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종성능을 고려한 파랑 중 선박의 직진성능에 관한 연구

        강동훈,이순섭,이승재,Kang, Dong-Hoon,Lee, Soon-Sup,Lee, Seung-Jae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2

        파랑 중 선박의 직진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시뮬레이션을 구성하기위해 선박의 3자유도 조종운동방정식을 사용했으며, 선박에 가해지는 파랑강제력은 3차원 특이점 분포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의 외란으로서 규칙파와 불규칙파를 사용하였고 최대사용타각과 제어시간지연을 제어기의 제한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조종성능에 따른 직진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유체력 미계수를 인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서 조종성능이 다른 선박의 시뮬레이션을 구성하였다. Autopilot제어기를 사용한 일정시간의 선박의 직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해당시간동안의 직진거리를 비교하여 선박의 직진성능을 검토하였다. Course keeping ability of ships under wave are analyzed with wave. The simulation with three degrees of freedom is developed and 3-D source distribution method is applied to get wave force for the simulation. The simulation is conducted with the restriction of maximum rudder angle and time delay of control and regular wave and irregular wave are considered as the source of external forces. Simulations with ships which have different maneuverability with tuned hydrodynamic coefficients are developed to assess the variation of the course keeping ability depending on the ship's maneuvering characteristics. The course Keeping ability is evaluated by comparison of distance while the ships are simulated with autopilot control.

      • KCI우수등재

        고밀도 폴리에틸렌 섬유의 가닥수에 따른 크리프 특성 및 예측

        강동훈,최재호,장기혁,홍충희,박원호,Kang, Dong Hoon,Choi, Jae Ho,Jang, Ki Hyuk,Hong, Choong Hee,Park, Won Ho 한국섬유공학회 2017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4 No.2

        igh-density polyethylene (HDPE) is widely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due to its versat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Lately, its versatility has been further expanded by surface cross-linking and modification. Also, reduction in the weight of polyethylen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in the industry. Creep test is a common method for studying the behavior of material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design their industrial applications. Since a conventional creep test requires more than a test time of 10,000 h, a relatively short-time creep behavior can be predicted using time-temperature superposition (TTS) or mathematical modeling. The long-term creep behavior can be predicted by mathematical modeling using the short-term creep data. In this study, the creep behavior of HDPE fibers was measured in the load range of 20-50% of the ultimate tensile strength (UTS), and compared in terms of the number of filaments and denier. The long-term creep behavior was successfully predicted using the short-term creep behavior data obtained by mathematical modeling. Therefore, this approach can be used to predict the number and denier of PE fibers in industrial applications.

      • 쓰기 지식의 범주 및 변환 양상 연구

        강동훈(Kang, Dong Hoon) 한국어문교육학회 2014 어문학교육 Vol.48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쓰기 지식의 범주와 변환 양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쓰기 지식의 범주는 균형 있게 반영되어야 하며, 변환은 일정한 원리에 의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쓰기 지식의 범주는 담화 지식, 과정 지식, 사회·문화 지식, 초인지 지식으로, 변환 양상은 일치형, 확장형, 축소형, 간접형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교육과정에 제시된 1~2, 3~4, 5~6 학년군 쓰기 영역의 내용 성취 기준과 그 해설을 통해, 쓰기 지식의 범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명제적 지식과 관련해서는 담화 지식과 과정 지식이 비교적 균형을 이루고 있었으며, 방법적 지식과 관련해서는 과정 지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었다. 한편, 사회·문화적 지식과 초인지 지식의 경우 비교적 적게 분석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1~2학년군 교과서에 반영된 쓰기 지식의 변환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축소형이 주를 이루었으며, 다음으로는 확장형이 많이 분석 되었다. 간접형과 일치형도 더러 분석되었는데, 체계적인 변환의 원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writing knowledge category and aspect of transposition that be reflected in amended curriculum period of 2009. Because writing knowledge category is reflect in balance, transposition is occur with systematically by certain principle. Through review of preceding research, writing knowledge category is analysed discourse knowledge, process knowledge, sociocultural knowledge, metacognition knowledge, and aspect of transposition is analysed concordant type, amplified type, reduced type, indirectness type. The results from analysing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as referred to in curriculum 1~2, 3~4, 5~6 district writing domain’s content achievement criteria and that explanation. Consequently, related to propositional knowledge relatively balanced discourse knowledge and process knowledge, and related to procedural knowledge many reflected process knowledge. Meanwhile, so sociocult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on is relatively few, that we know that supplementation is needed. Next, analysed that aspect of writing knowledge transposition reflected in 1~2 district. As a result reduced type is primary, second is amplified type. And indirectness type, concordant type is analysed occasionally, we know that principle of transposition is needed.

      • KCI등재

        에듀테크 활용 국어(읽기·쓰기) 수업 운영 사례 및 양상 분석

        강동훈 ( Kang Dong Hoo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4 한국초등교육 Vol.3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 활용 국어 수업의 운영 사례를 읽기·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활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시대적 흐름이다. 이러한 디지털 대전환에 따라, 교원들의 디지털 교육 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일어나는 학교 교육의 변화와 교원의 디지털 교육 역량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에듀테크를 활용한 다양한 읽기 및 쓰기 수업 운영 사례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에듀테크 활용 읽기 수업 운영 사례를 종합한 결과, ① 다중텍스트 읽기 기반 ‘의미 구성’, ② 책 만들기 활동 기반의 ‘읽기 후 활동’, ③ 읽기 제재의 심층적인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및 시각화’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에듀테크 활용 쓰기 수업운영 사례를 종합한 결과, ① 글쓰기의 주제 선정을 위한 ‘주제 제안’, ② 글쓰기의 내용 조직을 위한 ‘마인드맵’, ③ 고쳐쓰기 및 피드백을 위한 ‘협업 기반’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끝으로, 교원들의 에듀테크 도구 활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① 다양한 에듀테크 도구 중 자신이 필요한 것을 취사선택하는 방식으로 수업에 활용하고, ② 두 개 이상의 에듀테크 도구를 필요에 맞도록 기능을 통합해서 활용하였다. 또한, ③ 교원 공동체 간 네트워크를 통해 에듀테크 활용의 구체적인 방법과 효과를 소개하고, 수업 활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로의 역량을 발전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이처럼, 증거 기반 및 실증 사례 중심의 에듀테크 활용을 통해 교실수업 혁신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에듀테크 활용은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며, 수업 목표 도달을 위한 지원 도구로써 교사의 주도하에 적절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edutech in Korean language lessons, focusing on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e rapid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a significant epochal trend. In line with this digital shif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eachers’ digital educational skills is becoming increasingly prominent.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in school education and the need for digital educational competencies among teachers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Furthermore, it examines various cases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and writing lessons using edutech. The key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a synthesis of edutech-based reading instruction cases showed ① meaning construction through multitext reading, ② post-reading activities based on book creation, and ③ text mining and visualization for deeper analysis of reading subjects. Second, in edutech-based writing instruction cases, ① topic suggestion for selecting writing themes, ② mind mapping for content organization, and ③ collaboration-based rewriting and feedback were observed. Finally, analysis of teachers’ use of edutech tools revealed that ① they selectively utilize multiple edutech tools as needed, ② integrate functionalities of more than one edutech tool as required, and ③ develop each other’s skills through sharing specific methods and effects of edutech usage, as well as classroom application cases within teacher communities. Thus, using evidence-based edutech and empirical cases can support innovation in classroom teaching. The use of edutech is not an end in itself; however, teachers should use it appropriately as a tool to support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 KCI등재
      • KCI등재

        손글씨 쓰기 자동화 기록을 활용한 작문 연구 방법의 확장

        강동훈 ( Kang Dong Hoon ) 한국작문학회 2018 작문연구 Vol.0 No.38

        이 연구는 손글씨 쓰기 자동화 기록을 활용한 작문 연구의 영역 및 연구 방법의 확장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필자의 발달 과정에서 손글씨 쓰기가 지니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된 기술을 응용하여 손글씨 쓰기 과정에 대한 자동화 기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작문 연구의 장을 탐구하였다. 첫째, 표기 지식과 철자 지식 평가를 위한 연구이다. 둘째, 쓰기 발달 단계 평가를 위한 연구이다. 셋째, 손글씨 쓰기와 전자 작문 과정의 비교를 위한 연구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area and method of writing research using automated handwriting record. Despite the importance of handwriting in writing developmen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 this paper, I propose an automated recording method for handwriting by applying the technology applied to smart device. And explored the field of writing research based on this. First, it is a study for notation knowledge and spelling knowledge evaluation. Second, it is a study for evaluation of writing development stage. Third, it is a study to compare handwriting writing and computer writing process. In addition, various studies will be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