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손춘익 중·후기 창작동화의 저널치료 효과 연구

        황혜순(Hwang, Hye-So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7

        이 연구는 작가 손춘익의 동화창작(글쓰기)활동이 문학이 가지고 있는 치유(치료)적인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사례로 판단하고 증명하였다. 큰 틀은 감정이입과 카타르시스의 분출이 바탕인 문학치료학적인 관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저널치료로써 완성을 보이는 과정을 중?후기 장편 동화작품을 통해 살폈다. 저널쓰기는 일반적 글쓰기보다 자기 삶에 대한 반성과 성찰, 복원의 요소가 특히 드러난다. 따라서 개인의 무의식이 중요하다. 또한 미국에서는 연구로 검증된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 손춘익은 미국학자들이 언급한 이론과 방법들을 이미 사용하고 있었다. 게다가 전문적인 작가가 되어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는 완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이론적으로는 무의식 상처에 깊이 연관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트라우마 ‘문화적 수치심’을 바탕으로 그의 상처가 무의식에 남아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어떻게 표현되었고 변화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폈다. 1장에서는 여러 문제제기를 했다. 2000년 사망한 작가의 작가론과 작품론 적인 연구가 활발해질 시기가 되었음을 언급했다. 동화와 소설, 수필, 동화평론 등 작품활동과 아동문학문단과 소설 문단에서 활동에 비해 연구가 간과되었음을 지적하고 리얼리스트나 민족작가계열로 잘못 평가되었거나 모자랐음을 지적했다. 2장에서는 그의 어린 시절 환경과 아버지와 관계, 어머니의 역할을 제시했다. 3장과 4장은 작품을 비교 분석했다. 손춘익이 동화를 쓰는 것은 어린 시절의 자아를 불러내어 자신의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과정이었다고 보고 작품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통해 밝혔다. 기본 텍스트는 작가가 직접 서문에서부터 자신의 어린 시절이야기라고 처음으로 밝힌 장편 동화4권이다. 4권은 내용이 연결된 전체3부 시리즈와도 같으며 작가 개인의 서사가 투영되었다. 1부와 1부 개작은 아버지를 서술하는 태도가 달라지는데 오이디푸스켐플렉스와 유년시절 문화적 수치심을 덜어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부와 3부에서는 같은 사건을 겪는 주인공의 성격이 다르게 표현된다. 따라서 3장에서는 1부와 1부 개작을, 4장에서는 2부와 3부를 중심으로 비교했다.

      • KCI등재

        『동화와번역』 : 손춘익 초기 창작동화의 저널치료 효과 연구

        황혜순 ( Hye Soon Hwa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동화와 번역 Vol.27 No.-

        이 연구는 작가 손춘익의 동화창작(글쓰기)활동이 문학이 가지고 있는 치유(치 료)적인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사례로 판단하고 증명하였다. 큰 틀에서 감정이입 과 카타르시스의 분출이 바탕인 문학치료학적인 관점에서 구체적으로는 저널치료 로써 초기의 작품을 살폈다. 저널쓰기는 일반적 글쓰기보다 자기 삶에 대한 반성 과 성찰, 복원의 요소가 특히 드러난다. 따라서 개인의 무의식이 중요하다. 또한 미국에서는 연구로 검증된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 손춘익은 미국학자들이 언급한 이론과 방법들을 이미 사용하고 있었다. 손춘익은 지독한 가난과 무능력한 아버지 의 학대, 남동생의 죽음을 겪었다. 아버지에 대한 원망과 꿈을 포기하면서 갈등으 로 괴로워했고, 학교에서는 가난 때문에 수치심을 느끼며 성장했다. 따라서 이론적 으로는 무의식 상처에 깊이 연관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트라우마인 ‘문화적 수치심’을 바탕으로 그의 상처가 무의식에 남아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 폈다. 손춘익은 화가가 되고 싶었으나 일찍 포기하고 대신 독서광이 되었다. 독서 나 쓰기 등의 문학적 활동은 그의 인생에서 친구와 스승, 상상의 아버지를 보여주 면서 손춘익을 성장시켰다. 동화창작은 그에게 어른이자 작가가 된 뒤, 본인의 어 린 시절 자아를 불러내서 글쓰기로 상처를 다독인 것이다. 앞으로 후기까지 다른 작품으로 손춘익의 치유과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and demonstr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creative writing activities based on the case of Choon-ik Sohn, the children`s author whose writing can be understood as an example of literary therapy (treatment). To do it, the study reexamines his early literary works as forms of journal therapy from the larger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Compared to other forms of writing, writing a journal proves to be more self-reflective and restorative of one`s life. In light of this fact, individual unconsciousness counts as a significant aspect.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that show these effects have been conducted and verified. Sohn has already used theories and methods that American scholars have used. In his youth, he went through psychological trauma due to severe poverty and suffered under a lot of conflict and distress deep down in his unconscious world because of his father who was incompetent and did a great deal of damage to the family. In school, he felt very ashamed of his poverty. Thus, he grew up suffering with a great sense of shame from his dark family days. Therefore, the research reviews how his heartbroken pain and sufferings are mirrored in his literary works on the basis of two theoretical factors: the ‘Oedipus Complex’ deeply associated with his painful agony within his unconscious, and the ‘sense of cultural shame’ owing to his trauma. Sohn gave up his dream as a painter, and instead, became an extensive reader. The literary activities that he carried out through reading and writing helped Sohn grow, based on the friends, mentors or even the imaginary father that he was able to encounter. In particular, his creative activity of writing children`s stories conjured up his younger ego that had been rooted in his heart since an early age, and his heartbroken soul was healed after he became an adult and an author. The study on therapeutic processes in Sohn`s later literary works is another topic for research that will continue to be explored in the future.

      • KCI등재

        부모의 음주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황혜순(Hey Soon Hwang),장환일(Hwan-Il Chang),김경빈(Kyung-Bin Kim) 한국중독정신의학회 1998 중독정신의학 Vol.2 No.1

        Children of alcoholics (COA) suffer a variety of problems related to the drinking problems of parents. The author studied characteristics of 42 children of alcoholic parents (who had been diagnosed and treated in mental hospital) and 80 children of problem drinkers (scores over 13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 (CASTK)). They were compared with 80 children who did not have alcoholic parents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 The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oblem of alcohol drink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A and those of non-drinkers. But the incidence of frequent and excessive drinking among the children of problem drin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drinkers. The age of beginning smoking in COA was later than those of non-drinkers. But the rate and amount of smoking, and the rate of nicotine addic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drinkers. There were only 3 children who abused drugs in children of problem drinkers. 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ut high risk for future drug problems was found in COA by questionnaire survey (The Screening Test for High Risk Group of Adolescent Drug Users). COA showed tendency to have low educated alcoholic father, low educated and excessive alcohol drinking mother than those of non-drinkers. COA had no healthy hobbies. COA showed tendency to have many opposite sex friends. They seemed to want opposite sex friends by whom their past difficult life could be compensate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chool performance were poor. They had attached more in hair staining, riding auto bicycle, curiosity to mind altering drug than children of non-drinkers. COA didn’t have adquate coping strategy during adolescence. And they exposed to more stress than those of non-drinkers. They had experienced frustration and depression when the things was not good. They had a tendency to be more sensitive and insecure. They frequently expressed feeling of anger of yelled. But they had difficulty in expressing their own feeling. They felt that their character had been changed from good to bad one during adolesc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A and those of non-drinkers. COA showed more compulsive money expense, overeating, over sleep, compulsive exercise than those of non-drinkers. And they felt fatigue, pain, cough, sputum and dyspnea more frequently. Alcoholic parents showed more problematic behavior, such as verbal and physical abuse, gambling, and sexual problem. COA showed higher rate of runaway, problem behavior including school and legal problems, and problem friends. Alcoholic parents showed more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and COA also showed more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than those of non-drinkers. COA had more tendency to be involved in accidents and stealing.

      • KCI등재후보

        한국옛이야기 그림책의 재화와 출판현황에 대한 소고(小考)

        황혜순(Hwang, Hye-So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08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에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세계화, 다문화의 물결 속에서 살고 있거나 살아 갈 아동들에게, 한국의 옛이야기를 현재에 올바르게 전하기 위해, 현재에는 어떻게 전하고 있는지 출판현황과 서사변이양상을 살펴서 아쉬운 점을 찾고 보완과 해결책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것은 역설적이게도 현재와 미래적 개념인 세계화의 흐름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주체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근본 동력을 한국적인 것, 전통에서 찾을 수 있다고 믿는데서 출발한다. 따라서 한국옛이야기 중에서 대중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졌으면서 사랑받고 있는 작품이라고 판단되는 ?흥부전?작품을 중심으로, 현재에 출판된 작품들의 모습을 비교 분석하면서 서사와 상징의 의미를 고찰하고 대안을 제시하려한다. 따라서 고전의 여러 이본들 중에서 기준이 되는 판본을 정한 다음 다음과 같은 의문점을 바탕으로 본 논문의 내용을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흥부전?이 지금까지 지속되며 사랑받는 근본이유는 무엇인가? - 아동용 ?흥부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이야기 기본 서사는? 둘째, ?흥부전?그림책의 효과 및 교훈은? - 아동용 옛이야기그림책에서 추구하는 주된 주제는? 셋째, ?흥부전?의 그림책재화에서 보이는 현대적 특징은? - 인물성격이나 중요한 소재, 제재를 어떻게(무엇으로) 바꾸었는가. - 매체나 표현 기법면에서 얼마나 다양해졌는가? 넷째, ?흥부전?의 그림책재화에서 부족하거나 아쉽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 원전의 의미를 살피고, 현재 출판과 재화의 현실인식 및 발전대안제시. In this study, the actual condition of publications and narrative changes was investigated to ascertain whether national fairy tales have been properly handed down to children, who are living or will live in the world where globalism and multiculturalism have been more accelerat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s well as to find complementary measures and solutions. Paradoxically this study is based on faith that Korean taste and tradition makes national people appreciate the trend of globalization as well as cope with it. For that reason, contemporary publications were compared to ‘The Story of Heungbu’, one of the works that have been most popular with Koreans, in order to consider narration and symbols. Consequently a standard edition was selected from among the classics of which edi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ubsequently,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basic reason why “The Story of Heungbu” has been popular continuously? -What is the narration that is mostly used in the story adapted for children? Second, what effect has the story adapted for picture books had, and what lesson has it given? -What do the picture books adapted for children pursue? Third, what are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s? -How did characters and factors change to, and what did they change to? -How much do media and expression have varied? Forth, what is the lack in the picture books?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should be looked into. Contemporary publications and adaptations should be realistically reviewed, and a plan should be formulated so that they can be developed.

      • KCI등재

        이수지의 그림책『동물원』연구 -기호학적 관점으로-

        황혜순 ( Hye Soon Hw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그림책작가 이수지가 2004년에 출판한 그림책 『동물원』을 기호학적관점에서 분석 하여 환상과 현실의 경계를 정확하고 재미있게 그렸는지를 확인하고 밝히고자 했다. 그 분석방법은 “기호 사각형”에 작품을 대입하여 주인공 소녀의 행동양상과 의미의 진위를 증명 하였다. 따라서 그레마스의 설화도식4가지 중 주인공의 ‘역량’과 그것이 나타나는 ‘양상’을 중심논의로 삼았다 .그 결과 주인공 소녀가 동물원에서 경험한 환상이 어떻게 현실에서 균형을 이뤘는지 증명이 되었다. 동물들과 뛰어 놀았던 것은 실제이기도하고 환상이기도한데 이 둘의 경계이자 접합지점은 소녀의 신발과 잃어 버렸던 풍선이었다. 독자는 환상과 실제는 현실에 공존하기에 세 인물들 모두에게 사실이 됨을 알 게 된 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 작품은 작품성이 뛰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제대로 된 평가나 언급이 없었던 점도 말했다. 『동물원』은 작가가 그림책에 대한 애정과 열정, 시도를 다양하게 쏟아낸 작품이라고 고백한바 있다. 따라서 이수지의『동물원』을 선정해 작품성을 검증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Zoo", a picture book written by Lee Su-zy and published in 2004, from the semiotic perspective to see if the demarcation of fantasy and reality is described exactly and interestingly. The method of analysis is to verify the heroin`s aspect of action and authenticity of meaning by substituting this work into the semiotic rectangle, a tool for verifying the "Semiotic Square". Therefore, the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capacity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modality which it represent among the four types of Greimas`s Schema of Narrative Story. As a result it was proved how the girl heroin`s experienced fantasy at a zoo achieved a balance in reality. While the fantasy experience that the girl underwent in gamboling with animals is both real and illusory, the demarcation and the connection point are the shoes and the balloon which she lost. It is proved as true that to the girl and animal, the illusion would be a fact and that to the parents, it would be a lie. Furthemore, the effect that readers come to know that it becomes true to all the three characters since the actuality and the fantasy coexist in reality can be verified. It is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no proper evaluation or reference all the while despite excellent literary value of the work. Lee Su-zy mentioned that her love, zest, and trials for picture book were devotedly and diversely attached to "The Zoo". Thus, "The Zoo" written by Lee Su-zy was selected and its literary value was verified.

      • KCI등재

        극장용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 >의 아동콘텐츠상품으로써 부적합성 고찰-(1) -< 치킨 런 >의 주제구현과 주인공캐릭터 비교를 중심으로

        황혜순 ( Hye-soon Hwang ) 겨레어문학회 2016 겨레어문학 Vol.56 No.-

        이 연구는 2011년 극장에서 상영된 한국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 >에 대한 평가를 한국최초로 흥행에 성공했다고 긍정적으로만 말하는 것을 과대평가로 보고 문제제기를 한다. 애니메이션에 대한 과대평가의 문제와 원작동화 자체의 ‘암탉’을 그대로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캐릭터를 아동용으로 판단 것이 오류인 이유를 < 치킨 런 >의 주인공과 비교를 통해서 밝혔다. 그리하여 애니메이션과 콘텐츠 생산과정을 총체적으로 다시 살펴보도록 만드는데 1차 목표가 있다. 2차 목표는 한국에서 세계인에게 사랑받을 수 있는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문화콘텐트가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마당을 나온 암탉 >의 주제가 ‘주체성’이나 ‘탈출을 향한 자유의지’로 평가된 것을 오류라고 본다. 오히려 ‘모성성’을 강조하고 신성화하고 있다. 또한 제목을 < 마당을 나온 잎싹 >이나 < 마당을 나온 초록이 >로 바꾼다면 서사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지 생각해야 한다. 애니메이션의 과대평가에 대한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는 과장되었다. 그동안 흥행했다는 평가에는 한국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관객과 제작자, 관련된 사람들이 갖는 애정이 있었다. 또한 국가기관의 투자, 메이저급 회사들의 기획과 마케팅, 홍보와 스크린 점유를 통한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반의 성공이며, 절반의 실패라고 본다. 둘째, 주인공 설정과 캐릭터 설정이 잘못되었다. 아동이 진심으로 좋아하는 캐릭터도 아니고 본받을 만한 요소도 없다. 따라서 아동이 먼저 상품을 사려고 하지도 않는다. 수익부진의 근원은 원작선택을 잘못 했기 때문이다. 아동이 먼저 진정으로 좋아할 만한 주인공다운 캐릭터와 재미와 감동이 있는 서사를 창작하거나 찾아서 보완해야 한다. This Study raises an issue that < Leafie, A Hen into the Wild >, an animation played in theaters in 2011 was overestimated as the first box office hit in Korea, with positive estimation only. The reason why setting the hen in the original fairy story as the main character itself and deciding the character to be for children, in addition to the overestimation of the animation, are errors is describ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main character of < Chicken Run >. Thus, the first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animation and content production again, comprehensively. The second objective is to help create interesting animation for world people by Korean creators and develop Korean cultural content. It is thought that the theme of < Leafie, A Hen into the Wild > is identity and free will toward escape was mistaken. Rather, the theme emphasizes maternal instinct and makes it holy. The description would be changed if the title is modified to < Leafie into the Wild> or < Greenie into the Wild >. The issues of overestimation of the anim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estimation of being a box office hit was exaggerated. Such estimation was based on the affection given by the audience, producer, and the persons concerned. Furthermore, investment by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support by major class companies were made through planning, marketing, public relations, and screen occupancy.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o be a half success and a half failure. Secondly, Setting of the main character and other characters was wrong. Children do not like such characters truly and there was no element to be imitated for them. So, children do not want to buy the product. The basic cause of poor profits was caused by wrong choice of the original. It, therefore, needs to create or complement the main character appropriate to the leading role as well as interesting and touching stories.

      • 정신과 신체의 분화와 통합

        양병환,황혜순,Yang, Byung-Hwan,Hwang, Hey-So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0 정신신체의학 Vol.8 No.1

        1960, 1970년대 이후 정신과 신체를 적절히 조화시키려는 경향이 나타났고, 최근에는 신경생물학과 유전학의 발달로 인해 더 이상 정신과 신체를 구분해서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정신-선체의 개념 및 그 관계에 대한 역사를 살펴보고, 최근에 논란되고 있는 정신-신체 모형 세 가지 즉, 생물정신사회적모델, 정신-신체동일이론, 기질적단위이론에 대한 비교 및 분자유전학과 환경과의 관계, 스트레스-체질모델을 고찰하였다. With Cartesian dichotomy, a person's behavior and illness distinguished sharply between "biologically based" phenomena and "psychologically based" phenomena in western country. But a more balanced view that considers both concepts swept into psychiatry in the 1960s and 1970s. And ironically, the revolution of neurosicience and genetics have now reached a level of sophistication that allow it to serve as a bridge between biology and psychosocial environment. So, even subtle changes in the environment can produce biological changes in the brain. We review the history of definitions and relationship of mind and body. And we provide a selective survey of the recent 3 conceptual models of mind-body relationships in general-biopsychosocial model, mental-physical identity theory, organic unity theory-, the relationships of genetic and environment, and stress-diathesis model.

      • 소아정신과 환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지지체계

        김자윤,안동현,고복자,이영교,이효경,황혜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6

        Objectives:Parents of child neuropsychiatic patients may have many stresses due to their children’s illness.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of diseases will influence to the stresses of parents. The authors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and parents’ social support having an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Methods:Children and parents in outpatients interviewed and completed measures assess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parenting stress, general social support, and support related to parenting by Child Behavior Checklist, Parenting Stress Index, Medical Outcomes Study’s Social Support Scale, and Parenting Support Scale. Results:We could not find the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s of CBCL, Social Support Scale, and Parenting Stress Index among major diagnostic groups. In the same diagnosis, no difference of parenting stress was found according to general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highly correlated with severity of problem behaviors measured by CBCL. Conclusion:Severity of problem behaviors perceived by parents most predicted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ress correlated with support to parenting, but not with general social support. Managing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is the most immediate and effective method to diminish the parental stress of child neuropsychiatric patients. 연구목적: 소아정신과 외래치료중인 환아의 부모들은 아동의 질병으로 인해 여러 가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 로 나타난다. 질병의 성향과 심각도에 따라 부모가 느끼는 스트레스에 차이가 클 것으로 생각되며, 이 런 스트레스를 보완해 줄 수 있는 부모의 사회적 지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 법: 외래치료중인 유치원 및 초등학교 재학생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 및 부모 면담으로 시행하고 아동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척도(Parenting Stress Index), Medical Outcomes Study(MOS)의 사회적 지지척도, 양육지지척도를 통해 아동의 문제행동과 부모 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양육에 관련된 지지정도를 측정했다. 결 과: CBCL이나 사회적 지지척도, 양육 스트레스척도 등 각 척도의 총점수 만으로는 진단군 사이의 유의 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동일 진단군내에서 지지체계의 차이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 증상의 정도를 CBCL로 비교하였을 때 양육 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증상 정도가 유사한 집단 내에서는 내재화문제가 심한 아동에서 사회적 지지체계가 좋으면 부모가 받는 스 트레스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외현화문제나 총문제행동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양육지지 정도에 따라 스트레스가 줄어드는 경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 론: 환아의 양육 스트레스는 부모가 인지하는 환아의 증상정도와 가장 높은 연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아동의 양육에 관련된 지원체계가 부족할수록 양육 스트레스는 높아졌으나 부모의 일반적인 사회적 지지체계는 별 도움을 주고 있지 못했다. 무엇보다 아동의 문제행동을 줄여주는 것이 부모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