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계 농업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체계의 개선에 관한 연구 -농과대학『영농정착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고운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09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1 No.-

        한국농업경제사회와 농업정책이 변화함에 따라 지금의 후계 농업인력 교육에 대한 지평도 확대되어 가고 있다. 자영농 육성을 위한 영농 후계인력의 양성만을 고집해왔던 기존의 후계농업교육의 목적은 점차 확대되어, 환경 교육, 유통, 가공 분야 등 농업전반에서 이루어지는 농산업분야로 외연을 넓혀가고 있다. 이렇게 농업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변화함에 따라 후계 농업 인력의 중심이 되는 학교교육단계의 농업교육에 관심을 기울이고 문제점을 개선하여 새로운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고등농업교육기관인 농과대학의 진학희망자가 감소하고 생명공학 등의 일부분야에만 연구 및 인력양성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이러한 현실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학교단계의 후계농업인력 육성을 위한 영농정착교육과정 트랙제사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후계 농업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 체계와 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교육생들의 만족도 및 개선방안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후계농업 인력 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후계농업인력 교육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개념적인 틀은 관련문헌 고찰과, 농림수 산식품부에서 지원하는 영농정착교육과정 트랙 제사업에 참여하는 전국의 9개 대학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생 만족도와 개선안을 알아보고 사회과학 통계프로그램(SPSS ver.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외국의 선진 후계농업인력 육성 교육체계와 프로그램들을 연구하고 국내 사례와 연계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후계농업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앞으로의 학교단계의 후계 농업인력 육성을위한 교육은 국제적인 농업교육계의 흐름과 세계화에 발맞추어 농업기술적인 이론 교육 외의 유통, 가공 분야 등의 새로운 커리큘럼으로 과거와 차별화 된 커리큘럼으로 국제경제력을 지닌 후계농업인을 육성하는데 주력해야 하며, 공간에 제약받지 않은 다양한 경험중심의 교육 방법이 필수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산지 농협의 계약재배 실태 분석

        이향미 ( H M Yi ),고종태 ( J T Goh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5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7 No.1

        강원도 고랭지 배추의 계약재배 농가는 2005년 248농가에서 2011년 122농가로 6년 사이에 51%가 감소하였지만 계약재배 물량은 같은 기간 동안 42,438 ton에서 33,094 ton으로 약 22% 감소하는데 그쳤다. 현지조사 결과 강원도 고랭지 배추의 주산지인 삼척시의 경우 주 작목이 고랭지 배추에서 풋고추로 전환되고 있는 등 강원도 지역 내에서 고랭지 배추 대체품목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조사 결과, 농협과의 계약재배가 농가 소득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주기는 5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농협과의 계약재배가 농가소득안정에 기여한 올해(2011년)는 고랭지 배추 산지 가격하락으로 농협중앙회 강원지부는 계약한 농가에 한해 농가당 ``산지폐기자금``으로 60만8천원/10 a를 지원하였지만 비계약 농가는 농가 스스로 물량을 처리할 수밖에 없었다. 2010년 배추 파동 이후 정부가 배추 면적을 확대하고 농협과의 계약재배를 장려함으로써 2010년 29,778 ton보다 11% 정도 계약물량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정부의 인위적인 계약재배 물량의 증가는 해당 산지농협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산지농협의 현재 고랭지 배추 계약재배 실태를 비교·분석한 후 이를 통한 산지농협 계약 확대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원도 산지농협들의 계약재배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먼저 계약재배사업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소비자 물가안정인지 농가소득 안정인지를 설정 한 후에 산지농협의 계약재배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고랭지 배추 가격이 급등할 경우 소비자 물가안정을 위해 중국산 배추를 수입한다면 생산농가들의 소득이 감소될 것이다. 만약 정부가 물가안정을 목표로 배추 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 물가상승 우려 때문에 배추를 수입한다면 산지농협의 손실에 대해서는 정부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강원도 고랭지 배추에 대해 판매를 전담 할 수 있는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강원도 고랭지 배추의 주요 판매처를 보면 강릉K농협D지점과 평창D농협은 90%이상을 도매시장에 상장하고 있고 태백T농협은 90% 이상을 농협유통을 통해 시판하고 있다. 반면 정선N농협은 100% 김치공장에 납품하고 있고 정선Y농협, 평창D원협, 평창D, 농협B지점도 주로 김치공장과 계약을 하고 있다. 따라서 강원도 산지농협들의 "강원도 고랭지배추 산지연합단(가칭)"설립하여 산지 농협의 판매업무를 대행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산지유통인들은 전국의 작황 등을 살펴 본 후 장기적으로 판매처를 개척하지만 산지농협실무자들은 업무상의 제약으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3년 이상 같은 업무를 수행 할 수 없다. 따라서 산지유통인에 비해 전문성 향상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적으로 강원도 고랭지 배추 판매처를 확보하고 판매를 담당할 수 있는 전문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현재 농협중앙회 소속의 채소사업단에서 계약(매취)한 배추에 대해서 판매까지 하고 있지만 강원도 산지농협은 수탁과 매취를 함께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농협중앙회와는 별개의 조직으로 강원도 산지농협들이 주축이 되어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강원도 고랭지배추 산지연합단(가칭)"에서 각각의 산지 여건에 맞는 판매처를 확보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고랭지 배추 관리 및 마케팅에 관한 전문 지식이 있어야 일반 산지유통인과 경쟁할 수 있다. 현재는 순환 직 업무체계로 인해 전문성 향상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고랭지 배추 계약재배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장기적으로 육성하여 생산 농가들에게 산지유통인과 같은 수준의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계약재배 사업은 힘든 업무로 인해 직원들이 꺼려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담당업무 실무자에 관한 처우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산지 농협의 고랭지 배추 계약재배 활성화의 기본방향은 유통사업에 대한 재배 농가 만족도 극대화를 먼저 추구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계약재배를 통해 산지 농협 조합원의 만족도 향상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장 조사 결과, 정선 Y농협의 경우 "병충해 등 농가과실로 인해 손실이 발생했을 때 계약금을 환원해야 한다"또는 정선 N농협의 경우 "천재지변, 병충해 발생 등으로 인한 계약재배 물량 감소분에 대해서는 계약금만 환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천재지변이나 병충해 발생(농가 과실 제외)으로 인한 계약 물량 감소분에 대해서는 소득을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고랭지 배추재배농가들의 농협 계약을 선호하도록 하는 현실적인 정책 수립이 가장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11년 고랭지 배추를 계약 재배한 산지농협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산지 농협의 경쟁주체라 할 수 산지유통인의 역할과 고랭지 배추 생산자 분석 및 이들의 상호역할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or our agriculture, of which the formation is small holding farm structure, securing competitiveness at the stage of producing shipment and steady and stable trades through contracts are important for income stabilization and farming plan of the farm households. About 80% of Kangwondo summer chinese cabbages are handled by agricultural produce shippers, thus, in order to expand contract cultivation between the producers and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of the producing areas, it is necessary to offer an inducement that corresponds to the economic advantages offered by the produce shippers. This study has made an observation over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ontracts set forth by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of major producing areas of Kangwondo alpine cabbage, and analyzed the priority order of the contract cultivation expansion policies of producing Agricultural Cooperative.

      • KCI등재

        한국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의 현황과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박민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09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1 No.-

        농업은 개발도상국 빈곤층들의 생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빈곤 및 기아퇴치를 하는데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있다. 최근 개발도상국에서는 새마을 운동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경험을 전수받고자 하는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는 다양한 프로젝트 등을 통해 개도국의 소득증대 및 생산성 향상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외형적인 사업규모와 단기적인 프로젝트 위주로 사업을 수행하게 되면서 관련기관 간의 역할분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사업 목표 및 방향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고 있어 양적·질적으로 사업의 원조 효과성을 제고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선진국 국제농업개 발협력과 한국의 국제농업개발협력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선진국 사례연구와 현국의 현황분석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제농업개발협력사업의 효과성을 제고 시키기 위해 현재 가장 비교우위가 높고 우선적으로 실천해야 할 발전과제를 선정하도록 하였다. 발전과제 선정을 위해 발전과제 선정지 표를 설정하고 평가소항목으로 농업농촌분야의 한국형 국제개발협력의 모델구축,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사업의 목표,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추진체계,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사업평가 시스템 구축으로 구성하였다. 선정지표를 바탕으로 4가지 항목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도출을 하고자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각항목별로 3가지 세부항목이 선정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발전과제로 가장 우선 시행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세부항목간의 중요도를 산출한 결과, 한국형 모델구축 부분에서는 원조전략과 한국형 모델에 대한 국내합의 도출도 중요하지만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기본 이념 및 기본 방향을 정립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사업 목표 부분은 순수한 ODA정신과 신 시장 개척도 중요하지만 국가안보와 이익을 위해 세계적인 식량위기를 대비할 수있도록 식량안보차원의 해외식량기지 확보연계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추진체계 부분에서는 수원국의 수요에 맞춰 한국의 경험을 제대로 전수할 수 있는 농업농촌분야 개발전문가 육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업평가시스템 구축 부분에서는 평가 기준과 평가항목별 성과지표 개발과 평가인프라구축 및 평가기법의 선진화도 중요하지만 사업평가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Framework 및 정책체계 확립이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 제농업개발협력이 새천년개발목표등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 다른 선진국과는 차별화된 원조로 국가 이미지 및 원조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 국제농업 개발협력의 기본 이념 및 목표가 설정되어야하며, 둘째 지나치게 분산된 원조체계의 통합과 전략적 파트너십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로 개도국의 농업발전과 빈곤퇴치에 기여할 수있는 농업농촌분야의 개발전문가와 인재 육성이 필요하며 넷째 전문적이고 결과중심의 평가 및 모니터링 기본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한국의 비교우위 분야를 파악하여 차별화된 한국형 국제농업개발협력의 모델을 구축하고 중장기적 계획을 수립하여 지속가능 한 개도국의 농업·농촌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 농업농촌 개발을 위한 ODA의 원용 가능성 연구

        김유권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0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2 No.-

        주변여건의 변화에 따라 국제협력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은 급변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 대한 지원에 있어 우리나라는 특별한 상황에 놓여 있다. 즉, 북한에 대한 원조와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를 분리하여 원조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급격히 변화하는 대외협력 환경 속에서 국내 일부 식자를 중심으로 대북지원과 ODA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확실한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론적 접근과 정치적 요소를 고려 시 다양한 찬반의견들이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북한이 ODA 수용에 대한긍정적인 의견을 피력한다면 우리나라 및 국제 사회에서도 이를 반갑게 받아들이게 될 개연성은 충분하다. 하지만 현 상황에서 그러한 논의를 더 진척시키기 위해서는 정치적인 해결을 통해서 그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개별분야인 농업 농촌분야를 따로 구분하여 가능성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농업 농촌분야는 대북지원의 ODA 원용을 통한협력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독특한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적 관점에서 봤을 때농업 농촌분야의 대북협력 사업이 ODA로 인정될 경우 ODA 기준 적용을 통해 북한을 국제사회의 규범 속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정치 경제적 안정을 꾀할 수 있으며 북한과 더 활발한 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국제적으로는 이러한 농업 농촌분야 대북지원의 ODA 원용의 가능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정치적인 노력을 펼쳐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관철된다면 우리 나라의 ODA는 비중 및 액수가 상향되게 된다. 이 경우 2010년 OECD/DAC의 회원국으로써 국제사회의 원조 기준에 보다 부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북한은 그동안 국제사회의 농업 농촌분야에 대한 지원사업을 일정부분 수용해 왔다. FAO, WFP 등 다양한 국제기구들은 북한의 식량자원 등 기본수요를 충족시키고 농업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 왔다. 물론 결과적으로 성공했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하지만 북한의 이러한 경험은 농업 농촌분야에 대한 대북지원사업의 ODA로의 원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흐름하에 농업 농촌분야 대북지원의 ODA 원용에 대한 필요성, 국제사회에서의 정치적 해결 노력, 농업농촌분야 ODA에 대한 경험 등을 바탕으로 북한농업‥농촌 개발을 위한 ODA의 원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 KCI등재

        춘천지역 강, 하천, 저수지에 대한 수질 상태 및 수생식물 분포

        이건희 ( G. H. Lee ),문정원 ( J. W. Moon ),이주경 ( J. K. Lee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5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춘천지역의 강, 하천, 저수지에 대하여 수질 상태 및 수생식물의 분포현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소양댐의 하류(세월교), 석사천(온의교 부근) 그리고 강원고등학교 옆에 위치하고 있는 노루목저수지 등에 대하여 2013년 4월 28일부터 5월 12일까지 조사를 하였다. 강, 하천 및 저수지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식물의 분포를 조사한결과, 세월교에서 41개체를, 온의교에서 53개체를 그리고 노루목저수지에서 34개체 등 전체 128개의 수생식물을 발견하였다. 세월교에서는 주로 둑새풀(27개체)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온의교(36개체)와 노루목저수지(26개체)에서는 갈대가 가장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의교 부근에서는 타 지역에 비하여 수생식물의 종수와 개체수가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반면에 노루목저수지에서는 갈대와 연만 관찰되어 타 지역에 비하여 수생식물 종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양댐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세월교의 수질은 pH 7.1, 용존산소량(Do) 7.8mg/L, 총인(TP) 0.011 mg/L, 총질소(TN) 1.670 mg/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1.3 mg/L으로 측정되었다. 생활수가 유입되고 있는 석사천 온의교의 수질은 pH 6.9, 용존산소량(Do) 7.5 mg/L, 총인(TP) 0.091 mg/L, 총질소(TN) 4.114mg/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4.3 mg/L으로 측정되었다. 농업용 관개수로 사용되는 노루목저수지의 수질은 pH6.7, 용존산소량(Do) 7.2 mg/L, 총인(TP) 0.092 mg/L, 총질소(TN) 1.292 mg/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5.0 mg/L으로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수소이온농도(pH)와 용존산소량(Do)의 경우는 분석한 3개 지역 중에서 세월교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총인(TP)의 경우는 노루목저수지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총질소(TN)는 온의교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의 경우는 노루목저수지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수생식물들의 분포 및 수질 분석 결과는 앞으로 춘천지역의 강, 하천, 저수지에서 서식하는 수생식물들의 분포 현황과 수질 상태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In order to understand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and water quality conditions for river, stream and reservoir in Chuncheon, we survey three areas of soyang river (sewolgyo), seoksa stream (onuigyo) and norumok reservoir from April 28 to May 12, 2013. We found a total of 128 aquatic plants as follows; 41 plants in sewolgyo, 53 plants in onuigyo, and 34 plants in norumok reservoir, respectively. Among them, water foxtail (Alopecurus aequalis Sobol.) mainly observed in sewolgyo (27 plants), and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was found most frequently in onuigyo (36 plants) and norumok reservoir (26 plants). Particularly, in onuigyo, we observed many species of aquatic plants and their plants compared to other areas, but in norumok reservoir, which showed the lowest aquatic plants, we only found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and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On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for the three areas, water quality respectively showed pH 7.1,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Do) 7.8 mg/L,total phosphorus (TP) 0.011 mg/L, total nitrogen (TN) 1.670 mg/L, chemical oxygen demand (COD) 1.3 mg/L in sewolgyo, pH 6.9, Do 7.5mg/L, TP 0.091mg/L, TN 4.114 mg/L, COD 4.3 mg/L in onuigyo, and pH 6.7, Do 7.2 mg/L, TP 0.092 mg/L, TN 1.292 mg/L, COD 5.0 mg/L in norumok reservoir. The sewolgyo of soyang river showed the highest in pH and Do. Meanwhile, the norumok reservoir and onuigyo showed the highest in TP and TN, respectively. And COD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norumok reservoir. In our study, the results of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and water quality condition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s and water quality condition for rivers, streams, reservoir in Chuncheon.

      • KCI등재

        패랭이꽃으로부터 분리한 효모 Starmerella vaccinii 균주 특성

        윤정아 ( Jeong-ah Yoon ),김정운 ( Jung-un Kim ),신소희 ( So-hee Shin ),김명동 ( Myoung-dong Kim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21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33 No.1

        강원도 춘천시에 서식하는 야생화로부터 258점의 효모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 중 40°C에서 글루코스, 자일로스, 셀로비오스, 갈락토스를 탄소원으로 사용하고 생육이 우수한 MBY/L7303 균주를 선발하였다. 균주의 2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tarmerella vaccinii로 동정되어 GenBank(MW465704)에 등록하였다. S. vaccinii MBY/L7303 균주는 글루코스, 셀로비오스, 수크로스, 갈락토스, 자일로스, 자일란, 전분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배지에 첨가된 2% 셀로비오스로부터 에탄올은 생산하지 않았으나 세포흡광도(OD600) 21.93 ± 0.09까지 성장하였다. 배양온도와 pH에 따른 S. vaccinii MBY/L7303 균주의 생육특성을 확인한 결과 30°C, pH 5.0 에서 가장 높은 비성장속도(0.41 ± 0.00 1/h)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확보된 결과는 S. vaccinii 균주의 산업적 응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wo hundred and fifty-eight strains of yeast were isolated from wild flowers collected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Korea. The MBY/L7303 strain from Dianthus chinensis showed remarkable growth in medium supplemented with glucose, xylose, cellobiose, and galactose as the carbon source.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Stamerellera vaccinii, and its 26S rRNA gene sequence was registered in GenBank (MW465704). The S. vaccinii MBY/L7303 utilized glucose, cellobiose, sucrose, galactose, xylose, xylan, and starch as carbon sources and did not produce ethanol. The strain grew to a maximum cell density (OD600) of 21.93± 0.09 in the cellobiose-supplemented medium. The highest specific growth rate was 0.41± 0.00 1/h at pH 5.0 and 30°C. These results serve as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potential industrial application of S. vaccinii.

      • KCI등재

        강원도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략

        이병오 ( B. O. Lee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4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6 No.1

        Agricultural business diversification and integration (ABDI) policy, usually called as a name of the 6th industralization policy in Korea and Japan, has been promoting actively by Korean government. This policy aims to overcome the difficult situation such as market liberalization and rapid aging at the Korean rural area. It is very important to utilize the various seeds in rural area and to catch the changing trends of consumers` needs to succeed the ABDI. Small rural businesses operations should collaborate together by network system. The function and effect of economies of linkage, as well as the economies of scope and scale is very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network and collaboration. Korean government has been legislating the Rural Industry Development Act (RIDA) to support the ABDI policy since 2013. In present the dominant types of business composition in the ABDI are processing with direct sale and experiencing tourism type and processing with experiencing tourism type. Rice, vegetables, fruits, herb plants, and livestock products are major raw materials of ABDI. Two big characteristics of Korean ABDI in comparison with Japan are large share of experiencing tourism and small weight of direct sale shops. There are various types of ABDI in Korea now, such as, production-oriented type, processing-oriented type, marketing-oriented type, experiencing tourism-oriented type, farm restaurant-oriented type, and healing-oriented type, etc. Gangwon Province has good infrastructure and many excellent leaders in the rural area because of the Rural Community Renewal Campaign (RCRC) since 1998. Several points were suggested to accelerate the ABDI in Gangwon Province as follows. Firstly, various seeds in Gangwon rural area should b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detail. Secondly, it is desirable to link the community businesses of model villages of RCRC to ABDI. Thirdly, it needs to establish the supporting institutions to help and train the ABDI operations efficiently, such as ABDI Support Center, ABDI Business School, and Food Development and Technology Support Center (FDTSC), etc. The main function of the ABDI Business School is to educate and train farmers about the food processing and rural business. Retired experts can help farmers voluntarily.

      • KCI등재후보

        강원도 아스파라거스 파총채벌레 방제를 위한 종합적 방제방안

        전신재 ( Jeon,S. J. ),김삼규 ( S. K. Kim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9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31 No.2

        아스파라거스를 가해하는 총채벌레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은 방법은 살충제를 처리하는 것이나 아스파라거스의 경우 매일 수확하기 때문에 수확기에는 살충제 처리가 용이하지 않다. 아스파라거스에 발생하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살충제는 총 114종이 등록되어 있으며 그 중 총채벌레 방제용 살충제는 60종이 등록되어 있다. 봄 수확기에 살충제를 처리할 경우에는 등록된 약제 살포 3-5일 경과 후 잔류허용기준 또는 정량한계 미만으로 검출되므로 잔류특성이 검증된 약제 살포 후 수확 한 아스파라거스를 저온저장고에 3일 이상 저장 후 출고하면 아스파라거스 농약잔류 안전성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시 노란색과 파란색 끈끈이트랩 중 노란색 끈끈이 트랩의 파총채벌레 유인효과가 뛰어났다.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의 경우 60% 농도, 20°C, 24시간 또는 40%, 24°C, 24시간 처리 조건일 때 파총채벌레 성충과 유충에 대한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아스파라거스를 저장하는 2-4°C의 경우에는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72시간 처리에도 유충이 살아남아 방제효과가 높지 않았다. 곤충병원성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와 Lecanicillium attenuatum은 토양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곰팡이로 약제 살포가 어려운 봄 수확기 이전 토양에 존재하는 총채벌레 번데기를 방제하여 초기 총채벌레 밀도를 감소시키는데 큰 도움을 준다. Thrips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pests of asparagu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ontrol this pest is to insecticides spraying. Currently, a total of 114 pesticides have been registered for the control of pests of asparagus, 60 of which are registered for thrips control. However, crops are harvested every day, applying insecticides to control thrips is not ideal. Moreover, a recent study has shown that depending on the type of registered insecticide used, less than the residual or quantitative limit could be detected at 3-5 days after spraying. Therefore, if the asparagus is harvested after the application of insecticides, it should be stored in a cold chamber for 3 or more days before being moved to market. The use of sticky traps to control thrips is effective not only for monitoring them but also for reducing their numbers without applying insecticides. Yellow and blue sticky traps were usually used, but the yellow traps have been shown to attract more thrips than the blue ones. A recent study showed the high insecticidal effects of carbon dioxide on adult and larval thrips, at 60% concentration (20°C for 24 hours) or 40% concentration (24°C for 24 hours). Soap was also shown to have a high insecticidal effect after thrips-infested asparagus was immersed in soap water (diluted 1,000 times) for 15 minutes. Entomopathogenic fungi, such as Beauveria bassiana and Lecanicillum attenuatum, which occur naturally in soil, also help to reduce the initial thrips population by attacking the pupae in the soil in the spring harvest period.

      • KCI등재

        농촌지역자원을 활용한 농특산물 부가가치 제고방안연구

        최윤숙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09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1 No.-

        농촌자원을 활용한 농촌마을의 개발과 이를 토대한 농특산물의 부가가치 제고는 농업의 6차 산업화를 선도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제이다. 더욱이 한국의 농업과 농촌은 선진국으로의 전환과정에서 농촌의 소득제고를 위한 많은 사업들이 투자되었지만, 지속적으로 소득제고를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지역 농특 산물을 이용하여 농촌의 소득을 올리고 농촌사회를 유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지역차원의 네트워킹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역차원에서 지역농업경영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농촌지역의 경영실태와 당면문제를 살펴보고, 농업 및 농정여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농촌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소득원을 창출 할 수 있는 농촌지역단위네트워킹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강원도 인제군을 대상으로 농촌지역이 갖고 있는 자원을 활용하고 농특산물의 부가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체농촌마을을 대상으로 그룹화 및 지역자원을 도출하고 마을별 유형화를 통한 농특 산물을 이용한 네트워킹를 통해 부가가치 제고방안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별로 구분된 자료를 중심으로 인제군 마을에 있는 지역특산물을 생산에서부터 가공·유통에 이르는 산업을 포함한 6차산업화 방안을 제시하여 인제군 농가의 경영을 개선하고, 소득안정화를 통하여 인제군을 활성화하여 부가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강원도 농식품 안전 인증제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신하림 ( H R Shin ),이병오 ( B O Lee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5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agri-food safety certification system in Gangwon-do and draw policy measures to revitalize the system. Securing the safety of agri-food is not only important for improving consumers`` preference, but also directly linked to the strengthening of market competitiveness. As for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GAP and HACCP oper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urrent quality assurance system operated by Gangwon-do was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agri-food safety certification system continues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farm households is decreasing or remaining the same. As for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491 farm households have dropped out for 1 year due to ‘abolishment of the low pesticide agricultural product certification.’ With regard to GAP, as the motivation of farmers to participate has decreased with consumers`` low recognition, the number of participating farm households is about 1,000 smaller than that of the 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In case of HACCP, the certification rate of full-time farm households reaches 44.8%, while that of workplace is 6.7%, showing a significant imbalance by stage. The number of farm households participating in the agri-food quality assurance system in Gangwon-do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for the last 10 years.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motivation of farm households to participate in the system through increased consumption by raising consumer``s awareness of the agri-food safety certification system. In addition, the cost issue involved in receiving certification by farm households needs to be addressed. Gangwon-do should establish a governance by enacting the municipal ordinance for agri-food safety and extend risk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