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태유아교육의 교육관에 관한 연구

        하정연 부산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논총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생태유아교육의 교육관과 생태유아교육이 현대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생태적 세계관과 아동관을 토대로 형성된 생태유아교육은 생명중심, 공동체 중심, 전인교육이라는 교육이념과 '신명나는 어린이'라는 교육목적을 갖고 있었다.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으로는 전통사회의 공터놀이를 기초로 한 바깥놀이, 산책, 텃밭가꾸기, 세시풍속, 몸짓놀이, 손끝놀이, 먹을거리, 절제·절약, 명상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포함되었다. 교육방법으로는 기다림과 느림의 교육, 감각을 살리는 교육, 삶을 체험하는 교육, 놀이와 재미를 통한 교육, 자유로운 표현을 격려하는 교육이 포함되었고, 삶의 동반자적인 교사역할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인간중심교육에서 생명중심교육으로의 전환을 강조한 사상적인 토대, 생명중심적인 교육내용, 아이살림과 생명살림의 교육방법, '삶의 동반자'적인 교사역할 등에서 현대 유아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찾을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views and suggestion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based on ecological view of the world and children oriented eco, community and whole person centered educational philosophy to cultivate "the happy and joyful children". The educational contents included such programs as outdoor play program, traditional customs program, animal rearing program, mediation program, moderation saving program, food program, urban rural exchange program, fingertip handicraft program, traditional body movement program and adaptation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method could be summarized as the education of waiting, the education BODY to life, the education of experience daily life, the education by the happy joyful play and the education of encouraging the freedom of children, and Teacher's role was life partner of the children. We can find implications to moder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emphasized the transition from human centered education eco-centered education, eco-centered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 and teacher's role of life partner of the children.

      • 傳統家庭敎育敎材에 나타난 幼兒敎育原理

        한상규 부산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논총 Vol.11 No.-

        본고는 한국전통사회의 가정교육에서 사용하던 아동 교재에서 주로 어떤 성격과 내용으로 구성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저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전통사회의 가정교육은 주로 남자아이는 아버지나 조부가 맡아서 올바른 도의와 가정윤리등 삼강오륜에 바탕을 둔 유교적 가치관 교육에 기초하고 있으며, 딸은 어머니가 가사일과 생활습관 규범에 관한 생활교육을 담당하였다. 이같은 것은 전통 교재로 널리 사용해온 동몽선습, 몽학사요, 격몽요결, 소아수지, 내훈, 계여서, 사소절 등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교재가 사대부가의 자녀를 대상으로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장차 벼슬에 나아가고 사대부가에 출가하는 기본 소양을 다루고 있으며 그 내용에서 핵심을 이루는 것이 인성교육이다. 이러한 인성교육을 현대 유아교육에서도 가능한 부분을 접목시키는 자료의 준거로 삼고져 한다. The principles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and family-educational books This study has the focus on the nature and content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and family-educational books. In the most boy’s cases his father and the grandfather taught the morality and the family’s rules. On the other side mother and grandmother took the role of teaching the housework and life styles to her daughters. We can catch these in the widely used tradition-educational boos such as ‘DONMONGSUNSUEP’, ‘MONHSAYO’, ‘GUKMONGYOGUEL’, ‘SOASUGEE’, ‘NAEHOON’, ‘GUEYEUSEO’, ‘SASOGEUL’ and so on. These books were used within the limit of the noble families. The contents dealt with the basics for being a government official and especially the nature of humanity. So this study has the purpose that we can refer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humanity to the contemporary childhood education. 本稿的擇寫是 對反映韓國傳統家庭里的各충各樣的幼兒 啓蒙書的敎育性格和其特征作全面分析.硏究對象是『童蒙先習』, 『蒙學史要』, 『擊蒙要決』, 『小兒須知』, 『內訓』, 戒女習』, 『士小節』, 『四蒙輯要』等的幼兒??蒙習. 根據這些習的性格和特征. 發現韓國傳統人性敎育的原理, 把타 應用干?樣敎學方面當作硏究的主要目的.同時. 對解放以後在家庭和學校里的幼兒和女性敎育作考察和分析. 解放以後, 幼兒和女性敎育就是應用西歐的敎育內容和方法, 在人性方面, 對沾染個人主義. 自我中心的思考和不知禮0節, 廉恥的兒童, 根據傳統敎育敎材的三綱五倫提示和强調實踐的綱倫. 當時, 子女敎育不分男女, 對其重要性的 識也提高了. 對10歲以前的幼兒敎育, 一般的說, 强調母親的責任, ?但當了家事, 文字敎育和道德敎育.

      • 유치원 교사를 위한 컴퓨터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손유진,황해익 부산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논총 Vol.10 No.-

        유아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은 유아들이 가지는 특성과 컴퓨터 사용의 발달적 적합성에 논의들이 많았지만, 현재는 여러 논의를 거쳐 잘 계획된 컴퓨터 활용은 교육적 효과가 높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나 최근 양질의 소프트웨어들이 보급되면서 컴퓨터는 유아들에게 새로운 교육 환경이 되고 있다. 유아 컴퓨터 교육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컴퓨터에 대해 가지는 태도와 인식 그리고 활용기술이 가장 중요한 변인이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유치원에 컴퓨터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뚜렷한 교육목적이나 구체적인 활용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실시되었던 교사교육도 대부분이 컴퓨터에 관한 기초지식이나 조작법에 관한 것이고 컴퓨터를 유아교육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법들은 부족하다. 이는 지금껏 실시되었던 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이 교사들의 요구에 근거하지 못함으로 해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들이 컴퓨터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구체적인 컴퓨터 활용기술을 익힐 수 있는 컴퓨터 교육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기하고, 이런 프로그램의 개발에 앞서 컴퓨터 교육 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실질적인 요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요구조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컴퓨터교육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 프로그램 운영방법, 예상되는 컴퓨터 교육 연수 연수 프로그램 내용, 연수방법, 연수자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survey for Development of A Computer Train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to survey recognized the needs for computer training to prepare teaching and working in schools at 21st century. The teachers expected to learn skills to manipulate computers most through the continuous practice. They preferred having the computer training the programs designed to meet trainee's needs. As for the subjects of the training, computer skill was the highest demand but still the areas for intelligence and attitude were quite high needs. It was told that the training system and director should be selected in many ways depending on the training subjects and the evaluation of the training should not be formality but rather being practical experience evaluation. As for the training time, most of the opinions preferred to be done on the vacation time and for the actual conducting time is suitable to be 1∼2 hours with flexibility. It is needed to organize the class depending on the different levels which is researched primarily also many opinions were agreed to learn the real activity centered training course which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thus the training course should have many actual experience. For the facility of the training place, there has to be enough number of computers for every trainees so they could have chance to know about the computer during the course.

      • 유아 컴퓨터교육 과목운영 실태와 전망

        강신영 부산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논총 Vol.12 No.-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 중 유아컴퓨터교육 과목의 개선을 위해 현재 개설현황과 강의내용, 학생들의 활용능력, 교사들의 여수 요구사항 등을 조사와 문헌연구와 설문으로 알아보았다. 현재는 안정적으로 정립된 교육과정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다양한 운영실태를 보이고 있으며, 컴퓨터 사용기술의 전반적 향상으로 인해 실습내용 또한 계속 변해가고 있다. 유아컴퓨터교육 과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자는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또는 활용 및 관리할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계속 제공할 것과, 온라인 부모교육과 정보화 윤리교육의 내용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mprove the child computer teaching course among one of education process in training teachers for children. This study was achieved by literature study and the questionnaire of nationwide department offices and students at lecture which were composed of the present situation of opening course, students’ capability of practical use, teachers’ request for training and so on. It is fairly safe to say that up to now there are no stablely established educational courses because a variety of states are managed throughout the nation. Moreover the computer practice contents are also continually changing because computer using technique by completing the cultural computer using course is improved on the whole. But in reality the technique is not applicable on the teaching scene on account of managing aspects apart from the need of the teaching scen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new information for the need of the teaching scene be weightily reflected to elevate the effect of child computer educational course. And this study also proposes that information about purchase, maintenance, and peripheral equipment which are relatively neglected, on-line parents teaching, and the contents of information ethical teaching be reinforced.

      • 유아의 소망에 대한 믿음 연구

        조희숙,김민정 부산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논총 Vol.12 No.-

        본 연구는 3세, 4세, 5세 각각 30명씩 총 9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유아들의 '소망' 개념을 알아보고, 유아의 소망에 대한 믿음이 연령 및 소망주체에 따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소망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조건 혹은 방법에 대한 유아들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소망'의 어휘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였으나, '소망'의 의미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으며, 90%의 유아들이 '생각하는 것' '단순히 원하고 바라는 것' '소망하는 것'의 차이를 아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망' 개념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명확해졌다. 둘째, 유아의 소망에 대한 믿음 점수는 유아의 연령 및 소망주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망주체와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들은 검사과정에서의 소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소망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물리적·현실적인 접근방법 혹은 정신적·마법적 접근방법을 고려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beliefs about wishing. The main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young children’s concept of ‘wishing’?, 2) Is there any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beliefs about wishing according to ages and wishing subjects?. 3) How do young children think to get the wishes? Ninety three-year-olds, four-year-olds and 5-year-olds(47 boys) were tested with Test of Children’s Beliefs about Wishing(Woolley et, al., 1999) to measure their beliefs about wish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didn’t know the word of ‘wishing’ well but know the meaning of ‘ wishing’ very well. And the 90 percents of the young children knew the differences of ‘thinking’, ‘simply wanting or desiring’ and ‘wishing’. As a result, the concept on ‘wishing’ is getting more clear as increasing their ages. Second, the scores of young children’s beliefs about wish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ages and wishing subjects(F=31.57, p<.001). And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ages and wishing subjects were also significant(F=12.51, p<.001). Third, young children considered the physical practical or mental magical way to achieve the wishes.

      • Dewey,Steiner and Vygotsky in Early Childhood Aesthetic Curriculum

        Lim, Boo Yeun 부산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논총 Vol.10 No.-

        유아를 위한 미학교육의 중요성을 논의할 이론적 틀의 마련, 그리고 그 실제적인 적용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Dewey, Steiner, and Vygotsky의 담론을 통해 알아보았다. 예술가로서의 훈련을 받지 않았다는 공통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이 세 학자들은 유아를 위한 미학교육과정의 다양화와 심층화를위해 많은 제언을 하고 있다. 특히 각 학자들의 예술과 미학에 대한 관심은 편협한 근대교육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미학교육을 하나의 교과목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음악과 문학, 그리고 일상의 경험까지를 포괄하는 다양한 형태로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들의 서로 다른 학문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많은 실질적 혜안을 제시하고 있다. 유치원 현장에서 실행되어지는 수많은 활동들도 이 세 학자들이 마련한 미학적 담론의 틀 속에서 자연스럽게 통합되고 재해석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유아기의 미학교육이 유아의 경험의 의미를 재구성해주고 지식과 사고능력을 확장해준다는 지적인 측면과, 궁극적으로는 인간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는 거시적인 측면도 함께 고찰하였다.

      • 예비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 영재의 특성

        전예화 부산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논총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 영재의 특성과 유아 영재 특성의 범주가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규명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대학에서 유아교육관련 과목을 이수하는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 영재의 특성을 확인하는 조사와 유아 영재의 특성을 분류하는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를 위계적 군집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유아 영재 특성의 범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영재의 특성은 가장 상위수준에서는 유아 영재 특성에 대한 긍정적 군집과 부정적 군집 등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특성간의 상대적 거리 3.5/25의 수준에서 분류된 군집은 지적 능력, 창의성, 성취동기/자의식, 수리력/조숙성, 자기중심성/비사교성 등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dentify traits of young gifted children perceived by preliminary teacher for young children. The traits were examined at two levels: to assess preliminary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taits of young gifted and to categorize the traits into group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preliminary teachers reported 93 traits associated with the young gifted. 2)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grouping revealed two high-level clusters: positive traits and negative traits. At the 3.5/25 level of distance cluster, there were 5 categories: 4 positive categories(intellectual, creative, motivated/self-conscious, mathematical/premature) and 1 negative categories(egocentric/nonsocial).

      • 통합적 유아 컴퓨터 교육 활성화를 위한 현황 분석

        서현아,고은미 부산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논총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유아 컴퓨터 교육의 현황과 컴퓨터 교육의 통합적 운영실태 파악하여 그 문제점올 분석해 봄으로써 교육과정 속에서 유아 컴퓨터 교육이 통합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교사들 대부분은 유아 컴퓨터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나, 유아 컴퓨터 교육을 생활주제나 타영역과 통합하여 운영하는데 있어 여러 요인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컴퓨터 교육의 통합적 운영 활성화에 대해 시사점을 주고 있다. Computer education in kindergarte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young children these days. However, most teachers feel it's difficult to integrating computer activities into the classroom and whol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current condition of kindergarten's integrating comput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most kindergartens' teachers(94.1%) perceiv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computer education. Second, a majority of computer-equipped kindergartens' classroom had one computer(93.5%) for children's use. The number of CD-ROM Title they possessed widely was 1 to 5(45.2%). This data indicated the need that hardware and software must be supposed in larger quantities to do more effective integrate computer educa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47.7% of kindergarten teachers didn't manage their compu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plan. This data showed that most teachers feel difficult to integrate computer activities to other parts of the classroom and whole curriculum. Third,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of integrate computer education program are most urgently needed to activate integrate computer education in kindergartens.

      •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따른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 행동 연구

        고지민,정계숙 부산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논총 Vol.10 No.-

        본 연구는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 수용 태도의 정도에 따라 통합학급 내 교사와 장애유아의 상호작용 양상과 그 특징이 어떠한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공·사립유치원에서 1명의 장애유아를 통합하고 있는 일반 유치원의 교사 6명과 그 학급의 장애유아들이었다. 학급의 자유놀이 시간 동안의 관찰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교사와 부정적인 교사들 간에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 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아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시도와 반응은 긍정적인 태도 집단에서 더 많이 나타났고, 통합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 교사는 전반적으로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상호작용이 부적절하며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연결시켜주는데 미숙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social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teacher's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in integrated classrooms. The subject were teac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6 integrated classes. The 6 class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inclusive education. Three teachers from 3 classe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inclusive education and the other 3 teachers had relatively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inclusiv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observed and the frequency of interactions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attempts to interact with the child with disability by teachers and the frequency of teachers' responses to interaction attempts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were greater in the classes of teachers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inclusion, compared with the teachers with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inclusion. Second, the teachers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inclusion interacted with their young child with disability in the way to expand the child's play, promote the child's interactions with typically developing peers, and facilitate prosocial behavior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Whereas, the teachers with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inclusion didn't effectively intervene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y and didn't facilitate learning and play activities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 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언어발달 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An application of fairy tale integrate activities

        정계숙,노진형 부산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논총 Vol.13 No.-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언어적으로 지체된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대학교 어린이상담실에 의뢰된 6-7세 유아들로, 유아들의 발달적 요구와 3회까지 관찰된 유아의 행동 특성 및 초기 면담 결과를 근거로 유아의 중재목표행동이 선정되었다.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은 동화 듣기와 동극 하기, 작업활동, 음률활동, 게임, 신체 활동 등의 통합활동 중심으로 주 1회, 총 15회 동안 두 명의 중재교사, 관찰자 및 부모교육 담당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 중심의 사회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중재 목표 행동인 또래에게 상호작용 시도하기, 또래와의 문제상황에 대처하기 및 교사의 지시 따르기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social competence program for language delayed children. The Hierarchical Model of Social Competence by Guralnick(1992) provided the framework of the social competence program. The activities of the program were consisted of fairy tale integrate activities, like dramatization, art and occupation activities, physical activities and game etc. Subjects were 3 boys aged 6-7 years, with language delays. The program ran for 15 sessions. Two intervention teachers, two observers and one parent group leader implemented each session for 90 minutes once a week cooperatively. The target behaviors of the subjects were to initiate interactions with others, cope with problem situations with peers and follow teacher's suggestions. Data on the frequencies of target behaviors and the behavior episodes related with target behaviors during each session were analyzed. Although there were som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s of target behaviors, most of children became to be more sociable. Th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program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