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포 불교문화사 루트의 재조명

        노형석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2 불교문화재연구 Vol.3 No.-

        서해와 접한 충남 내포 일대는 중국에서 유입된 불교 신앙의 포교 통로이자 이땅의 불교미술 양식이 처음 뿌리내린 지역이었다. 내포의 요지인 서산, 태안, 당진의 하천, 포구를 내려다보는 가야산 일대에 6~7세기 백제시대부터 숱한 사찰과 수행처가 생겨나 마애불, 석탑 등을 조영하며 내륙에 양식을 전파했다. 서산 용현리와 태안 동문동의 마애삼존불,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로 대표되는 내포 지역 3대 석불은 이 땅의 불교예술사에서 큰 위상을 차지한다. 외래 불교 문화를 백제 특유의 문화예술로 숙성시켰고, 고려~조선시대에는 돌미륵 신앙과 매향회 같은 독특한 공동체 문화를 일궈냈다. 구한말 이후엔 경허, 만공 선사가 가야산에서 새 선풍을 진작하면서 근대 불교의 서막을 열었다. 최근 진행된 가야사 발굴과 보원사의 조선시대 사적 확인 등을 통해 왕실의 불사 후원 양상이 통일신라,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이어졌고, 사대부층과 승려의 내밀한 교류 관계도 알 수 있게 됐다. 내포 불교문화 루트는 그동안 특정 유적 위주의 점 위주 연구가 주류였고, 전파 경로와 양상에 따른 선적 연결망엔 관심이 미진했다. 최근 발굴성과를 바탕으로 가야산 문화권의 변천사를 통찰하면서 지역 유산별 교류의 자취와 풍속, 행적 등에 얽힌 사적들을 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가나 충남도 차원에서 가야산 관련 사료들을 계속 업데이트하면서 체계적인 종합 역사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선결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Naepo area in Chungcheongnam-do, facing the West Sea, was a propaganda channel for Buddhist beliefs introduced from China and the area where the Buddhist art style of the land was first rooted. In Seosan, Taean, Dangjin’s river, and Gayasan Mt. overlooking the port, which are important areas of Naepo, many temples and places of worship have been established since the 6th and 7th centuries, and rock-carved Buddhas and stone pagodas were produced, and later spread the Buddhist style inland. The three major stone Buddhas in the Naepo area, represented by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Yonghyeon-ri, Seosan, Dongmun-dong, Taean, and the Four-sided Stone Buddha in Hwajeon-ri, Yesan, occupy a great position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 in this land. They matured foreign Buddhist culture into Baekje's unique culture and art, and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y created a unique community culture such as stone Maitreya faith faith and the Incense Burial Ceremony. After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Gyeongheo and Mangong Zen masters promoted a new craze at Gayasan Mountain, opening the prelude to modern Buddhism. Through the recent excavation of Gayasa Temple and the confirmation of Bowonsa Temple's Joseon Dynasty history, the royal patronage of Buddhist temples continued through Unified Silla and Goryeo to the Joseon Dynasty, and the intimate exchange between the aristocrats and monks was also revealed. The Naepo Buddhist cultural route has been mainly focused on point-by-point research focusing on specific ruins, and interest in the line network according to the route and pattern of transmission has been insufficient. Based on the recent excavation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examine all the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traces, customs, and activities of exchanges by local heritage while insighting the history of Gayasan culture. At the government or Chungcheongnam-do level, it is a prerequisite to establish a systematic comprehensive historical information system while continuing to updat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Gayasan Mountain.

      • 1924년 제작 예산 향천사의 불교회화 연구

        홍은미(Hong Eun Mee)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0 불교문화재연구 Vol.1 No.

        일제강점기에 일본불교의 유입과 총독부의 사찰령공포, 서구의 새로운 문화양상 도입 등으로 한국사회와 불교계는 선풍진작운동을 전개시켜나가고자 했으며 재가불교, 거사불교 세력이 형성되어나갔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향천사는 1924년 야외에서 봉행하는 의식에 필요한 불화 18점을 조성했다. 불화를 조성하던 당시 향천사의 주지는 금계 동영이었으며 불화조성에 참여한 수화승으로는 금호약효, 화승으로는 정연, 목우, 몽화, 경인, 재찬, 내순 등이 동참하였다. 수화승 금호당(錦湖堂) 약효(若效)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활발하게 100여점이 넘는 불화를 제작하였다. 약효의 작품은 화풍에 있어서 전통 불화를 지향하면서도 근대불화요소인 서양화법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약효가 제작한 1924년 조성된 향천사 불화들은 보응문성과 금용일섭으로 이어지는 불화승 계보연구와 미술사연구에도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한편, 향천사괘불과 의식용 장엄불화에 묵서된 화기에 의하면 불화조성에 참여한 재가불자 시주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시주자 집안의 핵심인물 을축생 김진섭은 향천사 불화조성 당시 예산지역에 거주하면서 호서은행을 창립하고 다년간 두취(은행장)로 활약하였으며 예산농촌청년훈련소에 1만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1930년대에는 <오대산석존정골탑찬양지회> 활동에도 동참하였던 재가 불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1924년 조성된 향천사 불화를 통해서 근대기 변화의 흐름 속에서 조성된 불화의 새로운 경향과 근대적 요소를 찾아 보았으며 아울러 사찰 후원 등에 관한 문헌과 자료를 찾아 재가불자들의 향천사를 비롯한 사찰불사에 후원한 의미를 미력하나마 밝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Founded in 652 by the monk Uigak, Hyangcheonsa Temple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temple in the Yesan area since the Joseon Dynasty. In the Hyangcheonsa Historical Book, it is recorded that the work to paint the Mita Kannon Saeji Samjonsang (Three statues of Amita, Avalokitesvara and Sthamaprapta Bodhisattva) and the main Buddha statue in Cheonbuljeon with gold and plaster was completed in order to restore the temple in 1911,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ring this period, the Korean society and the Buddhist community have tried to maintain and propagate the Zen tradition in responding to the influx of Japanese Buddhism, the government-general's promulgation of temple decrees, and the introduction of new cultural aspects from the West, and thereby lay Buddhist groups and especially laymen-led Buddhist groups were formed. These lay Buddhist groups have emerged as a leading force rather than a role for assisting the monastics while advocating the modernization of the society and popularization of 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In the midst of these changes, 18 tangkas necessary for outdoor rituals were created in the Hyangcheonsa in 1924. At the time when the Buddhist painting was created, the head of the Hyangcheonsa was Keum-gye Dong-yeong. Geumhodang Yakhyo was the leading monk painter and the monk painters like Mokwoo, Monghwa, Gyeongin, Jaechan, and Naesoon have participated in the work of the Buddhist painting. The leading monk painter Geumhodang Yakhyo has led the work for 18 Buddhist paintings. He began with Seokgaseolbeopdo (the tangka of the Sakyamuni Buddha giving dharma talk) in Bongyeongsa in 1879 and painted the Seokgaseolbeopdo in Magoksa and the Gwaebultaeng (Buddhist ceremonial painting) in 1924. He actively produced more than 100 pieces of Buddhist painting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Chungcheong province, a number of the Buddhist paintings have been produced by Yakhyo and his disciples who were part of his school formed since Yakhyo has worked in earnest. Yakhyo, who was active as a leading monk painter from 1883 to 1924, established his own icon and used it in his works. Particularly, Yakhyo's works show a pattern in which the modern Buddhist elements seem to coexists with the art of western painting while oriented towards traditional Buddhist paintings. I think that the work of creating Buddhist paintings in collaboration with the apprentice is more meaningful because the Buddhist paintings of Hyangcheonsa created in 1924 were led by Yak-hyo to explore their style and characteristics. It will be an important factor to the research on the genealogy of Buddhist monk painters and Buddhist art history, followed by Munseong Boeungdang and Il-seop Kim.   On the other hand, a document written on Gwaebultaeng and Buddhist painting for ceremonies of Hyangcheonsa shows the list of lay Buddhists who have donated to work of the Buddhist paintings. It is necessary to look closely at the Kim Jin-seop family among them. Kim Jin-seop, his wife, Ms. Jang, two sons and their wives were on the list. Key donor Kim Jin-seop was born in Mapo, Seoul in 1865 to Kim Hong-seong and his wife Ms. Jeong from Jinju. At the time of the creation of the Hyangcheonsa Buddhist painting, he founded Hoseo Bank while living in the Yesan area, and played an active role as the head of the bank for many years, and donated 10,000 won to the Yesan Rural Youth Training Center. By establishing Yukyeonghoe, he took the lead in education and charity projects, and after the creation of the Hyangcheonsa Buddhist painting, he continued to support Buddhist temples. In the 1930s, he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the Odaesanseokjon Jeonggol Tower Praise Branch. In this paper, a new trend and modern elements of the Buddhist painting created in the modern tim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Hyangcheonsa Buddhist painting created in 1924. Lay Buddhists’ contributions were examined centering on the Kim Jin-seop family appearing in the donor list. In addition,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disclose the significance of lay Buddhists’ sponsorship for Buddhist temples including Hyangcheonsa Temple by searching for documents and materials related to temple sponsorship.

      • 부여 무량사 부도군과 김시습 사리탑의 미술사적 의의

        엄기표(Eom, Gi Pyo)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1 불교문화재연구 Vol.2 No.

        부여 무량사는 창건 시기를 명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신라 때 창건된 것으로 전한다. 그리고 고려 시대까지 여러 스님이 머물면서 법등을 이었다. 오늘날 무량사에는 그러한 사실을 보여주는 유적과 유물들이 많이 남아있다. 조선 시대에는 억불숭유 정책으로 불교계가 전반적으로 쇠퇴하였지만, 무량사는 법등이 유지되면서 여러 승려들이 머물렀다. 특히, 매월당 김시습이 머물면서 무량사의 명성이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김시습은 무량사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입적하였다. 그래서 그의 사리탑이 무량사에 세워졌으며, 이후 여러 승려의 사리탑이 추가적으로 건립되면서 부도군이 조성되었다. 조선 전기에는 불교계가 위축되면서 부도의 건립이 많지 않았는데, 무량사에 건립된 김시습 사리탑은 기록과 묘탑비 등으로 명확하게 조선 전기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그리고 무량사 부도군에는 결실된 부도가 있기는 하지만 조선 후기에 건립된 석탑형 부도와 재가신자의 부도들이 함께 건립되어 있다. 이처럼 무량사 부도군은 승려뿐만 아니라 사찰과 관련된 여러 인물에게 다양한 양식의 부도가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는 많지 않은 사례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고정된 기존의 인식이나 이해와는 다른 다양한 역사와 문화가 있었음을 시사해준다. Muryangsa Temple in Buyeo is not clearly known when it was founded, but it is said to have been founded during the Silla period. And until the Goryeo Dynasty, several monks stayed and continued the Buddhist service. Today, many relics and relics remain in Muryangsa Templ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community generally declined due to the policy of the Suppress Buddhism and Emphasize Confucianism. In Muryangsa Temple, various monks stayed as the Buddhist lanterns were maintained. In particular, as Maewoldang Kim Si-seup stayed, the reputation of Muryangsa Temple became widely known. He spent his last years at Muryangsa Temple and entered the army. So his Stupa was built at Muryangsa Temple. Since then, the Stupa of several monks has been additionally built, and Stupa Group has been establish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the Buddhist community shrank, there were not many stupas. The Kim Si-seup Stupa is a valuable material that can be clearly seen to have been buil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ith records and stone monument. In addition, in the Muryangsa Temple, a stone pagoda-type stupa buil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 stupa of the Upāsaka and Upāsikā are built together. As such, various styles of stupas were built in Muryangsa Temple, not only for monks but also for various characters related to the temple. These facts suggest that there were various histories and cultures different from fixed existing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 원주 구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과 조각승 금문

        최선일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3 불교문화재연구 Vol.4 No.-

        본 논문은 오대산 진여원에 봉안하기 위해 1750년에 조성된 목조비로자나불좌상(원주 대성암 소장)를 중심으로 조선후기 진여원의 연혁, 불상 제작에 참여한 위학과 작가 초흠과 순경 등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특히, 초흠과 순경은 18세기 중반에 활동한 승장으로 많은 작품과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구체적인 조형 감각을 알 수 없었는데, 진여원 조성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이 발견됨으로써 18세기 중반 강원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장인을 밝혀낼 수 있었다. 초흠이 수화승으로 불상을 제작한 유일한 작품인 진여원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이목구비에서 풍기는 인상, 신체 비례, 의습 처리 등이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조각승이 만든 작품과 차이가 있다. 특히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된 무기년명 불상인 목조여래좌상과 목조보살좌상은 각이진 얼굴, 수평으로 길게 쭉 뻗은 눈매와 일자로 얇고 곧게 솟은 낮은 원통형의 콧대, 몇 가닥으로 처리된 옷자락 등이 초흠이나 그 계보에 속한 작가에 의해 1750년대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진여원 조성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대좌 바닥의 구멍을 근거로 목조불감 내에 봉안한 유물일 가능성이 있어 18세기 목조불감 연구에 주요한 자료로 볼 수 있다. The Naepo area in Chungcheongnam-do, facing the West Sea, was a propaganda channel for Buddhist beliefs introduced from China and the area where the Buddhist art style of the land was first rooted. In Seosan, Taean, Dangjin’s river, and Gayasan Mt. overlooking the port, which are important areas of Naepo, many temples and places of worship have been established since the 6th and 7th centuries, and rock-carved Buddhas and stone pagodas were produced, and later spread the Buddhist style inland. The three major stone Buddhas in the Naepo area, represented by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Yonghyeon-ri, Seosan, Dongmun-dong, Taean, and the Four-sided Stone Buddha in Hwajeon-ri, Yesan, occupy a great position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 in this land. They matured foreign Buddhist culture into Baekje's unique culture and art, and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y created a unique community culture such as stone Maitreya faith faith and the Incense Burial Ceremony. After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Gyeongheo and Mangong Zen masters promoted a new craze at Gayasan Mountain, opening the prelude to modern Buddhism. Through the recent excavation of Gayasa Temple and the confirmation of Bowonsa Temple's Joseon Dynasty history, the royal patronage of Buddhist temples continued through Unified Silla and Goryeo to the Joseon Dynasty, and the intimate exchange between the aristocrats and monks was also revealed.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examine all the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traces, customs, and activities of exchanges by local heritage while insighting the history of Gayasan culture. At the government or Chungcheongnam-do level, it is a prerequisite to establish a systematic comprehensive historical information system while continuing to updat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Gayasan Mountain.

      • 화성 만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의 조각승 추론

        조태건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3 불교문화재연구 Vol.4 No.-

        The Manwisa Temple is a traditional temple located at the foot of Mount Mubong. Manwisa is one of the branch temples of the second district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ffiliated with Yongjusa. In the Daewoongjeon (Main Buddha Hall), there was an enshrined wooden statue of Sakyamuni Buddha, flanked by Amitabha and Bhaisajyaguru Buddha. The triad statue of Sakyamuni Buddha is a typical representation that emerged after the 17th century. The wooden triad statue of Sakyamuni Buddha skillfully embodies stylistic features that emerged in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s after the 17th century. This distinctive style was associated with the sculptural school of the late 17th century, primarily active in Chungcheong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and led by artisans like Hyeheui-Geummun and Mael. Among the sculptors in this lineage, it is likely that Geummu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creation of the triad statue of Sakyamuni Buddha at Manwisa. This assumption is based on the overall facial features and the method of carving the lower half of the seated Buddha. Geummun, active from the 1650s to 1706, was a sculptor with documented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The Sakyamuni Buddha triad statue at Manwisa exhibits notable similarities in overall composition, sense of proportion, and balance with Geummun's later work—the wood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at Anseong Chiljangsa temple. Considering the votive document of Daewoongjeon at Manwisa, it is estimated that the creation of the statue took place in the late 1680s to the 1690s 화성 만의사는 무봉산 자락에 자리를 잡은 전통 사찰이다. 만의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대웅전에는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석가여래삼불좌상은 17세기 이후 조성된 전형적인 여래상의 특징이 발견된다. 존상의 이목구비와 조각 기법을 통해 17세기 후반 충청도와 경기도에서 주로 활동한 ‘혜희-금문·마일’ 스님을 주축으로 하는 조각승 계보에 속한 장인이 조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계보 중 만의사 석가여래삼불좌상의 조성에 더욱 깊이 관여했을 조각승을 추정해 보면, 전반적인 이목구비의 형태와 하반신 대의 자락을 조각하는 방식에서 금문 스님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크다. 금문 스님은 1650년대부터 1706년까지 활동 기록을 찾아볼 수 있는 조각승이다. 화성 만의사 석가여래삼불좌상의 경우 전반적인 상호의 구성 및 신체의 괴량감 및 비례가 금문 스님의 후반기 존상인 안성 칠장사 명부진 지장보살좌상과 유사점이 높다. 그리고 만의사에 전하는 대웅전의 중창기록을 고려해보면 존상의 조성시기는 1680년대에서 1690년대로 추정할 수 있다.

      • 조선후기 안성 칠장사 불상의 조성 배경과 조각승 활동의 변화

        김윤선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3 불교문화재연구 Vol.4 No.-

        전국 사찰들은 임진왜란을 거치며 파괴되었다가 17세기 전반에 이르러 활발한 중수가 이루어졌다. 반면 칠장사는 중요한 사찰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이라는 다소 늦은 시기에 불상이 조성되는 등 중창불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의문을 기반으로 칠장사의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조선후기 칠장사에서 조성된 불상과 조각승의 활동 및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마일, 금문, 일기 등 조각승들이 칠장사에서 활동하는 것이 의미하는 바와 함께 칠장사에서 이루어진 불상 조성이 보여주는 조각승의 활동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칠장사가 뒤늦게 중창된 이유는 세도가가 장지터를 마련하기 위해 칠장사의 터전을 침탈하였고, 원래의 터로 돌아와 사찰을 다시 세우기까지 30여년의 시간이 소요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의 시기에 조성된 칠장사 불상은 점차 불상 수요가 줄어드는 시기에 놓여있던 조각승의 역할 변화를 뚜렷하게 보여준다. 조각승 마일과 금문, 일기를 통해 이러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17세기에서 18세기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조각승의 역할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각승이 불상 조성뿐만 아니라 개금이나 보수뿐만 아니라 공양구나 불화 제작 등 다양한 불사에 참여하게 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도기적 성격은 칠장사 불상과 조각승들이 가지는 특징이다. 칠장사는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조각승의 역할 변화의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된다. The wandering group of artists who were related to temples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called Sadangpae, and their bases were Jeongsusa in Sadang-ri, Gangjin-gun, Jeonnam, Cheongnyongsa in Cheongryong-ri, Anseong-gun, Paeyeopsa in Guwolsan Hwanghaedo ,Hwabangsa Namhae-gun, Gyeongnam, Seongyeol, Changpyeong, Damyang, Okcheon, Jeongeup, Dongbok, and Hampyeong, and so on. A ‘Sadang’ made up of women and a ‘Geosa’ made up of men perform in groups across the country and men and women stand in a single line facing each other, and men play the ‘Sogo’ and women sing a ‘Japga’ called Yeombul or Seonsori. This performance is called Pannoreum because it is a performance played by men and women in separate groups. There are many categories of Sadangpae's clothing, such as those who wear ordinary clothes, those who wear fallen hat and shabby skirts, and those who wear very luxurious clothes, which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ich and the situation they face. Just as all performing groups still now have either good or bad income, all conditions - the economic situation, personnel organiz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erformance content of various Sadangpae across the country- were different, so their clothes could appear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ir environmen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y were changed Sadangpae into Namsadangpae, which was composed of men, and the Sadang that disappeared from Guwolsan Mountain in Hwanghae-do flowed into the Seodo Sunsori Santa Ryeongpae, the Sadang of Cheongnyongsa in Anseong flowed into the Gyeonggisunsori Santa Ryeongpa, and the rest of the Sadang centered on Jeolla-do flowed into the Hwacho sageolipae and then they directly affected the formation of their songs and dances. It can be seen that the song "Nolryang, Sageori, Junggeori, and Gyeongbalim" sung by the Seonsori Santa Ryeongpae all originated from the song by Sadangpae

      • 교토 고려미술관 소장 목조불상의 목재 분석 -수종 및 수령-

        손병화,김요정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2 불교문화재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일본 교토 고려미술관 소장 불상 4점(목조보살입상, 목조아미타여래삼존불감, 목조동자상, 목조여래좌상)에 대하여 불상 제작에 사용된 목재의 수종과 수령을 분석한 내용이다. 이를 통해 불상의 형태(입상과 좌상), 신체 부위별, 나라별 등에 따라 수종을 달리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입상인 목조보살입상과 목조동자입상은 버드나무속의 목재로 조성되었다. 좌상이 대체로 은행나무와 소나무로 만들어진 것과는 다른 결과이다. 버드나무속은 활엽수이지만 산공재로서 재질이 균일하다. 비중이 0.4정도로 가볍고, 건조와 절삭이 용이한 목재로, 주로 불상의 수인으로 많이 사용되는 수종이다. 목조아미타여래삼존불감은 은행나무로 조성되었다. 은행나무는 생재상태에서 조각이 용이하고 수축률이 적어 불상 제작에 가장 많이 선호되는 수종이다. 양식적으로 우리나라 불상으로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목조여래좌상은 측백나무과의 목재로 조성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례가 없는 것으로, 측백나무과의 편백나무가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일본 고유의 불상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목조불상과 일본의 목조불상 제작에 쓰이는 목재 수종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수령분석을 통하여, 목조보살입상의 밑판은 77년생 이상, 목조여래좌상은 244년생 이상의 수령을 가진 목재로 제작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wood identification and age of wood used in four wooden Buddha statues (Wooden Standing Bodhisattva, Wooden Buddha triad in niche shrine, Wooden Kumara Attendant, and Wooden seated buddha) preserved in an Koryo museum of art in Kyoto, Japan.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examined whether the wood spec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buddha statue, part of body and country.  A wooden Standing Bodhisattva and Wooden Kumara Attendant were made up of willow (Salix spp.). It was a different result from the usual seated Buddha statues made up of ginkgo trees (Ginko biloba Linn.) or pine trees (pinus spp.). The willow tree is a broad leaf tree, but it is diffuse-porous wood. It has a light specific gravity of 0.4 and is easy to cut and dry, so willow tree(Salix spp.) is species of wood that is often used to make Buddha's hands. The Wooden Buddha triad in niche shrine is made of ginkgo tree. Ginkgo tree are easy to carve with green wood. And when dried, the shrinkage rate is low. Therefore, ginkgo trees are most preferred for making Buddha statues. The wooden seated Buddha statue, which is not considered to be a Korean Buddha in style, was made of wood from the Cupressaceae. There is no case in Korea, and it is judged that it is a Buddha statue unique to Japan, which is reported that Chamaecyparis obtusa (Cupressaceae)are mainly us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pecies of wood used in the production of wooden Buddha statues in Korea and in Japan In addition, Wooden Standing Bodhisattva's base plate and Wooden seated buddha were made of wood with an age of more than 77 years and 244 years, respectively.

      • 마산포교당 정법사 大報父母恩重塔의 고찰

        신용철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2 불교문화재연구 Vol.3 No.-

        일제강점기 일본불교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불교의 자생 운동으로 도처에 포교당을 건립했다. 각 포교당에서는 활성화 방안으로 명망있는 승려를 포교사로 파견하였다. 통도사 산하 마산포교당에 는 경봉스님이 주지를 맡아 마산지역의 종교중심체로 성공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마산포교당이 크 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에는 대보부모은중탑의 건립이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탑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탑은 부모의 은혜를 갚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탑의 건립에 마산을 포함한 인근 지역 신도들의 적극적 후원으로 포교당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 탑은 일제강점기 전통적인 한국탑이 소멸해가는 시기에 새로운 시대양식을 담고 있다. 기본 적으로 전통적 석탑양식을 토대로 각 부분의 간략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표면에 새겨진 부조상 과 범자의 배치는 기존에 없었던 시도이다. 이 밖에도 상륜부에 있어서는 일본풍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석탑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기존에 있던 전통적 양식과 일제강점기의 시대상을 함께 반영한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는 일제강점기 초기에 만들어져 근대석탑의 선구적 조형으 로 평가된다. In Japanese colonial era, Buddhist missionary centers were built everywhere as a self-sustaining movement of Korean Buddhism to cope with Japanese Buddhism. In each missionary center, renowned monk was reassigned to revitalize it. Monk Gyeongbong served as the chief of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 under Tongdosa Temple supervision and played a successful role as a religious center in Masan.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 for Daebo Bumo Eunjunggyeong(大報父母恩重經)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great development of Masan Buddhist missionary centers. As can be seen from the name of the pagoda, this pagoda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repaying the filial piety. In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 the active sponsorship of believers in nearby areas, including Masan,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aise the status of the missionary center.This pagoda contains a new era style at a time when the traditional Korean pagoda was disappearing in Japanese colonial era. Basically, simplification of each part was emerging based on the traditional stone pagoda style. In addition, the new features that Sanskrit characters were engraved on the surface seem to be never existed before.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is pagoda was rendered in the Japanese pagoda style.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pagoda, it reflects the transitional pagoda shape of Koran traditional style and the era of Japanese colonial era. It is evaluated as a pioneering form of modern stone pagoda, which was built in the early days of Japanese colonial era.

      • 정읍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 목재의 수종과 원산지 분석 및 연대측정

        김요정(Kim Yo Jung)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0 불교문화재연구 Vol.1 No.

        본 논문은 전라북도 정읍 약수암에 봉안된 소조관음보살좌상 제작에 사용된 목재의 수종과 비파괴 연륜연대분석을 이용한 제작 연도 및 사용 목재 원산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조관음보살좌상은 발원문을 통해 근대 불교미술의 거장인 보응문성이 1928년에 조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대 작품인 소조관음보살좌상을 구성하고 있는 목재 틀(심주와 밑판)에 사용된 목재의 수종과 연대를 과학적 방법인 목재해부 및 연륜연대법으로 분석하였다. 소조관음보살좌상 목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특징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가문비나무로 식별되었다. 또한, 비파괴 분석을 위해 밑판재에서 획득된 연륜 이미지를 이용하여 작성된 130년간의 연륜연대기는 일본 홋카이도 가문비나무 대표연륜연대기와의 크로스데이팅을 통해 성공적으로 마지막 연륜에 1842년을 부여하였다. 사용된 목재는 수(髓 : 나무의 중심)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수피부위는 치목된 상태이었다. 따라서 목판재의 형태를 통해서는 단지 1842년 이후에 벌채된 일본산 가문비나무로 소조관음보살좌상이 조성되었다는 사실만 알 수 있었다. 발원문을 통해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의 조성연도는 1928년이므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마지막 연도와 발원문에서 제시한 연도와의 차이를 근거로 소조관음보살좌상 제작에 사용된 목재의 수령은 약 220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정읍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은 수령 220년인 일본산 가문비나무를 목재 틀로 사용하여 1928년에 조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aimed at identifying the wood species used for <Clay seated Avalokitesvara> enshrined at Yaksuam, Jeongeup, Jeollabuk-do and investigating the production year and origin using non-destructive tree ring analysis. It is known by a document, called Balwonmun, that <Clay seated Avalokitesvara> was founded in 1928 by Boeungmunseong, known as the master of modern Buddhist art. As a result of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in the experimental woods used to make <Clay seated Avalokitesvara>, the wood species was identified as a spruce(Picea spp.). In addition, by comparison of 130-year ring-width chronology, which is established using tree-ring images of wooden board of <Clay seated Avalokitesvara>, with the Hokkaido spruce master chronology in Japan, the last tree ring was dated 1842. The experimental wood has a pith, however, it has no bark. Therefore, only the fact that the wooden board of <Clay seated Avalokitesvara> was created using a spruce from Japanese felled after 1842. From a document, <Clay seated Avalokitesvara> was created in 1928.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year of the last tree ring dat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year in the document, the tree age used to make the wooden board is estimated approximately 220 years old. Based on the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Clay seated Avalokitesvara> at Yaksuam in Jeongeup was created in 1928 using a wooden frame made by an approximately 220-year old spruce from Japan.

      • 기록으로 본 장흥 천관사의 창건과 변천에 관한 고찰

        김희태 사)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2023 불교문화재연구 Vol.4 No.-

        천관사의 창건에 대해서는 통일신라 애장왕대(801~808 재위) 통령화상 창건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효소왕대(692~701년 재위)에 의상암이 있었다는 기록이 천인의 「천관산기(天冠山記)」(1240)에 있다. 그런데 천관사는 화엄사라고도 했고 성덕왕 4년(705) 창건 기록도 있어 창건 연대는 더 소급될 여지가 있다. 아육왕탑 관련 기록이나 󰡔지제지󰡕의 ‘돌로 만든 배에다 진경(眞經)을 싣고 바다를 건너와서’라는 기록을 통하여 천관산 일원 불교문화의 해로 유입설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진덕여왕(647~653년 재위) 대에 부설(浮雪)이 천관산에서 5년을 주석했다는 영허 해일(1541~1609)의 「부설전」은 천관산 불교문화를 백제시기까지 소급해 볼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천관사는 고려시기에도 활발히 운영되었다. 천관사 일원에서 수습된 청자, 석탑과 석등을 통하여 알 수 있다. 1200년대 초반에는 진각국사 혜심(1178∼1234)이 천관산 의상암에 우거한다. 1240년(고종27) 7월에 정명국사 천인이 천관산 일대 사찰을 답사하고 「천관산기」를 남긴다. 조선시대 초기 행호대사에 의한 수정암 중수도 이루어진다. 1447년(세종29)경에 왕명으로 편찬한 󰡔석보상절󰡕에 천관산 아육왕탑에 관한 기록이 있다. 1561년 개간된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이후 1659년 󰡔지제산사적(支提山事跡)󰡕에 이르기까지 100여년에 걸쳐 19종의 불교전적이 간행된다. 1609년 11월 장흥 선비 김여중, 1638년 4월 보성의 박춘장, 1640년 허목이 천관산을 유람하고 기록을 남긴다. 1722년(경종2)에는 이하곤이 천관산을 탐승하면서 기문과 시를 남긴다. 1739년에는 민형수가 천관산을 유람한다. 1747년에는 천풍루 등 중심 사역이 불에 타는 피해를 당한다. 1765년(영조41)에는 위백규와 위도급 부자가 천관산을 유람한다. 특히 위도급은 천관산의 산명 봉호 암자를 주제로 96수의 시를 짓는다. 1779년(정조3) 위백규가 󰡔지제지󰡕를 편찬한다. 천관산에 관한 지리지로서 가장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기록에는 천관사의 건물도 48채에 이른다. 이상에서 천관사의 창건과 변천을 살펴보았다. 사상적인 측면에서는 다른 논고가 있어 참고가 된다. 앞으로 관련 자료에 대한 조사와 수집, 수집된 자료의 비교 분석과 연구, 사회경제적 측면 등 주변지역의 인문 활동과의 연계, 조사 연구 결과의 공유, 천관사 사적기와 천관산 지리지의 편찬 등이 이어졌으면 한다. Regarding the foundation of Cheongwansa Temple, there is a record of the foundation of Tongryeonghwasang during the reign of King Aejang of Unified Silla (reigned 801-808). There is a record in Cheonin’s “Cheongwansangi” (1240) that Uisanggam existed during the reign of King Hyo-so (reigned from 692 to 701). However, Cheongwansa Temple was also called Hwaeomsa Temple and there is a record of its founding in the 4th year of King Seongdeok (705), so there is room for its founding date to go back further.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theory of the influx of Buddhist culture into the Cheongwansan area by sea through the records related to the Asuk Kings Pagoda and the record in 󰡔Jijeji󰡕 that says, ‘He came across the sea carrying the true sutra on a boat made of stone.’ In addition, Yeongheo Hae-il (1541-1609)'s "Buseoljeon", which states that Buseol(浮雪) lived at Cheongwansan for five years during the reign of Queen Jindeok (reigned 647-653), shows that the Buddhist culture of Cheongwansan can be traced back to the Baekje period. It's a clue. Cheongwansa Temple was actively opera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is can be known through celadon, stone pagodas, and stone lanterns recovered from the Cheongwansa Temple area. In the early 1200s, State Preceptor Jingak Hyesim (1178-1234) resided at Uisangam Hermitage on Mt. Cheongwan. In July 1240 (the 27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State Preceptor Jeongmyeong Cheonin visited temples around Cheongwansan Mountain and left behind Cheongwansangi. Sujeongam Rock was rebuilt by Master Haengh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is a record of the Asuk Kings Pagoda on Cheongwansan Mountain in 󰡔Seokbosangjeol󰡕, which was compiled by royal order around 1447 (the 29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From 󰡔Saddharmapundarika Sutra (The Lotus Sutra) Comprehension(妙法蓮華經要解)󰡕 published in 1561 to 󰡔Jijesan historical records(支提山事跡)󰡕 in 1659, 19 types of Buddhist scriptures were published over a period of 100 years. Jangheung scholar Kim Yeo-jung (1556-1630) in November 1609, Park Chun-jang (1595-1664) of Boseong in April 1638 (16th year of King Injo's reign), and Heo Mok (1595-1685) in 1640 (18th year of King Injo's reign) toured Cheongwansan Mountain and recorded it. leave it In 1722 (the 2nd year of King Gyeongjong’s reign), Lee Gon climbed Mt. Cheongwan and left a legacy and a poem. In 1739, Min Hyeong-su (1690-1741) toured Cheongwansan Mountain. In 1747, central ministries, including Cheonpungnu, suffered damage from a fire. In 1765 (the 41st year of King Yeongjo's reign), Wi Baek-gyu (1727-1798) and a wealthy man of the Wido level took a tour of Cheongwansan Mountain. In particular, Wi Do-geup composed 96 poems on the theme of Cheongwansan Mountain's mountain name, Bongho Hermitage. In 1779 (3r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Wi Baek-gyu compiled 󰡔Jijeji󰡕. It contains the most detailed information about Cheongwansan Mountain. This record also lists 48 buildings at Cheongwansa Temple. Above, we looked at the founding and transformation of Cheongwansa Temple. In terms of ideology, there are other papers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the future, we hope to continue to conduct research and collection of related data, comparative analysis and research of collected data, linkage with humanities activities in surrounding areas including socio-economic aspects, sharing of research results, and compilation of Cheongwansa historical records and Cheongwansan geo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