산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1의 상대적 중요도는 연구개발, 행정지원, 인프 구축 순으로 산정되어 연구개발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 둘째, 연구개발 하위계층의 상대적 중요도는 기술지원 연구, 법/제도 기획연구, 기초연구 순으로 산정되어 기술지원 연구를 가장먼저 고려해야 한다. 셋째, 행정지원 하위계층의 상대적 중요도는 예산지원, 산업지원, 인식개선 순으로 산정되어 예산지원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인프라 구축 하위계층의 상대적 중요도는 콘텐츠 개발, 하드웨어 인프라, 전문인력 양성 순으로 산정되어 콘텐츠 개발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비대면스포츠관광 산업진흥을 위한 정책요인을 계층화하여 시의성과 당위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우선적으로 시행할 정책의제를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ESG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관광학 분야를 중심으로

        문주영 ( Moon Ju-young ) 한국관광진흥학회 2024 관광진흥연구 Vol.12 No.se12.1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관광학 분야에서 수행된 ESG경영 연구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KCI, RISS, DBPIA, KISS 사이트에서 ‘관광’, ‘ESG’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관광학 분야에서 ESG를 주제로 연구된 KCI 등재 학술 논문을 수집하였다. 데이터 수집 후 중복 논문을 제거한 결과, 총 57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확정하였다. 이후 전처리 및 정제 과정을 거쳐 키워드 간유사 계수 행렬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시각화는 단어 네트워크와 단어 클라우드 형태로 도식화하였으며, 응집 구조 분석과 중심성 분석을 통해 관광학 분야의 ESG연구 지적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빈출 키워드 기준으로 볼 때 관광학 분야의 ESG 연구는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항공사와 호텔 기업의 ESG 경영과 관련된 직원 및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 의도를 연구한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응집 구조 분석 결과, 관광학 분야의 ESG 경영 연구는 업종별로 다양한 ESG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관광학 분야의ESG 연구를 체계적으로 조망하고, 연구 주제의 구조적 특징과 주요 흐름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분석 대상을 관광학 분야로 한정함에 따라 논문 집합의 규모가 작았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분석 범위를 확장하거나, 보다 다양한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ESG management research conducted in the field of tourism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o achieve this, academic papers indexed in KCI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or the keywords tourism and ESG across major academic databases, including KCI, RISS, DBPIA, and KISS. After reviewing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removing duplicate papers, 57 papers were finaliz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The collected papers underwent preprocessing and refinement to construct a similarity coefficient matrix between keywords, which was subsequently used to conduct a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network was visualized in the form of word network graphs and word clouds, while cohesion structure analysis and centra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ESG research within the field of tourism.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ESG research in tourism predominantly focuses on sustainability, with a significant number of studies examining employee and consumer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related to ESG management in airline and hotel industries. Additionally, the cohesion structure analysis indicated that ESG management research in the field of tourism covers a wide range of ESG topics across different industry secto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ESG research in tourismand uncover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key trends in the field. However, the study is limited by the relatively small dataset. Future research should address this limita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analysis and incorporating a broader range of academic databases for further investigation.

      • KCI등재

        온라인 관광콘텐츠가 시청몰입과 SNS공유의도에미치는 영향

        이승현,김창수 한국관광진흥학회 2024 관광진흥연구 Vol.12 No.1

        온라인에서의 정보의 생성과 공유는 사용자들 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으로 관계 형성과 관리를 할 수 있는 역할로 자리 잡게 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정보의 공유 활동이 높은 영향력을 보이게 되었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정보들의 공유 속도나 정보의 양이 많은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관광산업에서의 콘텐츠들 역시 이러한 영향을 특히나 많이 받고 있고, 이러한 관점에서 온라인 관광콘텐츠 및 마케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재 온라인에서의 관광콘텐츠들의 특성을 검증하고, 더 나아가 온라인 관광콘텐츠 특성들이 시청몰입을 하게 하는지에 그리고 어떠한 요인들이 SNS공유의도에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여 정보와 자료를 교환할 수 있는 효과적인 매체로서 온라인 관광콘텐츠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확인하였다. 온라인 관광콘텐츠의 특성들을 상호작용성, 신뢰성, 정확성, 유용성, 편리성으로 설정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시청몰입과 SNS 정보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결과적으로 SNS를 통한 정보공유의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효과적인 시청몰입과 SNS 정보공유의도를 위하여 관광콘텐츠의 특성인 상호작용성, 신뢰성, 정확성, 유용성, 편리성을 고려하여 제작할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상호작용성, 신뢰성, 정확성, 유용성, 편리성의 특성을 갖는 온라인 관광콘텐츠와 시청몰입, SNS공유의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creation and sharing of information online has become a role in forming and managing relationship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the sharing of information online has become highly influential. The speed and amount of information sharing based on online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nd contents in the tourism industry are also particularly affected by this, an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need for research on online tourism content and marketing is emphasized. Accordingly, this study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tourism contents and further confirmed how online tourism contents can be effectively used and activated as an effective medium to exchange information and data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tourism contents and what factors influence SNS sharing intentions. By sett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tourism content to interactivity, reliability, accuracy, usefulness, and convenience, it was confirmed that users influence viewing commitment and SNS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through SNS could be increased. For more effective viewing commitment and SNS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oduce i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content, such as interactivity, reliability, accuracy, usefulness, and convenience.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tourism content with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ity, reliability, accuracy, usefulness, and conveni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commitment and SNS sharing intention.

      • KCI등재

        음식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외래관광객을 중심으로

        최유경,최규완 한국관광진흥학회 2022 관광진흥연구 Vol.10 No.S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rket size of inbound food tourism and the economic effect on the industry quantitatively. Food plays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the identity of a region or a nation and is an important element of constituting tourists’ experience. It is the best and easiest way for foreign tourists to directly experience the truly local culture of the destination. Also, food is no longer a secondary or partial motivation, but the main motivation for choosing a travel destination. In fact,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to experience Korean food is on the rise. In 2019, the number of foreign food tourists was estimated about 4,168 thousand, the expenditure per person was estimated about US$ 1,204. Thus, total expenditures were estimated to be US$ 5,563 million(approximately 6,600 billion won).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impact of food tourism using an input-output model with 2019 input-output tables from the Bank of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food tourism is an industry which has high value added, and it was found to greatly contribute to tax revenue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lso,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of the expenditure of food tourists on the whole industry was analyzed about 12,169.3 billion won. The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and the indirect tax inducement were estimated about 5,351.4 billion won and 555.3 billion won, resp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인바운드 음식관광의 규모를 추정하고 그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음식은 해당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핵심 문화 요소면서, 관광객의 경험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왔다. 또한, 음식은 외래관광객이 관광지의 고유한 문화를 가장 쉽게 경험하는 방법이면서, 관광지선정에 있어 부차적인 동기를 넘어 주요 동기로 작용한다. 실제로, 한국 음식을 경험하기 위해 방한하는 외래관광객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방한 외래관광객 중 음식관광객의 수는 약 4,168천 명으로 추정되며, 1인당 지출액은 약 1,204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인바운드 음식 관광의 총규모는 약 55억6,300만 달러(한화 약 6조 6,000억 원)로 추산되었다.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여 음식관광산업의 승수를 도출하고,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음식관광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며, 타산업 대비 세수 확보에도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식관광객의 총지출액으로부터 약 12조1,693억 원의 생산유발효과, 5조 3,514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그리고 약 5,553억 원의 간접세 유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