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근속 치과위생사들의 재직의도 영향 요인

        윤명희,김윤정,문상은,김선영,조혜은,강현주,Yoon, Myung-Hee,Kim, Yun-Jeong,Moon, Sang-Eun,Kim, Seon-Yeong,Cho, Hye-Eun,Kang, Hyun-Joo 한국치위생학회 2021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1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for retention intention among long-term employed dental hygienis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long-term service (working) environment. Methods: A total of 202 dental hygienists with more than five years' work experience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located in Seoul,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South Korea, were surveyed. The data were analyzed for each factor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t the current workplace, a better working environment, and higher job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retention intention. However, lower professionalism in dental hygiene as a subdomain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domain was associated with higher retention intention. Conclusions: To increase retention intention among dental hygienis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dental hygienists can perform professional roles and seek ways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professionals in dental healthcare settings.

      • KCI등재

        청소년 생활역량 진단검사의 표준화 연구

        윤명희(Myung hee Yun),서희정(Hee jung Seo),김경희(Keung hee Kim),조정은(Jeong eun Jo)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독립된 생활인으로서 필수적으로 갖추어나가야 할 일상생활 속에서의 역량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표준화 청소년 생활역량 진단검사'를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개발된 228개의 문항에서 내용적ㆍ통계적으로 양호한 114개의 문항을 추출하였고, 1,908명의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개별 문항 및 검사도구의 양호도, 검사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구조의 적합도 등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고 규준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표준화 검사는 자기조절역량, 자기개발역량, 학습역량, 대인관계역량, 민주시민역량, 문제상황대처역량의 6개 하위 생활역량과 이를 실제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19개의 생활기술, 각 생활기술별 6개 문항, 총 11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규준집단의 생활역량은 대인관계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감정조절기술을 제외한 대부분의 생활기술 및 하위 생활역량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는 일부 하위 생활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뿐 전반적인 생활역량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andardized life competency test for adolescences. For this, 114 items were selected from 228 items previously developed by Yun and Seo's study through the indexes of item goodness and statistical criteria. 1,90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nationwidely. The coefficients of Cronbach α and construct validity were high, and suitability indexes of item factor structure were high. The concurrent validity with youth activity competency scale was verified. As a result of standardization process, the Life Competency Scale with 6 life competencies, 19 life skills and 114 items was developed. The norm table was made in terms of total group, gender, and school level. The norm groups marked the highest scor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a among competencies and life skills. The scores of girls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boys in most life competencies and life skills except in emotional regulation skil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chool level over life competency and life skill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can get informations about their life competencies easily through this standardized test, furthermore, teachers or parents can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student 's deficient competencies or life skills. Also,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tandardized Life Competency Scale' tes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youths to develop programs and to make policy in schools or fields of youth.

      • KCI등재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평가도구 개발

        윤명희(Myung-Hee Yun),임현성(Hyun-Sung L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담당자들이 자신이 운영하고 있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자가 진단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방과후 학교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을 추출하기 위해 방과후학교 담당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탐색조사를 실시하고, 둘째, 질적․양적인 방법에 의해 평가항목의 적합성을 검증한 후, 셋째, 방과후학교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예비조사한 후, 넷째, 이를 일부 초등학교에 시범 적용하여 적합성을 예비검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평가도구는 단순히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방과후학교 관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차후 프로그램의 개선과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의사결정 평가모형 중 CIPP 평가모형을 근간으로 개발하였다. 평가도구 개발을 위해 탐색조사와 예비조사를 통해 평가항목을 개발하였다. 평가도구는 상황평가, 투입평가, 과정평가, 산출평가를 위한 항목으로 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요구 및 상황, 프로그램 목표, 프로그램 인식 및 요구, 예산, 인적자원, 시설 및 지원환경, 프로그램 및 학습자료, 예산집행, 인적자원 관리,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평가 및 활용, 프로그램 만족도, 프로그램 성과라는 12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평가도구는 부산지역에서 방과후학교를 시행중인 초등학교 3개교를 대상으로 시범적용하여 이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한 후 총 47개 평가문항으로 결정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ools for school administrators and staffs offering an information and to make decisions about After-school program. For this, the CIPP evaluation model which has four domains like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is facilitated. First, utilizing CIPP evaluation model, 26 items are distributed to the experts and scholars of the After-school programs. Then items are revised, and 26 items are added up to 48 in the pilot study. On the basis of results from the pilot study, 48 items are distributed to 40 After-school program staffs. The descriptive statistic, reliabilities, correlations, and factor analysis are conducted. The evaluation tool is composed of 12 domains such as program demand and context, program goal, budget, personnel management, facilities and support environment, program learning materials, program operation and contents, program activity, program satisfaction, program evaluation, program application and program performance. For the relevance of evaluation tool, it is applied to three elementary schools operating the After-School programs in Pusan area. The results show that evaluation tool has a function for self checking fo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As a result, the evaluation tool can be used for the After-school staffs to check whether the programs are operating well or not, and how to improve the programs.

      • KCI등재

        청소년의 생활역량 진단척도 개발과 프로그램 설계를 통한 효과분석

        윤명희(Yun Myung-Hee),김진화(Kim Jin-Hwa)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의 생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생활역량 진단척도를 개발하고, 또한 생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제 적용한 후 이를 평가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생활역량 개념 및 그 하위체제를 정립하고, 둘째, 생활역량 진단척도를 개발하고, 셋째, 생활역량 진단척도의 내용을 바탕으로 생활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넷째, 생활역량 프로그램을 적용ㆍ평가하였다. 청소년의 생활역량은 청소년을 생활인으로 보는 관점에서 자신의 삶을 책임지며 생활을 적극적으로 구성해가는 능동적인 존재로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이다. 청소년의 생활역량은 자기성장역량, 자기조절역량, 공동체역량, 상황대처역량, 문제해결역량의 5개 하위영역, 22개의 생활기술, 24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생활역량 진단척도를 개발한 후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척도를 수정ㆍ보완하였고, 또한 생활기술을 단위로 22개의 생활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각 생활기술의 목표에 맞고 청소년의 특성 및 상황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중 6개 프로그램을 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용시킨 후 평가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define the concept of life competencies, second, to develop the Tests of Life Competencies for Adolescents, third, to develop programs for enhancing the life competencies of adolescents, and last, to evaluate these life competencies programs. To fulfil these objectives, 246 items were developed in five competency sub-areas: self achievement skills, self control skills, community skills, the skill of coping with dangerous situations, and problem solving skills. 444 subjects in the Busan area participated in the Tests of Life Competencies. Additionally, 22 programs were developed for enhancing adolescents' life competencies and implemented in middle schools. Each program includes three part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conclusion. Most of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measurement and enhancement of adolescents' life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초등학생용 생활역량 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윤명희 ( Yun Myung Hee ),구경희 ( Ku Kyung H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성인이 되어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주도해나갈 수 있는 생활인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초등학생용 생활역량 진단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생활역량모델`에 근거하여 5, 6학년을 대상으로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과정에서 개발된 초등학생 생활역량 진단검사는 자기조절역량, 자기개발역량, 학습역량, 대인관계역량, 민주시민역량, 문제상황대처역량의 6개 하위 생활역량과 이를 구체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16개 생활기술, 각 기술별 5문항인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과 요인부하량 및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경로모형의 표준화계수 산출 및 적합도 검증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6개 하위 생활역량의 신뢰도는 0.83∼0.91로 나타났으며, 전체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0.97로 나타났다. 진단검사는 생애발달적 차원에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역량이나 기술을 어려서부터 함양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ife Competenc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can be used for growing as an individual who can lead successfully his/her own life. For this, items were develop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Life Competency Model. 226 students for pretest and 584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rough test development processes, the Life Competency Test with 6 sub-life competencies, 16 life skills and 80 items was developed. 6 sub-life competencies are as follows: self regulation, self development, lear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democratic citizenship, and coping with problematic situations. The coefficients of Cronbach α and construct validity were high, and suitability indexes of item factor structure were high. Students can get informations about their life competencies easily through this test, furthermore, teachers or parents can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deficient competencies or life skills. Also, the collected data from Life Competency Tes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programs and to make policies in elementary schools or fields of youth.

      • KCI등재
      • 부산지역 위기(가능)청소년의 생활역량 조사연구

        윤명희 ( Myung Hee Yun ),장아름 ( A Rum Jang ) 한국교육학회 부산지회 2007 釜山敎育學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위기(가능)청소년이 사회 변화에 잘 적응하고 성공적인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데 필요한 역량을 생활역량으로 보고, 종합적으로 생활역량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소년 생활역량 진단척도를 수정하여 6개의 하위역량과 22개의 생활기술로 총 113문항으로 축소시켜, 위기(가능)청소년의 생활역량 수준과 성별, 학교급에 따른 생활역량 수준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위기(가능)청소년은 특히 시간활용기술과 합리적소비기술, 목표설정기술, 봉사참여기술, 리더십기술, 창의적기획기술 등에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위기(가능)청소년의 부족한 생활역량 향상과 위기 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생활지도 및 상담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ife competency of adolescents at risk.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six sub factors of life competency were analyzed: self-control competency; self-fulfilling competency; relationship competency; community competency; creativity competency; and situation handling competency. Generally, adolescents at risk showed better results in harmful substance handling skill, manner skill, listening skill, and cooperation skill, but showed poor performance with regard to time-handling skill, expenditure handling skill, goal setting skill, and volunteer skil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develop the life competency and life skill`s enhancement programs and be used in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