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MC-2010 추출물이 마우스의 비장세포 cytokine 생성에 미치는 영향

        배기상 ( Gi Sang Bae ),박경철 ( Kyoung Chel Park ),최선복 ( Sun Bok Choi ),조일주 ( Il Joo Jo ),서상완 ( Sang Wan Seo ),김종진 ( Jong Jin Kim ),신용국 ( Yong Kook Shin ),김민선 ( Min Sun Kim ),박규환 ( Kyu Hwan Park ),김현식 ( Hyu 대한본초학회 2012 大韓本草學會誌 Vol.27 No.5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OMC-2010 extract on cytokine production in mouse spleen cells. Methods : Mouse spleen cells were pre-treated with ethanol and water extract of OMC-2010 for 1 h, then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 for 48 h. Then the cells were harvested for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ct cytokines. Results : OMC-2010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interleukin (IL)-1beta,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L-5 mRNA expressions, but not shown such changes in IL-6, IL-4, IL-13. OMC-2010 water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TNF-alpha, and IL-5 mRNA expressions, but not shown such changes in IL-1beta, IL-6, IL-4, IL-13. Conclusions : Theses results could suggest that both ethanol and water OMC-2010 extract could inhibit the TNF-alpha and IL-5 mRNA expression.

      • KCI등재

        동과 추출물(HR1901-W)의 지표성분 2-Furoic acid 분석법 개발 및 검증

        최선일 ( Sun-il Choi ),한웅호 ( Xionggao Han ),문효 ( Xiao Men ),이세정 ( Se-jeong Lee ),박미혜 ( Mi-hye Park ),이옥환 ( Ok-hwan Lee ),양정모 ( Jung-mo Yang ),최예은 ( Ye-eun Choi ),조주현 ( Ju-hyun Cho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33 No.3

        As interest and demand for functional foods increase, standardization becomes important to manage the quality of raw materials and products. Analytical methods for the standardization of bioactive compounds must be created in tandem with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2-furoic acid in Benincasa hispida extract (HR1901-W). The 2-furoic acid analysis method was validated by evaluating the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using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diode array spectrum.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calibration curve for 2-furoic acid was 0.9999. Furthermore, the LOD and LOQ for 2-furoic acid were 0.10 μg/mL and 0.32 μg/mL, respectively. The range of inter-day and intra-day precision values (RSDs, relative standard deviation) for 2-furoic acid were 0.13%-0.56% and 0.27%-0.33, respectively, and the inter-day and intra-day accuracy values (recovery) were 98.47%-102.74% and 98.77%- 102.7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ent of 2-furoic acid in HR1901-W was found to be 412.39 ± 0.91 μg/dry weight in gra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alytical method used in this study should be appropriate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2-furoic acid in HR1901-W and considered for use as basic data for the standardization of HR1901-W.

      • KCI등재

        배천 강서사 조성 지장보살과 조각승 영철

        최선일 ( Sun Il Choi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3 No.-

        본 논문은 황해남도 배천 강서사에서 옮겨와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영철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보살상은 십여 년 전에 명부전 내 봉안된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의 복장 조사를 계기를 통하여 조성발원문을 비롯한 복장물이 조사되었다. 조성발원문에는 제작시기와 조각승 등이 적혀 있어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발원문에 의하면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은 1649년에 의순이 증명(證明)을 맡고, 영철과 운혜 등이 제작하였다. 이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영철은 수화승 수연과 1634년에 전북 옥구 보천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익산 숭림사 명부전 봉안), 1636년에 부화승으로 강화 전등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1639년에 부화승으로 전북 남원 풍국사 목조삼세불좌상(예산 수덕사 대웅전 봉안)을 조성하였다. 따라서 1630년대 수연이 수화승으로 제작한 불상에 부화승으로 참여한 것을 보면 당시에 조각승으로 명성과 최고의 기량을 지녔던 시기로 추정할 수 있다. 그는 1649년에 수화승으로 배천 강서사에서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을 제작하여 이제까지 밝혀진 활동 시기가 1634년부터 1649년까지이다. 목조지장보살좌상은 높이 101센티미터 되는 중형보살상으로, 민머리의 성문비구형(聲聞比丘形)이다. 지장보살은 상체를 앞으로 약간 내밀고, 불신(佛身)과 따로 제작된 양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수인은 조선후기 제작된 석가불(釋迦佛)을 제외한 대부분의 여래와 보살 등이 공통적으로 취하고 있다. 지장보살은 각이 진 얼굴에 가늘게 뜬 눈, 원통형의 코, 미소를 머금은 입을 가지고 있다. 착의법은 두꺼운 대의 안쪽에 편삼(扁衫)을 입고, 대의자락의 한 가닥을 들어 올린 손목 뒤에 비스듬히 걸치고, 팔꿈치와 배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며, 왼쪽 어깨에 앞에서 넘어온 대의 자락이 길게 늘어져 있다. 하반신을 덮은 대의 끝자락이 S자형을 이루고, 세 번째 자락이 중앙으로 길게 늘어져 끝부분이 납작하게 접혀 있으며, 그 옆으로 파도가 일렁이듯 동일한 형태의 끝자락이 펼쳐져 있다. 대의 안쪽에 가슴을 가린 승각기(僧脚崎)는 수평으로 묶어 상단에 연판형의 주름이 접혀있다. 이와 같은 대의 처리는 1650년에 운혜가 제작한 전남 해남 서동사 목조삼세불좌상에서 볼 수 있다. 가슴을 덮은 승각기는 상단을 한 번 말아 도톰한 仰蓮形으로 표현되었다. 현재 배천 강서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여래좌상은 조선후기 전형적인 불상의 각진 방형 얼굴이 아니라 계란형으로 턱이 약간 뾰족하다. 특히, 가늘고 뾰족한 콧날과 좁은 인중 등의 표현은 조각승 사인이 1649년에 전북 순창 회문산 만일사에서 제작한 목조여래좌상(포천 동화사 봉안)과 가장 유사하다. 흥미로운 것은 영철과 사인이 1639년에 조각승 수연과 함께 남원 풍국사 목조삼세불좌상(예산 수덕사 봉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강서사 대웅전 봉안 목조여래좌상의 상반신에 걸친 大衣가 오른쪽 어깨에 걸쳐 짧게 늘어져 있는 옷자락 표현은 사인, 영철, 운혜가 1650년 전후하여 제작한 불상에서 볼 수 있는 요소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조각승 영철이 속한 계보는 태전(-1600경-1615-)→수연(-1615-1639-)→성옥(-1619-1625-), 영철(-1634-1649-), 운혜(-1649-1680-), 경림(-1665-1680-) 등으로 이어진다. 또한 영철과 그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불상을 만든 지역은 강화 전등사, 배천 강서사, 서천 봉서사, 김제 금산사, 옥구 보천사, 남원 풍국사, 나주 쌍계사, 해남 서동사, 장성 백양사 약사암, 곡성 도림사, 화순 쌍봉사, 순천 동화사, 고흥 능가사로 서해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곳이라 이들이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for wood seated ksitigarbha, enshrined at Seoul Hwagyesa, which was moved from Beachoen Kangseosa and a monk sculptor, Youngchoel. About 10 years ago, the votive inscrips for the Hwagyes Myeongbujeon Buddhist sculptures were found. This votive inscription for Myeongbujeon Buddhist sculptures provides critical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late Late Joseon dynasty`s Buddhist sculpture`s stylistic transition. This votive inscription shows that Youngcheol and Unhye took charge of this project. And Uisoon worked together as a Jeungmyeong. Who usually takes this position, is required to understand detailed Buddhist ritual processes, so this person watched whether or not sculptors carve a properform of Buddhist sculptures. As a monk sculptor school, Youngcheol participated in various Buddhist sculptures rendering projects. In 1634, Youngcheo and his teacher Suyoun made wood seated ksitigarbha in Okgu Bocheonsa in North Jeonla Province(enshrined at Sunglimsa Myeongbujeon in Iksan) and in 1636, as a second leader, he took a charge for Namwon Pungkuksa Sakyamuni triad(enshrined at Suduksa Deaunjeon in Yesan). These project with Suyoun revealed that Youncheol had famous reputation and great skill for sculptures. Kangseosa wood seated ksitigarbha is mid size image, whose height is 101cm. Its upper body is slightly bended, and two hands are separately carved. The hand position for this sculpture is that its two thumbs and middle fingers are attached. This hand form is the most common in the late Joseon dynasty`s Buddhist sculptures. This ksitigarbha have a squared face, slightly open eyes, cylinder shape nose, and compressed mouth. The garment drapery patterns for this sculpture are displayed by several lines. For this paper, I can present Suyeon monk sculpture school`s pedigree: Taejeon(actively engaged in 1600-1615), Suyeon(-1615-1639-), Seongok(-1619-1625-), Youngchol(01364-1649), Unhye(-1649-1680-), Gyeongim(-1665-1680-). In addition, most of temples, enshrining Youngchoel School`s Buddhist sculpture, are located in coast line of west see-Kanghwa Jeondeungsa, Beacheon Kangseosa, Soecheon Bongseosa, Kimje Geumsansa, Okgu Bochoensa, Namwon Pungkuksa, Naju Ssanggyesa, Haenam Seodongsa, Jangsung Beakyangsa Yaksaam, Goksung Dolimsa, Hwasoon Ssangbongsa, Suncheon Donghwasa, Goheun Neunggasa etc. As a result, Youngchoel School seems to cultivate this area for their sculpture projec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강화 전등사 木造地藏菩薩坐像과 조각승 守衍

        최선일(Choi, Sun-il)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3 인천학연구 Vol.18 No.-

        본 논문은 강화군 전등사 명부전에 봉안된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수연(守衍)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보살상은 2010년 10월에 사찰의 의뢰 를 받아 명부전 내 봉안된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의 복장 조사를 계기 를 통하여 조성발원문을 비롯한 복장물이 조사되었다. 조성발원문에는 제 작시기와 조각승 등이 적혀 있어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매우 중요 한 위치를 차지한다. 발원문에 의하면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은 1636년 수연(守衍)과 탄 오(坦悟)가 증명(證明)을 맡고, 수연과 영철 등이 제작하였다. 이 목조지장 보살좌상을 제작한 수연은 1619년에 서천 봉서사 불상을 수화승으로 제작 하면서 증명의 소임을 맡았다. 따라서 1610년대 후반에 수연은 상당한 지 위와 학식을 겸비한 스님으로 보인다. 그는 1623년에 강화 전등사 대웅보 전 목조삼세불좌상을, 1625년에 나주 쌍계사 목조삼존불좌상과 소조나한상 (나주 다보사 봉안)을, 1634년에 옥구 보천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 상(익산 숭림사 명부전 봉안)을, 1636년에 전등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 존상과 시왕상을, 1639년에 남원 풍국사 목조삼세불좌상(예산 수덕사 대웅 전 봉안)을 조성하여 이제까지 밝혀진 활동 시기가 1615년부터 1639년까 지이다. 목조지장보살좌상은 높이 107센티미터 되는 중형보살상으로, 민머리의 성문비구형(聲聞比丘形)이다. 지장보살은 상체를 앞으로 약간 내밀고, 불신(佛身)과 따로 제작된 양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수인은 조선후기 제작된 석가불(釋迦佛)을 제외한 대부분의 여래와 보살 등이 공통적으로 취하고 있다. 보살은 각이 진 얼굴에 가늘게 뜬 눈, 원통형의 코, 미소를 머금은 입 을 가지고 있다. 착의법은 두꺼운 대의 안쪽에 편삼(扁衫)을 입고, 대의자 락의 한 가닥을 들어 올린 손목 뒤에 비스듬히 걸치고, 팔꿈치와 배를 지 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며, 왼쪽 어깨에 앞에서 넘어온 대의 자락이 길게 늘어져 있다. 하반신을 덮은 옷자락이 완만하게 흘러 내려 표현된 것은 17세기 전반부터 나타나는 대의처리이다. 대의 안쪽에 가슴을 가린 승각 기(僧脚崎)는 수평으로 묶어 상단에 연판형의 주름이 접혀있다. 전등사 목 조지장보살좌상는 1634년에 제작된 익산 숭림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인상 이나 착의법이 거의 유사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조각승 수연과 그 계보는 태전( 1600경 1615 ) →수연( 1615 1639 )→성옥( 1619 1625 ), 운혜( 1649 1680 ), 경림( 1665 1680 ) 등으로 이어진다. 또한 수연과 그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불상을 만든 지역은 강화 전등사, 배천 강서사, 서천 봉서사, 김 제 금산사, 옥구 보천사, 남원 풍국사, 나주 쌍계사, 해남 서동사, 장성 백 양사 약사암, 곡성 도림사, 화순 쌍봉사, 순천 동화사, 고흥 능가사로 서 해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곳이라 이들이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거주하였 음을 알 수 있다. 수연과 그 계보 조각승이 제작한 불상 양식을 바탕으로 전국 사찰 전각 에 봉안된 무기년명(無紀年銘) 불상 가운데 전남 강진 백련사과 해남 미 황사에 봉안된 목조지장보살상은 1660년대 초반 조각승 운혜가 제작한 작 품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is a study for a monk sculptor, Suyeon. Recently, the votive inscrips for the Jeondeungsa Myeongbujeon Buddhist sculptures were found. This votive inscription for Myeongbujeon Buddhist sculptures provides critical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late 17th Joseon dynasty s Buddhist sculpture s stylistic transition. This votive inscription shows that Suyeon has two different jobs for this project in 1636. The first one is Jeungmyeong. A person, who usually takes this position, is required to understand detailed Buddhist ritual processes, so this person watched whether or not sculptors carve a properform of Buddhist sculptures. The second position is a leader of monk sculptors for Jeondeungsa Myeongbujeon sculpture. He seems to be a renaissance monk who is a seasoned theoretician as well as a competent sculptor. As a leader of monk sculptor school, Suyeon participated in various Buddhist sculptures rendering projects. In 1623, Suyeon and his disciples made three Buddhas in Jeondeungsa main hall, and in 1625, Suyeon s group took a charge for Naju Ssanggyesa Sakyamuni triad and 16 Buddha s disciples. In 1634, Suyeon and other sculptors created??wood seated ksitigarbha and the Ten King in Okgu Bocheonsa and rendered Namwon Bungguksa s wood seated Buddhas triad in 1639. Jeondeungsa wood seated ksitigarbha is mid size image, whose height is 107cm. Its upper body is slightly bended, andtwo hands are separately carved. The hand position for this sculpture is that its two thumbs and middle fingers are attached. This hand form is the most comm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 Buddhist sculptures. This ksitigarbha have a squared face, slightly open eyes, cylinder shape nose, and compressed mouth. The garment drapery patterns for this sculpture are displayed by several lines. For this paper, I can present Suyeon monk sculpture school s pedigree: Taejeon(actively engaged in 1600-1615), Suyeon(-1615-1639-), Seongok(-1619-1625-), Unhye(-1649-1680-), Gyeongim(-1665-1680-). In addition, most of temples, enshrining Suyeon School s Buddhist sculpture, are located in coast line of west see. As a result, Suyeon School seemsto cultivate this area for their sculpture projects. Base on stylistic features of Suyeon s School, we can assume other Suyeon School s works in different region. Two of examples are in Ganjin Baeglyeonsa, and Haenam Mihwangsa s ksitigarbha. Both of wood Ksitigarbha artists seem to be Unhye.

      • KCI등재
      • 南楊州 興國寺 大雄寶殿 佛像의 製作時期와 彫刻僧의 推論

        崔宣一(Choi, Sun-il) 동국대학교 박물관 2008 佛敎美術 Vol.19 No.-

        This study assumed production time and monk sculptor of enshrined image of Buddha in Heungkuk Temple statue in its main building, Namyangjusi, Gyeonggi-do. Among numerous image of Buddha mad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this image of Buddha is superior, however its concrete research didn't progressed. So in the history of Buddhist statues it couldn't get the right valuation. Hungkuk Temple statue in its main building, Namyangju, three wooden Buddhist statues is a medium size, heightis 79㎝ and the width of knee is 53㎝, the ratio of height and the width of knee is 1:0.67. At the outer clothe on Buddha' s right shoulder is hang straight and round at the edge like a knife, these shape of the outer clothe was found in different Buddhist statures, but none of these relic has known production time. The inner part of clothe covering the lower half of the statue speared forming the letter S the other 3-4 crease on the image of Buddha is made simply. These shapes started in early 18 century and became popular in mid and end of the 18 century. On the side of Buddhist statue the outer clotheis hang down similar to A shape. These kind of clothe creases similar on seated wooden Bodhisattva statue on Seosan Temple, Gokseong (1706 by Jinyeol), a seated wooden image of Buddha in Hoeamsa Temple in Yangjoo (1755 by Sangjeong), and seated wooden Bodhisattva statue in Sukwang temple in Bucheon. Heungguk Temple statue in its main building, Namyangju, statue of Buddha' s ratio, physiognomy and ashape of clothe is most similar to Sangjeong. Sangjeong's work was only found in 3 different place and 5 Buddha's statues, the inference of production time is around 1770 the body ratio and shape of clothe is simpler then seated wooden Bodhisattva in Oheo Temple, Pohang, which is made in 1765. Monk sculptor Sangjeong regild Bulkap Temple, Youngkwang, a seated wooden triad Buddhist statue(1747) and a newly built Buddha Statue in Borim Temple, Jangheung (1748), on 1755 he made a seated wooden Buddhist statue in Hoeam Temple in Yangjoo and a seated wooden Bodhisattva in Sukwang Temple, Bucheon. After he regild triad Buddhist statue, Hwaeom Temple, Kurye, in its main building, on 1765 he produce, a seated wooden triad Buddhist statuein Pohang Oheo Temple. Also he regild Amitabha Buddhist statue of Buseok Temple Muryangsujeon in Gyungbuk Yeongjoo(1767) and the Jikjisa Buddhist statue in Kimchon of Gyungbuk, The dedicative inscription indicates that Sangjung's secular name was Jang 張.In gilding Buddhist statues of Bulguksa, the temple history record reads 'Honam Sangjung, a gilding craftsman', which indicates that Sangjung is a monk residing in Jeolla-do province. His lineage is succeeded to Jinyeol (~1695~1772~), Taewon (~1698~1748~), Sangjeong (~1747~1771~), Gyecho (~1754~1790~), Bonghyun (~1780~1790~), Chingsook (~1754~1780~), to Gyeshim (~1771~1787~) Since 18 century Jeolla-domonk sculptors came to Gyeonggi-do and started to make Buddhist statue. It was motivated by 1711 Gyepa Sungneoung, who leaded construction of castle on Bykhan mountain. These factscame out from dedicative inscription that was found in Sangun Temple statue, Goyangsi (Jinyeol's work on 1713). 본 논문에서는 경기도 남양주시 흥국사 대웅보전에 봉안된 불상의 조각승과 제작시기를 추정하였다. 이 불상은 조선후기에 제작된 훌륭한 유물이지만,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조선시대 불교조각사에서 올바른 평가를 받지 못했다.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삼존불좌상의 본존은 높이가 79㎝이고, 무릎 폭이 53㎝인 중형불상으로, 높이와 무릎폭의 비율은 1:0.67이다.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자락은 수직으로 늘어져 한쪽 면만 둥글게 마무리되어 칼모양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대의자락을 갖춘 불상이 몇 구 조사되었지만, 제작시기가 밝혀진 유물은 없다. 하반신에 걸친 대의자락은 腹部에서 펼쳐진 가장자리의 옷자락이 짧게 늘어져 S자 형태를 이루고, 나머지 대의자락은 3-4가닥으로 간략하게 처리되었다, 이러한 대의자락이 늘어진 형태는 18세기 전반에 시작하여 중후반에 크게 유행하였다. 불상의 측면에 늘어진 대의자락은 옷주름 두 가닥이 수직으로 흘러내려 人자형으로 처리되었다. 이와 같은 옷주름은 1706년 진열이 제작한 곡성 서산사 목조보살좌, 1755년 상정이 제작한 경기도 양주군 회암사 목조불좌상과 경기도 부천시 석왕사 목조보살좌상에 동일하게 표현되었다. 따라서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불상은 신체비례와 인상 및 대의처리에서 18세기 중반에 활동한 상정이 제작한 불상과 가장 유사한 불상양식을 가지고 있다. 상정이 제작한 불상은 3건 5점 밖에 조사되지 않았지만, 1765년에 제작한 포항 오어사 목조삼세불좌상보다 신체비례와 대의자락이 단순화 되어 177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각승 상정은 1747년에 전라남도 영광 불갑사 목조삼세불좌상과 1748년에 전라남도 장흥 보림사 신법당 불상을 개금하고, 1755년에 양주 회암사 목조불좌상과 부천 석왕사 목조보살좌상을 제작하였다. 그는 1757년에 전라남도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존불을 개금한 후 1765년에 경상북도 포항 오어사 목조삼세불좌상을 조성하였다. 또한 1767년에 경상북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아미타불상과 1771년에 경상북도 김천 직지사 불상을 개금하였다. 경기도 양주 회암사 목조불좌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하여 그의 속성이 장張씨라는 것과 『佛國寺古今創記』에 “塗金良工 湖南 尙淨” 으로 언급되어 전라도에서 활동한 스님임을 알 수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그의 조각승 계보는 進悅(~1695~1722~), 太元(~1698~1748~)→尙淨(~1747~1771~)→戒初(~1754~1790~), 奉玹(封玹 ;~1780~1790~), 稱淑(~1754~1780~), 戒心(~1771~ 1787~)으로 이어졌다. 18세기 전반부터 경기도에서 전라도 조각승들이 주도적으로 불상을 만든 계기는 1711년에 북한산성 축성을 주도한 碧巖 覺性의 문도인 桂坡 性能 등을 따라 경기도에 유입되어 불상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진열이 1713년에 제작한 경기도 고양시 상운사 불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하여 알 수 있다.

      • 공주 동불사 목조여래좌상 연구

        최선일(Choi, Sun Il)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0 불교문화재연구 Vol.1 No.

        본 논문은 충청남도 공주시 동불사(舊 공주포교당)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여래좌상에 관한 연구이다. 이 목조여래좌상은 조성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제작시기를 알 수 없어 2018년 5월에 사찰의 의뢰를 받아 양식사적 특징과 공주포교당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제작 시기와 조각승을 추론해 보았다.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마곡사 암자인 영은암 목조삼세불좌상의 본존인 석가불이 포교당 설립 때 이운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세기 전반에 작성된 재산대장 중에 마곡사와 암자에 봉안되었던 불상 가운데 영은암만 목조삼세불에서 목조아미타삼존불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조성시기와 조각승 등을 알 수 있는 조성발원문이 남아있지 않지만, 불상 내에서 발견된 주서다라니(朱書陀羅尼)가 17세기 중반이나 후반에 인쇄된 것이고, 목조여래좌상의 신체비례, 이목구비에서 풍기는 인상, 오른쪽 어깨와 하반신에 늘어진 대의자락, 상반신 팔뚝을 따라 늘어진 대의 처리, 왼쪽 무릎 위에 짧게 표현된 소매 자락 등이 1640년부터 1660년까지 활동한 승일이나 그 계보 조각승이 만든 불상과 양식적으로 유사성이 있다. 동불사 목조여래좌상의 얼굴이나 착의법이 유사한 불상은 천안 보문사 목조여래좌상이나 갑사 대자암 목조석가여래좌상으로, 앞으로 이 불상들의 복장 조사가 이루어지면 동불사 목조여래좌상이 만들어진 시기와 작가 등이 구체적으로 밝혀질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wooden seated Buddha statue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of Dongbulsa Temple(former Gongju Dharma Propagation Center) in Gongju, Chungcheongnam-do. As there is no record of the construction of this wooden seated Buddha statue, it is not known when it was made. In May 2018, at the request of the temple,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Gongju Dharma Propagation Center were investigated and the period of production and the monk-sculptor were deduced in a stylistic way. The Wooden Seated Sakyamuni at Dongbulsa Temple is believed to have been carried out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Gongju Dharma Propagation Center, which is the main Buddha of the seated Buddha statue of Yeongeunam, a hermitage of Magoksa Temple.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among the statues enshrined in Magoksa Temple and hermitage in the property book writte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Buddha was changed from Yeongeunam Wooden Buddha Triad to Wooden Amitabha Triad. The Wooden Seated Sakyamuni in Dongbulsa Temple does not have any records of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and the Buddhist monk sculptor. But dhārani written in red ink, which was discovered in the Buddha statue, was printed in the mid-17th century or late 17th century, and the body proportion of the wooden Buddha statue, the appearance of the features, the robes of the right shoulder and lower body, the garments along the upper forearm, and the sleeve of the upper left knee are similar in style to the Buddha statues made by Seung-il or his genealogical sculptor from 1640 to 1660. The statues of Buddha that resemble the faces and costumes of the seated Wooden Buddha in Dongbulsa Temple are the seated Wooden Buddha in Bomunsa Temple, Cheonan, and the seated Wooden Sakyamuni in Deajaam, a hermitage in Gapsa Temple. It is expected that the investigation into the Bokjang(腹藏) of these statues will reveal the construction date and the monk-sculp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