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 발달 연구 - 4~6학년의 설명글과 이야기글 쓰기를 중심으로

        이순영,유승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2

        The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writing skills in the expository and fictional narrative writings of 321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the number of letters and sentences in writing stagnated or decreased slightly, but the number of T-units increased, suggesting improved sentence maturity. Second, latent growth modeling confirmed a linear model for both explanatory and narrative writing. Third, factor analysis found that the quality of writ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eight) of writing skills. This study found that upper elementary school is an important period for qualitative changes in “discourse-level proficiency writing” based on the transcriptional skills and writing fluency acquired in lower grades. Practical guidance is thus needed to improve the skills of 4th to 6th graders in text organization and in identifying the purpose and reader of the writing. 이 연구는 초등 4학년 학생들이 6학년 말에 이를 때까지 3년간의 쓰기 능력의 발달양상을 분석한 종단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321명의 초등학생이 고학년 시기에 작성한 설명글과 이야기글을 매년 수집하여, 글의 정량적 정보를 확인하고 잠재성장모형(LGM)을 이용해 발달 궤적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등 고학년 3년간 학생글의 분량(글자 수, 문장 수)는 증가폭이 정체되거나 소폭 감소하였고, 의미 단위 수는 증가하였으며, 오류 글자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이는 전사가 자동화되고 쓰기 유창성이 확보된 후에 문장 성숙도가 향상(문장 길이와 복문 증가)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LGM으로 쓰기 능력 발달 궤적을 검증한 결과, 설명글과 이야기글 모두 선형 모형이확인되었다. 아울러 4학년 때의 쓰기 능력(초기값)에는 읽기 능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설명글에는 이와 함께 쓰기 태도가, 이야기글에는 받아쓰기도 유의), 이후 쓰기 능력의 변화율(기울기)에는 유의한 영향 요인이 없었다. 셋째, 쓰기 능력과 요인별 비중을확인할 결과, 고학년으로 갈수록 쓰기 능력에서 글의 질 > 글자 수 > 쓰기 정확도 순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고, 글의 하위 요인별(설명글의 내용, 조직, 표현; 이야기글의 인물, 사건, 배경, 표현) 영향력은 균등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초등 고학년은 저학년에서 습득한 전사 능력과 쓰기 유창성을 바탕으로, ‘담화 수준의 능숙한 쓰기’로 나아가면서 쓰기 능력의 질적 변화가 나타나는 중요한 시기였다. 초등 고학년 시기는 쓰기능력의 발달 폭과 속도가 둔화되는 점이 특징인데,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고도화하기위해서는 글의 구성 능력을 높이고 쓰기 목적과 독자를 인식하는 쓰기 방법을 습득하도록 실제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 三陟地域 新羅石塔의 樣式과 特徵

        이순영 한국이사부학회 2015 이사부와 동해 Vol.10 No.-

        강원도 영동지방 최남단의 삼척지역은 남쪽으로는 경북 울진군, 봉화군과 접하고 있어 경북 북부와 강원도를 연결하는 중간 연결지점의 문화전파 경로로서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으며, 석조미술 역시 이와 관련하여 형성·발전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 가운데 신라석탑은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 삼척 흥전리사지 삼층석탑, 삼척 대평리사지 석탑 등 4기가 확인되는데, 비교적 적은 수량만 남아 있지만 9세기 신라석탑의 결구구조와 양식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삼화사 삼층석탑의 별석 탑신받침, 흥전리사지 석탑의 삼중기단, 표면 장엄공 등은 신라석탑의 일반적인 양식 흐름 속에서도 매우 주목되는 특징으로 삼척지역이 9세기 신라석탑이 다양하게 전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흥전리사지가 위치한 도계 읍은 경북 북부와 강원지역을 연결해주는 곳으로 당시 중요 교통로의 거점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다양한 석조미술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이 지역 불교문 화 발달에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석탑을 통해 본 삼척지역의 불교문화는 경북 북부와 강원지역을 연결해주는 중간적 위치이지만, 불교문화의 발전 양상은 강원 남부지역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Situated at the southern tip of Yeongdong, Gangwon Province, Samcheok is adjacent to Wooljin-gun and Bonghwa-gun, Gyeongbuk in south. As a path of cultural diffusion at the connecting point between northern Gyeongbuk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it has long attracted attention and show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patterns of stone art in relation to it. There are four stone stupas from Shilla in the area including the three-story stone stupa of Samhwa Buddhist Temple, the three-story stone stupa of Bonjeok Buddhist site in Taebaek, the three-story stupa of Heungjeonri Buddhist site in Samcheok, and the stone stupa of Daepyeongri Buddhist site in Samcheok. Even though the number is relatively small, those stone stupas mainly observe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style flows of Shilla's stone stupas in the ninth century. The support for the stupa body made of additional stone in the three-story stone stupa of Samhwa Buddhist Temple and the triple stylobate and the magnificence hole on the surface of the three-story stupa of Heungjeonri Buddhist site are highly noteworthy features in the general style flow of stone stupas in Shilla and show that Samcheok was a very important area to demonstrate the diverse developments of Shilla's stone stupas. Dogye-eup, where the Heungjeonri Buddhist site is, connects between northern Gyeongbuk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and is highly likely to have been a base along the major traffic route those days. Given that it has a variety of stone art found around it, it appears that it must have held a central position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development in the area. That is, Samcheok was a middle point connecting northern Gyeongbuk Province with the Gangwon region based on its Buddhist culture through the stone stupas, but the development patterns of its Buddhist culture indicate that it must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southern Gangwon region.

      • KCI등재

        우리나라 당뇨병의 역학적 특성

        이순영 대한의사협회 2022 대한의사협회지 Vol.65 No.10

        Background: The estimated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has increased and become a burden among non- communicable diseases due to the accelerated aging population worldwide and the increased prevalence in low-income countries. In Korea, diabetes has become a serious public health concern. Current Concepts: There are four major concerns in diabetes epidemiology. First, the increased obesity rat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diabetes prevalence. Second, a more than 40% increase in men and women with prediabetes has been observed. Prediabetes is not only a risk factor for diabetes but can also have pathophysiological effects. Third, one in three patients did not know that they had the disease. Three in four persons with diabetes experienced uncontrolled blood glucose even with treatment. Moreover, the treatment and awareness rates among people with diabetes in their 30s and 40s were lower than 50%. Unhealthy habits such a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inadequate physical activity persist in patients undergoing treatment. Finally, it has recently been found that the risk of developing diabetes is high among cancer survivors and patients recovering from coronavirus disease 2019. Discussion and Conclusion: A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rate in young people. We need to emphasize the seriousness of th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ith prediabetes and examine the effects of drug intervention for prediabetes, on the basis of academic research. We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patients who recovered from the newly emerging coronavirus disease 2019 and cancer survivors at risk of developing diabet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진로선택몰입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이순영,정창숙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4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decision-making type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and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26 fourth grade students in two nursing colleges and analyzed using SPSS / WIN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 of career decision was as follows: rational type 3.77, intrinsic type 3.42 and dependency type 3.88. Dependent type score was high and intuitive type score was low. The career decision type of the subjects was correlated with career choice commitment(p<.001)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p<.001).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rational type of career decision type. As a result,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p=.029)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673)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uidance program to improve rational decision - making styles and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to improve self - efficacy among career decision - making typ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료의사결정 유형과 진로선택몰입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간호대학 2곳의 4학년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은 합리형 3.77점(.48), 직관형 3.42점(.56), 의존형 3.88점(.43)으로 의존형의 점수가 높고 직관형의 점수는 낮았다. 대상자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은 진로선택몰입(p<.001)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p<.001)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의사결정 유형 중 합리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p<.001)과 대인관계(p=.029)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673) 이었다. 이에 진로의사결정 유형 중 합리적 의사결정 유형을 높이기 위한 지도와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진로의사결정 유형별 적절한 진로지도 전략이 필요 할 것이다.

      • 에니어그램 기질별 내러티브 탐구 보고서 - 1, 8, 9유형(배중심)을 중심으로 -

        이순영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6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3 No.2

        에니어그램심리역동은 타고난 9가지 기질적 욕구의 패턴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깊은 성찰과 변 화를 이끌어 낼 수 있고 나아가 학교, 가정, 상담 등의 다양한 현장에서 자신, 대인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니어그램의 기질별로 구분하여 심층적인 내면(심리적, 신체적 특징)을 살 펴보기 위해 내러티브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에니어그램심리역동 심층역동 워크샵 참가자들 중 배중심 1, 8, 9유형군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1, 8, 9유형으로 분류된 워크샵 참가자는 총 66명중 60명을 선발하여 분석했다. 내러티브적 방법에 의해 이들이 제출한 기질별 내러티브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키워드들을 핵심 단어로 분류하였다. 에니어그램역동전문가 배중심 유형 9인이 평정을 진행하였으며, 1차로 1, 8, 9유형의 핵 심 내러티브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2차는 의미적 단어탐색, 3차는 최종적인 기질적 내러티브를 정의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해 나타난 중심별 역동심리현상을 규명정리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 적으로 다양한 임상현장에서 나타나는 기질별 내러티브 현상을 고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역동적 척 도개발에 관한 연구가 가능하며,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육장면에서는 기질별 교수학 습법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