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부상담과 부모교육 병행이 부모양육행동과 부모유형개선을 위한 만다라미술치료 사례연구

        정창숙 한독심리운동학회 2017 심리운동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ouple counselling and parental education through Mandala Art Therapy on parental types and rearing behavior change. The subjects are a husband and a wife, who show problems in rearing their child in the Parent Type Scale Test and hav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 and themselves. The measurement tools in this study were Parent Type Scale and Rearing Behavior Scale. With pretest and posttest, the change of parent types and parental rearing behaviors was research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se steps revealed the change of the couple from the controlling and neglecting type to the benevolent and strict type resulting in positive chang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parent type and parental rearing behaviors of 1 couple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 Therefore, running parallel with couple counselling and parental education through Mandala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parent type. 본 연구의 목적은 만다라미술치료를 통한 부부상담과 부모교육이 부모유형과 부모양육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은 1쌍의 부부로 부모유형척도 검사에서 양육에 문제를 나타내며 각자 다른 양육행동으로 인해 자녀와 부부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측정도구는 부모유형척도와 양육행동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부모유형과부모양육행동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통제와 방임형태의 부모유형에서 자애로우면서도 엄격한 부모유형으로 변화되는 긍정적 부모유형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부모양육행동 사전․사후검사 결과 온정/수용, 거부/제재, 허용/방임에서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부부 1쌍의 부모유형과 부모양육행동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만다라미술치료를 통한 부부상담과 부모교육 병행이 부모양육행동과 부모유형에 긍정적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건강장애유아의 교육지원에 대한 고찰-병원학교를 중심으로

        정창숙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8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9 No.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rights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health disorders, and also to discuss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quality for young children with health disorder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ir participation in hospital school.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s, the data of introduction background of hospital school and educational support was collected and analyzed. Even though young children with health disorders are the recipients of special education, they are actually excluded from a place for education for the reason why they are in a special circumstance of being hospitalized.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is perceived as a crucial developmental stage, the support and right in the area of education are deprived.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ing the operation and current status of hospital school regarding the educational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health disorders, this study would be used as useful data for efforts, responsibility, and concrete measures of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in terms of educational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health disorders. 본 연구는 건강장애유아의 병원학교 참여에 대한 고찰을 통해 건강장애유아의 교육의 권리 및 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장장애유아의 교육적 질의 개선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병원학교의 도입배경, 교육지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건강장애유아의 경우 특수교육대상자임에도 불구하고 병원에 입원하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다는 이유로 교육의 장에서 사실상 배척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유아는 결정적 발달시기로 중요성은 익히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영역에서 지원과 권리를 박탈당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장애유아의 교육지원에서 병원학교에 대한 운영 및 현황에 대해서 고찰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장애유아의 교육지원에 대한 관계부처의 노력과 책임,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뇌 병변장애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과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정창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08 美術治療硏究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if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attent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a child with cerebral paralysis. The study subject is an eight year old boy, who was diagnosed as cerebral paralysis of fifth degree when three years old, showing minute difference in the size of hands and feet due to hemiplegia on the right half of his body. The subject has shown behavior of frequent fights or hitting because of negative thoughts on himself and others around, been easily distracted and regressive, and had no good interpersonal relations.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are K-CBCL for pretest and posttest to show changes in the levels of problem behavior for the ten K-CBCL subcategories and HTP for pretest and posttest to exhibit psychological changes on attent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data obtained from pretests and posttests of K-CBCL and HTP, art therapy displays an improvement on the subject's attent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ree K-CBCL subcategories of attentiveness, social prematurity, and aggressi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s attentiveness. Second, art therapy shows positive changes on the subject's interpersonal relations. Third, the change mode of attent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goes with different stages of art 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미술치료사례를 통하여 뇌 병변장애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은 뇌 병변장애아동으로 3세 때 뇌 병변장애 5급으로 병원에서 진단을 받았으며 오른쪽 상하 편마비로 손의 크기와 발의 크기가 미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상아동은 8세 남아로 자신과 주위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으로 잦은 싸움과 때리기 등의 행동을 보였으며, 주의가 산만하고 자주 퇴행적인 행동과 대인관계에서의 원만하지 못함이 주 호소문제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도구는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였으며, K-CBCL 10개의 하위척도에서 문제행동 수준의 변화와 HTP(집-나무-사람) 사전, 사후검사를 통하여 대인관계 및 주의집중력에 대한 심리적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K-CBCL의 주의집중력, 사회적 미성숙, 공격성의 3개의 하위요인에서 미술치료가 주의집중력과 대인관계에 있어서 향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HTP와 K-CBCL 사전, 사후검사결과에서 주의집중력의 문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K-CBCL과 HTP검사결과 대인관계개선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주의집중력과 대인관계의 변화양상은 미술치료단계에 따라 변화를 보였다.

      • KCI등재

        심리운동 연구 탐색(국내 연구)

        정창숙 한국재활심리학회 2018 재활심리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 다룬 심리운동은 신체활동을 통한 개개인의 능력과 특성에 알맞으며 중재대상자에게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만족감을 줄 수 있으므로 학문적 요구에 대한 흐름인 다학제적 접근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갈 중재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신체활동을 통한 심리운동은 움직임을 통한 자아개념 형성 및 전인적 발달에 그 기본원리를 두고 있다. 운동치료와 심리치료가 각각의 단편적인 중재효과에 초점을 맞춘다면 심리운동은 이들 간의 중복요소적 중재효과를 바탕으로 이차적인 치료의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심리적 예방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을 탐색해 보면 주로 장애 유·아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심리운동은 장애의 유무나 나이의 고하, 그리고 운동능력의 정도에 상관없이 모두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심리운동을 더 많고 다양한 대상에게 그 효과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5년 이전부터 2017년 5월까지의 심리운동 연구 학술논문 44편, 학위논문은 석사학위논문 93편, 박사학위논문 11편의 연구유형별, 연구연령별, 연구대상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동향탐색을 통해 국내 심리운동의 저변확대와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대상에의 연구와 연구에 대한 결과 및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창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In this paper's purpose was to approve the effects of Enhancement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empowerment,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The nursing students of 40 participated the Enhancement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f 16 hours. The questionnaire survey 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empowerment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test were conducted 2 time (before program, after program) to the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21.0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elf-directed learning(t=-4.52, p<.0001), self-efficacy(t=-7.17,p<.0001), empowerment(t=-5.60, p<.0001), clinical practice competency(t=-2.68,p=0.018). This study found that Enhancement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may increase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empowerment,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현대의 의료환경에서 자기주도적인 간호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자기주도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된 동일집단의 사전, 사후 비교설계연구이다.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은 총 16시간으로 40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임상수행능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결과를 살펴보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t=-4.52, p<.0001)과 자기효능감(t=-7.17,p<.0001), 임파워먼트(t=-5.60, p<.0001), 임상수행능력(t=-2.68, p=0.018)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자기주도학습증진 프로그램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2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현장실습 전에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및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되고 이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이 임상현장실습의 두려움을 극복하고 임상현장실습 교육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이며 더 나아가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문제행동, 사회적 기술 및 부모의 양육행동 개선을 위한 부모 참여 인지행동 미술치료프로그램 사례연구

        정창숙,정대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美術治療硏究 Vol.23 No.4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 participant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programs on positive change of problem behavior and social skills of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risk children on parental nurturing behavior. The research target was three elementary school male students, emotional․ behavioral risk group children, who belong to the clinical scope of K-CBCL(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who were suffering difficulty due to lack of behavioral and social skills. This research combined multiple probe designs and preliminary-post designs by conducting a parent participant cognitive behavior art therapy program,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hange appeared in children's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programs. Second, positive change appeared as the result of preliminary-post comparison of children's social skills through parent-child mutual activities. Third, positive change appeared in parental nurturing behavior by letting parents participate directly in parent education counseling the program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programs led to positive changes in problem behavior and social skills of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risk children, and positive changes in parental nurturing behavior. 본 연구는 부모 참여 인지행동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문제행동, 사회적 기술및 부모의 양육행동의 긍정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세 명의 초등생 남아로 K-CBCL에서임상범위에 해당하는 정서․행동 위험군 아동으로 문제행동과 사회적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이다. 부모 참여 인지행동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와 사전․사후설계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참여 인지행동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아동의 내재화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에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 아동 상호간의 활동을 통해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사전․사후 비교 결과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셋째, 부모교육상담과 부모 참여 인지행동미술치료프로그램에 부모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부모의 양육행동에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의하면 부모 참여 인지행동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문제행동, 사회적 기술 및 부모의 양육행동에 긍정적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집단 미술치료 활동이 언어발달지체 청소년들의 사회적 기술과 사회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정창숙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6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7 No.2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on social skill and social maturation of language developmental retardation adolescents. Objects of the study are thre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uch as two male students and a female student. They were struggling because of insufficient social skills and human relation skills that are mostly showed in language developmental retarded people. In additi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eer was not amicable, so they came into conflict.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K-SSRS) and social maturation. These tools examined a variation level of the objects. ABA design, and preliminary and post designs were used, so a change of social skills and social matura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this, there was a positive result in three sub-factors of K-SSRS based on collected data. There was a positive result in social age, a sub-factor of social matura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 of social skills and social maturation of language developmental retarded adolescents, and group art therapy activities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 of social skills and social maturation of language developmental retarded adolescents. 본 연구는 집단 미술치료 활동이 언어발달지체 청소년들의 사회적 기술과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세 명의 언어발달지체 청소년들로 남학생 2명과 여학생 1명으로 언어발달지체 대상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사회적 기술과 대인관계기술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또래와의 관계형성이 원만하지 못해서 갈등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도구는 사회적 기술척도(K-SSRS)와 사회성숙도를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변화되는 수준을 살펴보았다. ABA설계와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여 사회적 기술과 사회 성숙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K-SSRS의 3개 하위요인에서 긍정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회 성숙도에서 하위요인인 사회연령에서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언어발달지체 청소년들의 사회적 기술과 사회 성숙도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집단 미술치료 활동이 언어발달지체 청소년들의 사회적 기술과 사회성숙도에 긍정적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심리운동 연구 동향 고찰 -(2005년∼2017년)-

        정창숙 한독심리운동학회 2017 심리운동연구 Vol.3 No.1

        Psychomotorik is suitable for individuals'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physical activities and helps to provide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satisfaction for intervention subjects. For this reason, it has emerged as an intervention alternative to go in line with a new paradigm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particular, the psychomotorik through physical activities is based on the creation of self-concept and holistic development through motor. Whereas motion therapy and psychological therapy focus on the piecemeal intervention effect, psychomotorik has secondary therapy function and psychological and mental prevention function on the basis of the overlapped intervention effect of the therap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they mostly focused on disabled young children. Psychological motor is applicable to all types of study subjects regardless of disabilities, age, and a degree of motor abilit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effect of psychomotorik to more various subjects. Therefore, this researcher realized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on the psychomotorik which have been conducted from 2005 to 2017. Given that, it is important to research various types of study subjects and find the resul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s having been conducted so far in order to expand and develop the domestic psychomotorik. 본 연구에서 다룬 심리운동은 신체활동을 통한 개개인의 능력과 특성에 알맞으며 중재대상자에게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만족감을 줄 수 있으므로 학문적 요구에 대한 흐름인 다학제적 접근의새로운 페러다임에 발맞추어 갈 중재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신체활동을 통한 심리운동은 움직임을 통한 자아개념 형성 및 전인적 발달에 그 기본원리를 두고 있다. 운동치료와 심리치료가 각각의 단편적인 중재효과에 초점을 맞춘다면 심리운동은 이들 간의 중복요소적 중재효과를 바탕으로 이차적인 치료의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심리적 예방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기존의 연구들을 탐색해 보면 주로 장애 유·아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심리운동은 장애의 유무나 나이의 고하, 그리고 운동능력의 정도에 상관없이 모두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있으며 심리운동을 더 많고 다양한 대상에게 그 효과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2005년부터 2017년까지의 심리운동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동향탐색을 통해 국내 심리운동의 저변확대와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대상에의 연구와 지금까지의 연구에 대한 결과 및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