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미디어 실습 온라인강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주는 콘텐츠 구성요소 분석

        강재신(Kang, Jae Shin),강태임(Kang, Tae Y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현재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대학의 강의들은 온라인 비대면 강의로 전환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대학의 교강사들은 대부분 전문가의 도움이나 정확한 매뉴얼 없이 비대면 온라인강의를 위한 콘텐츠를 스스로 제작, 배포하면서 교수자들의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 교수자들은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온라인강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이유에서 온라인강의 콘텐츠의 멀티미디어 요소 중에 학습자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실습 교과목 온라인강의 콘텐츠의 학습참여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먼저 온라인강의를 통한 학습참여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과 유의한 관계에 있는 멀티미디어 요소에 의해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유형화하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평가항목을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실습 교과목의 온라인강의 수강자에게 세 가지 유형의 온라인강의를 제공하고, 각각 유형별로 콘텐츠를 시청한 수강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교수자 요인, 학습자 요인, 환경적 요인에 따른 학습참여 효과를 파악할 수 있었다. 멀티미디어 실습 교과목의 온라인강의 콘텐츠에서 학습 이미지의 화면 비율은 확대하는 것이 학습참여에 효과적이고, 교수자는 학습자가 강의에 몰입할 수 있도록 삽입하는 것이 좋지만, 화면에서 교수자 동영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40% 미만으로 축소하는 것이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막은 슬라이드 화면의 텍스트로 대체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삽입하는 것이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파악하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learning participation effect of online lecture contents for practical subjects by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participation. Currently, due to the Corona 19 pandemic, university lectures are being converted to online non-face-to-face lectures. In this time when the paradigm of education is changing, most of the university lecturers are creating and distributing contents for non-face-to-face online lectures without the help of experts or accurate manuals. Instructors need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increase learners’ participation in online lectures and create lectures that take them into account.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er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learners’ participation among the elements of online lectures. In this paper, in order to measure the learning participation effect of online lectures, online lecture contents are categorized by multimedia elements tha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mmunication of online lectures, and evaluation items are desig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the researcher provided three types of lecture contents to participants of multimedia training course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targeting those who watched each type of content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or factor, learner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was identified. Enlarging the aspect ratio of the learning image in the online lecture contents of the multimedia training course is effective for participation in learning.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structor insert it so that the learner can be immersed in the lecture, but it is more effective to reduce the percentage of the instructor video on the screen to less than 40%. Inserting subtitles was more effective for learners to grasp the learning content, except when subtitles were replaced with text on the slide screen.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in that it helps to create effective lecture contents for learning participation by grasp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media factors of online lecture contents an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 KCI등재

        1998 / 1999 남극 킹조지섬 마리안소만 표층수에 서식하는 미세조류의 계절적 변동

        강재신(Jae Shin Kang),강성호(Sung Ho Kang),이진환(Jin Hwan Lee),최돈원(Don Won Choi),이상훈(Sang Hoon Lee) 한국환경생물학회 200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8 No.1

        We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of microalgal assemblages, sea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suspended solid and the parameters measured daily from January 1998 to October 1999 at a nearshore shallow-water in Marian Cove, Maxwell Bay, King George Island, the Antarctic. Annual mean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0.30℃ and the highest water temperature was 4.53℃(22 January 1999) and the lowest water temperature was -2.07℃(23 August 1998). Annual mean salinity was 33.38 psu, ranging from 42.80 psu(6 January 1999) to 19.50 psu(6 June 1999). Annual mean suspended solid(SS) during two years was 34.14 ㎎·1^-1, ranging from 60.62 ㎎·1^-1(7 March 1998) to 12.90 ㎎·1^-1(26 December 1998). Chlorophyll α(Chl α)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order to know seasonal variations of microalgae in the surface seawater. Annual mean of total Chl a concentration was 0.55 ㎍·1^-1, the highest Chl α concentration(12.16 ㎍·1^-1) appeared in 4 October 1998, the lowest Chl α concentration appeared 0.19 ㎍·1^-1. Monthly mean total Chl a concentration was high in October 1998(1.32 ㎍·1^-1) and low in July on 1998(0.28 ㎍·1^-1). Annual mean nano-sized Chl α concentration was 0.40 ㎍·1^-1, monthly mean nano-sized Chl α concentration was high in November 1998(0.90 ㎍·1^-1), and low in July 1999(0.22 ㎍·1^-1). Annual mean micro-sized Chl α concentration was 0.15 ㎍·1^-1, monthly mean micro-sized Chl α concentration was high in October 1998(0.81 ㎍·1^-1), and low July 1998, January, February and September 1999(0.05 ㎍·1^-1). More than 65% of total Chl α was concentrated during spring and summer time between October and March. Microalgal variation appeared to be due to physical factors of seawater in the Antarctic nearshore from 1998 to 1999. The reason why micro-sized Chl α did not increase during austral summer was the bay had been frozen by decrease of water temperature. We think that total microalgal abundance was decreased because the summer microalgal abundance was determined by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during winter season. [Chl α concentration, Microalgal assembalges, Seasonal variation, the Antarctic nearshore].

      • KCI등재

        소셜VR플랫폼의 사용성 분석 -아바타, 환경, 상호작용 및 소통을 중심으로-

        강재신 ( Kang Jae-shin ),강태임 ( Kang Tae-y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9 No.-

        본 연구는 소셜VR플랫폼의 사용성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과 요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성 분석을 실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VR시장 변화와 소셜VR플랫폼 활용 사례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소셜VR플랫폼의 특징을 파악하고, 국제 표준 기구의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와 Jacob Nielsen이 정의한 사용성 평가에 관한 문헌조사에 근거하여 소셜VR플랫폼 사용성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AltspaceVR, VRChat, Sansar, High Fidelity, Facebook Spaces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Contextual Inquiry기법을 이용해 소셜VR플랫폼의 사용성을 아바타, 의사소통, 상호작용, 환경에 따라 평가요인별로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아바타와 상호작용의 경험성은 효과성에 비례하고, 아바타의 효율성과 경험성은 비례한 반면, 상호작용의 효율성과 경험성은 상관관계를 형성하지 않았다. 5개의 소셜VR플랫폼 모두 아바타와 상호작용에서의 오류와 늦은 복구 속도, 환경에서의 낮은 효과성과 효율성은 소셜VR플랫폼 사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향후 소셜VR플랫폼 제작 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and factors that affect the usability of social VR platfo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VR platform have been confirmed in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et the criteria for usability of the social VR platform, we consulted the literature on ISO software quality assessment and Jacob Nielsen's usability assessment. The assessment items for usability testing of AltspaceVR, VRChat, Sansar, High Fidelity, and Facebook Spaces are avatar, communication, interaction, and environ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avatars and interactions is proportional to effectiveness, and the avatar efficiency and experience were proportional, whereas the interaction efficiency and empirical relationship were not correlated. In all five social VR platforms, the error of interaction with the avatar and late recovery speed, low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the environmen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usability of the social VR platform.

      • KCI등재

        남극 호냉성 미세조 Porosira pseudodenticulata의 형태와 분자적 자료

        정웅식,주형민,홍성수,강재신,최한구,강성호,Jung, Woong-Sic,Joo, Hyoung-Min,Hong, Sung-Soo,Kang, Jae-Shin,Choi, Han-Gu,Kang, Sung-Ho 한국조류학회(藻類) 2006 ALGAE Vol.21 No.2

        We have cultured more than 100 Arctic and Antarctic cryophilic microalgal strains in KOPRI culture collections of polar microorganisms (KCCPM). Among them, we tried to identify an Antarctic strain, KOPRI AnM0008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Nuclear SSU rDNA and plastid rbcL sequences were used to identify the strain. It was identified as Porosira pseudodenticulata based on SSU sequence data showing 99% identity with GenBank X85398. This result was supported by morphological features like solitary labiate process, external foramina and internal cribra by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and molecular analysis on polar cryophilic microalgae will be accomplished to construct the databases for KCCPM.

      • KCI등재

        전 지구 환경변화에 대한 극지 식물플랑크톤의 중요성

        강성호,강재신,이상훈,김동선,김동엽 한국환경생물학회 200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8 No.1

        최근 극지 해양 생태계는 화석연료 사용의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 오존층 파괴에 의한 자외선 증가 등과 같은 전 지구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고 있다. 지구 온난화와 오존층 파괴에 의한 수온 상승, 빙하 후퇴, 해수면 상승, 해빙 분포 변화, 자외선 증가 등으로 인해 극지 해양 생물들의 성장 환경이 변화하는 등 여러 가지 증후들이 극지 해양 생태계에 나타나고 있다. 특히 빛을 에너지원으로 하고, 온도에 민감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일차생산자들인 식물플랑크톤들이 극지 해양의 물리적, 생지화학적 환경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 전체 극지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주요 탄소 공급원인 식물플랑크톤의 변화는 전체 극지 해양 생태계의 변화를 의미한다. 식물플랑크톤들은 오랜 기간 극한 환경에 적응하여 왔기 때문에 미세한 환경변화를 쉽게 감지하고 감시하기 위한 생물학적 환경 변화 지표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전 지구 환경변화에 따른 극지 해양 생태계의 변화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극지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표준화되고 대표적인 식물플랑크톤 지표종의 선정이 필요하다. 이 총설에서는 극지 식물플랑크톤의 일반적인 특징, 서식환경, 극지 해양의 환경 변화, 환경 변화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영향, 전 지구 환경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극지 식물플랑크톤의 중요성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이 정리되어 있다. There are increasing evidences of climate change in the Antarctic and Arctic Oceans, especially elevated temperature due to the continuous burning of the fossil fuels and ultraviolet B(UV-B) flux within the ozone hole. Light-dependent, temperature-sensitive, and fast-growing organisms respond to these physical and biogeochemical changes. Polar marine phytoplankton, which are pioneer endemic species and important carbon contributors in the polar waters, are therefore highly suitable biological indicators of such changes. By virtue of light requirement, the primary producers are exposed to extreme seasonal fluctuations in temperature,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and UV radiation. Local environmental warming and increased UV-B radiation during ozone depletion may have profound effects on the primary producers that are primary carbon producers in the polar waters. Small changes in climate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may have profound effects on the activity threshold of the polar phytoplankton. To demonstrate biological response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standardized representative natural and biological parameters are needed so that replicate samples(including controls) can be taken over extended periods of time. In this paper, we review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lar phytoplankton, their environment,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polar waters, the effects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to the polar phytoplankton, and the importance of the polar phytoplankton to understand the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Biological indicator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Polar phytoplankton, UV].

      •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논의 이슈 및 각국의 대응 전략

        지인;강재 경희대학교 산업관계연구소 2011 産硏論叢 Vol.36 No.-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사회에서의 논의는 1992년 기후변화회의로부터 교토의정서, 발리 행동계획, 코펜하겐 합의, 칸쿤 회의 등에서 의미있게 다루어져 왔다. 특히 교토의정서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이에 관한 시장경제 매커니즘을 도입했다. 과거 기후변화에 대한 논의는 일부 선진국에 한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세계 각국이 공동 협력을 구축해야 한다는 데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교토 협약 이후, 기후변화에 대한 논의에 경제적 관점이 더해지면서 순수한 의미에서의 공동 협력은 이루어 지지 않은 채 각국의 입장 대립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유럽연합과 미국으로 대표되는 선진국들은 개발도상국의 배출 감축 의무 설정을 적극 요구하는 한편 탄소배출권 시장을 형성해 시범 운영해나가고 있다. 중국으로 대표되는 개발도상국들은 선진국의 역사적 의무를 강조하며 자발적 감축 정책으로 대응하고 일각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양상을 선진국의 개도국에 대한 발전 저지 음모론으로 해석하며 대립에 각을 세우고 있다. 한국은 선진국으로의 편입을 통해 감축의무 설정 압박을 받고 있으나 정부는 적극적인 녹색성장 전략 등으로 국제사회의 논의 수준에 대하여 보다 선제적 입장을 취하며 이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적인 합의가 도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책에 가속도를 내기 보다는 국제 논의의 진행상황과 배출권 거래제의 국제적 흐름을 충분히 지켜보며 대응하는 것이 실익을 챙기는 방법일 것이다. The discussion of Climate Change has gone through with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which was in 1992, Kyoto Protocol, Bali Action Plan, Copenhagen Accord, Cancun Decision. Particularly, it built reducing greenhouse gas system up and took the market economy mechanism which was reducing carbon emissions. These days, a bond of sympathy developed between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although former discussion of Climate Change had been formed by developed country. However after Kyoto Protocol, there was no veritable cooperation but each government insisted on their rights. Since the economic benefits were discussed.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demand developing countries' obligation of reducing emissions establishment, on the other hand, they have been operating carbon credits market. Developing countries represented by China are insisting historic obligation of developed countries and they are responding self reducing emissions policy. Some say the response of developed countries is conspiracy to check the growth. Republic of Korea has been pressed obligation of reduction because of joining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Despite the pressing of other countries, Republic of Korea handle them with green growth policy. Until they bring about agreement, we should not accelerate our policy progressing but observe world's situation carefully such an Emission Trading. That's how we get real prof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