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선된 설측 고정 나사 시스템(T-screw system)을 이용한 임플란트 보철 수복 증례

        홍태영,김만용,윤준호,Hong, Tae-Young,Kim, Man-Yong,Yoon, Joon-H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4

        The implant prosthesis can be divided into the screw retained prosthesis and cement retained prosthesis. Each type has advantages as well as disadvantages which is unfavorable to maintain the implants. To overcome these drawbacks, T-screw system was developed. T-screw system which utilizes a lingual direction of the screw to retain the implant prosthesis, has advantages of retrievability of the prosthesis, passive fit, and possibility to form esthetic and functional occlusal surface. The prior prosthesis which utilized horizontal screws had difficulty in fabrica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multiple units, and also limited use with all-ceramic prosthesis. In this case, fabricating the implant prosthesis by using the T-screw system showed superior results in easy maintenance, esthetics, and also functions. In addition, we are to report the method of using the T-screw system in implant prosthesis, such as multiple units of implant prosthesis and all ceramic prosthesis. 임플란트 보철물은 나사 유지형 보철물과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로 나눌 수 있다. 각 방법은 장점과 함께 임플란트를 유지 관리하는데 불리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선된 설측 고정 나사 시스템(T-screw system)이 개발되었다. T-screw system은 설측 방향의 나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보철물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보철물의 탈부착이 쉽고, 수동적 적합이 가능하며,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교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수평 나사를 이용한 보철은 기공 과정이 어려워 다수 유닛의 보철물의 경우 제작이 쉽지 않았고, 완전 도재를 이용한 보철물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증례에서 T-screw system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심미적, 기능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다수 유닛의 임플란트 보철 및 완전 도재를 이용한 임플란트 보철에서 T-screw system을 이용하는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특집: 더 나은 민주주의를 위한 정치철학] : 민주주의와 인간 권리의 정치: 클로드 르포르(C. Lefort)의 민주주의 구성과 확장

        홍태영 ( Taiyoung H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0 No.-

        이 글은 ``정치적인 것``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면서 정치철학의 역할을 확장한 프랑스의 정치철학자 르포르의 민주주의와 인권의 정치에 대한 사유를 다룬다. 르포르의 중심문제는 ``정치적인 것``에 대한 사유와 민주주의의 문제이다. 르포르에게 ``정치적인 것``의 사상가라는 명칭을 부여하는 것은 그가 ``정치적인 것``의 개념에 대한 독특하면서도 정교화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고, ``정치적인 것``이라는 개념을 통해 근대사회를 해석하려는 작업을 수행하였기 때문이다. 그러한 정치적인 것에 대한 이해는 민주주의의 이해와도 맞물린다. 르포르는 토크빌과 같은 의미에서 민주주의를 장기적인 근대의 역사 과정으로 이해하면서 민주주의가 갖는 내면의 모순적 과정을 인식하고자 한다. 이러한 민주주의적 공간 속에서 그 공간을 새롭게 구성하고 확장하는 실천으로서 인간권리의 정치가 작동한다. 이 글은 르포르의 사유의 전개 속에서 중요한 계기들인 마키아벨리, 미국 및 프랑스혁명, 전체주의 등과 관련한 르포르의 사유를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인권의 정치와 민주주의에 대한 그의 독특함을 살펴 볼 것이다. This article treats the thoughts of Claude Lefort - in particular, his thoughts of democracy and politics of human rights - who defines newly the conception of ``the political`` and enlarge the roles of political philosophy. The central problems of Lefort are the thoughts on the political and democracy. We accord the name of thinker of the political to Claude Lefort, because he tried to define newly the political and, to interpret the modern society with this conception. These comprehensions of the political combine with those of modern democracy. Lefort tried to conceive the contradictory process of the modern democracy, with the comprehension of democracy as the historical process with ``longue duree`` like Tocqueville. In this space of democracy, the politics of human rights operates as the practice to constitute and enlarge this democratic space.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ortant moments of Lefort`s thoughts, Machiavelli, American and French Revolutions, totalitarianism, and lastly, the particularity of his thoughts on the politics of human rights and democracy.

      • KCI등재

        "새로운 전쟁"과 국민국가의 위기

        홍태영 ( Tai Young Hong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6 국방연구 Vol.59 No.1

        이 글은 최근 등장한 ‘새로운 전쟁’ 개념 및 그 현상에 대한 의미를 국제정치학적 접근보다는 정치철학적 및 정치사회학적 접근을 통해 이해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20세기 말부터 등장한 다양한 전쟁의 형태들 가운데는 기존의 국민국가 체계 시기의 전쟁과는 명확히 구별되는 이른바 ‘새로운 전쟁’이 발견된다. “전쟁이 국가를 만들고, 국가가 전쟁을 수행한다”는 찰스틸리의 테제와는 정반대의 현상이 등장하고 있다. 근대 초기 전쟁을 통해 국민국가가 형성되고 그것들에 의한 국제관계가 형성되었다면, 최근의 새로운 전쟁은 오히려 국민국가 및 그 체계를 해체시키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이 글은 최근의 전쟁을 분석하면서 그것이 기존의 국민국가체계를 어떻게 변형시키고 또한 세계적 수준에서는 물론 일국적 수준에서는 어떠한 형태의 새로운 정치를 발생시키는가, 나아가 국민국가라는 공동체 자체에 대해서는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가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국민국가의 위기 속에서도 민주주의의 새로운 계기를 발견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w wars’, which occur recently in the world at the end of 20th century and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war of modern nation-state era, in the approach of political philosophy rather than in the approach of international relation. These phenomena are contrary to the thesis of Charles Tilly, which is “the war makes the state, the states perform the wars.” The nation-states form through early modern wars and they form th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the nation-states, but the recent new wars have the tendances to deconstruct the nation-states and theirs systems. This article examines, in analyzing the recent new wars, how they transform the modern nation-states system, and which new forms of politics rise in the cadre of nation-state and in the world level, and which changes will be discovered in the nation-state itself. And we wants to discover the new moments of democracy in the crisis of nation-state.

      • KCI등재

        프랑스 공화주의 축제와 국민적 정체성

        홍태영(Hong Tai-You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05 정치사상연구 Vol.11 No.1

        이 글은 프랑스 혁명과 제 3공화국 시기에 발생하였던 축제를 살펴보면서 문화적 현상으로서 축제가 갖는 정치적 기능과 동시에 정치적 기능을 부여받은 축제의 문화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축제는 공동체의 구성원들에게 축제라는 집단적 행위를 통해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시켜주는 측면과, 다른 한편으로 공동체가 만들어낸 규범 혹은 금기를 파괴하면서 개인들의 내면성을 드러내는 계기를 제공하는 전복적 측면을 갖는다. 프랑스혁명 시기 근대적 정치체가 확립되면서 동시에 새로운 근대적 주체가 전면에 나서는 과정에서 혁명적 축제는 이러한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공회주의 정치체제가 정착하게 된 제 3공회국에서 축제는 국가에 의해 조직화되면서 국민을 만드는 하나의 문화적 전략의 의미에 한정되었다. 주체의 위기가 제기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새로운 주체는 무의식 혹은 내면의 욕망에 근거한 유희와 쾌락, 혹은 이미지와 소비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다. 문화의 영역은 개인성에 대하여 여러 가지 풍부한 표현의 방식을 허락한다. 이제 민주주의의 미래는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쾌락의 주체들에 근거하여 어떻게 보편적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comprehend political functions of festival as cultural phenomenon and cultural significances of festival endowed with political function, en examining the festivals in French Revolution and the 3rd Republic. Festival has two faces: one is to confirm the identity of community as member through the group activity; other is to offer occasion, en revealing individual interiority through destruction of community's taboo. In French Revolution in which modern political corps was established and modern subject presented, festival has all of them. But in the 3rd Republic in which republican regime was consolidated, revolutionary festivals were organised by the State and it was limited in the function to make a nation as cultural strategy. Today, new subjects is formed through amusements and pleasures, images and consumption, based on non-consciousness and interior desires. The place of culture furnishes individuality with diverse ways of expression. The future of democracy depends how universal consensus can be formed from diverse subjects.

      • 기조(F. Guizot)의 이성의 주권론과 프랑스 정치문화

        홍태영(Hong Tai-You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02 정치사상연구 Vol.6 No.-

        19세기 프랑스의 역사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투쟁의 결합의 역사였다. 그 과정에서 1820-30년대 지배적인 사상적 정치적 흐름은 기조의 반민주주의적 자유주의이다. 기조의 자유주의는 자신의 이성의 주권론에 근거하고 있다. 이성의 주권론은 사회 속에 흩어져 존재하는 진리와 이성을 대의제적 과정을 통하여 권력으로 결집시키고 주권으로 확립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성은 모든 개인들에게 동일하게 배분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성을 갖춘 ‘능력있는 시민’에게만 선거권이 부여된다. 그리고 이성과 진리가 드러날 수 있게 하는 공개성의 원칙과 공론의 지도를 위한 교육은 기조의 이성의 주권론의 핵심적인 전제조건으로 제시된다. 민주주의의 역사적 동학을 인식하지 못한 기조가 정치적, 사상적 한계를 드러내는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 이후 역사 과정에서 자유주의에 의한 민주주의의 포섭과정은 오히려 기조적인 자유주의가 주도하였음을 프랑스 역사는 말해주고 있다. 국가에 의한 공화주의적 교육을 통해 이성을 보급하고 그를 통해 국민국가가 요구하는 국민을 형성시키는 과정, 그리고 대의제의 과정을 단순히 입법부를 통한 의지의 결집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자체의 총체적 과정으로서 이해하는 대의제에 대한 확대된 인식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그 중심에 국가를 위치시키는 것은 근대 이래 프랑스 정치문화의 전형적 특정을 말해 주고 있다. The French history in 19th century is that of combination and of struggle between democracy and liberalism. The antidemocratic liberalism of Guizot dominates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stream of this process in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The Guizot's liberalism is based on the sovereignty of reason. This sovereignty of reason signifies that the reason and the truth, which are dispersed in the society, would be established in the State power through representative process. In fact, the reason is not distributed similarly in the all individuals, and for that reason, the suffrage must be entitled to the qualified citizen (=le citoyen capacitaire). The publicity and the instruction are proposed as principal preconditions: the former is for revelation of reason and truth; the latter for guidance of public opinion. Guizot has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limits that he could not perceive the dynamic of democracy. But the French history shows that Guizot's liberalism dominated the appropriation of democracy by liberalism in the end of 19th century. The republican instruction by the State diffuses the reason and forms the nation. And the representation is not comprehended as the process of collection of wills, but as the total process of the State in the reflec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society. It is the typical character of the French modem political culture that the State lies in the center of this process.

      • KCI등재

        프랑스 68혁명의 계기와 한국의 2008

        홍태영(Hong Tai-young) 비판사회학회 2008 경제와 사회 Vol.- No.80

        이 글은 68혁명에 대한 추모를 넘어 역사화 작업이 필요함을 제기하고자 한다. 한편으로 현재 진행되는 68혁명에 대한 추모의 작업은 철저하게 일국적 수준에서 진행되어왔다. 그리고 일반론적 수준에서 68에 대한 강조는 그것이 갖는 세계사적인 의미를 부각시킨다. 따라서 역사화 작업의 진행은 68혁명에 대한 일반론적 수준의 이해와 추모 수준의 회상을 동시에 극복하기 위함이다. 그 작업을 위해 '68혁명'에서 제기되었던 '정치'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여기서 출발한 '국민국가(nation-state)'라는 근대 공동체의 위기와 극복이라는 문제 설정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지금의 시점에서 68혁명을 '역사화'한다는 의미는 1968년 5월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에 대해 아는 것을 넘어서 68혁명이 이후의 역사 과정에 어떠한 의미를 지녓는가, 그리고 현재의 시점에서 68혁명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68 시기 이루어진 '새로운 정치'의 실천과 그것이 만들어낸 공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68의 계기를 가늠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러한 역사화 작업을 통해 프랑스의 68과 그것의 40년 과정을 이해하고 한국의 현재적 문제 설정과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2008년을 뜨겁게 했던 '촛불'은 이미 2002년에 시작되었지만, 여러 가지 새로운 방식으로 근대 정치의 틀을 넘어서려는 계기를 만들고 있다. 당시 대중의 움직임과 그들이 만들어낸 공간은 새로운 정치의 모습인 동시에 한국 민주주의의 전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This paper suggests a necessity for historicising of 68 revolution more than its commemoration. Commemorations of 68 revolution are taken in the level of one country and general explanations of 68 revolution exist in the worldwide level. Therefore the working of commemoration aims to overcome limits of general explanation and retrospective commemoration of 68 revolution. This working demands to comprehend the conception of "new political practice" and the problematics of crisis of the nation-state as modern political community and its overcome. The significations of "historicising of 68" in this time are to examine not only what happened in 1968, but also, which significances are given after 1968 and what we can get from it. Especially, this study has objectives to examine the moment of 1968 by comprehending the conception of new political practice and its space made by political practice. Through this historicising of 68, we can comprehend historical processes after 1968 and connect actual problematics in Korea. The "candle demonstration" of 2008, which started in 2002, makes moment to overcome the frame of modern politics by demonstrating plural modes of political practices. Moving of mass and the space made by mass show modes of new politics and possibilities of transformation of korean democracy.

      • KCI우수등재

        토크빌(A. de Tocqueville)과 민주주의의 패러독스

        홍태영(Tai-Young Hong) 한국정치학회 2001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3

        19세기 프랑스의 역사는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간의 이데올로기적ㆍ정치적 투쟁의 역사였다. 1830년대 루이필립 시기 기조의 이성의 주권론은 자유주의의 이름으로 민주주의를 거부하였고, 루이 나폴레옹의 제2제정은 민주주의의 이름으로 자유주의를 거부하였다. 이들 두 시기의 극단적인 경험 속에서 정치체제에 한정되지 않는 조건의 평등으로서 사회상태라는 토크빌의 민주주의 개념은 자유주의자들에게 광범하게 수용된다. 토크빌은 민주주의의 과정이 개인의 복지와 권리의 평등을 가져다주지만, 그러한 민주주의의 과정은 개인주의적 고립과 그에 따른 정치적 무관심을 가져올 수 있으며, 그것의 귀결점은 나폴레옹 3세의 지배와 같은 민주주의적 전체주의라고 경고한다. 그것이 토크빌이 고민한 민주주의의 패러독스이다. 따라서 토크빌이 미국의 민주주의를 분석하면서 제시한 처방책은 자유에 의한 민주주의의 조직화와 계몽이며, 특히 필요한 것은 시민적 덕목의 향상을 위한 정치적 자유이다. 토크빌은 역사적 과정으로서 민주주의가 가져올 수 있는 폐해를 방지할 수 있는 노력들을 제시하려 했고 그것이 그가 말하는 “새로운 정치학”의 임무였다. The French history of the 19th century can be described as a series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struggles between democracy and liberalism. The sovereignty of reason, elaborated by Guizot during the reign of Louis-Philipe in the 1830's, refused democracy in the name of liberalism, and the second Empire refused liberalism in the name of democracy. Through the extreme experiences, liberals accepted Tocqueville's conception of democracy defined as the social state, which is not only a political regime but also the idea of equal conditions. Although the process of democracy gives individual welfare and equality of rights, Tocqueville warns it brings the individual isolations, political indifferences and finally the democratic despotism like the domination of the Napoleon 3rd. That is the paradox of democracy of Tocqueville. The remedies he proposes in analyzing American democracy are the organization and enlightenment of democracy by liberty, and especially by political liberty for promotion of civic virtue. He wanted to suggest the trials for defense from the illness of democracy, that is the duty of his "new political sciences."

      • KCI등재

        연구논문 : 유럽의 시민권, 정체성 그리고 문화적 인종주의: 국민국가의 전환과 극우민족주의

        홍태영 ( Tai Young Ho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1 韓國 政治 硏究 Vol.20 No.2

        현재 유럽의 통합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쟁점 중에서 이 글은 유럽이라는 정체성, 유럽시민권 그리고 그 기저의 존재하는 문화적 인종주의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쟁점들은 두 개의 층위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유럽연합 차원의 정체성, 시민권의 문제이지만 그 문제들은 국민국가 수준에서 쟁점이 되면서 동시에 유럽 차원으로 확장되면서 복합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제도적으로 현실화되는 방식은 시민권이지만 그 기저에는 유럽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존재하며 또한 기저에 흐르는 문화적 인종주의를 발견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문제들은 국민국가 수준의 민주주의가 유럽적 수준에서 어떻게 작동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것과도 결부된다. 아직까지 시민권이 주권의 배타적 권한이며. 유럽은 그에 대해 발언을 할 수 있을지라도 어떠한 구속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이민정책의 문제는 결국 개별 국민국가의 문제일 수밖에 없다. 시민권의 부여는 고유한 주권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유럽 차원에서 형평성 문제 때문에 개별 국가들 간의 차이를 조율하고 있지만, 방향성은 진입장벽을 높인다는 것에 대한 일종의 합의 속에서이다. 그러하다면 유럽시민권의 문제는 단순히 기존 국민국가 시기의 시민권의 연장이나 확대라는 차원이 아니라 다른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european identity, european citizenship and cultural racism, which are important problems in the formation of European Union. These become important issues in the two instances. Identity and citizenship are, first, issues of nation-state and, at the same time, working in the instance of Europe. Although citizenship is a institutional formula, european identity is a base and cultural racism is discovered in the these formation. After all, these problems are related with democracy of nation-state, which must be enlarged in the level of Europe. Citizenship is exclusive right of nation-state, and Europe cannot carry regulation power. Immigration policy is a own problem of nation-state, because granting of citizenship is peculiar area of sovereignty. Although european states coordinate their citizenship policy for equity, its direction is to raise their wall of entrance. Therefore, european citizenship is not to extend national citizenship but to convert its problematic.

      • KCI등재

        신자유주의적 통치성과 한국 민족주의의 변환

        홍태영(Hong, Taiyo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2

        근대 국민국가 건설에서 그 주요한 행위자이자 동시에 개념으로서 네이션과 민족주의는 그 관계설정이나 개념이 가지고 있는 함의 등에서 오랫동안 논쟁거리였다. 하지만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극우민족주의는 이러한 이론적 흐름과 달리 새로운 네이션개념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근대적 국민국가의 위상 자체를 새롭게 하기도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새롭게 변형을 겪고 있는 민족주의 역시 세계적 차원에서 작동하는 신자유주의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국민국가 형성기에 민족주의는 주권자로서 국민을 구성해내고 다양한 민주주의적 과제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한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최근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흐름 속에서 연대와 민주주의에 대한 민족주의의 기여는 사라지고 배제의 이데올로기로서만 역할을 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사회에 당면하고 있는 민주주의의 과제는 연대와 삶의 공동체로서 국민국가를 새롭게 재구성해야 하는 문제이다. 과거 민족주의적 기획의 방식은 한계를 갖고 있지만, 그것의 문제제기는 일정하게 유효하다. 그러한 의미에서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의 쇄신을 위한 새로운 노력이 필요하다. The nation and nationalism, actor and an ideology, are very contestable concepts. However, recently proponents of extreme-right nationalism have introduced a new conception of the nation, that diverges significantly from that of modern mainstream. This concept places the nation-state in a new political position. These changes come from neo-liberalism, which influences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global economy. In the formative stages of a nation-state, nationalism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 and the performance of democratic roles. However, the influenc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has, in recent years, eroded the solidarity- and democracy-related roles that nationalism historically played, leaving behind an ideology of exclusion. Presently, in Korean society, an important democratic agenda is to reconstruct the nation-state as a community of solidarity and a space of life. The old style of nationalism has political implications and roles but many limits. We must endeavor to renovate our notions of democracy and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